지나간 그날에 48

5·18 광주 민주화 운동(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五一八光州民主化運動) 혹은 광주민중항쟁(光州民衆抗爭)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조속한 민주 정부 수립,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다. 당시 광주 시민은 신군부 세력이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한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로 인해 발생한 헌정 파괴·민주화 역행에 항거했으며, 신군부는 사전에 시위 진압 훈련을 받은 공수부대를 투입해 이를 폭력적으로 진압하여 수많은 시민이 희생되었다. 이후 무장한 시민군과 계엄군 사이에 지속적인 교전이 벌어져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내 언론 통제로 독일 제1공영방송 ..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12·12 군사 쿠테타(軍事 反亂) (1979년)

1979년 12월 12일 군사 쿠테타(12·12 軍事 反亂)    12·12 군사 반란(12·12 軍事 反亂) 또는 12·12 숙군 쿠데타는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김진기 육군 헌병감 등을 체포한 사건이다. 보안사령관 전두환은 12·12 군사 반란으로 군부 권력을 장악하고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했다. 이후 1980년 5월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는 신군부는 5·17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사실상 장악하고, 5·17 쿠데타에 항거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해 학살과 진압으로 강경 대응했다. 전두환은 8월 22일에 육군 대장으..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10·26 박정희대통령시해사건(1979년)

박정희대통령시해사건 (1979년 10월 26일) 정의 1979년 10월 26일 밤 7시 40분 경 서울 종로구 궁정동중앙정보부 안가(安家)에서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金載圭)가 대통령 박정희(朴正熙)를 살해한 사건. 개설십이륙사건·십이륙정변·박정희대통령시해사건 등으로 불린다. 이 사건으로 유신체제는 몰락했다. 역사적 배경1961년 5·16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는 18년간 권좌에 있으면서 1인 집권의 권위주의를 계속 강화하여 나아갔다. 특히 헌정 질서를 파괴하면서 1972년 10월에 등장한 유신체제는 억압적인 비민주적 정치를 심화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결국 1970년대 후반으로 넘어 오면서 그 동안의 정치·경제적 모순들이 폭발하기 시작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중화학공업에 대한 무리한 투자로 상황이 악화되..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5·16 군사정변(구테타). (1961년)

5.16 군사정변(구테타) 5.16 군사정변은 1961년 5월 16일에 박정희 소장을 비롯한 대한민국 육군 장교들이 일으킨 정변이다. 이 정변으로 제2공화국의 장면 내각은 출범 9개월 만에 무너졌고, 박정희를 수반으로 하는 국가재건최고회의가 등장하였다. 당시 국군에는 이승만 정권 때부터 군의 부정부패와 비리, 승진가도 중단에 불만을 품고 4.19 혁명 이후 정군 운동을 벌여 미국과 충돌했던 일군의 장교 세력들이 있었다. 육군소장 박정희와 1961년 2월 강제 예편당한 김종필을 비롯한 육군사관학교 8기생을 중심으로 한 장교들은 이로 인해 1961년 5월 말 강제 예편이 예정되었고, 이에 비밀리에 쿠데타를 기획하게 된다. 정변 세력들은 예비사단 병력과 포병단, 해병대와 육군 제1공수특전단 등을 동원하여 19..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4·19혁명(의거).(1960년)

정의 1960년 4월, 학생이 중심세력이 되어 일으킨 민주주의혁명. 개설 4월혁명, 4·19의거라고도 한다. 4·19혁명의 배경 1948년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었을 당시에는 민주적 가치와 실행에 대한 믿음이 한국사회 내의 모든 사람들에게 널리 퍼져 있지 못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실제 행동이 더욱 비민주적으로 되어가고 대규모의 부정선거가 자행됨에 따라 이승만정권의 독재를 규탄하고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민의식의 민주화는 대체로 광범위한 민주적 교육과 6·25전쟁 후 급속한 도시화의 결과이다. 1945년 이래로 민주주의 교육이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고, 도시 또는 준도시 사람들이 대중매체를 널리 접촉할 수 있었음은 한국인에게 민주주의의 가치를 인..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지리산 토벌작전(1950-1956년)

