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 이야기 31

이명◀약명, 약명▶이명. 찿아보기

(가나다 순~~~)가근(茄根)▶가자(茄子)  뿌리 가는잎잔대◀사삼(沙蔘) 가는층층잔대◀사삼(沙蔘) 가막살나무◀협미(莢迷) 가새뽕◀상백피(桑白皮): 가자(茄子)▶열매가엽(茄葉) - 잎 가체(茄蒂)▶가자(茄子) 꽃꼭지 가화(茄花)▶가자(茄子)  꽃 각시둥굴레◀소옥죽(小玉竹) 각시마◀산약(山藥): 각시붓꽃◀마린자(馬藺子) 각시원추리◀훤초근(萱草根) 갈근(葛根)▶칡 뿌리 갈만(葛蔓)▶칡 줄기 갈엽(葛葉)▶칡잎 갈용(葛茸)▶칡의 순 갈화(葛花)▶칡 꽃 감국(甘菊)▶야국화(野菊花) 감나무◀시체(枾  ) 감부리(甘富利)▶캄프리.컴프리 감자◀양우(洋芋) 개망초◀일년봉(一年蓬) 개맥문동◀맥문동(麥門冬) 개머루◀사포도(蛇葡萄) 개쑥부장이◀산백국(山白菊) 개암나무◀진자(榛子 개질경이◀차전자(車前子 갯기름나물◀식방풍(植防風)..

약용식물 ㅂ~

박하(薄荷) [기원]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박하 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의 줄기와 잎 [생약명]박하(薄荷) [이명]야식향(夜息香), 번하채, 인단초(仁丹草) [성미]辛, 凉 [효능]소산풍열(消散風熱), 청이두목(淸利頭目), 이인(利咽), 투진(透疹), 해간울(解肝鬱), 봉예기(埲穢氣) [해설] 1.발산작용이 강하여 외감성으로 인한 감기로 열이 나고 두통과 땀이 안 나는 증상을 다스린다. 2.또한 이약물은 가벼워서 신체의 상부에 작용하므로 두통과 눈의 충혈을 제거하며, 3.인후염, 편도선염에도 길경, 형개와 배합해서 사용한다. 4.홍역 초기에 반진이 솟지 않을 때 및 피부가려움증에도 쓰인다. 5.간장 질환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협통(脇痛)이 있을 ..

약용식물 ㄷ~

다엽(茶葉):차나무 [기원]차나무과의 늘푸른떨기나무 차나무 Thea sinensis Linne의 잎. [생약명]다엽(茶葉) [성미]苦甘, 凉 [효능]청두목(淸頭目), 제번갈(除煩渴), 소식(消食), 화담(化痰), 이뇨(利尿), 해독(解毒) [해설] 1.서늘한 약성은 두통과 정신이 혼몽한 것을 치료하며, 가슴에서 번열이 나고 갈증이 있는 것을 풀어준다. 2.또한 위장의 소화력을 높여 주고, 간 기능을 활성화시키며, 3.이뇨 작용이 현저하고, 알코올 해독 작용을 하며, 약물 중독에서 쓰인다. 4.각성 작용이 탁월하여 잠이 많은 증상에 효력이 있다. [성분] alkaloid 성분으로 caffeine 1~5%, theobromine, theophyline, xanth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밖에 tanni..

약용식물 ㅌ~ㅍ

탄율수(炭栗樹):이팝나무 [기원]물푸레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Lindley et Paxton의 열매. [생약명]탄율수(炭栗樹) [이명]니팝나무, 니암나무, 뻣나무, [효능]강장(强壯), 흥분(興奮), 익뇌(益腦), 건위(健胃), 활혈맥(活血脈) [해설]기력이 감퇴되어 일어나는 수족마비에 활용된다.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이팝나무(Chinese fringe tree) Chionanthus retusa Lindley et Paxton 전라 남도, 경상 남도, 경기도 서해안의 선갑도 개울 근처에 나는 낙엽 교목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약간 난다. 키는 20m, 잎은 난형, 타원형, 길이 3-15cm, 폭 2.5-6cm, 가장자리는 보통..

약용식물 ㅎ~

함초 함초는 그 신비와 놀라운 효능이 아직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는 놀라운 약초이다. 함초는 세계 어느 곳보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제일 많이 자라는 산삼, 녹용을 능가하는 세계적인 보물이다. 함초는 봄부터 여름까지는 줄기와 가지가 진한 녹색이다가 가을이 되면 진한 빨간색으로 단풍이 든다. 가을철 넓은 갯벌이 온통 빨간색 물감을 쏟아 부은 듯한 함초. 함초의 특징은 식물학적으로 고생식물. 곧 원시식물의 형태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나무나 소철처럼 원시식물에 가장 가까운 화석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함초는 지구상에서 기원이 가장 오랜 식물로 모든 식물의 조상이 되는 식물이라 하겠다. 함초의 이런 특성 속에 아직 우리가 아직 밝혀 내지 못한 비밀이 숨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구상의 ..

