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 이야기 31

약용식물 ㄴ~

남과(南瓜)  호박 [기원]박과의 한해살이풀 호박 Cucurbita moschata DUCHESNE의 과육. [생약명] 남과(南瓜) - 과육 남과자(南瓜子) - 종자 남과등(南瓜藤) - 줄기 남과체(南瓜체) - 꼭지 [이명]남과인, 금과, 번과, 남과채, 조선호박 [성미]甘, 平 [효능] 남과자 - 살충(殺蟲) 남과등 - 청폐(淸肺), 화위(和胃), 통락(通絡) 남과체 - 옹창(癰瘡), 탕수창(湯水瘡) [해설] 남과자는 1.살충 작용이 있어서 촌충과 회충 구제에 생 것 60~120g을 갈아서 찬물로 복용하며, 2.120~200g을 장기간 복용하면 간디스토마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 남과등은 1.폐결핵의 미열, 2.복통, 3.생리불순에 쓰인다. 남과체는 1.가루로 만들어 기름에 개어서 종기와 화상에 바른다...

약용식물 ㄱ~

가자(茄子):까지, 과채, 왜과, 조채자 [기원] 가지과의 한해살이풀 가지 Solanum melongena LINNE(=Solanum melongena)의 열매.(가지) [생약명] 가자(茄子) - 열매가엽(茄葉) - 잎 가근(茄根) - 뿌리 가화(茄花) - 꽃 가체(茄蒂) - 꽃꼭지 [이명]까지, 과채, 왜과, 조채자, Solanum esculantum [성미]甘, 凉[효능] 가자: 청열(淸熱), 활혈지통(活血止痛), 소종(消腫) 가엽: 혈림(血淋), 혈리(血痢), 장풍하혈(腸風下血) 가근: 구리변혈(久痢便血), 각기(脚氣), 동창(凍瘡) [해설] 가자 - 1.열독(熱毒)을 제거하므로 대장 출혈, 종기에 쓰고 2.피부궤양 및 부인의 유방염에도 활용된다. 가엽 - 1.소변 출혈, 2.이질 출혈, 3.대변 ..

한의학사전 ㅎ

下工(하공) 古代에 醫療技術이 높지 못한 醫員을 일컫는 呼稱이다. 醫療知識水準이 낮으므로 發病前의 疾病의 豫防 治療 技術을 갖추지 못하고, 往往 疾病이 이미 充分히 顯著해진 때에야 診斷 治療를 하게 되고 또한 治療率이 겨우 60%정도이다. 夏鉤(하구) 「夏洪」의 項 參照. 下厥上冒(하궐상모) 通常, 이는 氣가 下에서 逆流하여 頭部로 上冒하므로, 頭目昏花의 證候를 나타냄을 말한다. 但, 「素問·五藏生成篇」에서 述한 바에 의하면, 오로지 脾胃의 氣가 逆亂함을 말한 것이다. 胃의 濁氣가 下行하지 못하고, 脾의 淸氣가 上昇하지 못함므로 因해 濁氣가 厥逆相衝해서, 頭暈眼花 視物不明 腹脇脹滿 등의 症狀을 나타내게 된다. 下竅(하규) 前陰의 尿道(일설은 정규를 포괄함)와 後陰의 肛門을 말함. 下極(하극) 「山根」의 ..

한의학사전 ㅌ~ㅍ

唾爲腎液(타위신액) 「五臟化液」의 項 參照.. 墮胎(타태) 姙娠하여, 달이 차기 前에 流産하는 것이며, 一般的으로 姙娠 3個月以內에 胎兒가 形成되기 前에 墮下되는 것을 말함. 3個月以上 지나서 이미 胎兒가 形成된 경우는 「小産」 혹은 「半産」이라 한다. 만약 連續 墮胎 或은 小産하여 三回以上을 超過하는 것을 「滑胎」라 한다. 墮胎나 小産이 되기 前에, 일반적으로, 먼저 胎動이 不安해지고, 點滴出血하며, 腹部가 隱痛하는 等症이 나타나므로, 미리 豫防治療해야 한다. 墮胎․小産한 後에, 뚜렷한 症狀이 없으면 一般的인 産後調理를 하면 된다. 만약 墮胎․小産後에 下血이 不止하고, 甚한 경우 昏暈하며, 面色이 광白해지는 것은, 대개 衝任脈이 損傷되어, 氣가 血을 統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약 陰道에서 下血이 淋瀝..

한의학사전 ㅈ~ㅊ

炙(자) 藥材를 液體의 補助材와 함께 炒하여 補助材가 藥材 속에 揷入되게 하는 것이면 합초라고도 한다. 사용하는 補助材에 따라 11종의 灸法으로 나뉜다. 1)酒灸: 대개 黃酒를 쓰면 白酒를 쓰기도 한다. 二種類의 方法이 있다. 하나는 먼저 藥材와 酒를 잘 混合하여 가열해서 미황색이 되도록 炒한다. 또 하나는 먼저 藥材를 미황색이 되도록 炒한 다음 酒를 넣어 微炒한다. 예컨대 當歸 川楝 등이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2)炒灸: 微炒를 써서 灸한다. 예컨대 香附子 三棱 등을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3)鹽灸: 鹽을 물로 溶解하여 藥材와 함께 炒한다. 예컨대 橘核 杜冲 등을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4)薑灸: 먼저 生薑을 찧어 取汁하여 藥材와 함게 炒한다. 예컨대 竹茹 등을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5)蜜灸: 藥材와..

