炙(자)
藥材를 液體의 補助材와 함께 炒하여 補助材가 藥材 속에 揷入되게 하는 것이면 합초라고도 한다. 사용하는 補助材에 따라 11종의 灸法으로 나뉜다. 1)酒灸: 대개 黃酒를 쓰면 白酒를 쓰기도 한다. 二種類의 方法이 있다. 하나는 먼저 藥材와 酒를 잘 混合하여 가열해서 미황색이 되도록 炒한다. 또 하나는 먼저 藥材를 미황색이 되도록 炒한 다음 酒를 넣어 微炒한다. 예컨대 當歸 川楝 등이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2)炒灸: 微炒를 써서 灸한다. 예컨대 香附子 三棱 등을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3)鹽灸: 鹽을 물로 溶解하여 藥材와 함께 炒한다. 예컨대 橘核 杜冲 등을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4)薑灸: 먼저 生薑을 찧어 取汁하여 藥材와 함게 炒한다. 예컨대 竹茹 등을 이 方法으로 灸製한다. 5)蜜灸: 藥材와 蜂蜜을 잘 섞은 후에 가열하여 同炒한다. 예컨대 甘草 枇杷葉 등을 이렇게 灸製한다. 6)米甘水灸: 米泔水에 浸한 후 다시 炒한다. 예컨대 蒼朮 등을 이렇게 灸製한다. 7)羊脂灸: 羊脂와 藥材를 同炒한다. 예컨대 淫羊藿 등을 이렇게 灸製한다. 8)童便灸: 藥材와 童便을 同炒한다. 예컨대 香附子 등을 이렇게 灸製한다. 9)鱉血灸: 鱉血에 소량의 淸水를 가하여 藥材와 잘 混合한 후 1시간 정도 방치했다가 남비에 넣고 변색하도록 초한다. 예컨대 柴胡 등을 灸製한다 10)礬灸: 먼저 礬을 물로 溶解하여 이를 초열한 藥材 중에 分入해서 다시 건조하도록 同炒한다. 예컨대 鬱金 등을 이렇게 灸製한다. 11)藥汁灸: 藥材와 藥汁을 同炒한다. 예컨대 吳茱萸등을 甘草汁으로 灸製한다. 補助材는 製藥 時의 補助物質을 말한다. 液體인 補助材로는 酒炒 등이 있고 非液體인 補助材로는 澱粉 糖 鹽 등이 있다. 단 鹽은 물로 溶解하여 液體補助材가 되기도 한다.
煮(자)
어떤 藥物은 淸水 내에 혹은 液體인 補助材안에 넣고 약간 煮하여 그 毒性을 減弱하거나 혹은 그 藥物의 純度를 높인다. 예컨대 芫花는 醋炙하면 그 毒性이 減弱된다. 朴硝에 泥土 雜質이 붙어있는 것은 白羅蔔子(무우)와 同煮하여 冷却하면 玄明粉이 되어 質量이 朴硝보다 純淨하게 된다.
子癎(자간)
「姙娠癎證」을 말함. 「子冒」라고도 함. 姙娠 6~7個月後, 或은 分娩이 臨迫해서, 突然, 眩暈하여 쓰러져서 人事不省이 되고, 四肢抽搐하며, 牙關緊閉하고, 眼睛直視하며, 白沫을 吐하고, 甚하면 角弓反張이 되다가 얼마 後에 漸次 깨어나는 症狀이 때때로 發作하는 것을 말함. 6~7個月以上의 姙婦에게, 頭暈目眩, 血壓上昇, 下肢水腫, 蛋白尿가 나타나면, 곧 檢査하여 早期에 豫防治療해야 한다. 本病의 原因은, 主로 腎陰이 本來 虛한데, 肝陽이 上亢하기 때문이다. 産後에 發病하는 수도 있다.
自灸(자구)
「天灸」의 項 參照.
子宮脫垂(자궁탈수)
「陰挺」의 項 參照.
刺禁(자금)
「禁刺」의 項 參照.
紫金錠(자금정)
「丹」의 項 參照.
子氣(자기)
「子腫」의 項 參照.
子氣(자기)
五行의 相生關係중 「我生」하는 것이 子氣이다. 例:火는 木에 의해 生하므로 ,火가 木의 「子氣」이다.
子盜母氣(자도모기)
五行論으로 五臟間의 相生의 母子關係를 說明하는 가운데, 子病이 母에 미치는 것을 말함. 五臟의 虛損性疾病이 相互 影響을 미치는 病理를 說明하는데 多用된다. 例: 土生金으로서, 脾土는 母이고 肺金은 子인데 肺氣의 虛弱이 一定한 程度까지 發展하면 脾氣의 運化機能에 影響을 미치게 된다.
煮爛(자란)
「熬」의 項 參照.
眥漏(자루)
「漏睛」의 項 參照.
子淋(자림)
「姙娠小便淋痛」이라고도 함. 姙婦의 小便이 頻數하고, 淋瀝 疼痛하는 一種의 病症이다. 대개는 下焦의 虛熱 或은 濕熱의 所致이다.
子滿(자만)
「子腫」의 項 參照.
子冒(자모)
「子癎」의 項 參照.
子門(자문)
「子宮外口」의 項 參照.
紫白癜風(자백전풍)
俗名으로 汗斑이라 함. 대개는 臟腑에 積熱이 있는데, 다시 風濕을 感受하여 毛孔으로 侵入해서, 氣血을 凝滯케 하므로, 毛孔이 폐색되어 發한다. 胸 背 面 項 등의 部位에 많이 생기며, 紫色 或은 白色의 斑點을 이루고, 斑點이 빨리 擴散되어, 甚하면 蔓延해서 片狀이 되고, 全身에 波及된다. 初期에는 不痛 不痒한데, 病程이 오래 되면 斑點部位에 瘙痒感이 생긴다.
子煩(자번)
姙娠心煩이라고도 함. 이는 姙娠期中에 出現하는 煩悶不安, 心悸 膽怯의 病症이다. 病因은 陰虛, 膽火, 肝鬱等이다. 陰虛에 屬한 경우는 午後發熱, 手掌發熱, 舌紅無苔, 脈細數 等症을 나타낸다. 膽火에 屬한 경우는 頭暈, 脘悶, 惡心嘔吐 等症을 나타낸다. 肝鬱에 屬한 경우는 兩脅脹痛, 脈弦數 等症을 나타낸다.
刺法(자법)
「鍼法」의 項 參照.
子病(자병)
「惡阻」의 項 參照.
煮散(자산)
藥物을 粗末의 散劑로 만들어 물을 붓고 煎湯하여 去渣服用하는 것을 煮散이라 한다.
紫雪丹(자설단)
「淸熱開竅」의 項 參照.
紫雪丹(자설단)
「丹」의 項 參照.
紫雪丹(자설단)
「調服」의 項 參照.
紫舌脹(자설창)
「垂壅」의 項 參照.
子嗽(자수)
「姙娠咳嗽」라고도 함. 姙娠期中에 乾咳가 出現하여 日久不止하고 甚하면 惡心이 煩熱하고 胎動不安한 病證을 말함. 대개는 平素 陰虛한데 姙娠後에 血氣가 養胎를 위해 下部에 많이 모여 陰精이 上承不能해서 肺陰이 汚損된 所致이다. 만약 久咳不癒하면 癆嗽가 될 수 있으며 抱兒癆라 한다.
滋水制火(자수제화)
「壯水之主, 以制陽光」의 項 參照.
滋水涵木(자수함목)
「滋養肝腎」의 項 參照.
痄腮(차시)
「腮腫」或은 「含腮瘡」, 또는 「蝦蟆瘟」이라고도 함. 溫毒의 病邪를 感受한 後, 腸胃의 積熱과 肝膽의 鬱火가 少陽經絡을 阻塞한 所致이며, 冬·春季에 잘 流行되고, 學齡兒童의 發病이 비교적 많다. 主要症狀은, 한쪽 혹은 前後해서 양쪽의 耳下腺部가 腫脹하며, 境界가 不明瞭하고, 누르면 약간 彈力感이 있고, 疼痛과 壓痛이 있다. 이는 流行性耳下腺炎이다.
滋腎(자신)
補腎陰과 같다. 「補陰」의 項 參照.
滋養肝腎(자양간신)
①腎陰을 滋養함으로써 肝陰을 潤養하는 것이다. 이 方法은 대개 腎陰이 虧損되고 肝木이 旺盛한 症候에 쓰인다. 例컨데 頭目眩暈, 眼乾澁, 耳鳴顴紅, 口乾, 惡心煩熱, 腰膝痠軟, 男子遺精, 婦女月經不調, 苔少舌質洪, 脈細弦數 等症이다. 乾地黃, 山茱萸, 枸杞子, 玄蔘, 舊版, 女貞子, 何首烏 等藥을 쓰면 좋다. 이 方法을 「滋水抑木」이라고도 한다. ②肝腎이 陰虛한데 輕度의 浮腫을 兼發汗 治療하는 것이다. 患者가 頭暈, 面紅昇火, 眼花耳鳴, 妖婦痠痛, 咽乾, 夜間睡眠不足 或有盜汗, 尿少色黃, 舌紅苔少, 脈現世 等症을 發한다. 杞菊地黃丸(熟地黃, 山萸肉, 山藥, 牧丹皮, 茯苓, 澤瀉, 枸杞子, 菊花)을 쓴다.
滋養胃陰(자양위음)
養胃라고도함. 胃陰의 不足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胃部灼痛, 胃中不舒, 理氣, 大便燥結, 口乾咽燥, 舌質淡紅少苔, 脈細數한 경우 北沙蔘, 麥門冬, 石斛, 玉竹 等藥을 쓴다.
子午流注(자오유주)
鍼灸取穴의 一種의 古代學說이다. 十二經中의 五腧穴(모두 66개穴位)을 기초로 하여 일시의 天干地支의 變化와 配合하여 某日 某時에 어떤 穴位를 쓸 것인지를 결정한다. 쓰이는 穴位가 臨床상 一定한 效果가 있을지라도 전체적으로 볼때 그 중에는 形而上學的 내용이 포함되었고 또한 기계적인 治療公式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批判적인 태도로서 대처해야 할 것이다.
子癰(자옹)
睾丸部位에 생기는 癰을 말하며, 急慢性의 區分이 있다. 急性인것은 대개 濕熱下注,氣凝血滯의 所致이다. 發病이 急速하며, 한쪽의 陰囊이 腫大 灼熱하고 皮膚가 緊張 光亮하며, 疼痛이 極烈하며, 睾丸이 腫硬하며, 潰破後에 黃稠한 粘液이 流出되고 收口가 比較的 빠르다. 慢性인 것은 肝腎이 陰虧하고, 痰濕의 邪가 凝聚된 所致이다. 睾丸이 漸漸 腫大되어 硬結을 形成하며 疼痛은 比較的 輕微하고 陰囊이 不紅 不熱하며, 通常 數個月에서 一年이 지난後에야 膿腫이 形成되고 潰破後에 稀膿이 流出되며 때로는 漏管이 形成되어, 좀처럼 낫지 않는다.
眥惟赤爛(자유적란)
本證은 「眼角瞼緣炎」과 類似하며 그 病因은 眼弦赤爛과 같다. 主要症狀은 兩眼角이 糜爛하여 딱지가 앉고 痛痒感을 隨伴한다. 重症인 경우에는 眼瞼에서 出血하며 睫毛가 脫落된다.
滋陰(자음)
「育陰」, 「養陰」, 「補陰」, 「益陰」이라고도 함. 陰虛症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陰虛症에는 乾咳咳血, 潮熱盜汗, 口乾人造, 腰痠遺精, 頭暈目弦, 手足心煩熱 等症이 나타난다. 天門冬, 麥門冬, 石膏, 沙蔘, 玉竹, 百合, 旱蓮草, 女貞子, 舊版, 鱉甲 等藥을 選用한다. 「補陰」의 項 參照.
子瘖(자음)
「姙娠失音」, 「姙娠音啞」라고도 함. 姙娠期間中에 나타나는 것으로 音聲이 쉬거나 或은 失音이 되는 一種의 病症이다. 대개는 腎陰不足의 所致이다. 臨床表現은 往往 頭暈耳鳴, 手掌煩熱, 顴紅, 心悸, 心煩, 咽喉乾燥 等의 陰虛症狀을 隨伴한다. 만약 分娩이 臨迫해서 突然 失音이 되고 其他 症狀이 없는 것은 胞脈이 阻碍되어 腎脈이 不通하여 腎陰이 上承不能한 것으로 一般的으로 治療할 必要는 없으며 分娩後에 自然히 恢復된다.
滋陰利濕(자음이습)
邪熱이 陰液을 傷하여 小便不利함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患者가 口渴飮水하고 小便不利하며 或은 咳嗽嘔惡하고 心煩하여 安眠不能한 경우 猪苓湯(猪苓, 茯苓, 澤瀉, 阿膠, 滑石)을 쓴다. 心煩顔面不能함은 傷陰의 現狀이며 阿膠는 補血養陰하여 其他藥과 同用하면 能이 利水하고 또 陰液을 傷하지 않는다.
滋陰瀉下(자음사하)
「攻補兼施」의 項 參照.
滋陰疏肝(자음소간)
「和肝」의 項 參照.
滋陰熄風(자음식풍)
滋陰을 爲主로 하여 陰虛로 인한 內風을 消除하는 方法이다. 熱性病의 後記에 熱이 眞陰을 傷하여 身熱은 不甚한데 持續되는 熱이 不退하고 手足心熱, 面紅, 虛煩不眠, 咽乾口燥, 心慌神倦, 甚或耳聾, 手足蠕動或抽搐, 舌乾絳少苔, 脈虛數 等症을 나타낸다. 生地黃, 白芍藥, 麥門冬, 鷄子黃, 龜板, 鱉甲, 牡蠣, 鉤藤 等藥을 쓰면 좋다.
滋陰平肝潛陽(장음평간잠양)
陰虛하여 肝陽이 上亢됨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肝陰虛나 或은 腎陰虛는 모두 肝陽上亢을 일으킨다. 頭痛, 頭昏暈, 耳鳴耳聾, 情緖가 박동하기 쉽고 面部洪熱, 口燥咽乾, 睡眠不足, 舌質洪, 脈細弦數 等症이 出現한다. 肝腎의 陰을 滋養하는데는 熟地黃, 枸杞子, 山茱萸, 旱蓮草를 쓴다. 平肝에는 鉤藤, 菊花, 天麻, 僵蚕 等을 쓴다. 潛陽에는 生牡蠣, 生地黃, 生龍骨, 生石決明, 磁石 等을 쓴다.
滋陰涵陽(자음함양)
「壯水之主, 以制陽光」의 項 參照.
滋陰解表(자음해표)
「養陰解表」의 項 參照.
子臟(자장)
「女子胞」의 項 參照.
子腸不收(자장불수)
「陰挺」의 項 參照.
子腫(자종)
姙娠 7~8個月後에, 下肢가 약간 浮腫하고, 其他症狀이 없는 것은, 姙娠後期에 常見되는 現象이다. 만약 水腫이 漸次 加重되어, 股部, 外陰部, 혹은 下腹部에 미치고, 甚한 경우, 面部 혹은 肢體上部까지 全身이 浮腫하고, 同時에 尿量이 減少되며, 體重이 迅速히 增加되는 것은 「子腫」, 혹은 「姙娠腫脹」, 「姙娠水腫」이라 한다. 이는 晩期姙娠中毒症의 一種의 臨床表現이며, 患者는 언제나 皮膚色이 蒼白하고, 精神이 疲乏하며, 肢冷倦怠하고, 口淡厭食 等症으 兼發한다. 病因은, 主로 脾腎의 陽虛 或은 氣滯의 所致이다. 이밖에 姙娠 6~7個月 사이에 出現하는, 腹部가 脹滿하고, 숨이 차는 것을 「子滿」 혹은 「胎水」라 한다. 膝以下가 浮腫하고, 小便이 淸長한 것을 「子氣」라 하며, 兩脚이 浮腫하고, 皮厚한 것을 「皺脚」이라 한다. 兩脚이 浮腫하고 皮薄한 것을 「脆脚」이라 한다. 그 病理는 上述한 바와 대체로 같다. 近來에는 이러한 名稱이 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磁朱丸(자주환)
「重劑」의 項 參照.
自汗(자한)
晝間에 勞動이나 厚衣 或은 發熱하지 않는데 땀이 저절로 나는 一種의 症狀을 말함. 대개 肺氣가 虛弱하고 胃陽이 不固한 所致이다.
子懸(자현)
婦女가 姙娠 4-5個月後에 胎動不安. 心胸脹滿, 痞悶不舒한 病症을 말함. 대개는 肝氣鬱結, 痰氣塞遏로 因해 胎氣가 上逆한 所致이다.
作强之官(작강지관)
「腎主伎巧」의 項 參照
雀盲(작맹)
「夜盲」의 項 參照.
雀盲(작맹)
「夜盲」의 項 參照.
灼熱(작열)
發熱이 비교적 높은 狀態로서, 손으로 患者의 皮膚를 만지면 灼手하는 感覺이 있음을 形容한 것이다.
雀啄脈(작탁맥)
七怪脈의 一種. 脈象이 急數하고, 律動이 不調하여, 끊어졌다가 다시 搏動하여, 마치 참새가 모이를 쪼는 것같이 느껴지는 말함.
蠶蛾(잠아)
「乳蛾」의 項 參照
潛陽(잠양)
陰虛하여 肝陽이 上昇(上亢)됨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肝陽이 上昇하면 頭痛眩暈, 耳鳴耳聾, 肢體麻木 或은 進展 等症이 出現한다. 生牡蠣, 生龍骨, 生石決明, 眞珠母, 磁石, 代赭石 等의 質重 眞髓한 性質의 藥物을 쓰면 좋다. 이렇게 虛陽을 收斂하는 것을 「潛陽」이라 한다. 潛陽法은 通常平肝滋陰 等法과 同用한다. 「滋陰平肝潛陽」의 項 參照.
潛鎭(잠진)
「鎭潛」이라고도 함. 質重 下墜의 性質이 있는 鎭靜安神藥과 潛陽藥을 同用하는 治療方法을 말함. 質重 下墜의 性質이 있는 鎭靜安神藥은 硃砂, 磁石, 代赭石, 龍齒, 牡蠣 等이다. 質重 下墜의 性質이 있는 潛陽藥은 牡蠣, 龍骨, 石決明, 眞珠母, 磁石, 代赭石 等이다. 그 중 어떤 藥物은 鎭靜安神과 潛陽의 두가지 作用을 兼有한다. 潛鎭法은 心神不寧, 心悸失眠과 肝陽上亢의 頭痛, 眩暈 等症의 治療에 常用된다.
雜氣(잡기)
「戾氣」의 項 參照.
雜病(잡병)
「雜症」이라고도 함. 通常, 外感病以外의 內科疾病을 말함.
雜症(잡증)
「雜病」의 項 參照.
臟結(장결)
「傷寒論」에 있음. ①症狀이 結胸證과 類似한데, 發熱 煩躁症이 없고, 患者가 飮食은 如常하면서 때로 泄瀉하고, 脈象은 寸脈이 浮하고, 關脈은 細小沈緊하며, 舌苔가 白滑하고 이하다. 이는 邪氣가 臟에 結하므로, 陽虛하고, 陰濁이 凝結된 것이다. ②病人의 脇下에 平素 積聚 痞塊가 있어서, 그것이 臍傍까지 連하여, 疼痛하며 땅기는 것이 少腹에 까지 미치는 病症을 말함.
將軍之官(장군지관)
「肝之謀慮」의 項 參照.
臟氣(장기)
五臟의 氣, 五臟의 機能活動을 말함. 詳細한 것은 該當項을 參照.
腸覃(장담)
古病名이다. 靈樞「水脹篇」에 있음. 主要表現은, 처음에 腹內에 鷄卵크기의 塊狀物이 생겨서, 以後 漸次 增大하여 姙娠한 것처럼 腹脹하며, 塊狀物이 堅硬하고, 밀면 移動하며, 月經은 正常的으로 來潮한다. 이는 氣가 阻塞되므로 血瘀하여, 廦積이 留滯된 所致이다. 婦女의 卵巢腫瘤의 類이다.
臟毒便血(장독변혈)
腸胃에 積熱이 되거나 或은 濕熱이 鬱滯하므로 惹起되는 病症이다. 臨床 表現은, 下血이 대개 片塊狀을 나타내며, 汚濁 色暗하고, 大便이 軟便이면서 不暢하고, 食慾不振, 身體倦乏, 舌紅, 苔黃이, 脈濡數 等症을 나타낸다.
長脈(장맥)
脈象의 一種. 脈의 破動의 幅이 길어서, 寸, 關, 尺 三部의 本位를 지나고도 남는 感이 있다. 長脈이 和緩하면 中氣가 旺盛한 健康脈象이다. 長脈이 弦, 勁하면 按壓할때 줄을 당기는 感이 있는 것은 邪氣와 精氣가 俱盛한 實證에 屬하며, 實熱內結 或은 熱性風動 等에서 볼 수 있다.
臟腑相合(장부상합)
臟腑間의 相互聯關과 影響을 뜻함. 人體의 臟腑의 配合은, 陰陽 表裏가 서로 配合되는 關係로 體現된다. 臟腑의 表裏相合은, 主로 經脈의 連繫과 生理機能의 相互配合을 通해 體現된다. 臟腑의 配合은, 心合小腸, 肺合大腸, 肝合膽, 脾合胃, 腎合膀胱, 心包絡合三焦이다.
腸痺(장비)
古病名이다. 素問「痺論」에 있음. 內臟痺症의 하나이다. 則 痺症이 大小腸에 影響을 미치어 出現하는 一種의 證候이다. 主要 症狀은 渴飮하면서 小便이 不利하고 腹脹泄瀉한다. 大小腸의 氣가 疪疽不行하므로 水道가 不通하게 되고 糟粕이 運化되지 않으며 淸濁이 分離되지 않기 때문이다.
臟象(장상)
「臟」은 臟腑를 말하고, 「象」은 人體臟腑의 正常機能과 病態變化가 發生했을 때 外部에 反映되는 徵象을 말함. 이는 形體組織과 證候面에서 볼 수 있고 또는 診査되는 몇가지 徵象을 뜻하며, 內在하는 臟腑機能(實際로는 營·衛·氣·血·精·神·津液 등을 包括함)의 變化를 反映하게 되며, 이는 人體의 健康을 判斷하고 疾病을 診斷·治療하는 根據가 됨.
壯數(장수)
매회의 施灸에 點燃하는 艾柱수이다. 直接灸法이나 間接灸法을 불문하고 施灸시에 點燃하는 한개의 艾柱를 일장이라 한다.
壯水制陽(장수제양)
「壯水之主, 以制陽光」의 項 參照.
壯水之主,以制陽光(장수지수,이제양광)
唐의 王冰이 「諸寒之而熱者取之陰」이란 內經說에 對하여 註釋한 것임. 後에 「壯水制陽」, 「滋水制火」, 「滋陰涵陽」등으로 簡稱하게 되었다. 이는 滋陰 壯水하는 方法을 써서, 陽亢 火盛을 抑制한다는 뜻이다. 가령 寒凉藥을 써서 熱證을 治療하여도 效果가 나타나지 않거나 或은 도리어 嚴重해지는 것은, 이 熱證이 陰虛 陽亢의 性質의 것이며, 腎陰虛에 屬하므로, 腎陰(腎臟의 眞水)을 滋해야 한다. 例컨대, 腎陰이 不足하여 虛火가 上炎해서, 頭暈目眩, 腰痠足軟, 咽燥, 骨蒸痠痛 等證이 나타나면 六味地黃丸(熟地黃, 山茱萸, 山藥, 澤瀉, 茯苓, 牧丹皮)을 써서 治療한다.
掌心毒(장심독)
「托盤疔」의 項 參照.
掌心風(장심풍)
「鵝掌風」의 類 參照.
壯陽(장양)
溫補藥을 써서 인체의 陽氣를 長强케 히는 것이며 주로 心腎의 陽氣를 長强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컨데 人蔘 ,附子는 心陽을 장강케 하고(「回陽救逆」의 項 參照), 肉桂, 鹿茸은 腎陽을 장강케 한다(「補陽」의 項 參照). 통상 壯陽이라함은 범위가 비교적 좁아서 腎陽을 장강케 하는 것을 말한다.
壯熱(장열)
實證에 出現하는 高熱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溫病이 氣分에 있는 熱型에 屬한다.
腸癰(장옹)
先人은 「大腸癰」과 「小腸癰」을 統稱해서 「腸癰」이라 하였다. 대개는, 濕熱, 氣滯, 血瘀 등이 腸中에 留注되어 氣血이 鬱阻된 所致이다. 大腸癰은 急性虫垂炎에 該當하며, 右下腹이 急痛하여, 뚜렷한 壓痛 或은 反跳痛이 있으며, 寒熱, 自汗, 惡心 等症을 隨伴한다. 어떤 경우는, 右下腹이 劇痛하여, 右腿를 屈曲해서 바로 펴지 못한다. 故로 이를 「縮脚腸癰」이라 한다. 어떤 경우는 局部의 潰膿이 穿破되어, 包塊를 形成하여, 腹痛이 激增되고, 腹皮가 攣急해지며, 언제나 高熱이 있고, 脈象이 洪大하고 數하며, 右下腹部에서 包塊가 觸知된다. 이는 蟲垂의 膿腫이다. 만약 外向으로 潰破되면 腹膜炎을 일으키게 된다. 小腸癰은, 通常 少腹이 攣急하며, 臍下의 關元穴附近이 脹痛 拒按하고, 小便이 濇滯 或은 頻數 短赤하다. 어떤 경우는 患者가 左下肢를 屈曲하여, 直伸하면 少腹部의 疼痛이 加重되며, 寒熱 自汗 等의 症狀이 隨伴된다. 臨床上, 大腸癰에 比하여 드물게 볼 수 있다. 이밖에 腸癰이, 腹壁 臍部를 向하여 穿潰되는 것이 있는데, 이를 「盤腸癰」이라 한다.
臟兪五十穴(장유오십혈)
「五腧穴」의 項 參照.
臟躁(장조)
一種의 發作性 精神病이며 女性患者가 많다. 發病前에 通常 精神이 憂鬱하고 幻覺이 일어나며 感情이 激動하기 쉽고 知覺過敏 或은 遲鈍等의 前期症狀을 나타낸다. 發作時에는 煩悶을 自覺하고 躁急해지며 까닭없이 歎息 或은 悲傷하여 울려고 하며 甚하면 抽搐하는데 面色이 蒼白하지 않고 意識도 完全히 消失되지 않는다. 故로 癲癎과는 다르다. 本證은 疑病(히스테리)의 類이며 心肝이 血虛한데 情志가 抑鬱되고 血燥肝急을 兼發한 所致이다.
長虫(장충)
「蚘虫」의 項 參照.
長鍼(장침)
古代 九鍼의 一種이다 鍼體가 比較的 길어서 6-7촌(20-23cm) 혹은 더 긴 것도 있다. 深刺에 多用되며 慢性風濕病 座骨神經痛등을 治療한다.
腸風便血(장풍변혈)
風熱이 腸胃를 侵犯하거나 或은 濕熱이 腸胃에 蘊積되어, 遷延하면 陰絡을 損傷하여, 大便時에 出血하게 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臨床 表現은, 大便前에 물을 쏟듯이 出血하는데, 血色이 鮮紅色을 띠며, 肛門에는 腫痛이 없고, 舌紅하며, 脈數 等을 나타낸다.