약용식물 ㅊ~

차전자(車前子) :질경이, 털질경이, 왕질경이, 개질경이 [기원] 질경이과의 여러해살이풀 질경이 Plantago asiatica L., 털질경이 Plantago depressa Willd., 왕질경이 Plantago major Linne var. japonica(Franch. et Savat.) Miyabe, 개질경이 Plantago camtschatica Chamisso 의 종 자. 창질경이 Plantago lanceolata LINNAEUS의 종자는 약용하지 않는다. [생약명] 차전자(車前子) - 종자 차전초(車前草) - 지상부 [이명]빼빼장이, 차전, 우모채, 하마초, 배합조개, 배짜개, 길짱구, 야지채 [성미]甘, 寒 [효능]이수(利水), 청습열(淸濕熱), 삼습지사(?濕止瀉), 청간명목(淸肝明目)..

약용식물 ㅈ~

자기(紫箕):고비 [기원]고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의 뿌리줄기. [생약명]자기(紫箕) [이명]괴치미, 고비나물 [성미]苦, 凉 [효능]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지혈(凉血止血) [해설] 1.청열(淸熱) 작용이 있어서 감기로 인한 발열, 피부 발진에 쓰인다. 2.장내(腸內) 기생충 제거 작용이 있으며, 3.토혈, 코피, 대변 출혈, 자궁 출혈, 이질로 인한 출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 고비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산야의 음습지(陰濕地)에 군락(群落)을 이루어 생육하는 구황식품(救荒食品)이다. 고사 리처럼 봄철에 잎사귀가 많이 피지 않았을 때 줄기를 채취하여 이를 삶은 다음 물에 담구어 식물의 쓴맛..

약용식물 ㅇ~

●애엽(艾葉):쑥, 약쑥, 산쑥, 황해쑥 [기원]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쑥 Artemisia princeps Nakai, 산쑥 Artemisia montana Pampan ., 약쑥 Artemisia asiatica Nakai, 황해쑥 Artemisia argyi Leveille et Vaniot의 잎. [생약명]애엽(艾葉) [이명]rtemisia Herb, 의초(醫草), 구초(灸草), 황초(黃草), 첨애(甛艾), 애(艾), 사재발쑥, 약쑥, 뜸쑥, 참쑥, 빙대 약쑥 - 강화쑥, 사제발쑥, 獅子足艾, 싸주아리쑥 산쑥 - 산호, 두호 황해숙 - 모기쑥 쑥 - 약쑥, 사재밭쑥 [성미] 苦辛, 溫 [효능]온경지혈(溫經止血), 산한지통(散寒止痛), 제습지양(除濕止痒) [해설] 1.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따..

약용식물 ㅅ~

식방풍(植防風):갯기름나물 [기원]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의 뿌리. [생약명]식방풍(植防風) [이명]개기름나물, 일본전호, 갯기름, 방규(防葵) [성미]辛甘, 微溫 [효능]거풍해표(祛風解表), 제습지통(除濕止痛), 해경(解痙) [해설] 1.일체의 풍증(風症)을 제거하는 묘약으로, 그 중에서도 외감성으로 인해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두통, 전신통 및 인후통이 있을 때 가장 유효하다. 2.풍한습(風寒濕)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지관절동통과 사지경련 및 굴신이 잘 안되는 증상에 널리 활용되므로 신경 계통 질환 및 관절 질환 등에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쓴다. 3.풍증을 제거하고 경련발작을 가라앉히므로 파상풍이나 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입과 치아를 벌..

약용식물 ㅁ~

마두령(馬兜鈴) 쥐방울덩굴 [기원]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Bunge)의 열매. [생약명] 마두령(馬兜鈴, Aristolochiae fructus) - 열매 청목향(靑木香) - 뿌리 [이명] 두령(兜笭), 마도령, 목마향과(木馬香果), 마두령(馬兜笭), 마두령(馬兜零), 방울풀, 쥐방울, 쥐방울마도령, 북마두령 [성미] 마두령 - 苦微辛, 寒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쓰다.) 청목향 - 辛苦, 寒 [효능] 마두령 - 청폐화담(淸肺化淡), 지해평천(止咳平喘), 청장료치(淸腸療痔) 청목향 - 행기(行氣), 해독소종(解毒消腫) [해설] 마두령-1.폐열(肺熱)로 인한 해수, 가래, 천신 모두에 응용되고, 2.폐허(肺虛)로 해수가 오래되고 가래가 적으며 인후가 건조하고 간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