● 지리산 토벌 ○ 지리산 1948년 10월 26일 여수를 탈환한 전투사령부는 국군 토벌대에게 쫓겨 지리산에 들어간 김지회 부대를 총력으로 추토할 준비를 하였다. 그 계획은 남원-구례-화개장-하동-진주-거창-함양의 선에 포위망을 구성하고, 타격부대로 지리산맥을 소토함과 아울러 사산할 반군을 포위환으로 포착하는 데 있었다. 지리산맥은 소백산맥 남쪽 끝에 있는 큰 산 덩어리로서 주봉은 1915미터의 지리산이다. 한국의 3영산 중 하나이며 명소 고찰이 많다. 구례 북쪽 화엄사가 그 대표이다. 천고에 도끼질을 하지 않은 원시림으로 덮여 게릴라의 근거지로는 한국에 이 이상인 산은 달리 없다. 그 넓이는 동서 50킬로미터, 남북 30여 킬로미터에 이른다. 여수 탈환전이 막을 내릴 무렵 제3연대는 남원, 제4연대는 ..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여수·순천 10·19 사건(1948년)

여수·순천 10·19 사건 (여순사건) 麗水順天十一九事件 1. 개요 1948년 10월 19일 여수에 주둔 중이었던 14연대 소속 좌익 성향 군인들이 제주 4.3 사건을 진압하라는 이승만 정부의 명령에 항명해 일으킨 군사 반란 사건이다. 반란군이 내세운 명분은 '동족상잔 명령거부'였지만 실제 주동자들은 '병사 소비에트'라는 남로당 하부조직의 조직원들이었다. 사건은 9일 만인 10월 27일에 진압되었고 사건 과정에서 반란군과 진압군 양측에서 저지른 민간인 학살로 논란을 빚었다. 여수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정부 수립의 초기 단계에 여수에서 주둔하고 있던 국군 제14연대 일부 군인들이 국가의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일으킨 사건으로 인하여, 1948년 10월 19일부..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국토건설단(1960~1962년)

6.25전쟁의 후유증 으로 남한의 제조업은 1949년과 비교해 42%가 파괴되어 엄청난 경제적인 피해를 입어 도로와 주택, 철도와 항만 시설 등 국토는 황폐화되고 산업 시설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전쟁의 폐허 속에 허허벌판이 된 우리 국토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일이 시급했다. 이승만 정부는 전쟁으로 어려워진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미국의 경제 원조를 적극 활용하였다. 미국의 경제 원조는 부족한 물자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으나 폐허 속의 국토를 다시 일으키기에는 모든 것이 부족했다. 장면 내각은 어떻게 하든지 경제를 부흥시키는 게 목표였다. 그래서 경제 제1주의를 천명하면서 다양한 경제관련 정책을 추진했다. 이때 제시된 경제정책의 골자는 첫째, 국민정신의 혁명을 위한 국토..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제주4·3사건(1947~1954년)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제주4·3사건"이라 함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1947년 제주 4.3사건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7년 7개월에 걸쳐 제주도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일제의 패망 이후 반란을 일으킨 남조선로동당의 인민유격대와 국군·경찰이 충돌하였고, 그 이후 서북청년단으로 대표되는 극우 무장 단체의 백색 테러를, 북한의 남침 위협을 이유로 이승만 정부와 미 군정이 묵인하였다. 토벌 기간 동안 낮에는 국군과 경찰이 마을..

지나간 그날에 2022.10.31

영국에서의 6.25(한국전쟁)에 대한 정의 [평가]

◇ 영국에서의 6.25(한국전쟁)에 대한 정의 [평가]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의 6.25전쟁의 전반적인 지식은 한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알 것이다. 반면에 상대방의 북한과 중국은 우리측과 반대되는 역사관을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좀 더 객관적인 제3자 국가의 보는 관점을 이해하면 더 정확하지 않을까.!! 왜냐하면 전쟁의 당사자 국가들은 그 6.25라는 틀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3자 국가로 택한게 바로 영국이다. ● 영국의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대영 백과사전] 세계사에서는 한국전쟁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Q 한국전쟁은 왜 시작되었는가? 답변 :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을 물리친 후 소련군은 38선 이북 한반도를 점령했고 미군은 남쪽을 점령했다.한국은 결국 통..

지나간 그날에 2022.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