長夏(장하)
「四時」의 項 參照
瘴瘧(장학)
山嵐瘴氣를 感受함으로써 發하는 一種의 瘧疾이다. 臨床表現은, 寒多熱少하고, 或은 熱多寒少하며, 每日發作 或은 隔日發作하고, 煩悶身重하며, 昏沈不語하고, 或은 過言譫語한다. 惡性瘧疾의 類이다.
臟寒(장한)
①嬰兒가 百日內에, 手足이 逆冷하고, 唇面이 微靑色이며, 額上에 汗出하고, 不思乳食하며, 腹痛腸鳴하고, 淸水를 泄瀉하고, 夜啼 等症을 出現하는 것을 말함. 이는 出産時에 冷氣가 侵入했거나 或은 臍帶의 結縛이 不緊하여 寒氣가 內侵한 所致이다. ②脾胃의 虛寒을 말함.
臟行氣於腑(장행기어부)
臟과 腑의 特徵에 關하여, 素問·五臟別論에서, 臟은 “臟精氣而不寫”라 하였고, 腑는 “傳化物而不藏”이라 하였다. 五臟이 精氣를 貯藏하지만, 五臟의 氣(活動의 動力으로 解釋된다)의 作用은, 必然的으로 六腑와 密接한 關係를 가져야 하며, 이렇게 되어야만 臟과 腑의 綜合機能을 體現하게 된다. 素問·五臟別論에서, “此受五臟濁氣, 名曰傳化之腑 此不能久留輸瀉者也”라 하였다. 여기서 말한 濁氣는, 飮食物 및 飮食物이 變化해서 생긴 産物로서의 糟粕·水分等을 말한다. 이들 氣는 腑에서 오는 것이므로 臟行氣於腑라고 한다. 例로서, 具體的인 장부의 機能配合으로써 말한다면, 膽汁의 排泄에는 肝氣의 疏泄이 必要하고, 膀胱의 排尿에는 腎의 氣化作用이 必要하다. 이들은 모두 臟의 行氣機能을 體現한 것이다.
壯火(장화)
素問「陰陽應象大論」에서, “壯火之氣衰”라 하였다. 壯火와 少火는 相對되는 用語이다. 이는 一種의 興奮된 病理의 火로서, 精氣를 耗損하여, 人體의 正常生理機能에 影響을 미친다.
壯火食氣(장화식기)
人體中에서 안으로는 臟腑을 養하고, 밖으로는 肌膚를 充實케하는 陽氣는 生理上의 火로서, 「少火」라고 稱한다. 만약 陽氣가 過亢하여 火熱이 內生하면, 病理上의 火가 生成되며 이를 「壯火」라고 稱한다. 이러한 過盛한 陰을 損傷하고, 氣를 損耗하게 된다. 이를 「壯火食氣」라 한다. 「食」은 腐蝕 或은 損耗를 뜻함.
臟會(장회)
「八會穴」의 項 參照.
再逆(재역)
치료상 또다시 이차의 착오를 범한 것.
再傳(재전)
古人은 傷寒病의 六經중 太陽에서 陽明, 少陽, 太陰, 少陰, 厥陰으로 一日에 一經을 傳經하여, 萬若 六日이 되어도 病이 낫지 않으면, 第七日에 다시 太陽經으로 再傳하는 것으로 認識 하였다. 事實上, 傷寒病이 一日에 一經씩 傳經한다는 說은 완전히 實際와 遊離된 것이며, 臨床上 厥陰經에서 太陽經으로 再傳한다는 것은 거의 볼 수 없는 것이다.
再造散(재조산)
「助陽解表」의 項 參照.
骶(저)
「尾閭」의 項 參照.
疽(저)
瘡瘍이 平平하고 넓게 腫起하여 皮膚色이 變하지 않고 不熱不痛하며 化膿하지 않는 동안은 잘 消散되지 않고, 化膿해도 잘 潰破되지 않으며 膿汁이 淸稀하고 潰破後에도 잘 아물지 않는 것을 모두 疽라고 한다. 本證은 外邪를 感受하여 邪氣가 肌肉筋骨사이에 鬱結되어, 氣血이 凝滯됨으로써 생긴다. 或은 情志內傷, 氣血失調에 起因하기도 하고, 或은 炙博肥이食物을 過食하여, 痰凝 濕滯가 되는 등의 所因에 의해 생기기도 한다.
骶端(저단)
「尾閭」의 項 參照.
猪膽汁導法(저담즙도법)
도변법의 하나이다. 저담즙에 소량의 초를 가하여 화균해서 항문내에 관주한다.
猪苓湯(저령탕)
「滋陰利濕」의 項 參照.
咀片(저편)
「飮片」의 項 參照.
赤帶(적대)
婦女의 陰道에서 淋瀝不斷으로 流出되는, 紅色 粘濁한 分泌物(血같지만 血이 아님)을 말함. 流出物이 純紅色의 分泌物이면 「經漏」에 屬하고, 白色이 섞이면 「赤白帶」라 한다. 一般的으로, 赤帶는 心肝의 火가 熾盛한 所致이며, 熱에 屬하는 것이 많다. 經漏는 飮食勞倦, 脾失健運, 濕熱 下迫의 所致이며, 虛에 屬하는 것이 많다. 赤白帶는 濕熱의 滯留로 因해 子宮內에 瘀血이 섞이기 때문이다. 또 精志의 鬱結에 起因하는 경우도 있으며, 濕熱의 挾雜에 屬한 것이 많다. 本病은 대개 子宮頸部爛, 子宮瘜肉에서 볼 수 있으며 長期間 낫지 않으면 癌으로 變한다는 것을 考慮하여 早期治療를 꾀해야 한다.
赤痢(적리)
「濕熱痢」의 項 參照
赤膜下垂(적막하수)
‘垂簾障’이라고도 함. 沙眼性角膜血管翳(트라코마性角膜pannus)와 類似함. 本病은, 대개 椒瘡(砂眼, 트라코마)을 失治하거나 或은 調治失宜한데다가, 心·肺·肝 諸經의 風熱 內火가 加해져서, 瘀血이 凝滯된 所致이다. 主要症狀은, 가지런한 細小血管이 白睛(흰자위)의 上方에서 下向하여 黑睛(검은자위)으로 侵入하여, 患者가 恒常 目痒 流淚하고, 羞明 畏光한다. 重症인 경우는 瞳孔에까지 侵犯하여, 角膜이 混濁된다.
赤脈貫布(적맥관포)
一般的으로, 氣輪(白睛)上의 血管이 增加하여, 흰자위 전체에 퍼지는 것을 말하며, 이는 많은 種類의 眼病에 共通되는 症狀이다(例컨대, 椒瘡, 栗瘡, 火疳등). 「赤脈如縷」라고도 함.
赤脈如縷(적맥여루)
「赤脈貫布」의 項 參照.
赤脈傳睛(적맥전정)
氣輪(白睛)上의, 양쪽 眼角(眥)에서 赤脈이 생겨, 漸次 안쪽으로 擴傳되는 것을 말함. 대개는 기름진 美食을 嗜食하므로, 心火가 亢盛하여, 눈으로 上擾한 所致이다. 本證을 ‘赤絲虯脈’과 鑑別해야 하는데, 後者의 病變은, 兩眼角에서 始作되는 것이 아니고, 白睛의 어느 部位에서나 생기며, 血管이 꾸불꾸불하게 充血한다.
炙煿(적박)
煎·炒·炸·烤·爆類의 調理方法이다. 炙煿한 食物은 性質에 燥熱이 많아서 偏食하면 胃陰을 損傷하여 內熱의 病症이 發生한다.
赤白帶(적백대)
「赤帶」의 項 起照.
赤白痢(적백리)
「濕熱痢」의 項 參照.
赤白肉際(적백육제)
四肢의 內外側의 赤肉과 白肉의 境界處. 그 중 上肢部의 屈側(手掌側)은 陰面으로 皮膚色이 比較的 희므로 白肉際라 하며 伸側(手背側)은 兩面으로 皮膚色이 比較的 짙으므로 赤肉際라 한다. 下肢部에서는 內側이 陰面으로 白肉際이고 外側과 後側이 兩面으로 赤肉際이다.
赤絲虯脈(적사규맥)
氣輪(白睛)의 血絡 赤絲가 뚜렷이 보이는 病症을 말함. 대개는, 血絡이 鬱滯된 所致이다. 椒瘡(트라코마), 栗瘡 류의 病症에, 恒常 赤絲虯脈이 出現한다. 其他過度한 視力 消耗나, 或은 飮酒過甚 등에 의해서도 白睛上의 血管이 擴張되어赤絲虯脈이 發生한다.
賊邪脈(적사맥)
「五邪脈」의 項 參照.
赤小豆桑白皮湯(적소두상백피탕)
「燥劑」의 項 參照.
赤如배血(적여배혈)
素問,五臟生成篇에 있음. 이는 心의 眞臟色이다. 배血은 凝積된 死血이다. 紫黑色로 枯槁한 病色을 形容한 것이며, 心血이 瘀阻되고, 胃氣가 衰敗한 疾病, 例컨대 冠狀動脈硬化心臟病, 充血性心力衰竭 等證에서 나타난다. 「眞臟色」의 項 參照.
赤游丹(적유단)
「游風」의 項 參照.
赤游風(적유풍)
「游風」의 項 參照.
赤肉(적육)
「分肉」의 項 參照.
赤肉際(적육제)
「赤白肉際」의 項 參照.
賊風(적풍)
靈樞「賊風篇」 등에서 나옴. ①風邪를 뜻함. ②「虛邪賊風」의 略稱. 일반적으로 四季의 非正常的인 氣候를 말함. 이러한 氣候는 賊害하는 性質이 있어서, 사람을 發病케 하므로 이렇게 말한다.
顚(巓)(전)
頭頂部를 말함. 顚頂이라도고 함.
煎(전)
藥에 물을 붓고 煎熬하는 것
癲癎(전간)
「癎症」의 項 參照.
煎乾(전건)
「熬」의 項 參照
傳經(전경)
傷寒病이 一經에서 다른 一經으로 傳入하는 것으로, 卽 一經의 證候에서 다른 一經의 證候로 變遷하는 것이다. 傳經의 實際는, 病證이 進行變遷하는 것이며, 몇 가지로 나뉜다. (1) 循經傳太陽經에서 陽明經, 이어서 少陽經, 다시 太陰經, 少陰經, 그리고 厥陰經의 順序로, 表에서 裏로 傳入하고, 淺部에서 深部로 傳入함을 말함. 그러나 六經을 全部 一循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病人의 正氣가 充實하여 抵抗力이 增强되고, 治療가 妥當하면 傳經이 終止된다. (2) 越經傳病邪가 經을 뛰어넘어 傳變되는 것을 말함. 例컨대 太陽經이 陽明病으로 傳變하지 않고, 少陽經으로 傳變하는 것이다. (3) 表裏傳相互 表裏가 되는 陽經의 相傳을 말함. 例컨대 太陽經과 少陰經, 陽明經과 太陰經, 少陽經과 厥陰經은 모두 相互 表裏가 된다. 故로 太陽病이 少陽으로 傳入하는 것을 表裏傳이라 함.
癲狂(전광)
癲과 狂은 모두 精神錯亂의 疾病이다. 癲은 抑鬱狀態로 表現되며 情感冷淡, 沈黙痴呆, 言語錯亂, 飢飽不知하고 甚하면 卒倒直視하며 虛證에 屬한다. 이는 痰氣의 鬱結 或은 心脾兩虛의 所致이다. 狂은 興奮狀態로 表現되며 喧憂不寧, 衣服寢具의 不斂, 打人罵人, 歌笑不休, 多怒하며 甚하면 담을 넘고 지붕에 오르며 實證에 屬한다. 이는 陽氣가 過亢하고 心神이 外越한 所致이다. 故로 難經二十難에서 “重陽者狂 重陰者癲”이라 하였다. 그런데 癲과 狂은 病理變化上 關聯이 있다. 癲病이 오래되면 痰鬱이 化火해서 狂症으로 나타난다. 狂症이 오래되면 鬱火가 점차 宣泄되고 痰氣가 停留해서 또한 癲證을 나타낸다. 故로 通常 癲狂이라 倂稱한다.
煎厥(전궐)
古病名이다. 內熱이 陰核을 消濼해서 出現하는 昏厥의 病證을 말함. 대개 平素에 陰精이 虧損되고 陽氣가 亢盛한데다가 다시 暑熱의 病邪를 感受하여 煎迫된 所致이다. 臨床表現은 耳鳴, 耳聾, 目盲하고 甚하면 突然 昏厥하며 病勢의 發展이 매우 急激하다.(素問「生氣通天論」)
轉筋(전근)
「抽筋」이라고도 함. 대개는 腓腸筋(장딴지)의 攣急을 말함. 이는 津液이 脫失된 一種의 症狀이다.
傳道之官(전도지관)
①「大腸」의 項 參照 ②「大腸主傳導」의 項 參照.
轉豆脈(전두맥)
十怪脈의 一種. 轉丸脈이라고도 함. 脈動을 잡기 어려워, 마치 콩을 굴리는 듯한 것.
前髮際(전발제)
「髮際」의 項 參照.
傳變(전변)
傷寒病의 過程에서, 一般的인 또는 異常하게 發展하는 情況을 말함. 「傳」은 傳經(經은 傷寒六經病을 말함)을 뜻하며, 病情의 發展이 一定한 規律에 따른 것으로, 例컨대 太陽經이 陽明經으로 傳하고, 或은 少陽經으로 傳하는 것이다. 「變」은 變化로서, 病情의 變化가 規律을 追越함을 뜻하며, 例컨대 陽經이 陰證으로 轉變하고, 或은 기타 寒熱이 挾雜하는 證候로 轉變하는 것이다.
全書(전서)
①個人 著作의 叢書를 말함. 例컨대 明代 張介賓의 景岳全書(AD1624)는 張介賓의 多種 醫書를 包括하고 있다. ②收集하여 印刷한 叢書를 말함 例컨대 靑代 崇文齊가 印刷한 仲景全書(AD1894) 明代 張卿子의 集注傷寒論, 漢代 張仲景의 金匱要略方論, 金代 宋雲公의 傷寒類證, 靑代 曹東齊의 運氣掌訣錄, 金代 成無己의 傷寒明理論을 包括한다. ③特定 主題에 대하여 硏究한 醫書를 말함. 例컨대 明代 張鶴騰의 傷暑全書(1623年), 靑代 謝玉瓊의 麻科活入全書(1748年)이다. ④部門別로 論述한 醫書로서 明代 龔廷賢의 濟世全書(1629年)等이다.
傳尸癆(전시로)
「勞瘵」의 項 參照.
煎藥法(전약법)
藥物에 물을 붓고 一定時間 달여서 去滓하고 取汁內服하는 것. 煎藥에 一定한 方法이 있는데 發表藥 理氣藥은 대개 그 藥氣를 쓰므로 比較的 강열한 武火로 急煎해야 한다.(달이는 시간이 比較的 짧다) 補益藥은 대개 그 藥味를 쓰므로 比較的 藥한 文火로 慢煎해야 한다.(달이는 시간이 比較的 길다) 煎藥時에 물을 붓는 양의 多少는, 藥物의 性質, 處方藥味의 多少 病人의 年齡 等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이밖에 「先煎」, 「後下」, 「包煎」 等法이 있다. 各該當項을 參照.
纏腰蛇丹(전요사단)
本病은 纏腰火丹, 蛇串瘡, 火帶瘡이라고도 함. 이는 腰肋間에 생기는 疱疹으로서, 紅色이고, 形狀이 蛇行과 恰似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春秋季節에 多發하며, 突然 發病하여, 患部에 먼저 刺痛이 있고, 或은 가벼운 發熱, 疲乏등이 隨伴된다. 대개 身體의 한쪽에 發하며, 腰肋部에 常見되고, 그 다음은 胸部이고, 頭部에 發하는 경우는 드물다. 發病時, 患部에 綠豆大 或은 大豆狀의 水疱가 생겨, 念珠처럼 줄지어 束帶狀을 이룬다. 疱液이 처음에는 투명한데, 점점 혼탁해진다. 대개는 心肝 二經의 濕熱의 所致이다. 帶狀疱疹의 類이다.
纏腰火丹(전요화단)
「纏腰蛇丹」의 項 參照.
戰慄(전율)
「寒慄鼓含」의 項 參照.
前陰(전음)
下陰이라고도 함. 男女의 外生殖器 및 尿道의 總稱.
纏耳(전이)
「膿耳」의 項 參照.
巓頂(전정)
「巓」의 項 參照.
膻中(전중)
①前胸部의 正中, 左右兩乳의 正中間部位. ②穴位名, 膻中剖의 中央이며, 任脈經에 屬함.
巓疾(전질)
巓은 頭頂을 뜻함. 巓疾은 一般的으로 頭部의 疾病을 말하는데 대개는 各種 頭痛을 말함. 頭는 諸陽이 會하는 곳으로 臟腑의 血氣가 모두 頭部에 會集한다. 故로 六淫의 外感이나 臟腑의 內傷이 모두 巓疾을 發生케 한다.
轉鍼(전침)
「捻鍼」의 項 參照.
電鍼(전침)
毫鍼을 應用하여 人體의 一定部位에 刺入한 후 鍼에 電流를 통하는 治療方法이다. 治療의 요구에 따라 자극의 강도 빈율 등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電鍼은 內․外․婦人․小兒․五官 등의 各科 疾患에 廣範하게 適用되며 手術上의 痲醉등에 쓰인다.
電鍼痲醉(전침마취)
鍼刺痲醉方法의 하나이다. 전류를 수법조작에 代用한 것이다. 사용시에 比較的 簡便하여 현재 널리 應用되고 있다.
顚簸(전파)
「治削」의 項 參照.
前板齒(전판치)
「齒燥」의 項 參照.
轉胞(전포)
姙娠에 의한 小便不通을 말함. 즉, 姙婦의 胎가 膀胱을 壓迫하므로 下腹이 脹滿하고 微痛하며, 小便이 不通하는 一種의 病症이다. 대개 中氣의 不足과 有關하다.
戰汗(전한)
戰慄한 후에 汗出하는 症狀이다. 이는 熱病의 過程에서 正氣와 邪氣가 相爭하는 一種이 表現이다. 抵抗力이 아직 강하여 正氣가 邪氣를 이기면 病이 汗을 따라 풀리며 이는 一種의 좋은 症狀이다. 만약 正氣가 不足하여 戰慄하고도 汗出이 不能하면 邪氣가 內陷하는 趨勢에 놓여있는 것이다. 或은 汗出할지라도 正氣도 이에 따라 外脫하면 危重한 症候이다. 故로 戰汗이 出現할 때는 主意하여 엄밀히 觀察하야 한다. 만약 患者가 汗出하여 熱이 衰하고 脈搏이 溫和하면 이는 邪氣가 去하고 正氣가 安靜된 것이니 病人을 충분히 休息시켜 그 元氣를 점차 回復시켜야 하며 놀랄 필요가 없다. 만약 汗出하고 四肢이 冷하며 拍動이 躁動하여 煩躁不寧한것은 正氣가 邪氣에 不勝하여 虛脫傾向이 있는 것이니 곧 救治해야 한다.
巓眩(전현)
「眩暈」의 項 參照.
傳化物(전화물)
「腑輸精於臟」의 項 參照.
傳化物而不藏(전화물이불장)
「六腑」의 項 參照.
傳化之腑(전화지부)
「臟行氣於腑」의 項 參照.
轉丸脈(전환맥)
「轉豆脈」의 項 參照.
截(절)
趙學敏의 串雅內編에 있음. 떠돌이 醫員(走方醫)은 「截」을 「絶」(停止)의 뜻이라고 하였다. 즉 疾病의 發作을 停止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常山 草果등을 써서 瘧疾을 멎게 하고 白金丸(鬱金 明礬을 爲末 作丸함)을 써서 癎症을 治療한다. 外治의 處方으로 點痣藥이 있는데, 鮮威靈仙의 濃煎汁을 桑紫炭 風化石灰로 여과하여 달여서 稀膏를 만들어 痣上에 붙이면 痣를 腐蝕하는 작용을 한다. 단 血痣에는 忌用한다. 좋지않은 결과가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點痣藥을 眼部에 접근시켜서는 안 된다. 眼睛을 상할 憂慮가 있기 때문이다.
切(절)
「治削」의 項 參照.
癤(절)
皮膚上이 紅, 腫, 熱, 痛하고, 根淺한 小結節을 말하며, 이는 熱毒의 內蘊 或은 暑熱의 邪에 外觸되므로 생긴다. 夏, 秋節에 많이 發生한다. 結節이 처음에는 比較的 堅硬하고 圓形이며, 症勢가 局限되고, 易消 易潰하며, 數日後에 化膿하여 膿頭가 排出되면 낫는다. 癤은 急性化膿性毛囊炎, 毛囊周圍炎症이다.
絶骨(절골)
①絶骨穴의 部位. 腓骨의 下端 內科上端의 部分에 해당함. ②穴位名 懸鍾이라고도 함. 足外髁의 直上3寸. 足少陽經에 속함.
節氣(절기)
陰曆으로 四季의 氣候를 推算하는 단위이다. 五日을 1候, 3候를 1節氣로 함. 고로 1節氣를 「三候」라고도함. 節氣는 四季의 氣候變更의 每段階를 표시함. 一年에 二十四節氣가 있는 바 순서에 따라 立春 雨水 驚蟄 春分 淸明 穀雨 立夏 小滿 芒種 夏至 小暑 大暑 立秋 處暑 白露 秋分 寒露 霜降 立冬 小雪 大雪 冬至 小寒 大寒이 됨.
切脈(절맥)
「脈診」의 項 參照.
折髀(절비)
髀는 陰部를 말함. 股部가 疼痛하여 부러지는 듯한 症狀을 말함. 예컨데 坐骨神經痛等이다.
切診(절진)
四診의 하나이다. 脈診과 觸診의 兩部分으로 나뉜다. 모두 指端의 觸覺을 運用해서, 兩者의 一定部位를 觸摸按壓하는 檢査方法이다. 脈診은 通常 病人의 완關節後의 橈動脈의 搏動部位를 取한다. 脈診의 各項을 參照, 觸診은 病因의 皮膚 胸腹 및 病痛部位를 觸막 按壓함으로써 局部의 冷熱 軟 壓痛 包塊 或은 其他의 異常變化를 測知하는 것이다.
折鍼(절침)
鍼法操作時의 異常情況이다. 體內에 刺入한 毫鍼이 皮下에서 折斷된 것을 말함. 대개의 경우 鍼에 損傷 剝蝕 등의 缺損이 있기 때문이며, 혹은 患者의 體位의 比較的 큰 이동과 유관한 경우도 있다. 處理方法은 침착 세심하게 病人으로 하여금 본래의 體位를 維持케 하여 가능하면 핀셋으로 折鍼의 斷端을 집어내고 必要時에는 수술하여 적출한다.
截瘧(절학)
瘧疾이 發作하기 전의 적당한 시간에 內服藥(常山, 草果, 薑半夏 煎劑)혹은 鍼刺(取 大椎, 後溪, 間使 등 穴)등의 方法을 써서 瘧疾의 發作을 制止하는 것.
絶汗(절한)
「脫汗」의 項 參照.
點烙(점락)
「烙法」의 項 參照.
點眼(점안)
藥物을 건조한 용기에서 極細末로 갈아서 먼저 舌上에 놓고 溶解되어 찌꺼기가 전혀 없으면 眼內에 點入할 수 있다. 凊冷하며 자극감이 없어야 한다. 點眼藥을 眼藥이라 簡稱하며 處方種類가 적지 않다. 眼病에 써서 消炎 退腫 去翳하게 된다. 點眼法은 眼科 이외의 疾病도 治療할 수 있는데 이러한 點眼藥은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點刺(점자)
鍼刺手法의 一種이면 速刺法이다. 그 方法은 左手로 皮膚를 잡고 右手로 刺鍼하되 母指와 食指로 鍼柄을 잡고 中指를 鍼尖의 상부 약 1촌되는 곳에 붙여 신속히 皮下淺層의 靜脈에 刺入하고는 곧 拔鍼하며 그리고는 눌러서 數滴의 血液을 짜내는 方法이다. 이 方法은 대개 三稜鍼을 쓰며 鍼刺部位는 手指 혹은 足指端 耳尖, 太陽穴, 委中穴 등이 사용된다.
接法(접법)
傷科에서의 正骨의 方法이다. 금방 骨折된 骨端部 或은 骨組織碎片을 다시 原位置로 回復하고, 함께 接合시키는 것이며, 또 各種 正骨手法의 總稱이기도 함.
疔(정)
「疔瘡」이라고도 함. 外科에서 常見되는 病의 하나이다. 硬堅하고 뿌리가 깊으며 形態가 정상이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대개 火熱의 毒이 鬱結된 所致이다. 疔의 명칭이 많은데 거의가 발병部位와 症狀에 따라 명명된다. 例컨데 「面疔」, 「指疔」, 「足疔」, 「爛疔」, 「紅絲疔」, 「疫疔」등이다. 臨床表現은 처음에 栗粒狀으로 上部에 白色膿頭가 생기며 형태는 작지만 뿌리가 깊어 骨에 못을 박는 것처럼 腫硬하고 疼痛이 劇烈하며 病勢가 매우 凶하여 급속히 擴散되고 惡化(走黃)되기 쉽다.
庭(정)
額部의 中央이며, 望診時 頭面部의 疾病을 診察하는 部位. 天庭이라고도 함.
錠(정)
藥物을 갈아서 極細粉末로 하여 一般的으로 호와 混合한 후 紡錘形 圓錐形 長方形 등 각이한 形狀을 固體 製劑한 것이다. 內服時에는 錠을 搗碎하여 溫水로 服用한다. 外用에는 醋 혹은 麻油(참기름)로 磨汁하여 患處에 塗布한다.
精(정)
人體를 構成하고 生命活動을 維持하는 基本物質. 그 중 人體를 構成하는 것을 生殖之精(즉 先天之精)이라 하고 生命活動을 維持하는데 必需的인 것을 水穀之精(즉 後天之精)이라 한다. 前者는 生殖의 基本物質이며 子孫을 蕃盛시키는 機能이고 後者는 不斷히 攝取하는 飮食物에서 생겨 生命活動과 機體의 代謝를 維持하는데 必要不可缺하다. 平素 臟腑의 精氣가 充盈하면 腎에 歸藏되어 生殖機能이 發育成熟되었을때 生殖之精으로 變化하게 된다. 精氣는 不斷히 消耗되고 또 不斷히 水穀之精의 滋生과 補充을 얻게 된다. 精은 生命의 基本이며 精이 充足하면 生命力이 强하여 外的環境의 變化에 適應할 수 있어서 쉽게 受病하지 않는다. 精이 虛하면 生命力이 減弱해져 適應能力과 抗病能力이 함께 減退된다.
頂(정)
趙學敏의 串雅內編에 있음. 떠돌이醫員(走方醫)은 藥性이 上行하는 것을 頂이라고 하였다. 頂藥은 대개 吐劑이다. 예컨데, 「皂礬頂」은 風痰이 上涌하여 昏到하는 것을 治하는데, 皂莢末 生礬末 膩粉을 散劑로 만들어 1錢돈을 水調하여 服用하면 卽吐한다. 膩粉에 二種類가 있는데 하나는 汞粉이고 또 하나는 鉛粉이며 모두 有毒하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聖濟總錄의 稀涎散은 皂莢 白礬의 二味를 써서 痰涎을 吐出하는 것이다.