한의학사전 ㅇ

牙衄(아뉵) 「齒衄」이라고도 함. 대개 胃火가 上昇하여, 血이 火를 따라 動하기 때문이며, 或은 肝腎이 陰虛하여 虛火가 上浮하는 所致이다. 齒齦이 紅腫 疼痛하고, 口腔에서 異臭가 나며, 大便이 秘結되는 것은 胃火의 上昇에 起因한 것이며, 齒齦이 浮腫하고 齒牙가 動搖하며 微痛하는 것은, 陰虛火炎에 起因한 것이다. 牙床(아상) 󰡔頰車󰡕의 項 參照. 阿是穴(아시혈) 「天應穴」, 「不定穴」이라고도 함. 즉 「以痛爲腧」로서, 取穴部位가 經絡 經穴 位置에 依하는 것이 아니고, 局部症狀(疼痛 및 其他異常)이 發生하거나 或은 發現되는 部位에 根據하여 針灸 等의 治療를 進行한다. 例컨대, 어느곳에 病痛이 있으면 그곳을 取穴하는데 그곳이 곧 發病局部의 體表刺戟點이다(千金要方 卷二十九에 있음). 牙肉(아육) 齦의 項 參照...

한의학사전 ㅅ

邪(사) 「邪氣」라고도 함. ①風·寒·暑·濕·燥·火의 六淫과 疫癘之氣 등 外部에서 侵入하는 發病要因을 뜻한다. 故로 「外邪」라고도 한다. ②人體의 正氣와 相對되는 말로서, 일반적으로 各種 發病要因과 病理的損害를 指稱함. 蒒(사) 治削의 項 參照 瀉肝(사간) 「淸肝火」,「淸肝瀉火」라고도 함.性味가 苦寒하고 肝火를 瀉하는 藥物을 써서 肝火의 上炎을 治療하는 方法이다.肝의 實火가 上昇하면 頭痛眩暈,耳鳴耳聾,面紅目赤,口乾苦,脇部疼痛,黃苦水嘔吐,甚卽吐血,躁急易努,大便秘結,苔黃,脈弦數 等症을 發汗다.龍膽草,山梔子,牧丹皮,夏枯草,黃芩,黃連 等藥을 쓰면 좋다. 四關(사관) ①上肢部의 左右의 肩關節(兩腋)과 肘關節, 下肢部의 股關節(兩大腿骨)과 膝關節을 말함. ②上肢部의 兩側 肘關節과 下肢部의 兩側 膝關節을 말함. 蛇串..

한의학사전 ㅁ~ㅂ

馬刀(마도) 馬刀俠癭의 項 參照. 馬刀瘡(마도창) 馬刀俠癭의 項 參照. 馬刀俠癭(마도협영) 靈樞經脈編에 있음. 本症은 곧 瘰癧이다. 그것이, 腋下에 생겨서, 形狀이 馬刀와 같으므로 馬刀라 命名하였으며, 馬刀瘡이아고도 함. 頸傍에 생겨, 貫珠(念珠)와 같은 것을 俠癭이라 이름한다. 兩處의 病變이 항상 서로 關連되며, 頸部 腋部의 結核性淋巴腺炎이다. 馬牙(마아) 대개는 胎內에서 熱毒에 感受된 所致이다. 그 症狀은, 初生兒의 齒齦에 白色小泡가 생겨서, 軟骨과 같은 狀態가 되어, 젖을 빠는데 障碍가 된다. 麻仁丸(마인환) 의 項 參照. 麻疹(마진) 俗稱 「痧子」라 함. 小兒에게 常見되는 一種의 傳染病이며, 이는 時邪 癘毒을 感受함으로써 惹起되며, 病毒이 주로 肺胃를 侵犯한다. 처음에 먼저 肺衛의 風熱症狀이 나타..

한의학사전 ㄱ~ㄷ

加減葛根葱白湯(가감갈근총백탕) 輕可去實로서 麻黃, 葛根의 類이다, 風邪가 外表에 있어서 實證을 形成한 경우, 肌表를 輕開하여 風邪를 除去하는 方藥을 써야 한다. 例컨대 發熱惡寒, 頭痛身疼, 위痛骨節痛, 口不渴, 無汗而喘, 脈浮緊한 경우 麻黃湯(麻黃, 桂枝, 杏仁, 甘草)을 쓴다. 또 身熱이 있고 不惡寒, 但惡熱, 微汗, 頭痛, 口渴, 脈浮數한 경우 加減葛根葱白湯(葛根, 葱白, 連翹, 金銀花, 川芎)을 쓴다. 加減復脈湯(가감복맥탕) 陽病治陰의 項 參照. 加減葳蕤湯(가감위유탕) 의 項 參照. 髂骨(가골) 髁骨의 項 參照. 假熱(가열) 病因과 病理는 모두 寒에 屬하는데, 도리어 熱의 假象을 나타내는 것을 말함. 眞寒假熱의 項參照. 茄子疾(가자질) 「陰挺」의 項 參照. 髂嵴(가척) 䏚의 項 參照. 假寒(가한) ..

식품공전

▣ 식품공전의 이해 1) 식품공전이란 식품 전반에 관한 기준 및 규격을 담고 있는 책을 말한다.  ⑴ 식품위생법 12조에 근거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고시하는 품목을 다룬다. ⑵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용기, 포장에 관한 기준 및 규격을 다룬다. ⑶ 규정에 부적합한 것은 제조, 사용, 수입, 판매, 진열을 못 하게 한다. ⑷ 최근에 개정된 내용은 관보와 해당 부서의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 식품공전의 주요 내용 1) 총칙: 식품공전에 관해 수록된 내용의 범위를 설명한다. 2) 검체의 체취 및 취급 방법: 검체의 의의, 용어, 일반원칙 취급요령 등을 다룬다. 3) 식품 일반에 관한 공통기준과 규격을 다룬다. 4) 개별 식품이 지켜야 할 기준 및 규격을 다룬다. ‘개별기준 및 규격’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