正經(정경)
「十二經脈」, 「十二經」이라고도 함. 人體經脈의 一類이며, 體內의 氣血이 運行되는 主要通路이다. 그 중에 手太陰肺經·手陽明大腸經·足陽明胃經·足太陰脾經·手少陰心經·手太陽小腸經·足太陽膀胱經·足少陰腎經·手厥陰心包經·手少陽三焦經·足少陽膽經·足厥陰肝經 等 十二經을 包括해서 十二經脈이라 稱한다. 每經脈은 모두 體內의 一定한 臟腑와 直接 連繫되고, 各經脈 相互間에는 또 表裏配合의 關係가 있다.
正骨(정골)
①臂骨(前腕骨)中의 하나. 前臂部에 位置하며, 解剖學上의 尺骨. ②正骨手法의 略稱(當該項을 參照).
正骨(정골)
損傷을 診療하는 專科이며, 또 古代醫學의 十三科의 하나이기도 하다. 또한 傷科 惑은 骨傷科라는 名稱도 있다. 그 對象은, 主로 外力의 作用에 의해 생기는 骨, 關節 및 軟部組織의 損傷이며, 同類의 原因으로 惹起되는 體內臟器의 損傷도 包括된다.
正骨工具(정골공구)
各種外傷이나 骨折의 治療에 쓰이는 工具를 말하며, 例컨대, 腰椎, 披肩,竹簾,杉籬,各種材料로 만든 大小의 夾板,繃帶 등이다. 주로 骨折의 固定에 쓰인다.
正骨手法(정골수법)
骨折, 脫臼, 捻挫傷을 治療할때 쓰이는 各種의 手法으로서, 例컨대 摸, 接, 端, 提, 按, 摩, 推, 拿 等이다.
廷孔(정공)
女子의 尿道口를 말함. 督脈이 여기에 連繫되고 있다.
精極(정극)
「六極」의 項 參照.
正氣(정기)
生命機能의 總稱. 病邪와 相對되는 말로서, 人體의 疾病에 對한 防禦 抵抗再生能力을 말한다. 素問「刺法論」에서 “正氣存內 邪不可干”(正氣가 內部에 있으면 邪가 犯할 수 없다.)라 하였다.
正氣(정기)
宇宙間의 空氣 혹은 胸中 呼吸의 기를 말함.
精氣(정기)
通常은 後天之精을 말하며 臟腑를 充養하는 精華(飮食物에서 化生되는 營衛之氣를 包括)로서 生命活動을 維持하는데 不可缺의 物質이다. 그런데 腎臟自體가 所藏하는 精氣(즉 男女性交의 精氣)와 不可分의 連繫가 있어서 臟腑의 精氣가 充足해야만 腎臟自體도 充盛한 精液을 가지게 된다.
精氣奪則虛(정기탈칙허)
이는 素問「通評虛實論」에 있는 말로서, 虛症에 대해 내린 定義이다. 「精氣」는 人體의 正氣를 뜻하며, 「奪」은 耗損의 뜻이다. 正氣가 過度하게 耗損됨으로써 虛證이 出現함을 말한 것이다. 例컨대 大病이나 久病으로 精氣」이 消耗되거나 或은 大汗 大出血로 陽氣 陰液이 損傷되면, 모두 正氣虛弱 機能衰退를 招來하여, 面白唇淡 神疲體倦 心悸氣短 自汗盜汗 脈細弱無力 등의 症狀을 나타내게 된다.
耵聹(정녕)
「耳垢」라고도 함. 外耳道의 黃褐色의 分泌物(귀에지)이다. 小量의 耵聹은 正常現狀이다. 만약 風熱이 相搏하여, 分泌物이 大量으로 增加해서, 外耳道를 막고, 聽力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耵聹」이라 한다. 耵聹栓塞(耳垢栓塞症)이다.
精冷(정랭)
男子의 眞陽不足으로 인해 惹起되는 精氣의 淸冷으로, 生殖能力이 없는 것을 말함. 性神經衰弱, 精子缺乏類의 病症에 屬함.
葶藶大棗瀉肺湯(정력대조사폐탕)
「泄劑」의 項 參照.
睛簾(정렴)
「黃仁」의 項 參照.
精明之府(정명지부)
頭部를 말함. 五臟六腑의 精氣(혹은 精華)는 모두 頭面部에서 上會하는데, 그중에서 特히 사람의 眼睛은 그 外觀의 神態와 光華가 臟腑의 機能狀態를 가장 잘 反映하므로 이름이다(素問「脈要精微論」에 있음).
精微(정미)
「泌別淸濁」의 項 參照.
晶㾦(정배)
「白㾦」의 項 參照.
淨腑(정부)
「潔淨腑」의 項 參照.
精不足者補之而味(정부족자보지이미)
素問「陰陽應象大論」에 있음. 「精不足」은 人體의 精髓가 虧虛함을 말하며, 이 경우는 厚味로써 補하여, 精髓를 점차 充實케 해야 한다. 「厚味」란, 營養이 많은 動植物食品을 말하며, 味厚한 藥物로는 熟地黃, 肉蔠蓉, 鹿角膠 等藥이다.
正邪(정사)
「五邪」의 項 參照.
正邪相爭(정사상쟁)
正氣와 邪氣가 相爭함을 뜻함. 廣義로는, 일체의 疾病이 모두 正邪가 相爭하는 反映이며, 狹義로는, 外感發熱病에 寒熱往來가 나타나는 病理을 말한다. 惡寒은 正이 死를 이기지 못한 것이며, 發熱은 正氣가 邪에 對抗하여 밖으로 나온 것이다. 正氣와 邪氣가 相爭하여 서로 물러서지 않으므로 寒熱이 交替해서 出現한다.
正色(정색)
正常인의 色澤으로서, 明潤이 含蓄되었고, 隱隱한 紅黃色이며, 容貌에 光彩가 넘치는 것은, 氣血이 和平하고, 精氣가 內充하며, 胃氣가 있는 標示로서 有神의 象이다. 正色에는 主色과 客色의 區分이 있다. 主色은 每個人의 基本的인 皮膚色로서 個體에 따라 다르다. 客色은 氣候, 環境 및 當時의 心理狀態에 따라 變化한다. 모두 病色에 屬하지 않는다.
鄭聲(정성)
患者가 精神이 模糊한 狀態에서 한가지 말을 低聲으로 띠엄띠엄 重言復言하는 證狀으로, 虛證에 屬함. 疾病의 滿期에 心氣가 內損되고 精神이 散亂한 危重段階에서 볼 수 있다.
正水(정수)
水腫證候의 類型의 하나이다. 主要表現은, 全身이 浮腫하고, 腹滿하며, 氣喘하고, 脈象이 沈遲하다. 대개는 脾腎의 陽虛로 因해, 水氣가 輸化되지 못하여, 胸腹에 貯留되어, 肺臟으로 迫急하기 때문이다. 그 標證은 肺에 있고, 本證은 如前히 脾腎에 있다.
精神(정신)
「神」의 槪念을 뜻함. 이는 人體의 生命活動의 重要組織部分이며, 五臟中의 「心」과 가장 密接한 關係가 있다. 그래서 心은 「藏神」하는 것이다. 「靈樞·邪客篇」에서 “心者 五臟六腑之大主也 精神之所舍也”라 하였다. 「大主」는 臟腑中 「心」의 統率作用을 體現한 것이며, 「舍」에는 奇舍의 뜻이 있는 것이니, 精神이 「神」의 主要表現임을 알 수 있다.
聤耳(정이)
「膿耳」의 項 參照
耵耳(정이)
「耵聹」의 項 參照.
疔疽(정저)
①疔瘡이 兩側의 와령부 및 鼻下에 생기는 것을 말함.대개는 高粱厚味,煎炒灸전등 燥熱한 食物의 過食이나 或은 死畜이나 부패한 채소등을 誤食함으로써 熱毒이 숙적되어 생긴다.症狀은 局部가 稀種劇痛하며 누르면 堅硬하여 못을 骨에 박는것 같고 治療가 부당하면 牙關緊閉, 角弓反張, 或은 嘔吐, 煩躁, 昏迷, 譫語 등의 變證을 일으키기 쉽다. ②幹疽의 別名이다.
精汁(정즙)
「膽」의 項 參照.
疔瘡(정창)
「疔」의 項 參照.
疔瘡走黃(정창주황)
疔毒이 급속히 走散 內陷하여 血分으로 侵入해서 意識不淸 등증을 나타내고 局部의 腫勢가 희만되는 것을 「疔瘡走黃」이라 한다. 대개는 熱毒이 熾盛하고 或은 早期治療를 그르쳤거나 或은 눌러짜서 或은 너무 일찍 切開하여 邪毒이 擴散된 所致이다. 주요표현은 瘡頭가 黑陷하고 無膿하며 腫勢가 散漫하고 신속히 砂防으로 擴散된다. 惡寒戰慄高熱, 頭昏痛, 煩躁, 胸腹脹悶, 四肢無力, 舌紅絳, 苔黃燥, 脈洪數 혹 弦滑數을 隋伴하며 或은 惡心嘔吐, 舌硬口乾, 便秘혹 腹瀉를 수반한다. 重症인 경우는 神昏譫語,驚厥등증을 나타낸다. 皮膚에는 通常 瘀點 或은 瘀斑이 생기며 或은 全身이 黃色이 되고 또한 膿毒이 유주해서 「附骨疽」,「肺癰」등의 병발증을 일으킬수 있다. 敗血症의 류이다.
定喘湯(정천탕)
「降逆下氣」의 項 參照.
整體觀念(정체관념)
이는 韓醫學의 疾病診斷의 하나의 思考方式이다. 韓醫學에서는 人體의 內臟과 體表各部의 組織, 器官을 하나의 有機體的全體로 着故하며, 同時에 四時氣候, 土地의 方宜, 環境等의 要因의 變化가 人體의 生理. 病理에 各異한 程度의 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人體內部의 協助와 完整性을 强調하며, 또한 人體와 外界環境과의 統一性을 重視한다. 이러한 全體觀點에서 出發하여 問題를 全面的으로 考慮하는 思考方式을 疾病의 診斷과 治療에 一貫해서 適用하는 것이며, 단지 局部的인 變化에서 着眼하는 것이 아니므로 整體觀念이라 한다. 例컨대 辨證面에서, 어떤 경우는 局部證狀에서 出發하여, 全身을 考慮한다. 頭痛一症을 例로 들때, 局部 및 그것이 全身에 미친 影響에서 分析을 가할 뿐만 아니라, 全身의 臟腑氣血等의 各種要因이 頭痛에 影響을 미친 것도 考慮해야 한다. 瘡癰의 경우는 결국 單純한 邪毒의 局部侵入인데 또한 患者의 下消病과 有關하다. 어떤 경우는 全身證狀에서 出發하여 局部를 考慮하게 된다. 例컨대 小兒가 冬春季節에 發熱하면, 醫師는 往往 咽喉部에 乳蛾나 或은 其他咽喉病의 有無에 注意한다. 또 患者에게 低熱, 黃疸等의 全身證狀이 있는데, 右脇部에 陣發性 隱痛이나 絞痛이 있고, 疼痛의 間歇時에는 如常한 경우에도, 膽部의 疾病을 考慮해야 한다. 治療要藥面에서는, 1)陰陽의 協調를 꾀해야 한다. 例컨대 腎陽이 過盛하고 腎陰이 不足하면 陽亢現象이 發生하게 되므로, 壯水制火法을 써야 하며, 或은 腎陰이 過盛하고 腎陽이 虛衰하면 陰寒現象이 發生하는데, 益火消陰法을 써야 한다. 2)間接治療를 한다. 各臟 사이에는 相互 連繫가 있어서, 어느 臟病에, 다른 一臟을 治療하는 方法을 써서 解決할 수 있다. 例컨대 虛卽補其母, 實卽瀉其子이다. 3)表와 裏를 相互 治療한다. 例컨대 肺와 大腸은 表裏가 되는데, 肺에 寒痰 咳嗽가 있고, 大腸이 寒結하여 大便이 秘結하면, 紫菀等을 써서 寒痰을 除去하고, 寒結을 通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면 大便이 自通한다. 4)五臟에서 五官을 治한다. 五臟과 五官은 密接한 關係가 있다. 例컨대 肝은 目으로 開竅하여, 補肝함으로써 眼病의 虛證을 治療하게 되고, 淸肝함으로써 眼病의 實證을 治療하게 된다. 鍼灸면에서는, 上病下取, 下病上取, 陽病治陰, 陰病治陽하고, 또한 以右治左, 以左治右등의 方法이 있다. 반드시 整體와 局部와의 對立統一關係를 理解함으로써 疾病을 認識하고 처리함에 있어서 局限性과 片面性을 되도록 防止하도록 해야 한다.
怔忡(정충)
心臟의 躁動이 極熱한 一種의 症狀이다. 劉完素의 素問玄機原病式에서 “心胸躁動 謂之怔忡”이라 하였다. 躁動이 往往 위로는 心胸에 이르고 아래로는 臍腹에 달한다. 이는 心血, 心陰의 虛損 心陽의 不足한 所致이다. 心悸와 대체로 같은데 病情이 比較的 重하다. 心悸은 發作性이고 怔忡은 대개 持續性이다. 心悸에는 虛實의 區別이 있고 怔忡은 대개 虛에 치우치고 있다. 一般的으로 말해서 心悸은 대개 機能性에 屬하며 怔忡은 대개 器質性에 屬한다. 이는 臨床上 心悸과 怔忡을 區別하는 要點이다. 단 一部 怔忡은 心悸이 더 前進한 境遇도 있어서 確然하게 區別할수 없다. 故로 臨床上 通常 心悸과 怔忡을 倂稱한다.
正治(정치)
「素問. 至眞要大論」에 있음. 이는 통상의 治療方法이다. 疾病의 性質과 相反되는 方法과 藥物을 採用하여 治療하는 것이다. 例컨대, 寒證에 熱藥을 쓰고, 熱證에 寒藥을 쓰며, 實證에 攻法을 쓰고, 虛證에 補法을 쓰는 等이다. 正治法을 「逆治」라고도 한다. 「逆」은 藥性과 疾病의 性質이 相反된는 것이며, 藥物에 疾病의 相對面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丁奚疳(정해감)
이 病은 過度한 哺食으로, 脾胃이 受傷하여 營養을 吸收하지 못한 所致이다. 症狀은, 腹大하고, 頸이 細小하며, 面黃 肌瘦함이 特徵이다.
正虛邪實(정허사실)
「正虛」는 正氣의 虛弱을 뜻하며, 「邪實」은 邪氣가 結集되거나 혹은 邪氣의 過盛을 뜻한다. 「正虛邪實」은, 邪氣의 過盛으로 인해 正氣의 抗病機能이 低下되어 出現하는 病理現象을 말한다. 熱盛病者에서 볼 수 있는 例로서, 陽明腑實證을 오래 下하지 못하므로, 潮熱譫語 腹痛拒按 大便秘結등 邪氣가 盛한 症狀이 나타나는 外에 神志昏迷 循衣摸床 驚惕不安 微喘 兩眼直視등 正氣를 維持할 수 없는 위험한 現象이 나타난다. 內傷雜病者에서 볼 수 있는 例로서, 鼓脹積聚가 日久하여, 身體消瘦 心悸氣短 大便溏泄 食欲減退의 症狀이 나타나는바, 이들은 모두 正虛邪實의 表現이다.
井穴(정혈)
①五腧穴의 一種이며, 모두 手指 혹은 足趾의 末端處에 있다. 「靈樞·九鍼十二原篇」에서 “所出爲井”이라 하였다. 이는 經脈의 流注方面이 마치 水流가 開始되는 源泉과 같다는 것이다. 全身의 十二經에 각각 하나의 正穴이 있으므로 「十二井穴」이라고 한다. 그 名稱은 아래와 같다. 肺-少商 大腸-商陽 心包-中衝 三焦-關衝 心-少衝 小腸-少澤 脾-隱白 胃-厲兌 肝-大敦 膽-(足)竅陰 腎-涌泉 膀胱-至陰 ②手指端의 少商·商陽·中衝·關衝·少衝·少澤 등 6穴(左右 共, 十二穴)을 말하는 것으로, 中風, 突然 昏倒를 治療하는 救急要穴이다.
精血(정혈)
血의 生成은 先天之精을 本源으로 한다. 사람이 出生한 이후 血液의 再生은 後天의 飮食에 來源하며 中焦脾胃의 氣化에 의해 飮食物中의 精微物質을 吸收해서 變化시킴으로써 生成된다. 精의 生成도 마찬가지로 後天의 飮食에 의해 化生되므로 精血同源의 設이 있다. 精氣는 臟腑의 機能活動의 物質的 基礎이며 精血의 盈虧는 人體의 健康을 象徵하는 重要標識의 하나이다. 腎은 藏精을 主管하고 肝은 藏血을 主管하므로 臨床上 精血不足의 病症은 往往 補肝益腎 等 法을 써서 治療해야 한다.
精血同源(정혈동원)
「精血」의 項 參照.
臍突(제돌)
「臍疝」이라고도 함.
臍漏(제루)
「腹皮癰」의 項 參照.
提法(제법)
傷科에서의 正骨의 方法이다. 금방 切斷되어 下垂된 骨端을, 손이나 끈으로, 上向 或은 外向으로 당겨, 직접 或은 간접적으로 완전히 復位시키는 一種의 牽引手法이다.
臍疝(제산)
「臍突」이라고도 함. 幼兒에게 많다. 主要症狀은, 臍中에 突出한 包塊가 있으며, 表面이 光亮하다.
提揷補瀉(제삽보사)
古代鍼刺手法의 一種이다. 舊稱은 「天, 人, 地三才補瀉」 혹은 「三才補瀉」이다. 本法은 一般的으로 어떤 穴位에 대해서도 豫定刺入深度를 三等分하다. 補法은 三回로 나누어 淺․中․深의 順序로 進鍼하고 出鍼時에는 한꺼번에 拔出한다. 瀉法은 直接豫定한 深度까지 刺入한 然後에 深․中․淺의 순서로 出鍼한다.
製霜(제상)
① 種子類의 藥材를 去油한 후의 粉末을 말함. 예컨대 巴豆霜, 蘇子霜 杏仁霜 등이 있다. ② 어떤 藥材에서 流出한 結晶을 말함. 예컨대 柿霜이다. ③ 어떤 動物性 藥材에서 膠質을 제거한 후의 骨質粉末을 말함. 예컨대 鹿角霜이다.
濟生腎氣丸(제생신기환)
「溫腎利水」의 項 參照.
諸陽之會(제양지회)
①頭部를 말함. 人體의 十二經脈中, 手三陽의 經脈은 手에서 頭部로 走向하고, 足三陽의 經脈은 頭部에서 足部로 走向하므로, 頭를 諸陽之會라 한다.
諸熱之而寒者取之陽(제열지이한자취지양)
素問「至眞要大論」에 있음. 辛熱藥으로 寒證을 治療했는데, 寒이 도리어 嚴重하며, 이것이 外感寒邪의 寒證에 屬하는 것이 아니고, 腎陽(眞陽)이 不足한 虛寒이므로, 腎陽을 溫補해야 한다. 「益火之原, 以消陰翳」의 항 참조.
諸溫挾毒(제온협독)
「溫毒」의 項 參照.
臍癰(제옹)
「腹皮癰」의 項 參照.
製絨(제융)
藥材의 纖維를 찧어 絨狀으로 만들어 불붙이기 쉬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艾葉으로 만들어 灸法에 쓴다.
齊刺(제자)
三刺라고도 함. 十二刺法의 一種 부위가 比較的 작고 比較的 깊은 寒氣를 治療하는데 쓰인다. 그 刺法은 患處의 중앙에 一鍼을 刺하고 兩傍에 二鍼을 刺入한다.(靈樞「官鍼篇」)
帝丁(제정)
「懸雍垂」의 項 參照.
劑(제)
劑型이라고도함. 옛적에 劑라고 말한 것은 藥物을 調製한 形式을 指稱하며 現在는 劑型이라 한다. 劑에는 湯, 酒, 丸, 散, 膏, 丹, 錠, 片, 露, 霜, 膠, 茶, 曲 등 많은 種類가 있다.(藥物과 處方의 性質에 따라 十劑 十二劑등로 나누는데 이는 다른 意味이다. 1貼의 藥를 古人은 1劑藥이라고 하였다.)
帝鍾(제종)
「懸雍垂」의 項 參照.
除中(제중)
古病名이다. 傷寒論에 있음. 除는 消除를 뜻하며 中은 中焦脾胃의 氣를 말함. 疾病이 嚴重한 段階에 이르러 본래 飮食不能했는데 突然 暴食하는 것이다. 이는 中焦脾胃의 氣가 곧 끊어지려는 異常現象이며 이를 除中이라 한다.
諸虫(제충)
一般的로 人體에 寄生하여 發病케 하는 各種虫類를 말함. 腸道의 寄生虫이 가장 많다.
提泡(제포)
「發泡」의 項參照.
臍風(제풍)
「撮口」, 「噤風」이라고도 함. 新生兒의 破傷風이다. 牙關緊閉하고, 强直痙攣하며, 角弓反張하고, 顔面에 苦笑를 띠는 것이 特徵이다. 重症인 경우는 顔面이 靑色으로 變하고, 呼吸促急 等症을 兼發한다. 主로 臍帶切斷의 不潔이나 或은 臍帶脫落이 너무 빨라서, 局部가 受傷 感染된 所致이다. 最近에는 發達한 助産法으로, 本病이 極히 적어졌다.
臍下悸(제하계)
下腹部가 搏動하여 不寧한 一種의 症狀이며, 대개의 경우, 下焦에 平素 水氣가 停滯된데다가 外感病에 걸려 發汗이 不當하므로, 腎氣가 受傷되어, 水氣가 衝逆할 때 나타난다.
諸寒之而熱者取之陰(제한지이열자취지음)
「素問. 至眞要大論」에 있음. 苦寒藥으로 熱證을 治療했는데, 熱이 도리어 嚴重하며, 이것이 有餘한 熱證이 아니고, 腎陰(眞陰)이 不足한 虛熱이므로, 腎陰을 滋補해야 한다. 「壯水之主, 以制陽光」의 項 參照.
劑型(제형)
「劑」의 項 參照.
制化(제화)
「制」는 克制, 化는 化生을 뜻함. 五行學說은, 化生과 克制가 相互 作用하는 것이며, 事物에는 生中에 克이 있고, 克中에 生이 있으므로 하여 그 相對的 平衡協調를 維持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生克의 配合을 「制化」라 함. 木을 例로 들면, 木은 土를 克할 수 있는데 土는 金을 生할 수 있고, 金은 또 木을 克할 수 있다. 이러한 調節을 通하여 木이 過度하게 土를 克할 수 없게 한다. 餘他는 類推할 수 있다.
燥(조)
①「燥氣」라고도 함. 六淫의 하나. 燥氣는 津液을 傷하기 쉽다. 臨床表現은 目赤 口鼻乾燥 唇焦 乾咳 脇痛 便秘等症이다. 그 중 偏熱의 證候는 「溫燥」가 되고, 偏寒의 證候는 「凉燥」가 된다. ②陰液이 虧損된 병증. 「內燥」의 項 參照.
燥結(조결)
病邪가 化熱한 後, 邪熱이 胃腸에 結하여, 胃腸의 津液이 受傷하는 病理이다. 主要증상은 身熱 或은 午後潮熱 腹脹痛 便秘 尿赤 舌紅苔黃乾燥 脈數 등이다.
調經(조경)
月經異常의 病證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月經異常에는 月經不調(經行先期, 經行後期, 經行先後不定期), 痛經, 經閉, 經血量過多過少 等症을 包括한다. 病證의 氣血變化와 寒熱虛實의 차이에 따라, 月經病과 기타 疾病과의 發病 차례의 先後를 명확히 區別하여 分別해서 處理해야 한다. 月經病으로 인해 其他 疾病을 惹起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調經을 위주로 하며 기타 疾病으로 인하여 月經病을 惹起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기타 疾病의 治療를 위주로 한다.
躁狂(조광)
「躁」은 手足을 擾動하는 것이고,「狂」은 狂亂不安하여 痙攣妄動하는 것을 말함. 狂亂不安하고, 手足을 擾動함은, 精神異常의 一種의 證候이다. 대개 肝經의 熱이 盛하거나, 或은 痰火가 上擾하며, 陽明熱이 盛하고, 熱이 心神을 擾亂시키며, 或은 穢濁한 氣가 上部를 犯하고, 下焦에 血蓄하며, 瘀熱이 上衝하는 등의 所致이다.
燥氣(조기)
「燥」의 項 參照.
調氣(조기)
藥物을 사용하여, 氣滯 氣逆의 症候를 治療함으로써, 氣를 暢利 平順케 하여 正常狀態로 回復시킴을 調氣라 한다. 실제는 理氣法의 行氣, 降氣를 包括한다.
調氣(조기)
鍼法의 述語이다(靈樞「官能篇」에 있음). 鍼刺의 補瀉方法을 應用하여 人體의 陰陽을 調節하고 人體의 機能을 改善할 수 있다. 또 鍼刺를 통하여 身體의 抗病能力을 增强시키고 體內의 各種組織과 內臟의 病理狀態를 是正할 수 있다. 鍼刺의 이러한 治療 作用을 調氣라 칭한다(靈樞「終始篇」에서 “凡刺之道 氣調而止”라 하였다.). 調氣가 治病의 原理와 經絡系統과 유관하며, 또한 주로 中樞神經系統을 통하여 完成되는 것이다.
燥氣傷肺(조기상폐)
秋燥의 邪氣가 肺를 傷하는 것을 말함. 燥는 六淫의 하나로서, 秋季의 氣候가 乾燥하여, 쉽게 口鼻에서 肺로 侵入하여 肺津을 耗損해서, 乾咳無痰, 或은 喀痰帶血, 咽喉疼痛, 胸脇痛 等의 燥氣證候를 出現한다. 臨床上, 溫燥와 凉燥로 나뉜다. 上呼吸道感染, 氣管炎, 白喉(디프테리아), 急性咽喉炎 等의 疾患에서 多見된다. 「溫燥」, 「凉燥」의 項 參照.
燥痰(조담)
痰質이 粘稠하고 量少하며, 或은 血絲가 섞이는 것이 特徵이다. 대개 口乾, 鼻燥하고, 痰을 咯出하기 어려우며, 咽痛하고 脈이 細數한 等症을 隨伴한다.
조礬頂(조반정)
「頂」의 項參照.
躁煩(조번)
「煩躁」의 項 參照.
阻病(조병)
「惡阻」의 項 參照.
調服(조복)
方劑中의 犀角, 羚羊角, 鹿角, 牛黃, 朱沙 등의 藥은 따로 細唜해야 한다. 湯液이 잘 끓으면 藥湯으로 소량 취하여 犀角末(혹은 其他藥物)에 調入해서 잘 저어 服用하고, 그 나머지 藥을 服用한다. 紫雪丹으로 服用하는 경우도 이와 같다.
早泄(조설)
性交時에 排精이 너무 빠른 現象을 말함. 대개는 腎虛, 相火過盛의 所致이다.
燥濕(조습)
①苦溫燥濕: 中焦에 寒濕이 阻滯되어 胸悶嘔吐, 惡心, 腹脹, 大便淸稀, 苔白리 等症을 發하면 厚朴, 半夏, 白蒄仁, 茯苓 等을 쓴다. ②苦寒燥濕: 中焦에 濕熱이 阻滯되어 腹痛腹脹, 大便稀薄而熱臭, 舌苔黃膩 等症을 發하면 黃連, 黃芩, 地殼, 猪苓 等을 쓴다.
燥濕化痰(조습화담)
「化痰」의 項 參照.
燥勝則乾(조승칙건)
素問「陰陽應象大論」에 있음. 燥氣가 偏勝하여 乾燥가 出現하는 病理을 말함. 燥氣가 太過하면 津液을 耗傷하게 되어, 口唇脾咽乾燥, 皮膚燥裂 乾咳 大便乾結 等의 傷津症狀이 出現한다.
燥矢(조시)
「屎」(糞便)를 옛날에는 흔히 「矢」라고 썼다. 「燥矢」은 乾燥하여 硬結한 糞便을 말함. 大便이 乾燥 硬結하고, 壯熱, 煩渴, 腹脹痛拒按등의 症狀을 隨伴하면 陽明臟의 實熱證에 屬한다. 數日間 不大便해도 腹脹痛이 없으면 津虛로 因한 燥結에 屬한다.
助陽(조양)
「補陽」의 項 參照.
助陽解表(조양해표)
助陽藥과 解表藥으로 組成하여 陽氣가 虛한 外感症으로 頭痛, 惡寒重, 發熱輕, 無汗, 手足不溫, 喜蓋衣被, 精神衰倦, 嗜睡, 面色蒼白, 말의 聲音低微, 脈沈無力, 舌苔淡白 等症을 나타내는 것을 治療하는 것. 再造散(黃芪, 黨蔘, 桂枝, 甘草, 熟附子, 細辛, 羌活, 防風, 川弓, 외生薑, 芍藥, 紅棗)을 쓴다.
燥熱(조열)
「燥火」라고도 함. 燥氣를 感受하여 津液을 損傷함으로써 化熱 化火되는 것을 말함. 대개 目赤 齒齦腫 咽痛 耳鳴 鼻衄 乾咳 喀血 等症을 나타낸다.
潮熱(조열)
發熱이 潮水처럼 定時에 있는 것으로, 每日 一定한 時間이 되면 體溫이 上昇한다(일반적으로 午後에 出現함). 潮熱의 病因에는 대개 세가지가 있다. 1)體內의 陰液이 不足한 경우로서, 밤이 되면 發熱 盜汗한다. 이를「陰虛潮熱」이라 한다. 2)陽氣가 濕邪를 받음으로써 制遏되어 午後에 發熱하게 된다. 이를「濕溫潮熱」이라 한다. 3)熱邪가 腸에 凝結되므로, 每日 午後에 發熱한다. 이를 陽明의 「日晡潮熱」이라 한다. 이밖에 溫病이 營分 或은 血分으로 傳入된 段階에서, 身熱이 往往 午後에 漸昇하게 되는데, 이러한 熱型은 潮熱이라 하지 않고, 「熱入營分」或은「熱入血分」이라 한다.
爪爲筋之餘(조위근지여)
「肝,其華在爪」의 項 參照.
燥者濡之(조자유지)
素問「至眞要大論」에 있음. 津液이 枯燥한 경우는 滋潤藥을 써야 한다는 뜻이다. 燥에는 內燥와 外燥의 差異가 있다. 例컨대 燥熱로 肺胃의 津液을 傷한 것은 內燥에 屬하며, 養陰潤燥法을 쓴다. 外感의 燥熱로 肺를 傷한 것은 外燥에 屬하며, 輕宜潤肺法을 쓴다.
嘈雜(조잡)
이는 胃脘心口部位에 나타나는 一種의 症狀이다. 吳搏의 醫學正傳에서 “夫嘈雜之爲證也 似飢不飢 似痛不痛 而有懊憹不自寧之狀者是也 其證或兼噯氣 或兼氣滿 或兼惡心 漸至胃脘作痛……(무릇 嘈雜의 症狀은 飢한 듯하면서 飢하지 않고 아픈 듯 하면서 不痛하고 懊憹하여 便安치 않은 것이다. 그 症狀에 或 噯氣를 兼하고 或은 痞滿을 兼하며 或은 惡心을 兼하여 점차 胃脘部가 疼痛하기에 이른다.)”고 하였다. 그 疼痛이 往往 飮食을 먹으면 멎는다. 대개는 痰火 肝胃不和 胃熱 血虛等의 所致이며 이는 潰瘍病과 胃炎等에서 比較的 常見되는 症狀이다.
燥劑(조제)
「燥可去濕」로, 桑白皮, 赤小豆의 類이다. 例컨대 水腫病은, 水濕이 皮膚間에 停蓄되어, 面目四肢가 모두 浮腫하고, 脘腹脹滿, 氣喘, 小便不利하는데, 五皮飮(桑白皮, 陳橘皮, 生薑皮, 大腹皮, 茯苓皮)을 쓰면 좋다. 赤小豆桑白皮湯(赤小豆 桑白皮)도 水濕이 皮膚間에 停蓄된 水腫을 治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燥濕은, 대개 中焦의 濕邪를 除去하는 것을 指稱한다. 寒濕에는 「苦溫燥濕」로, 蒼朮, 厚朴등을 쓰고, 濕熱에는 「苦寒燥濕」로 黃連, 黃柏등을 쓴다.
操縱(조종)
指力을 運用하여 脈搏을 잡는 方法이다. 通常 먼저 輕指力을 쓰고, 이어서 重指力을 쓰며, 或은 輕重의 指力을 反復 交替해서, 各異한 脈象을 알게 된다.
燥咳(조해)
燥氣가 肺의 津液을 耗傷하므로 惹起되는 咳嗽를 말함. 臨床表現은, 乾咳痰少하고, 咽喉가 乾痛하며, 口鼻와 皮膚가 乾燥하고, 氣息이 不利하며, 骨節이 煩痛하고, 大便이 乾燥하며, 舌紅苔黃하고, 脈象이 弦數한 等症을 나타낸다.
燥火(조화)
「燥熱」의 項 參照.
調和肝脾(조화간비)
和法을 써서 肝氣가 脾를 犯한 것을 治療하는 것을 調和肝脾라 한다. 肝脾不和의 표현은 脇脹或痛, 腸鳴, 大便稀薄, 性情躁急, 食慾不振, 舌苔薄白, 脈弦細 等症이다. 柴胡, 白芍藥, 枳實, 甘草, 白朮, 陳皮, 防風 等藥을 쓴다.
調和肝胃(조화간위)
和法을 써서 肝氣가 胃를 犯한 것을 治療하는 것을 調和肝胃라 한다. 肝胃不和의 표현은 脇肋脹痛, 脘部脹悶疼痛, 飮食減少, 曖氣呑酸, 嘔吐或酸苦水吐出 等症이다. 柴胡, 白芍藥, 地殼, 甘草, 吳茱萸, 黃連, 半夏, 香附子, 기와방자 等藥을 쓴다.
調和營衛(조화영위)
營氣와 衛氣의 失調를 바로잡아 風邪를 解除하는 方法을 말함.風邪가 外表에서 침입하면 營, 衛의 失調를 야기하여 頭痛發熱, 汗出惡風, 鼻鳴乾口, 脈浮弱, 苔白滑, 口不渴, 等症을 發하는데 桂枝湯을 써서 이러한 營衛失調狀態를 바로잡게 된다. 處方中의 主藥인 桂枝는 解肌 去風하여 風邪를 衛部에서 外泄케 한다. 輔藥인 芍藥은 陰을 收斂하고 營氣를 調和시키며 佐藥인 生薑, 大棗로써 桂枝 芍藥의 營衛調和를 協助하고 甘草는 制約을 調和시킨다. 이렇게 全方이 합성해서 營․衛를 調和하는 作用으로 風邪를 解除한다.
足踝疽(족과저)
疽가 股關節部位에 발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대개는 三陰이 虧損되고 脾經의 寒濕이 下注되며 血濇氣疽하기 때문에 생기며 或은 踝部에 먼저 瘡毒이나 外傷이 있어서 제독이 關節에 체유하여 局部經絡의 氣血이 凝滯되므로 發하기도 한다. 먼저 內踝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통상 처음에는 寒熱往來가 있고 踝部가 紅腫 熱痛하며 疼痛의 정도가 연차 가중되어 關節線上에 뚜렷한 壓痛이 있다(만약 陰證이면 局部의 皮色이 不變하며 穿유되면 稀膿이 나온다). 통상 內側의 踝關節에서 外側을 향해 천파되면 或은 外側의 踝關節에서 內側을 향해 천파되기도 한다. 고로 「穿踝疽」라고도 한다. 약 1개월 前後에 化膿하며 유파후에도 잘 아물지 않으며 收口後에도 왕왕 關節組織의 파괴로 因해 踝關節機能에 重한 影響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本病의 陰證은 踝關節 結核의 類이다.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十二經脈의 하나. 그 循行路線은, 體內에서는 肝에 屬하고 膽으로 連絡되며, 아울러 生殖器 胃 橫膈膜 咽喉 眼球와 相連된다. 體表에서는 足拇趾에서 下肢內側(前部에서 中部로 轉向) 外陰部 腹部를 거쳐 側胸部에 이른다. 本經에 有病하면 主로 胸滿 嘔逆 腰痛 下痢 疝氣 遺尿 小便不通 月經不調 子宮出血 咽喉乾燥 面色暗晦 等의 症狀과 病症, 그리고 本經의 循行部位의 局部症狀이 나타난다.
足趺(족부)
「跗」의 項 參照.
足三陽經(족삼양경)
十二經脈中의 3條의 經脈으로서, 足陽明胃經·足太陽膀胱經·足少陽膽經을 말함. 이들의 循行方向은 모두 頭部에서 體幹部와 下肢外側을 거쳐 足部에 이른다.
足三陰經(족삼음경)
十二經脈中의 3條의 經脈으로서, 足太陰脾經·足少陰腎經·足厥陰肝經을 말함. 이들의 循行方向은 모두 足部에서 下肢內側과 腹部을 거쳐 胸部에 이른다.
足少陽膽經(족소양담경)
十二經脈의 하나. 그 循行路線은, 體內에서는 膽에 屬하고 肝으로 連絡된다. 體表에서는 眼部에서 側頭部 耳部 頰部 後頸部 肩部 側胸腹部 下肢外側을 거쳐 足第4趾端에 이른다. 本經에 有病하면, 主로 瘧疾, 惡寒, 發汗, 頭痛, 頷痛, 目痛, 口苦, 鎖骨部 및 腋窩部腫痛, 胸 및 側胸部痛으로 身體轉側困難, 甲狀腺腫大, 淋巴腺結核 等의 症狀과 病症, 그리고 本經의 循行部位의 局部症狀이 나타난다.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十二經脈의 하나. 그 循行路線은, 體內에서는 腎에 屬하고 膀胱으로 連絡되며, 아울러 脊髓 肝 膈膜 喉部 舌根 肺 心 胸腔 等과 相連된다. 體表에서는 足小趾에서 足心 內踝 上肢內側後面 腹部를 거쳐 胸部에 이른다. 本經에 有病하면 主로 口中熱 舌乾 咽喉病 飢餓而不欲食 羸瘦 咳血 哮喘 心悸 胸痛 煩躁 黃疸 腹瀉 面色暗黑 視覺不良 精神痿靡 好睡 痿厥 等의 症狀과 病症, 그리고 本經의 循行部位의 局部症狀이 나타난다.
足丫疔(족아정)
「足疔」의 項 參照.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十二經脈의 하나. 그 循行路線은, 體內에서는 胃에 屬하고, 脾로 連絡된다. 體表에서는 脾部에서 側頭部 面部 頸部 胸腹部 下肢外側의 前面을 거쳐 足第二趾端에 이른다. 本經에 有病하면 主로 胃腸炎 胃痛 腸鳴 腹水 咽喉炎 鼻衄 口眼歪斜 口脣發疹 頸部腫大 惡寒戰慄 呻吟不寧 面色微黑 精神異常 熱病發狂 等의 症狀과 病症, 그리고 本經의 循行部位의 局部症狀이 나타난다.
足底疔(족저정)
「足疔」의 項 參照.
足疔(족정)
疔瘡疾患의 하나이다. 足部에 생기는 疔瘡의 總稱이다. 發生部位의 差異에 따라 名稱도 다르다. 발가락에 생기는 것은 「指疔」이라 하고, 발가락새에 생기는 것은 「足丫疔」이라 하며, 발바닥의 涌泉穴部位에 생기는 것은 「龍泉疔」이라 하고, 발뒤꿈치에 생기는 것은 「跟疔」 或은 「足底疔」이라 한다. 모두 濕火의 下注에 起因하거나 或은 破損部位의 感染에 依해 생긴다. 그 根脚이 堅硬하고, 麻痒腫痛하며, 항상 腫脹이 足背에 미치고, 或은 穿筋 爛骨하게 된다. 惡寒發熱 等症을 수반한다.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十二經脈의 하나. 그 循行路線은, 體內에서는 膀胱에 屬하고 腎으로 連絡되며, 아울러 腦와 相連된다. 體表에서는 眼部에서 頭項을 넘어 後向하여 아래로 項部, 背部兩側, 臀部, 下肢後面을 거쳐 足小趾端에 이른다. 本經에 有病하면 主로 瘧疾, 癲狂, 目黃, 流淚, 鼻衄, 頭項强痛, 腰背痛, 痔瘡, 尿頻排尿痛, 小便不利, 脇痛 等의 症狀과 病症, 그리고 本經의 循行部位의 局部症狀이 나타난다.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十二經脈의 하나. 그 循行路線은, 體內에서는 脾에 屬하고, 胃로 連絡되며, 아울러 心과 舌根에 相連된다. 體表에서는 脾足大趾에서 下肢內側(中部에서 前部로 轉向함) 腹部 胸部를 沿하여 側胸部에 이른다. 本經에 有病하면, 主로 胃痛 嘔吐 腸炎 噫氣 黃疸 水腫 身體沈重自覺 行動困難 平臥不能 舌痛 舌根强直 小便不通 等의 症狀과 病症, 그리고 本經의 循行部位의 局部症狀이 나타난다.
存性(존성)
「燒存性」의 項 參照.
䪼(절)
「䪼骨」의 項 參照.
䪼骨(절골)
䪼이라고도 함. 眼眶의 下緣의 骨. 解剖學上의 頷骨과 觀骨이 眼眶을 構成한 部分에 該 當함.
卒病(졸병)
①突然한 發病을 말하며 暴病이라고도 함. 暴病은 一般的으로 急하고 重한것이다. ②새로 거린 病으로서 新病이라고도 함. 新病과 九病 宿疾은 相對되는 말이다.
卒中(졸중)
「中風」의 項 參照.
踵(종)
발뒤꿈치의 着地部分.
宗筋(종근)
① 三陰三陽의 經筋(經筋은, 十二正經과 十二經別 이외의 또 하나의 循行系統을 말하며 그 特徵은 體表를 循行하며 四肢末端의 指爪에서 起始하여 四肢의 腕·肘·腋·踝·膝·股 사이를 上行하여 巡廻曲折해서 肌肉間을 連關하고 頸項으로 上行하여 頭面에 終結된다.)이 前陰部에서 會合하는 것을 宗筋이라 함. ② 男子生殖器를 말함.
宗筋之會(종근지회)
①若干의 筋腱의 集合處를 말함. 經絡의 循行中에 陰經과 陽經이, 筋腱이 豊富한 大關節部位, 例컨대 髖骨部나 膝關節에서 會合한다. ②男子의 生殖器를 말함.
宗氣(종기)
飮食水穀이 化生하는 營衛之氣와 吸入된 大氣가 相合하여 胸中에 蓄積되는 氣이다. 胸中은 宗氣가 集積되는 곳일 뿐만 아니라, 全身의 氣가 運動 輸布되는 出發點이기도 하다. 宗氣에는 兩大機能이 있는바, 그 하나는 喉嚨에서 나와 呼吸을 하는 것으로, 이는 言語 聲音 呼吸의 强弱에 關係한다. 다른 하나는, 心脈에 貫注되어 氣血을 運行시킨다. 무릇 氣血의 運行, 肢體의 寒溫과 活動能力은 대개 宗氣와 有關하다.
宗氣泄(종기설)
種氣가 外泄하는 것이며, 그 表現은, 氣短하고, 虛리血(心尖搏動部位)의 跳動이 太過하여 衣服에 反應되는 等이며, 대개 痰瘀 或은 心陽不足의 見證을 隨伴한다. 心機能不全의 疾病이서 常見된다.
宗脈(종맥)
「宗脈所聚」라고도 함. 眼·耳部 等 重要器官에 分布되어, 많은 經脈이 모여서 主脈 혹은 大脈을 形成한 것(靈樞「口問篇」 “目者 宗脈之所聚也” 또 “耳者 宗脈之所聚也”).
宗脈(종맥)
宗에는 「總」의 뜻이 있다. 宗脈에는 두가지 解釋이 있다. ① 많은 經脈의 集合處를 뜻함. 예컨대 영추「문편」에서 “目者, 宗脈之所聚也”라 하여 五臟六腑의 精氣가 宗脈을 통하여 目에 注入되며 그럼으로써 眼睛이 양호하게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② 肺를 경유하는 큰 脈을 기리킴. 예컨대 張志聰은 靈樞經集注에서 “夫肺朝百脈 宗脈者 百脈所宗 肺所主也”라 하였다.
宗脈所聚(종맥소취)
「宗脈」의 項 參照.
從外測內(종외측내)
「有諸內 必形諸外」(이것이 內에 있으면, 반드시 이것이 外에 形象된다)의 道理에 根據하여, 外表에 反映되는 各種 症狀 或은 體徵에서, 人體內部에 發生한 病變을 測知할 수 있음을 뜻함.
腫脹(종창)
全身의 水腫을 腫이라 하며 腹部의 脹滿을 脹이라 한다. 先人은 頭面과 四肢가 먼저 浮腫한 後에 腹部가 脹滿해지는 것은 水에 屬하고 먼저 腹部가 脹滿한 後에 四肢이 浮腫하는 것은 脹에 屬하는 것으로 區分하였다. 그런데 水도 脹을 겸하고 脹도 水를 兼하게 되니 一般的으로 水腫과 腹脹滿의 症狀을 總稱해서 腫脹이라 한다.
從治(종치)
①反治의 項 參照. ② 甚者從之의 項 參照.
佐金明目(좌금명목)
肺氣를 肅降케 함으로써 肝氣를 抑制하는 方法이다. 肝氣가 肺로 上衝하면 肺氣가 下降할수 없어서 兩脇痛, 氣喘不平, 脈弦 等症이 出現한다. 이리하여 肝氣도 疏暢된다. 桑白皮(吳茱萸汁炒), 蘇梗, 杏仁, 枇杷葉 等藥을 쓴다.
坐産(좌산)
「難産」의 項 參照.
挫傷(좌상)
「閃挫」의 項 參照.
左腎右命(좌신우명)
左腎右命學說은, 腎의 多方面에 걸친 機能과 人體에서의 重要性을 說明한 것이다. 難經·三十六難에서, “腎兩者 非皆腎也 其左者爲腎 右者爲命門. 命門者 諸神精之所舍 元氣之所繫也故男子以藏精 女子以繫胞. 故知腎有一也”라 하였다. 이는 東醫文獻中 처음으로 左腎右命學說을 提起한 것이며, 後世醫家들이 이 學說을 많이 尊崇하였다. 이 學說의 要點은, 命門의 作用을 두드러지게 한 것이며, 命門은 精神과 原氣에 連繫되는 등의 重要生理機能을 所藏하므로, 人體生命의 根本으로 認識되고 있다. 左腎右命에 對하여, 機械的으로 그 所在部位로써 理解해서는 안되며, 陰陽의 意義에 重點을 두고 分析을 해야 한다. 左腎右命學說의 實質은, 腎에 腎陰과 腎陽의 兩方面의 機能이 있음에 注意해야 하며, 腎陰·腎陽이 相互 協調해야 하며(命門之火와 腎水가 相濟하는 것), 萬若 協調하지 않으면 各種 病症을 惹起함을 提示한 것이다.
坐板骨(좌판골)
「楗骨」의 項 參照.
酒客(주객)
平素 飮酒를 좋아하는 사람을 말함. 古代醫家들은 이러한 사람이 得病하면 甘味의 桂枝湯을 주어서는 않된다고 認識하였다. 酒客이 桂枝湯을 服用하면 嘔吐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이다.
柱骨(주골)
鎖子骨, 巨骨, 缺盆骨이라고도 함. 前胸部의 上方에 있음. 현재는 鎖骨이라 함.
走罐(주관)
「推罐」의 項 參照.
酒灸(주구)
「灸」의 項 參照.
酒疸(주달)
「金匱要略」에 있음. 黃疸의 類型의 하나이다. 酒食의 不節制로 因해, 脾胃가 受傷해서,運化機能이 失調되어, 濕濁이 內鬱 生熱하여, 濕熱이 交蒸해서 생긴다. 主要症狀은, 身目이 發黃하며, 胸中이 煩悶하고 熱하며, 不能食하고, 때로 欲吐하며, 小便이 赤澁하고, 脈이 沈弦하며 數한 等症이다.
州都之官(주도지관)
① 膀胱의 項 參照 ②「膀胱主藏津液」의 項 參照
腠理(주리)
① 皮膚, 筋肉, 臟腑의 紋理. ② 皮膚와 筋肉이 交接되는 곳. 「皮腠」라고도 함.
走方醫(주방의)
「鈴醫」의 項 參照.
酒癖(주벽)
①病因. 嗜酒가 習性이 된 것을 말함. ②病症. 「酒癥」이라고도 함. 「癖」은 硬結된 癥塊를 뜻함. 嗜酒로 因해 腹部에 癥塊가 생기는 慢性病을 말함. 臨床表現은 消瘦, 腹水, 腹中에 硬塊가 生기는 등이다. 알콜中毒의 肝硬化와 類似하다.
主輔佐引(주보좌인)
「君臣佐使」의 項 參照.
周痺(주비)
「風痺」의 項 參照.
蛀節疔(주절정)
「指疔」의 項 參照.
酒劑(주제)
現在는 藥酒라고도 稱한다. 藥物을 酒內에 침적하여 一定時間을 지나게 하면 혹은 隔湯煎熬하여 爐過去渣해서 證明한 것을 취한다. 活血 去風 通經活絡 除痺止痛에 多用된다.
走注(주주)
「風痺」의 項 參照.
舟楫之藥(주즙지약)
「舟楫之劑」의 項參照.
舟楫之劑(주즙지제)
「舟楫之藥」이라고도 함. 楫은 배를 젓는 노이다. 어떤 藥物은 하나의 方劑中에서 기타 藥物을 이끌어 上焦病을 치료할 수 있는데, 이것이 마치 짐을 실은 배가 물에 뜨는 것과 흡사하다는 뜻이다. 先人은 桔梗이 다른 藥物을 이끌어 上行하여 高處에 이르는 것을 認識하였으므로 이를 舟楫之劑라 칭하였다.
酒癥(주징)
「酒癖」의 項 參照.
酒齇鼻(주차비)
「鼻赤」或은 「鼻齇」라고도 함. 脾胃의 濕熱이 肺에 上勳하여, 血瘀 凝結되므로 惹起되는 病症이다. 局部의 皮膚가 發紅하며, 病久하면 紫紅色을 띠고, 皮膚가 두꺼워지며, 鼻頭가 增大하여, 表面이 隆起되어 울퉁불퉁해서 形狀이 瘤贅(혹)과 같이 된다.
酒脹(주창)
脹의 原因이 酒積으로 損傷되어 得病한 것으로 이렇게 이름한다. 主要症狀은 腹脹이 如斗하고 或 便血, 尿血을 나타내며 脈象이 數 或은 澁하다. 本病은 酒毒에 損傷되고 濕熱이 肝脾에 蘊結하여 氣血이 逆阻해서 肝이 藏血하지 못하고 脾가 統血하지 못하는 所致이다.
酒悖(주패)
술에 취하여 헛소리를 妄動하는 狀態를 말함.
走哺(주포)
위로 嘔逆하고 아래로 二便이 不通하는 病證을 말함. 汪必昌의 醫해辨證에서는 “由下不通 濁氣上衝而 飮食不得入……(下로 不通하여 濁氣가 上衝해서 飮食이 들어갈수 없음)”의 所致로 認識하였다.
注下(주하)
泄瀉하는 患者의 大便이, 물을 下向으로 傾注하는 情況과 같다고 形容한 것이다.
疰夏(주하)
夏疰라고도 함. 本病에는 뚜렷한 季節性이 있어서 夏節이 되면 發病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柔弱한 幼童에게 好發한다. 發病原因은 一般的으로 體質이 軟弱하고 脾胃가 虛弱하거나 혹은 陰氣가 不足하므로 夏季의 炎熱한 環境中에서 溫熱의 氣를 感受한 所致이다. 體質의 差異로 因해 臨床表現에 二種의 類型이 있다. 1)脾胃虛弱型:主要症狀은 肢體가 無力하고 胸悶하여 不爽하며 말하기를 싫어하고 胃弱(納보)便당한다. 만약 遷延日久하면 患兒의 身體가 異常하게 瘦瘠하고 下肢도 점점 위軟無力해진다. 2)暑熱熾盛型:主要症狀은 身熱하는데 午後에 增高하고 有汗 혹은 無汗하며 口渴喜飮하고 小便의 量이 많으며 後期에는 身熱이 稽留不退하고 消瘦하며 肢體가 疲乏하고 精神이 萎**해진다. 고로 이를 夏위라고도 한다. 小兒의 夏季熱과 類似하다.
竹簾(죽렴)
古代의 正骨用 器具이다. 外形과 橫造는 夏節에 쓰는 竹製의 발과 비슷하다. 크기는 患部의 구체적인 狀態에 따라 정한다. 負傷한 四肢의 外面을 쌀수 있으며, 四肢骨折의 固定에 쓴다. 現在는 小夾板이 쓰이고 있다.
準頭(준두)
「鼻準」의 項 參照.
峻下(준하)
大黃, 巴豆, 芫花, 甘遂, 大戟, 商릉, 牽牛子, 芒硝等의 강렬한 瀉下作用이 있는 藥物을 써서 瀉導하는 것을 峻下라 한다.
中渴(중갈)
「中暑」의 項 參照.
重感(중감)
「兩感」의 項 參照.
中經(중경)
中風의 證候類型의 하나이다. 病이 經脈에 있으며 昏倒하지 않고 半身不隨 手足麻木 口多痰涎 言語不便 脈多弦滑等症을 나타낸다.
中工(중공)
古代에 中等의 醫療技術을 가진 醫員을 일컫는 呼稱이다. 그 技術이 上工의 優秀성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下工에 비해서는 높았다. 疾病의 治療에서는 70%의 治癒率이 要求되었다.
中氣(중기)
通常은, 中焦의 脾胃의 氣와 脾胃 등 臟腑의 飮食에 對한 消化運輸 昇淸降濁 等의 生理機能을 뜻함. 그러나 때로는 脾氣만을 指稱한다. 脾氣는 昇을 主管하며, 臨床上 脫肛 子宮脫垂 等症을 만나면 往往 脾虛 下陷의 所致로 보고, 「補中益氣」의 治法을 常用한다. 所謂 「補中益氣」는 補脾와 下陷한 脾氣를 昇提하는 것이다.
中氣不足(중기부족)
「中氣」는 中焦脾胃의 氣를 말함. 中氣不足은 곧 脾胃虛弱이다. 脾胃虛弱으로 因해, 機能衰退 運化無力을 惹起하고, 精氣의 上輸를 못한다. 臨床表現은, 食欲不振, 食後易脹, 面色淡白, 眩暈倦怠, 氣虛乏力, 胃痛喜按, 大便稀爛 等이다.
中氣下陷(중기하함)
「氣虛下陷」, 「脾氣下陷」이라고도 함. 이는 「中氣不足」이 더 進行發展한 것이다. 主要症狀은, 面色淡白, 眩暈易汗, 短氣, 倦怠, 食少, 便溏, 腹部重墜, 便意頻數, 小便淋瀝 等이다. 胃下垂, 腎下垂, 子宮下垂, 脫肛, 慢性腸炎, 慢性痢疾 等病에서 多見된다.
中丹田(중단전)
「丹田」의 項 參照.
中都穴(중도혈)
「八邪穴」의 項 參照.
中毒(중독)
毒物이 體內에 進入하여, 毒性作用에 의해 發生하는 病症. 例컨대 藥物毒은, 巴豆 砒霜 斑蝥등이고, 食物毒은 酒精(알콜), 河豚(하돈), 病든 鳥禽등이다.
中絡(중락)
中風의 證候類型의 하나이다. 病이 絡脈에 있으며 口眼喎斜 肌膚麻木等症을 나타내며 或은 頭暈 頭痛等을 隨伴한다.
中滿(중만)
腹中이 脹滿한 症狀을 말함. 氣虛, 食滯, 寒濁의 相壅 濕熱의 困阻等의 原因에 의해 脾胃의 運化機能에 異常을 招來하고 氣機가 痞塞된 所致이다.
中滿者瀉之於內(중만자사지어내)
「素問. 陰陽應象大論」에 있음. 「中滿」은, 氣가 內部에 阻滯되어 胸腹이 腹滿함을 뜻하고, 「瀉」은 그 氣를 調理하여, 脹亂을 消失케 함을 뜻함. 例컨대, 氣와 痰濕이 中脘에 阻滯되어 胸腹이 脹滿한 경우, 「和胃理氣」法을 쓴다. 或은 飮食이 積滯되어 惹起된 脘腹의 腹痛에 「消導」之劑를 採用한다.
中發背(중발배)
「發背」의 項 參照.
重方(중방)
素問「至眞要大論」에 있음, 먼저 奇方을 써서 病이 낫지 않으면 다시 偶方을 쓰는 것을 말함.
重複脫骱(중복탈갈)
「脫骱」의 項 參照..
中腑(중부)
中風의 證候類型의 하나이다. 突然 昏倒하여 蘇醒後에 半身不隨 口眼喎斜 言語困難 或은 痰涎壅盛 言語不能 大小便失禁 或은 閉阻等症을 나타낸다.
中暑(중서)
夏季의 炎熱한 氣溫中에서 暑邪에 損傷되어 發生하는 病症을 말함. 症狀은 突然昏倒, 身熱, 惡心, 嘔吐, 煩燥, 大汗(혹 無汗), 氣粗, 面色蒼白, 脈細數, 혹 昏迷不醒, 四肢抽畜, 牙關緊急等이다. 中갈(暑熱에 傷했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中石疽(중석저)
「石疽」의項 參照.
重舌(중설)
舌下의 靜脈이 鬱血 腫腸해서 하나의 작은 舌이 더 생긴 것 같고, 或은 舌體와 連해서 花狀을 이루기도 한다. 頭項痛 發熱 等을 隨伴하며, 日久하면 潰爛된다. 心脾의 積熱에 起因하거나 或은 飮酒後 風邪을 받아서 發하기도 한다.
中消(중소)
「消中」, 「胃消」, 「脾消」라고도 함. 多食하는데 飢하기 쉽고, 몸은 도리어 야위는 것을 主症으로 하며, 大便秘結, 小便黃赤번數, 舌苔黃燥 等症을 兼發한다. 대개는 胃火가 熾盛하여, 水穀의 精微를 消耗해서 精血이 受傷되는 所致이다.
重身(중신)
「姙娠」의 項 參照.
中惡(중악)
①不正之氣에 觸感됨으로써 갑자기 怪異한 것이 보여 크게 놀라서, 忽然 手足이 厥冷하고, 顔色이 蒼白해지며, 精神이 恍惚하고, 頭目이 昏暈하며, 혹은 錯言妄語하고, 심하면 口噤 昏厥 等症을 發한다. ②小兒의 病症. 小兒의 眞氣가 衰弱하여 「惡氣」에 損傷되는 것을 말함. 例:醫學綱目「小兒部」에서 “其狀卒然心腹刺痛 悶亂欲死”라 하였다.
重陽(중양)
陽에 屬하는 兩種의 性質이 同時에 하나의 事物上에 出現하는 것. 例 : ①一晝夜中의 日中(正午)은, 晝間이 陽이고, 陽中之陽이므로 重陽이라 稱함. ②身熱하고 脈洪大하여 證狀과 脈象이 모두 陽盛함을 重陽이라 稱하며, 陽熱이 旺盛함을 說明함. ③氣候와 사람의 病變을 關聯시켜 볼 때, 例로써 夏季는 陽에 屬하며, 暑는 陽邪이므로 夏月感暑도 重陽이라 할 수 있다.
中陽不振(중양불진)
中焦脾胃의 陽氣가 虛弱하여, 消化機能이 不振함을 말함. 主要症狀은, 食少不化, 嘔吐, 泄瀉, 四肢淸冷, 面色萎黃, 唇淡 等이다. 慢性消化不良, 慢性痢疾 等病에서 多見된다.
重陽必陰(중양필음)
疾病의 性質이 本來 陽氣偏勝에 屬하는데, 陽氣의 亢盛이 어느 限度에 이르면 陰의 現象 혹은 陰의 方向으로의 轉化가 나타나는 수가 있다. 例: ① 病理變化中의 「熱極生寒」은 陽熱이 盛한 病에, 一定한 條件下에서 寒性症狀이 出現하는 것이다. ② 夏季에 暑氣에 損傷되면 重陽이 되는데, 이는 暑熱이 津液을 傷할 뿐만 아니라, 陽氣를 耗散케 하여 正氣不足으로 虛脫이 出現하게 된다. 이들 病理上의 轉變에는 모두 條件이 있으며, 반드시 이렇게 된다고 理解해서는 안된다.
中脘(중완)
「胃」의 項 參照
重陰(중음)
陰에 屬하는 兩種의 性質이 同時에 하나의 事物上에 出現하는 것. 例 : ①一晝夜中의 夜半은, 夜間이 陰이고, 夜半은 陰中之陰이므로 重陰이라 稱함. ②身冷하고 脈微欲絶하여 證狀과 脈象이 모두 陰盛함을 重陰이라 稱하며, 陰寒이 旺盛함을 說明함. ③氣候와 사람의 病變을 關聯시켜 볼 때, 例로서 冬季는 陰에 屬하며, 寒은 陰邪이므로, 冬季에 寒邪를 感受하는 것도 重陰이라 할 수 있다.
重陰必陽(중음필양)
疾病의 性質이 本來 陰氣偏勝에 屬하는데, 陰氣의 亢盛이 어느 限度에 이르면, 陽의 現象 혹은 陽의 方向으로의 轉化가 나타나는 수가 있다. 例 : ①病理變化中의 寒極生熱은 陰寒이 盛한 病에, 一定한 條件下에서 熱性症狀이 出現하는 것이다. ②冬季에 寒邪를 感受하면 重陰이 되는데, 이 病은 本來 感冒風寒에 속하지만, 寒邪가 化熱 入裏하면 熱病으로 轉化하게 된다. 이들 病理上의 轉變에는 모두 條件이 있으며, 반드시 이렇게 된다고 理解해서는 안된다.
中臟(중장)
中風의 證候類型의 하나이다. 臨床上 卒倒 昏微를 症으로 하며 閉證과 脫證의 二種類으로 나뉜다. ① 閉證은 또 陽閉, 陰閉로 나뉜다. 陽閉의 症狀은 昏微, 牙關緊閉, 握卷, 面紅氣粗하고 或은 痰聲이 요란하며 大小便이 俱閉되고 舌苔가 黃위하며 深하면 舌券縮이 되고 脈象이 弦滑數하다. 陰閉의 症狀은 昏微 牙關緊閉 握券 面白脣紫하며 痰涎이 壅盛하고 四肢이 冷하며 舌苔가 白위하고 脈이 沈滑하다. ② 脫證은 昏微가 깊고 眼合口開하며 코를 골고 呼吸이 微弱하며 四肢이 寒冷하고 或은 兩手를 늘어뜨리고 遺尿하며 大汗出하고 或은 기름같은 땀이 나며 舌淡白 苔白潤 脈細弱等症을 나타낸다.
中正之官(중정지관)
「膽主決斷」의 項 參照.
中精之府(중정지부)
「膽」의 項 參照.
重劑(중제)
「重可去怯」로서 磁石, 朱砂의 類이다. 「重」은 質이 무거운 藥으로, 鎭墜 鎭靜하는 것이며, 「怯」은 精神紊亂 驚恐健妄을 뜻함. 例컨대 癲癎病에 磁朱丸(磁石, 朱砂, 神曲)을 써서 치료한다.
中指同身寸(중지동신촌)
「同身寸」의 項 參照.
重鎭安神(중진안신)
鎭心이라고도 함. 金石류와 甲殼류의 약물을 써서 질이 重함으로 鎭心安神케 한다.癲狂,煩燥,心悸,失眠에 적용되며 磁石,朱砂,龍骨,牡蠣,眞珠母등을 쓴다. 이들 약물은 단지 진정안심으로 표증을 치하는 작용을 일으킬 뿐이니 구체적인 병정에 따라 淸熱化痰,滋陰補血등으로 분별하여 본증을 치하는 약물과 동용해야만 標本兼治를 할 수 있다.
重聽(중청)
「耳聾」의 項 參照
中淸之腑(중청지부)
「膽」의 項 參照.
中焦(중초)
「三焦」의 項 參照
中草藥(중초약)
一般的으로 韓藥서에 기재되었고 韓藥상점에서 賣出되는 韓藥商品과 民間에서 쓰는 草藥을 合稱해서 中草藥으라 한다 기실 草藥가운데는 여전히 草藥을 記載된 것도 있고 혹은 옛 부터 草藥을 쓰이기 시작하였는데 그 後 通常的인 藥을 쓰이게 되었거나 比較的 普遍的으로 쓰이는 韓藥이 된 것도 있으므로 韓藥과 草藥을 區別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現在는 中草藥이라고 합칭하는 것이다
中焦如漚(중초여구)
靈樞·營衛生會篇에서 “中焦如漚”라 하였다. 漚구는 中焦에서 飮食物을 消化하는 情況을 形容한 것이다. 中焦如漚는 脾胃의 消化 轉輸作用을 뜻한다. 中焦의 脾胃는 飮食物의 消化를 主管하여, 精微를 吸收하고, 津液을 蒸化해서, 營養物質은 肺脈의 輸布를 通해 營氣로 化生시킨다. 이 作用이 마치 漚漬(水浸하여 腐熟시킴)와 같이, 飮食物을 고루 變化시키므로 이렇게 말한다.
中焦主化(중초주화)
飮食物은 주로 中焦의 脾胃에서 消化되고, 中焦에서 營血로 化生되므로 이렇게 말한다.
中搭手(중탑수)
「搭手」의 項 參照.
中品(중품)
「三品」의 項 參照.
中風(중풍)
① 風은 內風을 말함. 中風은 腦血管障害等의 疾患을 말하며 卒中이라고도 함. 則 突然한 風症을 뜻함. 陰精의 虧損 或은 暴怒傷肝으로 인해 肝陽이 偏亢되어 肝風이 內動하므로 發病한다. 或은 肥甘厚味를 嗜食하여 痰熱이 內癰해서 化風하기도 하고 或은 氣血이 虧損되어 虛風이 生하기도 하며 或은 本來 內虛한데 갑자기 外來의 風邪를 感受하는 等等로 發病한다. 古典醫書에서는 그 症狀에 따라 類中風과 眞中風의 二種類으로 分類하였다. 類中風은 卒倒 昏微 半身不隨 或은 口眼喎斜 言語障碍等을 나타낸다. 病程의 輕重에 따라서 또 中絡 中經 中腑 中臟으로 區別하며 中絡이 가장 輕하고 中臟이 가장 重하다. 腦出血 腦栓塞 腦血栓形成 等病을 包括하는 외에 腦實質과 腦神經의 一部病證도 包括한다. 眞中風은 類中風의 症狀外에 初期에 發熱惡風寒等의 症狀이 있다. 實際上 發熱도 通常 腦血管 疾病自體의 症狀의 하나이므로 이 說의 鑑別意義는 크지 않다. 다른 一說로서 類中風은 다만 暫時의 知覺喪失이며 覺醒後에 半身不隨나 或은 口眼喎斜等症이 없고 氣厥 食厥 血厥等의 疾病을 말하는 것이라 한다. 以上의 兩設은 다만 古代醫籍의 理解하는데 參考가 될 뿐이다. ② 風은 外風을 말함. 則 外感風邪의 病證으로서 發熱 頭痛 汗出 脈浮緩等症을 나타낸다.(傷寒論)
中寒(중한)
①寒邪에 損傷된 것. 突然 寒邪의 侵襲을 당해 四肢厥冷하고, 六脈이 沈細하거나 遲緊하는 等의 症狀이 出現함. ②中焦의 虛寒을 말함. 陽氣가 不足하고 脾胃의 機能이 衰退하므로, 腹痛하여 按擦을 좋아하고(喜按), 畏寒肢冷하며, 입맛이 없고, 惡心하며, 便溏 等症이 出現한다.
蒸(증)
藥物을 蒸籠(시루)에 넣고 隔水 蒸熟하여(쪄서) 製劑에 편리하도록 하는 것. 예컨대 茯苓 厚朴은 蒸後에 절편하기 쉽다. 혹은 酒를 加하여 攪拌해서 蒸한다. 예컨대 大黃 地黃을 이렇게 蒸製하면, 熟大黃은 瀉下作用이 減弱되고, 熟地黃은 生地黃의 凉血藥性에서 溫性의 補血하는 藥性으로 변하다.
蒸露(증로)
어떤 藥物은 蒸溜法으로 藥露를 만든다. 예컨대 金銀花露 藿香露 薄荷露 등이다.
增液瀉下(증액사하)
津液을 增補하는 藥物과 寒下藥物을 同用하여 熱結로 津液이 虧損된 大便泌結을 治療하는 것.病人의 正氣가 太虛하지 않고 攻下에 견딜수 있는 경우에는 增液承氣湯(元蔘, 連心麥門冬, 生地黃, 大黃, 芒硝)을 쓴다.
增液承氣湯(증액승기탕)
「增液瀉下」의 項 參照.
增液潤下(증액윤하)
「潤下」의 項 參照.
增液湯(증액탕)
「潤下」의 項 參照.
憎寒(증한)
外部에서는 寒戰(戰慄)하고 內部에서는 煩熱하는 一種의 症狀이다. 이는 熱邪가 內服하여 陽氣가 阻碍되므로 透達不能한 所致이다.
症候(증후)
症候는 약간의 症狀이 綜合되어 構成되는 것이다. 예컨대, 發熱, 惡寒頭痛,脈浮등은 一種의 外感表寒의 症候이고, 壯熱, 煩渴, 舌紅舌黃, 便秘等은 裏實熱의 症候이다. 또 中風病에 牙關緊急, 面赤氣粗, 痰涎壅盛, 兩手握固, 脈弦滑 或 沈緩等을 나타내는 것을 閉症이라 하며 氣息微弱, 四肢厥冷, 汗出如珠, 口開目合, 手撤遺尿, 脈微細 欲絶 或沈伏等을 나타내는 것을 脫症이라 한다. 閉症, 脫症은 모두 疾病의 症候애 속한다. 일부 病名으로,예컨대 痺症, 위症, 癎症, 血症의 類는 證에 의해 命名한 것이며, 그 뜻은 두드러진 主症을 취한 것이다. 一證 가운데 多種의 症候를 包括할 수 있다. 예컨대 痺症의 경우에 肢體산痛, 游走不定을 나타내는 것은 風痺의 症候에 속하며 疼痛이 激烈하고, 冷하게 하면 痛症하는데, 熱하게 하면 痛減하는 것은 實痺의 症候에 속하고, 痛處가 固定되며, 산重麻木한 것은 濕痺의 症候에 속하는 等이다.
趾(지)
「足趾骨」의 略稱.
漬(지)
「泡」의 項 參照.
支膈(지격)
胸膈의 下部에 한 가닥의 氣가 阻塞된 듯한 不快感을 自覺하는 것.
地廓(지곽)
「八廓」의 項 參照.
脂瘤(지류)
瘤의 一種이다. 渣瘤 或은 粉瘤 라고도 함. 대개 痰凝 結氣로 因해 생긴다. 통상 頭面, 項背, 臀部 等處에 잘생기며, 작은 것은 豆大이고, 큰 것은 鷄卵大이며, 生長이 緩慢하고, 柔軟하며, 皮膚色은 淡紅色이고, 밀면 移動하며, 頂点部에 언제나 약간 黑色을 띤 小口가 있어서, 눌러 짜면 냄새가 나는 두부찌끼 같은 物質이 나온다. 현재는 粉瘤라 한다.
遲脈(지맥)
脈象의 一種. 脈動이 指滿하여, 醫師의 1回 正常呼吸에 患者의 脈搏이 4回以下(1分간 60回以下)인 것. 대개 寒證과 關聯이 있으며, 陽氣가 實邪에 鬱滯되어 遲脈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밖에 長期間 鍛鍊한 스포츠맨의 脈搏이 遲緩有力한 境遇가 많은데, 이는 病脈에 屬하지 않는다.
持脈(지맥)
「脈診」의 項 參照.
指目(지목)
指尖을 利用하는 一種의 切脈方法이다. 靑代 葉霖의 「脈說」에 “醫者之食指 中指 無名指爪甲不可留 必用指端棱起如선者 名曰 「指目」 以按脈之脊 不啼睛之視物 姸媸立判(醫者의 食指 中指 藥指는 爪를 남겨서는 안된다. 반드시 指端의 角에서 一直線이 되게 써야 한다. 이를 指目이라 한다. 이로써 脈의 隆起된 곳을 누르면, 눈에 똑똑히 보일 뿐만 아니라, 脈의 美醜를 곧 알 수 있다)라고 씌었다. 指目診法은 通常 醫院이 一般切脈법으로는 不滿足한 境遇에 採用하는 것이며, 觸覺이 가장 銳敏한 指尖을 써서 進一步한 診斷印象을 얻고자 하는 것인데, 醫員의 指尖의 毛細動脈의 搏動이 惹起될 可能性이 있는 切脈의 誤差를 排除하도록 注意해야 한다.
至寶丹(지보단)
「丹」의 項 參照.
枳實導滯丸(지실도체환)
「通因通利」의 項 參照.
紙捻(지염)
「藥線引流」의 項 參照.
至陰(지음)
①至陰은 陰에 到達함을 뜻함. 至는 到를 뜻함. 例 : 太陰은 三陰의 처음이니, 太陰을 至陰이라고도 함. 太陰은 脾에 屬하며, 至陰은 통상 脾의 代名詞로 쓰인다. 素問.金匱眞言論에서, “腹爲陰 陰中之至陰 脾也.”라 하였다. ②至陰은 陰에 屬하는 最甚한 것을 뜻함. 至는 最 혹은 極을 뜻함. 素問.水熱穴論에서 “腎者至陰也 至陰者 盛水也...”라 하였다. ③穴名으로서 足太陰膀胱經의 井穴.
支飮(지음)
痰飮 水氣가 胸膈部, 胃脘部에 停滯되는 病證을 말함. 肺氣가 相搏하므로 肺가 肅降機能을 잃고 氣機의 昇降이 沮害되기 때문에 胸膈이 不利해진다. 主要 症狀은 喘咳上逆하고 胸滿短氣하며 氣息이 平臥하지 못하며 甚하면 浮腫한다. 慢性 肺氣腫 및 그로인해 惹起되는 肺心病等의 疾病에 屬한다.
肢節煩疼(지절번동)
四肢關節이 煩熱疼痛하는 症狀을 말함.
趾疔(지정)
「足疔」의 項 參照.
指疔(지정)
疔瘡疾患의 하나이다. 이는 手指에 생기는 疔瘡의 總稱이다. 發生部位의 차이에 따라 명칭도 다르다. 指頭에 생기는 것은 「蛇頭疔」이라 하고 指甲의 兩傍에 생기는 것은 「蛇眼疔」이라 하여 指甲根의 後面에 생기는 것은 「蛇背疔」이라 하고 手指의 中節에 생기는 것은 「蛀節疔」이라 하며 手指中節의 掌面에 생겨서 魚服처럼 腫脹하고 赤色을 띠며 疼痛하는 것은 「蛇腹疔」或은 「魚肚疔」이라 하며 손가락 전체가 腫脹하여 紫色을 띠고 형태가 니추같으며 燥熱 疼痛이 手掌 手背와 肘臂에 까지 미치고 惡寒發熱을 隋伴하는 것은 「泥鰍疔」이라 한다. 모두 破傷口에서 感染되거나 或은 臟腑의 火毒이 鬱發된 所致이다. 각종 指疔은 일반적으로 疼痛이 비교적 甚하고 腫勢가 언제나 手指에 미치게 된다. 適時에 治療하지 않으면 指掌筋骨을 損傷하게 되고 或은 「疔瘡走黃」등증을 幷發하게 된다.
蜘蛛鼓(지주고)
「鼓脹」의 項 참조.
枳朮丸(지출환)
「方」의 項 參照.
指鍼(지침)
醫師가 手指로써 一定部位의 皮膚(穴位)를 按壓 揉摩 혹은 爪切 (左拇指爪로써 穴位를 누르고 右手에 쥔 鍼으로 그 곁에 刺入하는 方法)하여, 金屬鍼의 皮下刺入에 代用하는 一種의 簡便한 治療方法이다.
至虛有盛候(지허유성후)
「眞虛假實」의 項 參照.
止血(지혈)
出血症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淸熱止血」, 「補氣止血」, 「祛瘀止血」等으로 나뉜다. 청열지혈(청열지혈);血熱의 妄行으로 인한 出血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例컨대 胃熱에 의한 吐血로서 血色이 鮮紅하고, 口乾咽燥하며, 舌强脣紅하고, 脈洪數한 경우, 서草筋, 阿膠, 黃芩, 側柏葉, 生地黃, 小계等을 쓴다.
直視(직시)
患者가 意識이 朦朧한 狀態에서 兩眼을 前向凝視하는데 眼睛에 神氣가 없는 症狀을 말함. 通常 其他의 腦神經症狀과 同時에 發生한다. 대개는 肝風內動의 所致이다. 中風, 驚風, 癎癲等病에서 볼수 있다.
直接灸(직접구)
艾柱를 直接 穴位의 皮膚상에 놓고 點燃하는 一種의 方法이다. 刺戟량의 대소와 瘢痕의 형성여부에 따라 瘢痕구와 무瘢痕구의 二種으로 나누어진다.
直中(직중)
病邪가 三陽經을 거쳐 傳變하지 않고, 直接 三陰經을 侵犯하는 것으로 發病時에 三陽經의 症候는 없고, 三陰經의 症候를 出現하는 것을 말함. 故로 直中三陰이라고도 함.
直中三陰(직중삼음)
「直中」의 項 參照.
直鍼刺(직침자)
十二刺法의 一種 病位가 比較的 얕은 한기를 治療하는데 쓰인다 그 자법은 皮膚를 집어 올리고 皮下에 刺入하되 심자하지 않는다 (靈樞「官鍼篇」)
疹(진)
「斑疹」의 項 參照.
唇(진)
口外에 唇이 있으며, (飛門)이라고도 함. 脾氣의 「散氣」作用에, 脾의 血液統攝機能이 添加되어 「營氣」를 全身에 輕布하므로, 口唇의 色澤鮮明與否가 脾의 機能을 反映하게 된다.
津(진)
「津液」의 項 參照.
鎭肝熄風(진간식풍)
「平肝熄風」의 項 參照.
津氣(진기)
이는 津을 機能에서 말한 것이다. 津은 맑고(淸) 묽어(稀) 陽에 속한다. 津의 肌膚를 溫養하는 機能이 氣의 輸布作用에 依存함은, 津의 活動이 氣와 分離할 수 없음을 말해주며, 津의 이러한 機能活動의 具體的 體現을 津氣라 한다.
眞氣(진기)
精氣라고도 함. 靈樞 刺節眞邪篇에서 “眞氣者 所受於天 與穀氣倂而充身(者)也”라 하였다. 이는 眞氣가 先天之氣(즉 先天的으로 받은 元氣)와 後天之氣(呼吸과 飮食에서 얻음)의 結合으로 이루어지며, 全身을 充養하는 것임을 說한 것이다. 人體의 各種機能活動과 抗病能力은 모두 眞氣와 直接 相關하므로, 眞氣는 人體의 生命活動의 動力이 된다.
眞頭痛(진두통)
頭痛증의 하나이다. 主要症狀은 頭痛이 劇烈하여 참기 어렵고 腦戶(後頭部의 穴位 風府穴의 上)까지 連하여 盡痛하며 肘膝關節以上의 手足이 厥冷한다. 先人은 이를 邪氣가 腦戶로 入한 所致로 認識하였다. 腦는 髓海로써 眞氣가 모이는 곳이며 受邪하면 疼痛을 참을수 없어서 頭痛증의 危重한 病證이 된다. 그 중의 一部는 頭蓋內의 疾患과 有關한 境遇도 있다.
診法(진법)
병을 診察하는 方法 四診과 辨證의 두개 部門을 包括한다. 四診은 望, 聞, 問, 切 등의 方法을 運用하여 病情의 客觀的 證據를 蒐集하는 것이고 辨證은 이들 證據에 對하여 分析 綜合하는 過程이다. 兩者를 相互 配合하여 正確한 診斷을 내린다.
眞水(진수)
「腎陰」의 項 參照.
眞實假虛(진실가허)
實邪가 結合된 病證에 도리어 虛弱과 類似한 假象이 出現하는 것. 이런 情況을 大實如贏狀이라고도 한다. 例컨대 熱厥證은, 熱邪의 鬱結이 깊을수록 四肢의 厥冷이 더욱 뚜렷해지는데, 脈을 初按하면 마치 沈伏한 것 같지만, 重按하면 手指에 有力한 反應이 있고, 舌質이 紅絳하며, 或은 焦黃苔가 있고, 或은 高熱 神昏 譫語 等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虛實의 眞假를 辨別함에는, 脈象과 舌象, 體質과 病歷등을 結合시켜 全面的인 分析을 하도록 注意 해야 한다. 그런데 實熱의 內閉에서 脫症으로 轉變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臨床上 特히 詳細히 辨別해야 한다.
鎭心(진심)
「重鎭安心」의 항을 참조.
眞心痛(진심통)
心絞痛(狹心症)과 類似하다. 主要症狀은 心前區에 發作性 絞痛이 있고 언제나 心胸의 閉悶感을 隨伴하며 甚하면 大汗, 肢冷, 紫紺等의 現狀이 나타난다. 心窩部의 疼痛(즉 胃脘痛, 古書에서는 心痛 心下痛이라고도 하였음)과 區別하기 위해 이렇게 이름한다.
眞牙(진아)
智齒(사랑니)를 말함. 「素問·上古天眞論」에서 “(女子)三七 腎氣平均 故眞牙生而長極”, 또 “(男子)三八 腎氣平均, 筋骨勁强, 故眞牙生而長極”이라 하였다. 이는 女子 21歲, 男子 24歲前後에 腎氣의 發育이 成人程度에 到達하므로 智齒가 生長하여 齒牙가 完全히 갖추어진다는 것이다.
津液(진액)
①一般的으로 體內의 一切 水液을 말함. ②飮食物의 精微가 胃 脾 肺 三焦等 臟腑의 共同作用을 通하여 化生된 營養物質. 津液이 經脈內의 것은 血液을 組成하는 成分이 되고, 經脈外의 것은, 組織의 間隙속에 고루 分布된다. 津과 液을 通常 倂稱하는데, 兩者의 性質 分布部位와 具體的 機能面에서는 다른 點이 있다. 津은 比較的 淸稀하여, 關節 腦髓 孔竅에 分布되어 이들을 濡養한다. 그런데, 全體機能面에서 말하면, 津과 液은 相互 影響을 미치고, 相互 轉化한다. 津液은 組織器官을 營養하고 潤澤케 할뿐만 아니라, 體內의 情況과 外界氣候의 變化에 따라, 體內陰陽의 相對的平衡에도 關係한다. 例컨대, 炎暑에 汗多하면 小便이 적고, 寒天에 汗少하면 小便이 많아진다. ③汗 혹은 小便을 뜻함. 例컨대, 靈樞 決氣篇에서 “腠理發泄 汗出溱溱 是爲津”이라 하였다. 이 津은 汗을 말한다. 또, 素問「靈蘭秘典論」에서, “膀胱者 洲都之官 津液藏焉”이라 하였다. 이 津液은 小便을 말한다. 汗出이 過多하거나 혹은 排尿가 過多하면(例 糖尿病, 尿崩症 等) 모두 一定程度以上으로 體內의 津液을 耗損케 한다.
眞陽(진양)
「腎陽」의 項 參照.
眞熱假寒(진열가한)
陽證이 陰證 비슷한 一種의 證狀이다. 病은 本來 熱證에 屬하는데, 熱이 極點에 達하므로, 手足冰冷, 脈細등의 假寒證象을 나타낸다. 假寒을 辨證하는 要點은 다음과 같다. 患者가 惡寒하지만 옷을 입거나 이불을 덮으려 하지 않고, 手足이 冰冷한데 胸腹은 灼熱하며, 아울러 煩渴, 咽乾, 口臭, 舌苔黃乾, 小便黃, 大便臭穢或秘結, 腹部脹痛, 脈細而按之有力 等의 證狀을 나타낸다. 實質上 이들은 모두 熱의 證候이다. 「陽盛格陰」의 項參照.
眞元下虛(진원하허)
「腎陽虛」의 項 參照.
振慄(진율)
「寒慄鼓含」의 項 參照.
眞陰(진음)
「腎陰」의 項 參照.
眞陰不足(진음부족)
「腎陰虛」의 項 參照.
鎭潛(진잠)
「潛鎭」의 項 參照.
眞臟脈(진장맥)
五臟의 眞氣가 露顯된 脈象이다. 五臟의 病이 嚴重한 段階에 이르면 해당 臟器의 精氣가 衰竭하고, 胃氣가 絶滅直前이 되므로, 各各 特殊한 脈狀을 나타내는데, 모두 胃, 神, 根의 脈氣가 없으며, 특히 從容과 和緩의 象이 없다. 그中 肝의 眞臟脈은 弦强勁急하며, 脈象의 緊張度가 매우 높아서 按脈하면 銳利한 칼날에 닿는듯하다. 心의 眞臟脈은 堅强하여 손을 치는 것 같다. 肺의 眞臟脈은 大하고 空虛하다. 緊의 眞臟脈은 꼰 줄이 끊어지는 듯이 손을 치고, 或은 手指으로 돌을 튀기는 것처럼 堅實하다. 脾의 眞臟脈은 軟弱 無力하며, 매우 느리고 不均하다(素問,玉氣眞臟論). 眞臟脈의 出現은 어떤 慢性病의 豫後를 診斷함에 있어서 一定한 臨床意義가 있다. 그러나 東西醫의 臟腑에 대한 개념이 다르므로, 臨證分析時에 억지로 適用해서는 안된다.
眞臟色(진장색)
五臟의 精氣가 發露된 색깔을 말함. 色診上 面部의 色澤이 明潤하게 含蓄된 것이 佳하다. 明潤은 胃氣가 있는 것이며, 含蓄은 五臟의 精氣가 充足한 것이다. 이에 反하여 枯槁한 것은, 胃氣가 없는 것이며, 色澤이 두드러지게 露顯되는 것은 五臟의 精氣가 衰竭한 것이다. 이와같이 枯槁하고 露顯된 色澤은, 五臟의 精氣가 已竭된 反映이며, 五臟의 眞氣가 밖에 發露된 것이므로 이를 「眞臟色」이라 稱한다. 이는 比較的 重한 內臟疾病임을 나타낸 것이다. 例컨대 黃色인 境遇, 面,目,全身이 枯槁하여 黃土와 같거나 或은 乾枯한 枳實과 같은 것을 脾의 眞臟色이라 하며, 脾가 이미 衰敗함을 表示한다. 滿期의 肝硬火, 肝癌, 膵臟癌 或은 어떤 重한 營養代謝障碍疾病 等에서 볼 수 있다. 眞臟色의 出現은 어떤 重한 病變의 診斷에 일정한 臨床的 意義가 있지만, 五行에 오色을 配合하는 說을 機械的으로 適用해서는 안된다.
振挺(진정)
正骨用의 打擊工具이다. 直徑 2-3cm의 小木棒이다. 用度 ①骨傷局部의 瘀血腫脹에는, 가볍게 患部의 周圍를 두드린다. ②頭, 胸의 打撲傷에는, 천을 頭部에 감고 가볍게 足心을 두드린다. 氣血의 流通, 瘀血, 腫脹을 돕는 作用이 있다.
眞睛破損(진정파손)
眼球에 異物에 찔리거나, 或은 跌仆하여 眼球에 穿孔된 것이며, 이는 一種의 重한 眼病이다. 처리를 잘못하면 失明하게 된다.
眞中風(진중풍)
「中風」의 項 參照.
診指紋(망지문)
指紋은 食指掌面의 淺表小淨脈을 말함. 幼兒의 皮膚는 薄嫩하여 靜脈이 쉽게 드러난다. 故로 指紋이 比較的 뚜렷하며, 以後 年齡이 增大됨에 따라 指紋이 增厚되면 指紋이 漸次 模糊不明瞭해진다. 小兒는 診脈部가 短小하고, 診病시에 매번 울고 躁動하므로 脈象의 眞實성에 影響을 미친다. 故로 3歲以下의 幼兒에게는 痛상 指紋의 變化를 結合시켜 切診의 補助로 삼는다. 診指紋은 主로 그 색깔과 充盈度를 觀察하는데, 檢査者는 左手의 食,모 二指으로 小兒의 食支末短을 잡고, 右手의모指로써 小兒의 食指를 指短에서 指根部를 향해 數次 가볍게 推動하여 指紋이 더욱 두드러지게 한 然後에 觀察한다. 正常指紋은 紅黃色이 隱隱하면서 鮮明하고, 一般的으로 掌部로 連하는 第一指節을 超過하지 않는다. 病理情況下에서 指紋이 浮現하는 것은 대개 表證에 屬하며, 沈着한 것은 대개 裏證에 屬한다. 色이 軟한 것은 대개 虛證寒證에 屬하고 紫紅色이면 대개 熱證에 屬하며, 靑紫色은 驚風 風寒 痛證 傷食 風痰等에서 볼 수 있고, 黑色은 대개 血瘀에 屬한다. 指紋의 分節과 伸延에 관한 問第는 透關射甲의 項을 參照할 것. 最近에는 指紋의 變化가 靜脈압과 有關한 것으로 본다. 靜脈압이 높을 수록 指紋의 充盈度가 커지고, 또 指尖方向으로 더 伸延된다. 指紋의 色澤은 또 酸素缺乏이나 貧血等의 病理變化와 有關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指紋은 어느 정도 病變의 性質과 輕重을 反映하게 된다.
䐜脹(진창)
䐜은 飽脹을 뜻함. 則 上腹部가 脹滿한 症狀이다. 대개 脾의 運化機能이 失調되고 消化不良에 의해 생긴다. 素問․陰陽應象大論에서 말한 “濁氣在上 則生䐜脹”이다.
診尺膚(진척부)
兩腕의 肘關節(尺澤血)下에서 寸口部位에 이르는 皮膚을 尺部라 한다. 尺部의 診察은 古代의 切診의 內容中 하나이며, 이곳 肌部의 潤澤, 粗糙, 冷熱 等의 情況診察을 包括하며, 全身症狀, 脈象 等과 結合시켜 病情을 測知하는 것이다. 이 診法은 현재 그다지 應用되지 않는다.
進鍼(진침)
內鍼이라고도 함 鍼刺手法의 하나이며 毫鍼을 체내에 刺入하는 方法이다 조작상 一般的으로 순안경맥 단안穴位등의 예비수법을 통하여 鍼을 천부에서 예정된 심도까지 刺入한다.
振寒(진한)
추워서 全身이 振動함을 形容한 것이며 추워서 몸이 떨린다는 뜻이다.
眞寒假熱(진한가열)
陰證이 陽證 비슷한 一種의 證狀이다. 病은 本來 寒證에 屬하는데,寒이 極點에 達하므로, 身熱, 面色浮紅, 口渴, 手足躁優不寧, 脈洪大等의 假熱現象을 나타낸다. 假熱을 辨證하는 要點은 다음과 같다. 患者가 몸은 熱한데, 衣服을 껴입고 이불을 덮으려 하며, 口渴하지만 많이 마시지 않으며, 手足은 躁優하지만 神志는 安定하고, 苔가 黑色을 띠더라도 滑潤하며, 脈이 洪大하지만 按之하면 無力하다. 實質上 이들은 모두 虛陽이 外表에 露顯된 一種의 假象이다. 陰盛格陽의 項 參照.
眞虛假實(진허가실)
虛弱한 病證이 嚴重한 段階로 發展하면, 도리어 强盛과 類似한 假象이 出現하는데, 이런 情況을 至虛有盛候하고도한다. 例컨대 嚴重한 貧血에, 高熱 脈洪大가 나타나서, 마치 陽明實熱證과 비슷하게 되는데, 脈이 洪大해도, 重按하면 葱管과 같은 芤脈이며, 舌質이 淡白 或은 嫩紅하고, 오래 된 黃苔가 없는 것이 그 鑑別點이다. 그러므로 虛實의 眞假를 辨別함에는 脈象과 舌象, 體質과 病力等을 結合시켜, 全面的인 分析을 하도록 注意 해야 한다.
診虛里(진허리)
切診中, 診胸腹의 內容의 하나이다. 虛里는 心尖搏動部位이며, 胃의 大絡이다. 사람은 胃氣를 本으로 삼으며, 虛리는 또 宗氣가 集結하는 곳이므로, 虛里의 動勢를 診하면 胃氣와 宗氣의 盛衰을 살피는데 도움이 된다. 正常的인 情況에서는, 虛里의 動勢가 按하면 應手하되 動而不緊하고 緩而不及하다. 만약 按하여 動態가 微弱한 것은 不及이며, 이는 宗氣의 內虛이다. 만약 動하여 衣服에 反應되는 것은 太過이며, 이는 宗氣의 外泄이다. 만약 搏動이 특히 빠르면 대개 胸腹部의 積熱이며, 邪氣가 熾盛하거나 或은 精氣가 衰하여, 虛陽이 外脫하는 것이다. 만약 躁動이 靜止되면 宗氣가 이미 絶滅한 것으로 病이 위?에 屬한다.
津血同源(진혈동원)
津液과 血은 모두 飮食의 精氣에서 來源하며, 相互資生하고, 相互作用을 한다. 津液의 耗損은 언제나 氣血을 同時에 虧虛케 하고, 氣血의 虧虛는 마찬가지로 津液의 不足을 惹起한다. 例컨대 大汗, 大吐, 大瀉 혹은 溫病으로 津液을 耗損했을 때, 往往 心悸氣短, 四肢厥冷, 脈微細 등 氣血虧虛의 證候를 續發한다. 大量失血후에는 언제나 口燥渴, 舌乾無津, 尿少便秘 等 津液不足의 現象을 나타낸다. 고로 靈樞 營衛生會篇에서, “奪血者無汗, 奪汗者無血”이라 하였고, 傷寒論에서도 항상 失血하거나 出血이 많은 환자(亡血家라 함)를 發汗시켜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見解와 經驗은 모두 津과 血사이의 密接한 關係를 말해 주는 것이다.
眞火(진화)
「腎陽」의 項 參照.
診胸腹(진흉복)
切診의 內容의 하나이다. 病者의 胸腹部를 切接하여, 病痛의 部位, 範圍의 大小, 冷熱, 硬度, 喜按 拒按의 性質 等을 알게 된다. 痞滿積液, 癥瘕, 積聚(包塊) 等流의 病變의 檢査方法으로도 쓰인다.
疾脈(질맥)
脈象의 一種. 脈象이 異常하게 急速하여, 醫師의 1回 正常呼吸에 患者의 脈搏이 7-8回(1分간 120-140回)에 달한다. 대개 陽熱極盛 陰氣欲竭의 所致이다. 熱性病의 熱邪이 極盛한 段階 或은 重證結核病, 心筋炎 等에서 볼 수 있다. 이밖에 姙産婦의 姙産시에도 疾脈을 볼 수 있다.
疾徐補瀉(질서보사)
古代鍼刺手法의 一種이다. 즉 緩慢하게 進鍼하여 신속히 出鍼하는 것이 補法이고, 신속히 進鍼하여 천천히 出鍼하는 것이 瀉法이다.
疾醫(질의)
「周禮․天官」의 記載에 의하면, 周代의 醫學은 四科로 나뉘었다. 즉, 「食醫」, 「疾醫」, 「瘍醫」, 「獸醫」이다. 疾醫는 現在의 內科醫에 該當한다.
癥疝(징산)
古病名이다. 主要症狀은, 臍中의 氣가 갑자기 脹滿하여, 胃腸이 手臂上으로 隆起 膨脹하며, 胃脘部이 疼痛한다.
癥瘕積聚(징가적취)
癥瘕와 積聚는 모두 腹內의 積塊이며, 或은 疼痛하는 一種의 病症이다. 癥과 積은 有形이며, 固定되어 移動하지 않고, 痛處도 一定하며, 病이 臟에 있고, 血分에 屬한다. 瘕와 聚는 無形이며, 聚散이 無常하고, 痛處가 一定하지 않으며, 病이 腑에 있고, 氣分에 屬한다. 적취는 中焦의 病變에 많고, 癥瘕는 下焦의 病變과 婦人科疾患에 많으므로, 名稱이 다르다. 이들 病因은 대개 情志鬱結, 飮食內傷 等에 起因하며, 肝脾를 受傷케 하여, 臟腑가 調和를 잃고, 氣機가 阻滯되며, 瘀血이 內停해서, 長期間에 걸쳐 漸次 蓄積되어 생긴다. 正氣의 不足이 本病發生의 主要原因이 된다.
搓鍼(차침)
鍼刺手法의 하나이다. 그 方法은 鍼을 體內에 刺入한 후 右手의 拇指와 食指로써 鍼을 한 방향으로 捻轉(실을 꼬듯이)한다. 이 方法은 鍼感을 强化하는 作用이 있다. 鍼을 捻轉할때 너무 빠듯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筋肉組織의 纖維가 달라붙어 激痛을 일으키는 것을 防止하기 위해서이다.
差後勞復(차후노복)
「勞復」의 項 參照.
錯經(착경)
「經行便血」의 項 參照.
着痺(착비)
「濕痺」의 項 參照.
錯語(착어)
病態하에서 患者의 精神이 맑으면서 言語가 錯亂되는데, 말한 後에 스스로 錯語를 알게 되는 症狀이다. 대개 心氣가 虛하고, 精神이 不足한 所致이다.
纂(찬)
「會陰」의 項 參照.
贊刺(찬자)
十二刺法의 一種 癰腫을 治療하는데 쓰인다. 그 刺法은 患部에 鍼을 直入直出하되 여러 차례 淺刺를 反復하여 患部에서 出血시킨다.(靈樞「官鍼篇」)
察目(찰목)
望診內容의 하나이다. 目의 神氣를 觀察함은, 內臟精氣의 盛衰을 아는 데 도움이 된다. 精氣가 充實하면 目에 有神하고 視物이 明瞭하다. 精氣가 衰하면 目에 無神하고 視物이 不明瞭하다. 素問「脈要精微論」에서 “夫精明者 所以視萬物 別白黑 審短長. 以長爲短 以白爲黑 如是卽精衰矣”라 하였다. 「察目」에는 또 그 色澤의 變化에 注意해야 한다. 「五色主病」의 項 參照.
參俉不調(참오붜조)
脈搏의 리듬이 不調하여, 搏動이 難澁한 것을 말함.
鑱鍼(참침)
古代 九鍼의 一種이다. 鍼의 頭部가 膨大하고 末端이 銳利하다. 淺刺에 쓰이며 熱病 皮膚病을 治療한다.
瘡家(창가)
①刀劍에 傷하여, 失血過多한 病因을 말함. ②平素 언제나 瘡․瘍․癤․癰이 있는 病因을 말함. 이러한 病因에 대하여, 張仲景이 傷寒論에서, 發汗法을 써서는 안된다고 하면서, 만약 汗出하면 痙攣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瘡癆(창로)
「流痰」의 項 參照.
倉廩之官(창름지관)
倉廩은 穀物의 貯藏倉庫이다. 倉廩之官은 脾胃를 뜻함. 素問 靈蘭秘典論에서 “脾胃者, 倉廩之官, 五味出焉”이라 하였다. 그 뜻은, 胃主受納, 脾主運化이며, 五味(飮食物)를 化生하는 本源이며, 臟腑器官과 全身에 營養을 提供하는 倉庫이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倉廩之官은 胃만을 뜻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倉廩之本(창름지본)
「腑輸精於臟」의 項 參照.
瘡瘍(창양)
外科의 臨床에서 常見되는 多發性 疾病이다. 外科疾患은 一般的으로, 瘡瘍과 腫瘍과 潰瘍이 包含된다. 例컨데 癰疽, 疔瘡, 癤腫, 流炎, 流注, 瘰癧等이다.
跖(척)
①足掌 발바닥. ②足大趾下面의 先端部分. 足大趾球部에 해당함.
脊(척)
脊椎骨을 말함. 漢醫書에서 말하는 脊은 대개 第一胸椎棘突起에서 아래로 第 4骶骨(仙骨)棘突起에 이르는 合計 21節(胸椎 12節, 腰椎 5節, 仙骨 4節)을 말함.
脊疳(척감)
疳積患者가 瘦瘠하여, 尺骨이 드러남을 形容한데서 由來한 名稱이다.
滌痰(척담)
원담을 蕩滌하는 方法이다. 例컨대, 痰飮이 脇下에 停滯되어, 咳嗽客痰할때, 脇下疼痛을 일으키고, 舌苔滑, 脈沈弦한 경우, 十棗湯(大棗, 芫花, 甘遂, 大戟)을 쓴다. 或은 實熱 老痰(宿痰)으로, 癲狂을 發하거나 或은 眩暈하며, 痰이 粘稠하고 많으며, 大便이 秘結되고, 舌苔黃厚而이하며, 脈象이 滑數有力한 경우는, 礞石滾痰丸(大黃, 黃芩, 礞石, 沈香)을 쓴다. 或은 痰이 粘稠하고 많으며, 咳嗽하여 氣가 上逆하면, 조角을 하存性으로 하여 細硏末해서 每服 5分씩 棗膏湯(或은 大棗전湯)으로 送下한다. 滌痰法은 峻烈하므로 虛弱者에게는 愼用해야 하며, 姙婦와 喀血京鄕이 있는 자에게는 忌用한다.
尺脈(척맥)
「寸, 關, 尺」의 項 參照.
尺部(척부)
「診尺部」의 項 參照.
跖破(척파)
跖은 발바닥을, 破는 절뚝거림을 말함. 足低의 病變으로 因해 破行함을 말함. 素問「通平虛實論」에서 “跖破 風寒濕之病也”라 하여, 本證은 風寒濕 등의 邪氣가 侵犯한 所致임을 說明하였다.
腨(천)
腓腸, 腓腨이라고도 함. 俗稱 小腿肚. 小腿部의 隆起된 腓腸筋部分. 장딴지.
燀(천)
「泡」의 項 參照.
天,人,地,三才補瀉(천,인,지,삼재보사)
「提揷補瀉」의 項 參照.
喘家(천가)
平素 喘息發作病이 있는 사람을 말함.
天癸(천계)
①男女의 腎精을 말함. 素問「上古天眞論」에서, “女子는 ……二七에 天癸가 이르로 任脈이 通하고, 太衝脈이 盛하여, 月事가 때로 下함……丈夫는……二八에 腎氣가 盛하여 天癸가 이르러 精氣가 溢瀉됨……”이라 하였다. 이에 依하건대, 天癸에는 性호르몬과 類似한 作用이 있다. ②婦人科에서는, 「天癸」를 때로 月經의 代稱으로 쓰고 있다.
穿踝疽(천과저)
「足踝疽」의 項 參照.
天廓(천곽)
「八廓」의 項 參照.
天灸(천구)
自灸, 冷灸라고도 함. 그 方法은 毛랑등의 植物(毛랑, 石龍예, 鐵線蓮, 鐵脚威靈仙等)의 新鮮한 全草를 찧어 粘狀을 만들어, 直徑 약 4cm의 술잔에 담아 緊壓하지 않도록 하여, 一定 穴位上에 固定시켜, 患者가 局部에 燒灼感이나 痛痒感을 느끼게 되면 곧 떼야 란다. 이때 皮膚上에 큰 甚黃色의 水泡가 생길 수 있다. 이럴 땐 消毒한 핀셋트로 水泡를 挑破하여, 局部에 消毒 塗布藥을 바르고, 瘡面을 保護한다(와세린,가아제등을 써서는 안된다).이 方法은 학疾, 哮喘, 關節炎 等病에 多用된다.
喘急(천급)
喘促이라고도 함. 이는 喘息의 發作으로 呼吸이 急促함을 形容한 것임.
喘鳴(천명)
喘氣할때 喉間에서 나는 痰鳴聲을 말함. 痰이 盛하고 喘을 일으키는 것을 痰喘이라 한다. 痰喘에 咳嗽를 兼發하는 것을 喘咳라 한다. 대개 慢性氣管支炎, 肺原性心臟病, 氣管支喘息等의 疾患에서 볼 수 있다.
穿牙疔(천아정)
「牙疔」의 項 參照.
腨연(천연)
素問「陰陽別論」에 있음. 腨은 腓腸筋(장단지)이고 연은 痠痛을 뜻함. 腓腸筋이 痠痛하는 症狀을 말함.
遷延痢(천연리)
「久痢」의 項 參照.
天應穴(천응혈)
「阿是穴」의 項 參照.
天人相應(천인상응)
人體의 組織構造, 生理現象 및 疾病이 自然界의 變化와 對應하는 關係를 말함. 「靈樞·邪客篇」에서 “此人與天地 相應者也”라 하였는데, 그 主要精神은, 醫師가 臨床에서 診斷하고 疾病을 治療할 때, 마땅히 四時氣候 등 各種 要因이 疾病의 變化에 미치는 影響에 注意해야 하며, 時·地·人에 따라서 適切하게 對處해야 함을 提示한 것이다. 이것은 天人相應學說의 積極的인 面인데, 이 學說에는 觀念論的인 內容도 包括되었다. 例컨대, 「天有日月 人有兩目」의 類이다. 그러므로 天人相應學說에 對해서는 批判的態度를 가지고 分析을 加하면서 對處해야 한다.
千日瘡(천일창)
「疣」의 項 參照.
天庭(천정)
「庭」의 項 參照.
天釣(천조)
小兒 驚風의 一種이다. 陳治의 幼幼近編에서, “天釣屬心肺積熱所致 其證涎潮(입안에 涎液이 많은 것) 搐搦項强痰鳴, 雙眸(兩眼睛)翻上, 爪甲色靑 皆痰熱壅滯上焦所致”라 하였다.
天柱骨(천주골)
「頸骨」의 項 參照.
天柱倒(천주도)
頸項이 軟弱無力하여 頭部를 아래로 드리우는 體徵을 말함. 대개 小兒의 發育不全 或은 老人의 體弱者에게서 볼수있다. 만약 久病에서 나타나는 境遇는 腎氣가 大虛하고 精神과 氣血이 俱衰한 徵候이다.
喘證(천증)
呼吸이 促急하고 甚하면 鼻翼이 煽動하며 或은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며 平臥하지 못하는 것이 特徵이다. 外感 혹은 內傷等의 疾患에서 볼수 있다. 臨床上 實喘과 虛喘의 二種類로 나눈다. ① 實喘 : 대개 風寒 혹은 痰濁, 痰熱等의 所致이다. 風寒으로 인해 惹起되는 境遇는 처음에 惡寒發熱等의 表症이 있고 痰濁으로 인해 惹起되는 境遇는 胸中滿悶하고 深하면 기침할 때 胸痛을 일으킨다. 이 兩者는 대개 急性氣管支炎, 氣管支喘息等의 疾患에서 나타난다. 痰熱로 인해 惹起되는 境遇는 發熱, 咳嗽, 痰盛, 胸痛, 煩躁等症을 나타낸다. ② 虛喘 : 대개 肺弱腎虛에 屬한다. 肺弱한 境遇는 喘促, 短氣, 咳聲低弱, 自汗畏風이 主證이다. 腎虛한 境遇는 呼多吸少하고 움직이면 喘이 甚하며 神疲肢冷이 主症이다.
喘促(천촉)
「喘急」의 項 參照.
天疱瘡(천포창)
이는 天行, 時氣와 有關한 一種의 瘡瘍이다. 대개는 內部에 濕熱이 鬱結되고, 外部에서 風熱暑濕의 氣를 感受하므로 생긴다. 瘡形이 水疱와 같고, 限界가 뚜렷하며, 水疱가 群生하고, 甚하면 疼痛化膿하며, 發熱 惡寒 等의 全身症狀을 隨伴한다.
喘咳(천해)
「喘鳴」의 項 參照.
天行時疫(천행시역)
「時病」의 項 參照.
天行赤目(천행적목)
四季의 風熱 毒厲의 氣를 感受한 所致이다. 그 主要症狀은 眼瞼(눈꺼풀)이 腫脹하며 眼瞼과 白睛(흰자위)이 紅赤, 痛痒, 流淚하며 眼眵(눈꼽)가 粘稠하다. 항상 兩眼이 前後해서 發病하거나 或은 同時에 發病한다. 本病은 곧 傳染性結膜炎이다.
天宦(천환)
「五不男」의 項 參照.
喘哮(천효)
「哮證」의 項 參照.
睫(첩)
睫毛라고도 함. 上下眼瞼의 邊緣에 있는 細毛로서, 灰塵과 强烈한 光線의 侵目을 防止하는 作用을 함. 즉 속눈썹이다.
睫毛(첩모)
「睫」의 項 參照.
睫毛倒入(첩모도입)
「拳毛倒睫」의 項 參照.
疊磚(첩전)
「攀索疊磚」의 項 參照.
淸肝瀉火(청간사화)
「瀉肝」의 項 參照.
淸肝火(청간화)
「瀉肝」의 項 參照.
靑光眼(청광안)
「綠風內障」의 項 參照.
淸宮(청궁)
「淸心」의 項 參照.
淸宮湯(청궁탕)
「淸心」의 項 參照.
淸金(청금)
「淸肅肺氣」의 項 參照.
淸金降火(청금강화)
「淸肅肺氣」의 項 參照.
淸氣(청기)
①水穀의 精微之氣를 말함. 즉 胃에서 肺로 傳注된 後, 다시 臟腑組織에 散布되는 營氣이다. ②秋季의 淸肅之氣, 혹은 肺에서 吸入되는 大氣를 말함. ③治法으로서, 「氣分」의 熱을 淸케 하는 것.
淸氣(청기)
性味가 辛한 或은 苦寒한 等의 藥物을 運用하여 裏熱을 淸解하는 것이다.熱性病邪가 氣分에 있는 경우에 適用하여 解熱 除煩하고 透熱 出表 시킨다.
淸氣凉營(청기양영)
「氣營兩淸」의 項 參照.
靑帶(청대)
婦女의 陰道에 流出되는 靑綠色의 粘膩하고 臭穢한 液體를 말함. 대개는 肝經의 濕熱이 下注된 所致이다.
靑代九科(청대구과)
靑代의 太醫員에서는 醫學의 分科가 不一致하여 五科로 나눈 것도 있는가 하면 十二科로 나눈 것도 있다 靑代九科는 18世紀때에 醫學을 大方脈, 傷寒, 婦人, 小方脈, 瘡瘍, 眼科, 口齒咽喉, 鍼灸, 正骨等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淸絡補陰(청락보음)
肺의 絡脈의 熱을 淸解하여 肺陰을 保구하는 方法이다.暑溫病을 治療한後 諸症이 消退했는데 咳而無痰하고 咳聲이 淸高함은 肺의 絡脈중에 아직 有熱하여 肺陰이 필연적으로 內熱에 의해 消耗되는 것이다.淸絡飮(鮮荷葉邊, 鮮金銀花, 西瓜熤衣, 鮮扁豆花, 絲瓜皮, 鮮竹葉心)에 甘草, 桔梗, 杏仁, 麥門冬, 知母를 加하여 쓰면 좋다.
淸絡飮(청락음)
「淸絡補陰」의 項 參照.
靑盲(청맹)
本病은, 肝腎이 不足하고, 精血이 虧損된데다가, 脾胃가 虛弱하여, 精氣가 눈으로 上達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처음에는 視力이 減退되고, 漸次 發展해서 失明하게 되는데, 이는 病程이 비교적 긴 一種의 慢性眼病이며, 視神經萎縮과 類似하다. 靑盲의 初期段階에서는, 患者가 視物이 흐릿하여 잘 보이지 않음을 自覺하는데, 이를 ‘視瞻昏渺’라 한다. 만약 眼前에 一片의 陰影이 보이고, 甚한 경우 靑綠 碧藍色 或은 赤黃色을 띤 것처럼 보이는데, 이를 ‘視瞻有色’이라 한다. 視力이 더욱 減退됨에 따라 失明하게 되는데, 兩眼에 外觀上으로는 異常이 없는 것을 ‘靑盲’이라 한다.
淸法(청법)
「淸熱法」이라고도 함.이는 寒凉한 性質의 藥物을 써서 火熱症을 淸除하는 것으로 淸熱,士禍,凉血,祛暑,生津,解毒의 作用이 있다.熱性病과 기타雜病 그리고 膿瘍症에서 出現하는 熱症 等에 적용된다.熱性病에 사용하는 淸熱法은 病邪의 深淺程度에 따라 使用淸法을 衛分,氣分,營分,血分을 淸解하는 것으로 나누어야 한다.각 臟腑의 熱은 各臟腑가 表現하는 病症의 차이에 따라 臟腑의 熱을 淸解하는 方法을 分別해서 採用해야 한다.淸法중의 苦寒淸熱法은 實熱症에 적용되고 甘寒淸熱法은 虛熱症에 適用된다.淸法을 久用해서는 안된다.특히 苦寒淸熱法은 脾胃를 損傷하여 消化에 影響을 미친다.大病後에 體質이 虛弱한 경우나 婦女의 産後에는 淸法을 愼用해야 한다.
淸邪(청사)
①空間에 있는 霧露의 邪氣를 말함. 金匱「臟腑經絡先後病脈證」에서 “淸邪居上 濁邪居下”라 하였음.
淸暑利濕(청서이습)
夏季의 暑濕證을 治療하는 方法이다.暑濕의 邪로 인해 惹起되는 發熱, 心煩, 口渴, 小便不利 等症에 六一散(滑石6兩, 甘草1兩을 共硏細末하여 매일 3-4錢씩 水煎服한다.)을 쓴다.
淸泄少陽(청설소양)
淸泄法으로 熱性病의 病邪가 半表半裏(少陽)에 있는 것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春溫病의 初期에 冷熱이 교대로 發하고 口苦脇痛하며 胸悶欲嘔하고 小便이 混濁하며 舌質紅, 苔黃膩, 脈弦滑而數한 경우에 蒿芩淸膽湯(靑蒿稍, 淡竹茹, 仙半夏, 赤茯苓, 黃芩, 生地殼, 橘皮, 碧玉散「注:碧玉散은 滑石, 甘草, 靑黛로 組成됨」을 쓴다.
淸肅肺氣(청숙폐기)
「淸金」, 「淸金降火」라고도 함. 肺가 熱하며, 肺氣가 上逆하는 症候를 治療하는 方法이다. 肺氣는 下行하는 것이 順理인데, 만약 火熱이 迫肺하여, 肺氣가 暢通하지 못하고 上逆하면, 咳嗽氣逆, 黃痰喀出, 口乾渴, 舌質紅, 苔黃, 身熱불惡寒, 脈浮數 等症을 發하게 된다. 咳嗽氣逆은 곧 肺氣上逆이며, 그 밖의 症狀은 肺熱의 表現이다. 肺熱을 淸解하고, 肺氣를 下降하는 藥物을 應用하는 것이 淸肅肺氣이다. 쓰이는 약은, 桑白皮, 魚腥草, 蘆根, 板藍根, 金銀花, 蘇子, 前胡, 枇杷葉 等이다. 淸金과 淸金强化는, 모두 肺熱을 淸解하는 것인데, 肺氣를 下降하는 藥을 補助로 써야 하므로 같은 종류의 治法이다.
淸心(청심)
「淸心滌熱」, 「淸宮」이라고도 함. 熱性病의 熱邪가 心包에 轉入된 것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熱邪가 心包에 轉入된 症狀은 神昏하고 橫說竪說 헛소리 하는 것을 爲主로 高熱煩躁不安 하며 舌質絳, 脈細數을 나타내는데 淸宮湯(元蔘心, 蓮子心, 竹葉卷心, 連翹心, 連心麥門冬, 犀角尖)을 쓴다. 「궁」은 心포를 말함.
淸心開竅(청심개규)
「淸熱開竅」의 項 參照.
淸心滌熱(청심척열)
「淸心」의 項 參照.
淸陽,濁陰(청양,탁음)
「淸陽」은 體內의 輕淸 昇發之氣를 뜻하며, 「濁陰」은 體內의 重濁한 物質을 뜻함. 「素問·陰陽應象大論」에서 “淸陽出上竅 濁陰出下竅 淸陽發腠理 濁陰走五臟 淸陽實四肢 濁陰歸六腑”라 하였다. 이 뜻은, 陽은 氣를 主管하며 輕淸 上昇한다. 故로 淸陽(主로 呼吸之氣를 말함)은 耳·目·口·鼻 등의 上竅로 出한다. 陰은 形을 主管하며 重濁 下降한다. 故로 濁陰(主로 大小便을 뜻함)은 前後陰 등의 下竅로 出한다. 陽은 衛外를 主管하므로 淸陽(衛氣로 解釋된다)는 肌表의 腠理로 發한다. 陰은 內守를 主管하므로, 濁陰(水穀精微의 濃濁部分을 뜻함)은 體內의 臟腑 등 組織機關으로 內走한다. 四肢는 諸陽의 本이 되므로 淸陽(衛外의 陽氣)은 四肢를 充實케 한다. 六腑는 水穀을 傳化하므로 濁陰(飮食水穀)은 六腑로 歸流한다. 古人은, 淸陽·濁陰을 相對的으로 써서, 具體的이고 비교적 普遍的인 生理現象을 闡明하였다. 아울러 이로써 陰陽互根의 原理를 說明하였다. 故로 淸陽과 濁陰에 대한 理解에 總的槪念이 있지마는 實際情況과 結合시키면 그 뜻이 때로는 같지 않을 수 있다.
淸陽發腠理(청양발주리)
「淸陽, 濁陰」의 項 參照.
淸陽不昇,濁陰不降(청양불승,탁음불강)
昇淸降濁 機能의 障碍를 말함. 脾胃의 陽氣가 不足하여 運化機能이 減弱되면, 水穀의 腐熟이나 精微의 化生이 안되고, 도리어 聚濕 生痰해서, 中焦를 阻滯하여 淸陽不昇 濁陰不降의 病理變化를 形成하게 된다. 主要 病狀은, 頭重眩暈 胸悶腹脹 食少 倦怠 大便溏瀉 舌苔白膩 脈濡滑 등이다.
淸陽實四肢(청양실사지)
「淸陽, 濁陰」의 項 參照.
淸陽出上竅(청양출상규)
「淸陽, 濁陰」의 項 參照.
靑如草玆(청여초자)
「素問,五臟生成篇」에 있음. 이는 肝의 眞臟色이다. 草玆는 枯死한 靑草로서, 枯草와 같은 靑黑의 病色을 形容한 것이며, 風邪가 極盛하거나 胃氣가 絶하려고 하는 病, 例컨대 小兒慢驚風이나 破傷風의 遲屬的인 痙攣狀態 等에서 나타난다. 「眞臟色」의 項 參照.
淸熱開竅(청열개규)
「淸心開竅」라고도 함. 熱症에 의한 神昏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淸熱開竅에는 芳香性開竅藥과 淸熱藥을 同用한다. 例컨대 熱性病으로, 高熱神昏하며, 譫語하고 煩躁不安하며, 四肢抽搐, 脣焦齒燥한 경우, 그리고 小我驚厥의 熱症 等에는 紫雪丹(寒水石, 石膏, 磁石, 滑石, 升마,元蔘, 羚羊角炒, 靑木香, 犀角炒, 沈香, 丁香, 甘草)을 쓴다.
淸熱法(청열법)
「淸法」의 項 參照.
淸熱熄風(청열식풍)
「瀉火熄風」의 項 參照.
淸熱利濕(청열이습)
濕熱이 下注하여 小便脹急, 小便濁赤, 排尿澁痛, 淋瀝不暢, 舌苔黃膩한 경우.八正散(車前子, 木通, 瞿麥, 扁蓄, 滑石, 甘草稍, 梔子仁, 大黃)을 쓴다.
淸熱解毒(청열해독)
여기서 말하는 毒은 火熱이 極盛한 所致인 「熱毒」 或은 「火毒」을 말함. 熱邪를 淸解하고 熱毒을 解하는 藥物을 써서 熱性病의 裏熱이 盛하여 發하는 癰瘡, 癤腫疔毒, 斑疹等을 治療하는 것이 淸熱解毒法이다. 常用藥은 金銀花, 連翹, 板藍根, 紫花地丁, 半枝蓮 等이다.
淸熱解暑(청열해서)
淸熱藥을 써서 暑熱을 感受하여 濕邪를 兼하지 않은 症狀을 解除하는 方法이다.熱邪가 營分에 轉入되어 高熱煩躁한 症狀을 위주로 夜間睡眠不安, 舌絳而乾, 脈細數, 口渴 等症을 나타내지만 우려가 없는 경우는 淸營湯(犀角, 生地黃, 元蔘, 竹葉, 麥門冬, 丹蔘, 黃連, 金銀花, 連翹)을 쓴다.
淸熱化痰(청열화담)
「化痰」의 項 參照.
淸熱化痰開竅(청열화담개규)
小我의 痰熱에 의한 神昏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小我의 痰熱이 內壅하여, 發熱昏睡, 呼吸氣粗, 驚厥發生, 四肢抽축하는 것은 急驚實證에 屬한다. 抱龍丸(天竺黃, 雄黃, 朱砂, 麝香, 陳膽星)을 쓴다.
淸熱化濕(청열화습)
「化濕」의 項 參照.
淸營(청영)
「淸營泄熱」이라고도 함. 熱性病의 營分의 熱邪를 淸除하는 方法이다. 熱邪가 營分에 轉入되어, 高熱煩躁한 症狀을 爲主로, 夜間睡眠不安, 舌絳而乾, 脈細數, 口渴 等症을 나타내지만, 厲害가 없는 경우는 淸營湯(犀角, 生地黃, 元蔘, 竹葉, 麥門冬, 丹蔘, 黃連, 金銀花, 連翹)을 쓴다.
淸營泄熱(청영설열)
「淸營」의 項 參照.
淸營湯(청영탕)
「淸營」의 項 參照.
淸營透疹(청영투진)
營分의 熱을 淸解하고 아울러 疹이 밖으로 나오게 하는 方法이다. 病人이 高熱煩躁, 夜間睡眠不安, 口渴不甚, 舌絳而乾, 脈細數 等症을 나타내는데 細生地黃, 牧丹皮, 大靑葉等을 써서 營分의 熱邪를 淸解하고 金銀花, 連翹, 苦桔梗, 薄荷, 竹葉, 牛蒡子 等을 써서 透疹케 한다.
淸瘟敗毒飮(청온패독음)
「凉血解毒」의 項 參照.
淸腸潤燥(청장윤조)
大腸이 燥熱하여 便秘가 되는 症候를 治療하는 方法이다. 大便乾結, 口臭脣瘡, 面赤, 小便短赤, 苔黃燥, 脈滑實한 경우, 麻仁丸(麻仁, 芍藥, 枳實, 大黃, 厚朴, 杏仁)을 쓴다.
淸燥救肺湯(청조구폐탕)
「濕劑」의 項 參照.
淸肺飮(청폐음)
下病上取의 項 參照.
靑風(청풍)
‘五風內障’의 項 參照.
圊血(청혈)
「淸」과 「圊」은 옛날에 同義였으며, 厠所(뒷간)을 뜻함. 便所에서 大便時에 出血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便血」의 項 參照.
體氣(체기)
狐臭라고도 함. 濕熱이 腠理의 汗孔에 鬱結된 所致이다. 遺傳性인 것도 있다. 排出되는 汗液에 코를 찌르는 특유한 냄새가 난다. 狐臭는 대개 腋窩部에서 發하며, 重한 경우는, 乳暈, 臍部, 鼠蹊部, 陰部 等處에서 모두 穢臭가 난다.
涕爲肺液(체위폐액)
「五臟化液」의 項 參照.
滯頤(체이)
小兒가 항상 口涎을 흘려서, 涎液이 頤下로 적시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대개 脾氣가 虛冷하거나 或은 實熱로 因해, 津液을 制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滯鍼(체침)
鍼法操作時에 나타나는 異常反應이다. 毫鍼을 體內에 刺入한 후, 捻轉提揷(搗鍼)이 안되고, 혹은 手法의 操作이 困難한 現象이 나타나는 것이다. 대개는 病人의 精神緊張에 起因하여 筋肉에 痙攣을 일으키거나 혹은 捻轉手法의 폭이 너무 커서 筋의 纖維가 鍼尖에 달라붙은 所致이다. 處理方法은 먼저 病人의 걱정을 해제시키고 然後에 滯鍼部位의 周圍를 가볍게 按摩하고 아울러 鍼을 약간 提揷하며 혹은 그 부근에 다시 一鍼을 刺하여 局部의 筋肉을 弛緩시킨 다음 鍼을 拔出한다.
體鍼(체침)
鍼으로 身體 各部의 經脈 穴位를 刺하는 鍼刺療法을 말하는 것이며, 이는 耳針 등에 相對해서 하는 말이다.
炒(초)
藥材를 鍋中에 넣고 加熱하면서 계속 저어 볶는 것. 그 정도에 따라 5種類로 나뉜다. 1)微炒: 藥物의 表面에 수분이 가시고 약간 乾燥하도록 볶는 것이며 현저한 변화가 없다. 2)炒爆: 藥材가 爆裂할 정도로 炒하는 것이며, 種子類의 藥物로서 예컨대 王不留行은 文火(弱火)로 種皮가 爆開하도록 炒한다. 3)炒黃: 藥材가 약간 黃色을 띠게 되고 특수한 香氣가 날 정도로 炒하는 것이며, 예컨대 炒麥芽 炒穀芽 등이다. 4)炒焦: 藥材의 表面이 褐色으로 炒하고 內部가 深黃色이 되도록 炒하는 것이며, 예컨대 神麯 白朮 등이다. 5)炒炭: 藥材全部가 焦黑色이 되면 그 중간은 그냥 黃褐色이 되도록 炒한는 것이며 이를 「炒存性」이라고도 한다. 예컨대 地楡 生地黃 등이다.
炒灸(초구)
「灸」의 項 參照.
椒餠灸(초병구)
白胡椒의 粉末에 밀가루와 물을 加하여 薄餠을 만들어 쓴다. 餠의 中心에 丁桂散藥末(丁香, 肉桂)을 少量 놓고 그 위에서 艾炷로 施灸한다. 慢性風濕性關節炎에 多用된다.
草藥(초약)
어떤 藥用植物은 一般 韓藥書에는 記載되지 않았으면 혹 記載되었더라도 現在 一般醫師들은 거의 쓰지 않고 民間藥으로 쓰이는 藥用植物을 草藥이라 한다. 最近에는 草藥의 사용이 廣範해져서 國民 保健에 寄與하고 있다.
炒存性(초존성)
「燒存性」의 項 參照.
炒存性(초존성)
「炒」의 項 參照.
初持,久持(초지,구지)
脈診시의 按壓時間을 相對的으로 짧게 或은 길게 한는 것을 말함. 보통, 按壓時間은 1分前後면 된다. 그러나 어떤 脈象, 例컨대 間歇脈(觸脈,結脈,代脈)인 境遇는 3-5分間 按壓해야만 明白한 診察이 된다. 이밖에 또 어떤 病人은 診脈의 環境에 익숙치 못하여, 脈氣에 影響을 미치어, 初持에는 假象을 나타내기 쉬워서, 久持하여 矯正하게 된다.
椒瘡(초창)
本病은 外界의 毒邪를 感受하고 脾胃에 본래 積熱이 있는데다가 風邪가 外襲함으로써 胞瞼(눈꺼풀)의 脈絡이 滯壅되고 氣血이 失調되기 때문에 생긴다. 그 主要症狀은 眼瞼內의 瞼胞에 細小한 顆粒狀의 病變이 생겨 形狀이 椒花와 같으므로 「椒瘡」이라 한다. 本病은 곧 砂眼(트라코마)이다. 患者는 眼內에 沙澁 痒痛을 느끼고 羞明 流淚하며 제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眼瞼과 角膜을 損壞하여 翳障이 遺留하게 되어 視力에 영향을 미친다.
炒焦(초초)
「炒」의 項 參照.
炒炭(초탄)
「炒」의 項 參照.
炒爆(초폭)
「炒」의 項 參照.
炒黃(초황)
「炒」의 項 參照.
促脈(촉맥)
脈象의 一種. 脈象이 急, 數하며, 不規則한 間歇性이 있다. 陽熱이 熾盛한데, 氣滯, 血瘀, 停痰, 食積, 및 風濕性心臟病, 冠不全證, 等을 兼有한 境遇에 多見된다.
觸診(촉진)
「切診」의 項 參照.
寸,關,尺(촌,관,척)
寸口脈을 三部로 나눈 名稱이며, 橈骨莖狀突起部位가 關이고, 關의 前部(腕쪽)가 寸이며, 關의 後部(주쪽)가 尺이고, 寸․關․尺 三部의 脈動을 各各 寸脈, 關脈, 尺脈이라 分別해서 稱한다. 三部脈로 臟腑를 살피는 問第에 關하여, 歷代의 論說이 매우 많지만, 基本精神은 一致된다. 卽 臨床上 常用되는 代表的인 區分方法은 다음과 같다. 左手의 寸脈은 心에 候하고, 關脈은 肝에 候하며, 尺脈은 腎을 候한다. 右手의 寸脈은 肺를 候하고 關脈은 脾胃를 候하며, 尺脈은 命門을 候한다. 요컨대 上의 寸脈으로 身體의 上部를 살피고(候), 下의 尺脈로 身體의 下部를 候한다는 原則이다. 이밖에 또 浮,中,沈 等 各異한 按壓方法을 結合시켜, 各方面에 比較하여 正確한 脈象을 求하고, 다시 四診과 結合分析함으로써 비로소 比較的 正確한 診斷을 얻을 수 있다. 단지 脈診에만 依存할 수 없으며, 또 三部로 臟腑를 살피는 方法을 機械的으로 다룰 수도 없다.
寸口(촌구)
兩手의 橈骨頭의 內側, 搏動脈의 診脈部를 말함. 氣口, 或은 脈口라고도 함. 臟腑經絡學說의 觀點에 依하면, 寸口는 手太陰肺經의 動脈에 屬하며, 肺는 氣를 主管하고 白脈이 모이는 곳이다. 肺의 經脈은 中焦脾胃에서 起하며, 脾胃는 臟腑氣血의 營養의 源泉이 된다. 그러므로 全身의 臟腑 經脈 氣血의 情況이 寸口의 脈象에 體現된다.
寸脈(촌맥)
「寸, 關, 尺」의 項 參照..
寸白虫(촌백충)
囊虫에 感染된 牛肉이나 猪肉을 生食하므로 感染된다. 「古今醫統 虫候有九」에서 “寸白虫 長一寸 子孫繁生 長至四, 五尺 亦能殺人”이라 하였다.
叢毛(총모)
「聚毛」의 項 參照.
葱白七味飮(총백칠미음)
「養血解表」의 項 參照.
叢書(총서)
各種의 單獨 著作을 하나로 모아서 印刷한 書籍이다. 醫書중에 가장 일찍 叢書로 만들어진 것은 元代 두사경의 제생발졸(1315년)이며 금원의가 著作 19종이 包括되었다. 일가 或은 사제등이 著述한 醫書를 합쳐서 印刷한 것을 일가叢書라 한다. 例컨대 장씨의통(1695년)은 靑代 강로 장증, 장탁 삼인의 著作을 包括할 것이다. 宋代에 이르러 동파의 동파醫學론저삼종은 각기치법총요, 小兒반진비급방론, 여사비요방등(1093年)이 包括된 個人의 醫學叢書이다. 明 靑代以後, 叢書가 漸次 增加되어 그중에는 歷代의 많은 珍貴한 醫書가 保存되고 있다.
葱豉湯(총시탕)
「辛溫解表」의 項 參照.
葱豉湯(총시탕)
「小方」의 項 參照.
叢鍼(총침)
약간수의 길이가 같은 毫鍼을 한곳에 幷列하여 鍼尖을 가지런히 하는 것을 叢針이라 한다 治療時에는 손으로 鍼柄을 잡고 鍼尖을 皮膚表面에 놓고 挑撥 淺刺한다.
撮空(촬공)
患者가 意識이 不明하며, 兩手를 空間으로 뻗고 뭣을 잡으려고 하는 症狀을 말함. 患者가 兩手를 위로 들고, 拇指와 食指를 계속 비비는 것을 것을 「撮空理線」이라 한다. 이는 病이 重하여 元氣가 곧 雜脫되려는 表現이다.
撮空理線(촬공이선)
「撮空」의 項 參照.
撮口(촬구)
「臍風」의 項 參照.
催乳(최유)
通乳,下乳라고도 함. 産後의 缺乳(無乳汁,乳汁少量)를 治療하는 方法이다. 1)補益氣血: 氣血이 虛弱한 경우에 適用된다. 그 臨床表現은 乳汁이 全無하거나 혹은 적으며 乳房에 脹痛感이 없고 脣燥色淡하며 舌淡無苔하고 脈이 虛細하다. 黨參 黃芪 當歸 麥門冬 桔梗 通草 等藥을 쓴다. 2)行氣通絡: 氣滯不通한 경우에 適用된다. 그 臨床表現은 無乳汁 혹은 量少하며 乳房이 脹滿疼痛하고 혹은 身熱을 느끼며 精神抑鬱, 胸脇不舒, 胃脘脹滿, 苔薄, 脈弦 等이다. 當歸 川芎 柴胡 香附子 穿山甲片 王不留行 等藥을 쓴다.
催吐法(최토법)
「吐法」의 項 參照.
皺脚(추각)
「子腫」의 項 參照.
推罐(추관)
走罐이라고도 함. 拔罐療法의 一種이다. 腰背部에 多用한다. 罐口가 메끄러운 罐을 選擇하여, 局部의 皮膚에 少量의 油脂를 바르고, 火罐을 씌운 후, 皮膚上을 平行으로 上下左右로 수차 移動시킨다.
抽根(추근)
「轉筋」의 項 參照.
秋毛(추모)
正常脈象의 秋季에 있어서의 變化를 말함. 毛는 輕微의 뜻. 秋季는 陽氣가 春夏의 發越에서 收斂으로 轉向하므로 脈象의 搏動幅도 이에 相應하게, 洪盛에서 減弱되어, 약간 浮가 된다.
秋應中衡(추응중형)
「素問,脈要精微論」에 있음. 衡은 古代의 平衡(밸런스)을 測量하던 器具이다. 秋應中衡은 秋季의 脈象을 衡器에 비유하여, 약간 輕平 虛浮함을 表現한 것임.
秋燥(추조)
秋燥는 秋悸에 燥邪를 感受해서 생기는 疾病이다. 病邪가 口鼻에서 侵入하여 처음에는 眞氣가 乾燥한 症狀이 나타난다. 예컨대 鼻咽乾燥, 乾咳少痰, 皮膚乾燥등이다. 燥에는 二種類의 相異한 性質이 있다. 하나는 寒에 치우치고 하나는 熱에 치우쳐 臨床上 凉燥 溫燥의 二種類型으로 나뉜다. 詳細한 것은 該當項을 參照.
抽風(추풍)
「瘛瘲」의 項 參照.
縮脚流注(축각유주)
原因은 「暑濕流注」과 같다. 腸骨窩部의 肌肉深部에 생긴다. 처음에 患側의 大腿가 拘攣하여 不自由하고 漸次 上縮해서 伸直이 안되며 무리하게 펴면 劇痛한다. 腸骨窩부에 圓形腫塊가 만져진다. 化膿후에 누르면 柔軟한데 皮膚色은 不變하고 全身의 壯熱, 自汗, 消瘦, 面色광白, 舌質紅絳, 脈細數 等症을 나타낸다. 腸骨窩 膿腫의 類이다.
縮脚腸癰(축각장옹)
「腸癰」의 項 參照.
畜門(축문)
外鼻孔, 즉 鼻孔을 말함.
逐水(축수)
「寒下」法의 (3)을 말함.이는 水腫의 實證을 治療하는 方法이다.瀉水 作用이 峻烈한 藥物(例:牽牛,甘遂,芫花,大戟,商陵等)을 써서 大量의 水分을 瀉出시킨다.
逐水法(축수법)
「寒下」의 項 參照.
蓄水證(축수증)
足太陽膀胱腑證이다. 主要症狀은, 小便不利, 小腹滿, 睡眠不安하며, 心煩하고, 물을 마셔도 口渴을 느끼며, 약간 惡熱하고, 頭痛하며, 脈象이 浮하다. 이는 發汗後에도 表邪가 未解하여, 膀胱의 氣化機能이 失調되므로, 水가 下焦에 停滯된 所致이다.
逐瘀(축어)
「破瘀消癥」의 項 參照.
祝由(축유)
古代에 祝說病由라는 迷信的方法으로 疾病을 治療한 것을 祝유라 하였다. 祝說이라 鬼神의 일과 통하는 것처럼 옷차림을 하고 鬼神에게 災難을 면하고 病人의 疾病苦痛을 解除하도록 祝수하는 것이다. 古代의 衛生機構에는 대개 祝유과 或은 呪禁科등이 設置되어 있었다.
축한開竅(축한開竅)寒症에 屬하는 神昏을 治療하는 方法이다. 例컨대 腦血管痙攣의 突然昏倒로, 人事不省하고, 面色靑白, 手足發凉, 脈沈한 경우, 蘇合香丸(白朮, 朱砂, 訶黎근皮, 麝香, 香附子, 丁香, 沈香, 畢撥, 檀香, 靑木香, 安息香, 地殼초, 熏陸香, 蘇合香, 龍腦)을 쓴다.
蓄血(축혈)
「瘀血」의 項 參照.
蓄血鼓(축혈고)
「血鼓」의 項 參照.
蓄血證(축혈증)
傷寒太陽腑證의 一種의 證候이다. 主要表現은, 身熱하고, 神志가 如狂하며, 少腹이 脹滿하고, 拘急不舒하며, 小便이 自利한다. 이는 表熱이 經脈을 따라 入裏하여, 血과 相搏해서, 瘀熱이 少腹에 阻滯되어 心神을 上擾하는 所致이다. 重症일 경우는, 少腹이 硬滿하고, 小便自利하며, 發狂하고, 或은 身體에 發黃하되 색깔이 瘀暗하며, 脈이 沈結하다.
春溫(춘온)
春季에 發生하는 溫病이다. 그 臨床特徵은 처음에 裏熱症邪으로서 高熱, 口渴, 心煩, 小便赤들이 나타난다. 혹은 畏寒裏熱하고 迫冷, 身熱, 無汗, 口渴, 頭痛, 身病, 煩燥不安, 咽乾, 舌質紅, 脈細數等症이 나타난다. 裏熱이 熾盛할 때는 發斑, 神昏, 四肢抽畜等 症이 나타난다. 流行性腦脊髓膜炎等에서 볼 수 있다.
春應中規(춘응중규)
「素問,脈要精微論」에 있음. 規는 古代의 圓形을 校正하던 工具로서 콤파스類임. 春應中規는 春季의 脈象을 圓形에 比喩하여, 약간 圓滑하고 流暢함을 表現한 것임.
春弦(춘현)
正常脈象의 春季에 있어서의 變化를 말함. 弦은 脈勢가 弦線을 퉁기는 것 같음을 形容한 것이며, 脈氣가 流暢하며 堅緊하고 곧다. 春季는 陽氣가 上昇하고 生發機能이 比較的 滑發하므로 脈象도 現象을 나타낸다.
怵惕(출척)
恐懼의 刺戟을 받아서 일어나는 心跳不安을 말함.
出鍼(출침)
引鍼 排鍼 拔鍼이라고도 함 鍼刺를 완료한 후 한손으로 穴位를 고정하고 한손으로 鍼을 잡아 염전하면서 혹은 直接 위로 제鍼하는 등의 수법으로 鍼을 체외에 拔出하는 것이다
虫鼓(충고)
寄生蟲으로 인해 예컨데 吸血虫等에 의해 惹起되는 鼓脹을 虫鼓라 하며 蠱脹이라고도 함. 或은 蠱라고도 略稱함. 臨床表現은 처음에 腹部가 脹滿하며 脇下에 痞塊가 있고 以後 腹水가 점차 增加하면 面色이 蒼白 或은 萎黃 或은 晦黑해지고 肌肉이 消瘦하며 食量이 減少되고 倦怠無力해진다. 病因은 忠毒이 內部에 結聚되어 肝氣가 損傷되고 脈絡이 瘀塞되어 升降에 異常을 招來하여 淸濁이 뒤섞이기 때문이다.
衝脈(충맥)
奇經八脈의 하나. 小腹內(胞中)에서 起始하여 脊椎骨內部를 沿하여 上行한다(靈樞·五音五味篇). 同時에 또 陰部兩側(氣衝穴部位)에서 開始하여 臍의 兩傍을 끼고 上行하여 胸部에 이른다(素問·骨空論). 本經에 有病하면, 主로 哮喘 腹痛 腸鳴 月經不調 不姙症 等의 症狀과 病症이 나타난다.
虫斑(충반)
蟲積에 의해, 頭面 惑은 頸部에 繼發되는 糠狀 鱗屑의 皮膚病이다. 皮膚의 損傷은, 邊綠이 뚜렷한 圓形 惑은 楕圓型의, 灰白色 惑은 淡白色의 斑이며, 위에는 少量의 灰白色 糠狀의 鱗屑로 덮여있고, 대개 自覺症狀은 없다. 單純性粃糠疹 惑은 白色粃糠疹의 類이다.
沖服(충복)
方劑中의 沈香 木香등 芳香藥의 飮片은 먼저 碗에 넣는다. 그 이외의 藥은 물을 붓고 잘 煎煮하여 뜨거울 때 碗에 부어 잠시 浸積한 다음, 따뜻할 때 藥湯만을 服用한다. 또한 少量의 散劑에 藥湯을 붓고 따뜻할 때 攪拌하여 服用하는 方法도 있는데 「調服」과 같다.
沖服劑(충복제)
韓藥을 精鍊 流出하여 조후한 고상을 만들어 適量의 糖分 교미제등으 가하여 果粒상의 散劑를 만든다. 이를 一定한 분량으로 나누어 병에 넣고 봉구한다. 服用時에 湯水에 녹여서 마신다.
虫獸傷(충수상)
虫獸등 各種動物에 의한 致傷이며, 蛇傷, 大咬傷, 昆虫의 刺傷 등을 包含함.
衝陽脈(충양맥)
「趺陽脈」의 項 參照.
衝爲血海(충위혈해)
「肝主血海」의 項 參照.
衝爲血海,任主胞胎(충위혈해,임주포태)
「衝任損傷」의 項 參照.
衝任不固(충임불고)
「衝任損傷」의 項 參照.
衝任損傷(충임손상)
衝․任 二脈이, 肝腎의 氣血失調나 혹은 感染으로 因해 일으키는 病變을 말함. 衝脈은 子宮에서 起하여 腎脈과 幷列上行해서 諸經의 氣血을 總領하는 作用이 있으며, 任脈은 中極의 下에서 起하여 腹部의 正中線 子宮部位를 따라 上行해서, 全身의 陰脈을 調養하는 作用을 擔任하고 있다. 故로 「衝爲血海, 任主胞胎」라는 說이 있다. 이는 衝․任 二脈이 婦女의 月經 姙娠과 密接한 關係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故로 衝․任 二脈이 損傷된 臨床表現은, 대개 月經不調 下腹疼痛 腰痠痛 및 不姙 等이다. 不固는, 虛하여 固攝하지 못한다는 뜻이며, 崩漏 流産 等症을 發하기 쉬운 것이다.
蟲積(충적)
腹腔의 臟腑(主로 胃腸道)에 寄生하는 寄生蟲病을 말하며 小兒에게 많다. 主要症狀은, 嘈雜, 腹痛하고, 始發始止하며, 오래 되면, 面色이 萎黃하고, 消瘦하며, 或은 腹部膨大 等症을 發한다.
贅疣(췌우)
「疣」의 項 參照.
脆脚(취각)
「子腫」의 項 參照.
聚毛(취모)
叢毛라고도 함. 足大趾趾骨의 第1節後方의 皮膚橫紋部(三毛의 後方).
吹鼻(취비)
藥物을 細末로 갈아서 病人이 스스로 吸入하거나 혹은 다른 사람이 病人 鼻腔內에 吹入하는 것이다. 예컨대 慢性副鼻腔炎(蓄膿症)에 黃花魚의 頭部의 魚腦石을 煆硏해서 細末하여 少量의 氷片(龍雷)을 加入해서 鼻內에 吸入한다. 感冒의 鼻塞에는 鵝不食草를 갈아서 細末하여 鼻內에 吸入한다.
聚星障(취성장)
本病은, 肝火가 內盛한데다가, 兼하여 風邪가 加해져서, 風熱이 上搏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 症狀은, 黑睛의 表面에, 세소한 星點이, 통상3~5個씩 群像을 이루며, 灰白色 或은 微黃色을 띠고, 集散을 反復한다. 適時에 治療하면 豫候가 良好한데, 그렇지 못하면, 黑睛 雲翳를 釀成하거나 或은 潰破되는 等의 重症에 빠지기 쉽다.
吹藥(취약)
咽喉部나 口腔의 疾病에 外用하는 散劑이다. 예컨대 咽喉 口舌의 腫痛을 治療하는 氷硼散은 玄明粉 5錢(風化) 朱砂 6分 硼砂 5錢 氷片5分으로 組成되며 각각 極細末로 갈아서 和均하여 甁에 넣는다. 사용시에 少量을 噴霧器로 噴入한다(만약 噴霧器가 없으면 종이로 만든 細管을 써서 裝藥吹入한다). 每日 三~四回.
臭田螺(취전라)
「脚濕氣」의 項 參照.
嘴風(노취풍)
「脣風」의 項 參照.
吹花癬(취화선)
風癬을 말하며, 桃花癬이라고도 함. 대개 春節에 發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脾胃가 본래 虛한데, 風熱이 內蘊하고, 다시 風邪를 外感한 所致이다. 대개 顔面部에 생기며, 처음에는 皮疹 或은 小瘡과 같고, 이어서 雲形의 片이 생긴다. 긁으면 白屑이 생긴다. 婦女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齒(치)
齒牙의 「戶門」이라고도 함. 齒의 生長狀態와 堅固與否는 腎과 有關하므로, “腎主骨”, “齒爲骨之餘”라 한다. 齒牙의 作用은, 主로 食物을 咀嚼하여 消化되기 쉽게 하는 것이다. 또 唇과 齒는 發音·談話에도 相當히 重要한 補助作用을 한다.
痔(치)
肛門의 內外에 생긴다. 대개, 平素 濕熱이 內積되고, 辛辣 燥熱한 飮食을 過食하므로, 或은 久坐하여 血脈의 循環이 잘 안되거나, 或은 항상 大便이 秘結하고, 或은 婦人이 出産時에 用力이 過甚하고, 或은 久痢하는 等의 原因으로, 濁氣 瘀血이 肛門으로 流注되기 때문에 생긴다. 主要症狀은, 塊物의 突出, 疼痛, 出血 等이다. 塊物의 位置에 따라, 內痔, 外痔, 內外痔로 나뉜다.
齒齦結瓣(치은결판)
齒齦이 紅腫하여 花瓣狀으로 되는 것. 대개 出血, 疼痛 或은 潰灡, 口腔에서의 臭穢氣未를 隨伴한다. 이는 熱毒이 內攻하고, 胃火가 熾盛한 所致이다.
治求其屬(치구기속)
素問「至眞要大論」에서, “求其屬也”라 하였다. 여기서 屬은 證候와 治法의 連繫를 말한다. 病人의 一連의 證狀이 어느 한 臟의 證候에 屬하는지를 辨別해서, 治法을 確定한다. 例컨대 病人이 怕冷하고, 手足冷, 腰脊痠痛, 陽萎早漏, 苔淡白, 脈沈細한데, 一般的인 溫熱藥을 써서는 效果가 없다. 경과를 分析하면 이는 腎陽虛임을 알 수 있으니, 腎陽을 溫補하는 治法을 써야 한다. 「溫腎」의 項 參照.
齒衄(치뉵)
「牙衄」의 項 參照.
治未病(치미병)
1) 豫防의 뜻이 있음. 例컨대 素問遺篇「刺法論」에 內服藥으로 疫病을 豫防하는 方法이 있다. 2) 早期治療의 뜻이 있음. 古代醫家는 中風에 豫兆가 있다고 하였다. 例컨대, 頭目眩暈, 母指와 食指의 麻木, 或은 口眼과 肌肉의 無意識的躁動 等은, 한 時期를 지나서 中風이 될 可能性이 있으므로 미리 服藥하여 中風의 突發을 豫防해야 한다고 하였다. 3)痰病의 發展趨勢를 掌握하는 것이다. 疾病이 五臟의 어느 一臟에 있을 경우, 그 趨勢를 보아, 다른 一臟에 影響을 미치게 됨을 알게 된다. 例컨대 肝氣鬱結證인 경우, 肝病이 脾로 傳病됨을 防止하기 위해 健脾의 治法을 쓰게 되는데, 이 경우 반드시 治肝藥과 同用해야 한다. 「培土抑木」의 項 參照.
治病必求於本(치병필구어본)
素問「陰陽應象大論」에 있음. 疾病의 治療時에 반드시 疾病의 根本原因을 追求해야 하는데, 이는 그 陰陽의 偏盛 偏衰를 探求하는 것이기도 하다. 例컨대, 病人이 頭部가 昏暈하고 疼痛하며, 四肢痲痺, 肌肉躁動, 虛煩, 夜寐不安, 面部紅熱, 口乾, 舌質紅, 脈弦細한 것은 肝陰이 不足하고 肝陽이 上亢한 것이니, 滋陰潛陽 養血柔肝해야 하는데, 生地黃, 白芍藥, 當歸, 何首烏, 菊花, 牡蠣, 珍珠母 等 藥을 쓴다. 또한 食物不和, 淸水嘔吐,大便水瀉, 舌淡苔白, 脈沈細한 것은 脾胃陽虛이다. 마땅히 脾胃의 陽을 溫補해야 하니 溫中散寒法을 쓴다.
治削(치삭)
金匱玉函經에 있음. 藥材의 雜質을 除去하고 切削하는 등의 操作技術을 包括함. 翳: 1)挑揀: 非藥用部分을 除去하고 藥用部分을 남기는 것. 예컨대 桑螵蛸는 去莖하고 牧丹皮는 去心한다. 2)顚簸: 柳枝나 竹製 道具를 써서 上下左右로 振動하여 藥材中의 泥土 灰渣 등의 雜質을 除去하는 것. 3)篩: 藥物을 大小로 구분하고 雜質을 淸除한는데 쓰는 것으로, 孔徑이 각이한 竹篩, 銅篩, 馬尾篩 등을 選用한다. 4)刷: 藥物表面의 絨毛, 塵土 등을 除去하는 것. 5)刮: 金屬 혹은 角質의 道具를 써서 藥物表面의 非藥用部分을 除去하는 것. 예로서 肉桂 厚朴의 粗皮를 除去하고 虎骨의 筋肉을 除去하는 것이다. 6)搗: 石製 鐵製 혹은 銅製의 절구로 搗碎하거나 혹은 去皮하는 것. 예로서 白果 訶子를 去皮하고, 生石膏 龍骨 등을 搗碎한다 7)石展 : 대개 鐵製의 藥硏을 써서 藥物을 粉末로 石展成하는 것이다. 8)鎊: 特製의 鎊刀를 써서 藥物을 깎아 薄片으로 만든다. 예로서 犀角, 羚羊角 등이다 9)切: 가장 많이 쓰는 方法이다. 切碎, 切塊, 切絲, 切段, 切節, 切片 등이 있다.
齒爲骨之餘(치위골지여)
「骨」의 項 參照.
齒爲骨之餘(치위골지여)
「腎主骨」의 項 參照.
治節(치절)
「肺主治節」의 項 參照.
齒燥(치조)
齒아가 乾燥 不潤한 것. 通常 前板齒(門齒)를 基準으로 한다. 新病으로, 齒燥하며, 口穢, 口취 等을 隨伴하는 것은 대개 肺胃의 火盛으로, 津液을 大傷한 所致이다. 久病으로, 枯骨처럼 齒燥함은, 대개 腎陰이 甚히 虧耗된 所致이며, 病이 危重한 경우가 많다.
治風先治血,血生風自滅(치풍선치혈,혈행풍자멸)
「去風養血」의 項 參照. 風을 治療함에 있어서 먼저 血을 治하여, 血行하면 風이 自滅된다는 뜻이다.
治風化痰(치풍화담)
「化痰」의 項 參照.
齒痕舌(설흔설)
舌의 邊緣에 齒牙의 痕迹이 나타나는 것. 대개 舌胖에 起因한다. 舌體가 比較的 正常인 者가 약간 肥大하여 齒緣의 壓迫을 받아 이루어지는 것은, 대개 脾虛에 屬한다. 舌質이 淡白하고 濕潤한 것은, 대개 脾虛하고 寒濕이 熾盛한 것이다.
七怪脈(칠괴맥)
生命이 危?할때 나타나는 七腫의 異常脈象을 말함. 즉 雀濁脈, 屋漏脈, 彈石脈, 解索脈, 漁翔脈, 蝦游脈, 釜沸脈의 칠종이다. 이밖에 偃刀脈, 轉豆脈, 麻促脈의 三種을 가하여 十怪脈이라 한다. 이들 脈象은 모두 臟氣가 絶滅直前에 있고 胃氣가 枯渴된 危險한 證候를 反映한 것이다.
七竅(칠규)
頭面部의 七個孔竅를 말함. 즉 眼二 耳二 鼻孔二 口이다. 五臟의 精氣는 七竅를 통하며 五臟에 有病하면 七竅의 變化에서 一部 診斷의 印象을 얻을 수 있다.
七厘散(칠리산)
「祛瘀消腫」의 項 參照.
七方(칠방)
方劑組成의 差異에 따라 分類한 것을 七方이라 한다. 즉 大方, 小方, 緩方, 急方, 奇方, 偶方, 腹方이다(注:方劑組成의 分類로서 가장 오랜것은 素問 至眞要大論에서 “治有緩急, 方有大小”, “君一臣二 奇之制也, 君二臣四, 偶之制也”, “奇之不去則偶之 是謂重方”이라 한 것이다. 金代에 이르러 成無已는 傷寒明理論에서 大․小․緩․急․奇․偶․複의 七方으로 定하였다.)
七疝(칠산)
옛 醫書에서 疝氣를 七種類로 나눈 合稱이다. ①厥疝, 癥疝, 寒疝, 氣疝, 盤疝, 胕疝, 狼疝을 말함(諸病源候論). ②寒疝, 水疝, 筋疝, 血疝, 氣疝, 狐疝, 㿗疝을 말함(儒門事親). ③衝疝, 狐疝, 㿗疝, 厥疝, 瘕疝, 㿉疝, 㿉癃疝을 말함(醫宗必讀).
七傷(칠상)
①七情의 勞傷의 病因. 「諸病源候論·虛勞候」에서, “一曰大飽傷脾······ 二曰大怒氣逆傷肝····· 三曰强力擧重久坐濕地傷腎······ 四曰形寒, 寒飮傷肺····· 五曰憂愁思慮傷心······ 六曰風雨寒暑傷形······ 七曰大恐惧不節傷志”라 하였다. ②腎氣虧損의 七個症狀. 「諸病源候論·虛勞喉」에서 “七傷者 一曰陰寒 二曰陰萎 三曰裏急 四曰精連連(精易滑出) 五曰精少 陰下濕 六曰精淸(精氣淸冷 精液稀薄) 七曰小便頻數 臨事不卒(小便頻數 淋瀝不淸或尿中斷)”이라 하였다.
七星鍼(칠성침)
「皮膚鍼」의 項 參照.
七損八益(칠손팔익)
素問「陰陽應象大論」에서, “能知七損八益 則二者可調 不知用此 則早衰之節也”라 하였다. 이는 男女의 生長發育에서 老衰에 이르는 生理過程에 重點을 두고, 아울러 早衰의 豫防과 關聯시켜 論述한 것이다. 歷代 注家의 이에 대한 解說이 各異하다. 例컨대 ①七은 陽數이고 八은 陰數이다. 損은 消이고 益은 長이다. 陽은 消해서는 안되며, 陰은 長해서는 안된다. 이에 反하면 病이 된다. 故로 七損八益을 알아서, 그 消長의 機를 察하면 陽氣가 旺盛하여 陰邪의 侵襲을 받지 않고, 陰陽을 調和시킬 수 있다(內經知要). ②陽은 언제나 有餘하므로 損해야 하며, 陰은 언제나 不足하므로 益해야 한다. 이 道理를 明白히 하면 陰精의 虧損을 避하게 됨으로써 陰陽을 調和하게 되어, 早衰를 防止한다(張志聰註). ③素問․上古天眞論에 依해 說한바, 女子는 「二七」 즉 14歲에 月經來潮가 開始되며, 以後는 月經血의 盈滿에 따라 月經이 오는데, 이것이 正常生理現像이며 「七可損」이다. 男子는 「二八」, 즉 16歲에 精氣가 溢瀉하며, 房事로 泄精하니, 마땅히 益精해야 하며, 「八可益」이다(王氷注).
七惡(칠악)
① 瘡瘍의 7種의 危險한 證候를 말함. 두가지 說이 있다. 1)薺德之說: 一惡은, 煩躁하고 때로 嗽하며, 腹痛渴甚하고, 或은 泄痢無度하며, 或은 小便如淋하다. 二惡은 膿血이 이미 排泄되었는데 腫焮이 尤甚하고, 膿色이 敗臭하며, 疼痛으로 不可近한다. 三惡은 目視不正, 黑睛緊小, 白睛靑赤, 曈子上視한다. 四惡은, 租喘短氣, 恍惚嗜臥한다. 五惡은, 肩背不便, 四肢沈重하다. 六惡은 不能下食, 服藥而嘔, 食不知味하다. 七惡은, 聲嘶色敗, 脣鼻靑赤, 面目浮腫한다. 2)陣實功說: 一惡은, 神志昏憒, 心煩舌乾, 瘡形紫黑, 言語昏亂하다. 二惡은, 身體强直, 目睛斜視, 瘡流血水, 驚悸不寧하다. 三惡은, 形體消瘦, 膿淸臭穢, 瘡處軟陷, 不知疼痛한다. 四惡은, 皮膚枯稿, 鼻動聲嘶, 痰多喘急하다. 五惡은, 形容慘黑, 口渴囊縮. 六惡은, 全身浮腫, 腸鳴嘔危, 大便滑泄. 七惡은, 惡瘡致陷, 形如碌鱔, 四肢冷逆, 汚水自流한다. ② 痘瘡의 7種의 危險한 證候를 말함. 一惡은, 煩躁悶亂, 譫語恍惚하다. 二惡은, 嘔吐泄瀉, 飮食不能하다. 三惡은, 乾枯黑陷, 痒場破爛하다. 四惡은 寒戰咬牙, 聲啞色暗하다. 五惡은, 喉舌潰爛, 食入卽嘔, 飮水卽倉한다. 七惡은, 腹滿喘逆, 四肢逆冷하다.
七情(칠정)
①喜·怒·憂·思·悲·恐·驚 등 精神 情志變化의 七種表現을 말함. 이는 外界事物에 對한 反映이다. 發病要因이 되는 것은, 이들 精神活動이 過度하게 强熱하고 持續되어 臟腑氣血의 機能에 影響을 미치거나 或은 內臟에 먼저 病變이 發했는데 精神活動의 影響으로 病이 더 進行되는 것이다. 「五志」의 項 參照. ②藥物配伍의 七種의 各異한 作用을 말함. 즉 「單行」, 「相須」, 「相使」, 「相畏」, 「相惡」, 「相殺」, 「相反」등을 七情이라 한다(神農本草經에 있음).
漆瘡(칠창)
옻에 접촉되므로 惹起되는 一種의 皮膚病症이다. 대개는 肌表의 腠理가 不密하고, 體質이 옻에 過敏하므로, 漆毒을 感受하여 생긴다. 노출된 部位에 많이 생기며, 接觸部의 皮膚가 突然 紅腫하여, 焮熱 作痒하며, 小丘疹과 水疱가 兼發된다. 긁으므로 肢體에 번지며, 㧓破하면 糜爛 流汁하고, 汁의 量이 많으며, 續發性으로 感染된 경우는 頭痛, 寒熱交作 등의 全身症狀이 나타난다.
七衝門(칠충문)
全消化系統中의 七個 重要한 門(要衝門)을 말함. 즉, 飛門(唇)·戶門(齒)·吸門(會厭)·噴門(胃의 上口)·幽門(胃의 下口)·闌門(大腸과 小腸이 接하는 境界部位)·魄門(肛門)을 七衝門이라 合稱함(難經·四十四難에 있음).
枕骨(침골)
玉枕骨이라고도 함. 解剖學上의 枕骨과 같음. 頭項部의 後方, 頭顱骨의 後方下에 位置함. 後頭骨.
鍼灸(침구)
鍼法과 灸法의 二種의 治療 方法의 합칭. 鍼灸療法이라고도 함.
鍼灸銅人(침구동인)
銅으로 鑄造하여 鍼灸穴位를 彫刻한 人體의 模型이다. 宋代에 中國의 醫學은 이미 상당히 進步하여 鍼灸分野에서도 크게 發展하였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일은 王惟一이 先人들의 職責을 系統的으로 整理한 것이다. 그는 鍼灸專門書인 銅人輸穴鍼灸圖經을 完成하였을뿐 아니라 銅人 模型의 酒造를 주재하였다. 이 銅人은 敎學의 模型이 될 뿐이 아니라 考試用으로도 쓰이게 되었다. 그 方法은 銅人내에 물을 붓고 外部에는 蠟을 발라서 學生들에게 어느 穴位를 刺鍼시켜 그 取穴이 正確하면 穴中의 물이 流出되는데 그렇지 못하면 침입이 不能한 것이다.
鍼灸療法(침구료법)
「鍼灸」의 項 參照.
鍼烙(침낙)
「烙法」의 項 參照.
鍼頭補瀉(침두보사)
「迎隨補瀉」의 項 參照.
鍼麻(침마)
「鍼刺痲醉 項 參照
鍼芒補瀉(침망보사)
迎隨補瀉」의 項 參照.
沈脈(침맥)
脈象의 一種. 脈을 輕取하면 反應이 없고, 重按해야만 느껴진다. 主病은 이에 있으며, 沈하고 有力하면 裏實이며, 沈하고 無力하면 裏虛이다.
鍼法(침법)
「鍼刺」, 「刺法」이라고도 함. 金屬製의 鍼을 써서 人體의 一定한 체표部位를 刺戟 함으로써 治療目的에 도달하는 方法이다. 古代에는 九鍼이 있었는데 현대에는 사용되는 主要한 것으로는 毫鍼 三稜鍼 皮內鍼 梅花鍼 등이 있다.
鍼眼(침안)
「土疳」, 또는 「土瘍」이라고도 함. 眼瞼(눈꺼풀)의 邊綠에 생기는 小癤(다래끼)를 말함.대개는 風熱 或은 脾胃의 熱毒의 所致이다. 처음에는 형태가 麥粒과 같으며 微痒 微腫하고 이어서 赤痛 拒按하게 된다. 麥粒腫에 該當함.
鍼刺(침자)
「鍼法」의 項 參照.
鍼刺痲醉(침자마취)
鍼痲라고도 함. 鍼刺痲醉는 傳統的 鍼刺療法의 전통의 기초위에 발전한 것이다. 그 方法은 선정된 穴位에 毫鍼을 刺入한 후 수법조작(혹은 전류를 代用함)을 통하여 유도해서 病人이 覺醒된 狀態下에서 各種 手術治療(주노 경項 흉복 사지부부의 수술)를 받게 한다. 鍼痲는 양호한 鎭筒效果가 있을 뿐만 아니라 應用上 많은 장점이 있다. 현재 醫療系에서 이를 깊이 硏究하여 더한층 發展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浸泡(침포)
「溻浴」의 項 參照.
浸泡(침포)
「泡」의 項 參照.
沈香曲(침향곡)
「曲」의 項 參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