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薄荷)
[기원]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박하 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의 줄기와 잎
[생약명]박하(薄荷)
[이명]야식향(夜息香), 번하채, 인단초(仁丹草)
[성미]辛, 凉
[효능]소산풍열(消散風熱), 청이두목(淸利頭目), 이인(利咽), 투진(透疹), 해간울(解肝鬱), 봉예기(埲穢氣)
[해설]
1.발산작용이 강하여 외감성으로 인한 감기로 열이 나고 두통과 땀이 안 나는 증상을 다스린다.
2.또한 이약물은 가벼워서 신체의 상부에 작용하므로 두통과 눈의 충혈을 제거하며,
3.인후염, 편도선염에도 길경, 형개와 배합해서 사용한다.
4.홍역 초기에 반진이 솟지 않을 때 및 피부가려움증에도 쓰인다.
5.간장 질환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협통(脇痛)이 있을 때에도 시호, 작약과 배합하여 사용하며,
6.여름철에 습기와 병원균이 침습해서 일어나는 복통 및 설사, 구토에 곽향을 배합해서 쓴다.
[성분]
휘발성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멘톨(menthol) 77~78%, 멘톤(menthone), methylacetate,
camphene, menthenene 등이다.
[약리]
1.정유성분은 피부의 국부 충혈을 일으킨다.
2.땀을 내며, 해열·소염·건위 작용 및 담즙 분비 촉진 작용과 위장 평활근의 억제로 수축 작용을 일으키는 동시에 호흡기도의 점액 분비를 증가시킨다.
3.모세혈관 확장 작용,
4.중추 신경 계통의 흥분 작용,
5.자궁 수축 증가 작용이 나타난다.
[임상보고]
1.만성담마진,
2.급성결장염,
3.급성유선염에 효력이 있었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박하(薄荷, Menthae Herba)
[특성]
키는 60∼100m이며 줄기는 단면은 사각형이고 표면에 털이 있다. 잎은 홑잎으로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
다. 잎의 표면에는 샘이 있어서 정유를 분비하고 저장한다. 7∼8월에 담자색 또는 흰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연한 갈색을 띤다. 맛이 맵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 능]
소풍(疏風), 산열(散熱), 파혈(破血), 하기(下氣), 선체(宣滯), 해울(解鬱), 투진(透疹), 토담(吐痰), 이인(利咽), 소식
(消食), 거악(去惡), 발한(發汗), 개피모(開皮毛), 이관절(利關節), 청두목(淸頭目), 구복(久服): 제로(除勞), 벽사(벽邪),
영인구향(令人口香)
1. 폐와 간에 작용한다. 인체상부에 작용하며 열을 발산시키므로 감기 초기의 두통, 눈이 붉어지는 것, 인후통, 반
진에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2. 외용하면 피부의 점막과 혈관을 수축하여 국소에 시원한 느낌을 발생하게 하며 동시에 신경말초를 마비시켜 염
증을 없애고 통증을 멎게하며 소양감을 멈추게 한다.
[주의사항]
오래 달이지 말아야 하며, 기를 소모하고 땀이 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가 허하고 피가 부족하거나, 몸이 허하며
땀이 자주 나는 경우는 쓰지 말아야 한다.
반지련(半支蓮):채송화(菜松花), 땅채송화
[기원]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채송화 Portulaca grandiflora Hooker,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Makino의 지상부.
[생약명]반지련(半支蓮)
[이명]땅채송화 - 갯채송화 , 각시기린초
[성미]苦, 寒
[효능]청열해독(淸熱解毒)
[해설]
1.청열 작용이 있으므로 인후염 및 뜨거운 물이나 불에 데었을 때 소염효과를 얻고, 2.타박상과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에도 짓찧어 붙인다.
[성분]
alkaloid, flavonoid, phenol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으로 portulal, betanin, betacyanin, betanidin 등이 알
려져 있다. portulal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채송화(菜松花, rose moss) Portulaca grandiflora
남아메리카 원산이다.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높이 20cm 내외이다. 잎은 육질로 어
긋나고 가늘고 긴 원기둥 모양이고 잎겨드랑이에 흰색 털이 있다. 꽃은 가지 끝에 1~2송이씩 달리고 지름 2.5cm 정도로
2개의 꽃받침조각과 5개의 꽃잎이 있다. 꽃잎은 끝이 파지고 붉은색 ·노란색 ·흰색과 더불어 겹꽃도 있다.
꽃은 7∼10월에 피고 맑은날 낮에 피며 오후 2시경에 시든다. 꽃받침은 2개로 넓은 달걀 모양이고 막질이며, 꽃잎
은 5개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이 파진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에 5~9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는 삭과(殼
果)로 막질이고 9월에 성숙하며 중앙부에서 수평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가 나온다.
[성분]
전초에는 alkaloid, flavonoid, phenol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으로 portulal, betanin, betacyanin,
betanidin 등이 알려져 있다. portulal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효능]
청열작용이 있으므로 인후염 및 뜨거운 물이나 불에 데였을 때 소염효과를 얻고, 타박상과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
에도 쓴다. 외용으로만 사용하는데 짓찧어서 환부에 바르거나 양치질을 한다.
[용도]관상용(화단용, 분화용), 약용(전초)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Makino
한국(제주·경남·울릉·충남·황해)·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바닷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 높이는 10cm 정도이며 모여
산다. 줄기는 옆으로 뻗어 많은 가지를 내며 원줄기 윗부분과 가지가 모여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원뿔형의 달걀을 거
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뭉뚝하며, 잎자루는 없다.
꽃은 노란색으로 6∼7월에 피며, 꽃이삭은 흔히 3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바소꼴로 끝이 날카로우며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수술은 10개이고 꽃잎보다 짧다.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반하(半夏):(끼무릇), 대반하
[기원]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반하(끼무릇) Pinellia ternata Tenore et Breit, 대반하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의 덩이뿌리.
[생약명]반하(半夏)
[성미]辛, 溫, 有毒
[효능]
조습(燥濕), 화담(化痰), 개울(開鬱), 발표(發表), 화위(和胃), 건비(健脾), 강역(降逆), 소종(消腫), 지구(止嘔), 지해
(止咳), 지한(止汗), 통음양(通陰陽), 발성음(發聲音), 온화한음(溫化寒飮), 열택안면(悅澤顔面)
[해설]
1.담(痰) 치료의 요약(要藥)으로, 가래가 많고 해수, 천식을 일으킬 때에 유효하다. 특히 담(痰)으로 인한 두통, 어
지럼증, 가슴이 답답하고 그들먹하며 설태가 희고 두꺼우며 맥박이 빠른 증상에 쓴다.
2.담이 위에 정체되어 매스껍고 구토를 일으킬 때에 현저한 반응을 보인다.
3.또한 담이 원인이 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손으로 누르면 아프고 노란 가래가 나오고 설태가 황색이며 맥박이 빠른 증상에 활용되며,
4.담이 인후에 정체되어 목 안에 이물질이 달린 듯한 것을 없애준다.
5.등 부위에 난 종기, 유방염에는 가루를 내어 달걀 흰자를 넣고 개어서 환부에 붙인다.
6.임신구토에도 유효하다.
[성분]정유, 지방, 전분, 점액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Apigenin-6-C-beta-D-galactopyranoside · beta-Sitosterol
· Campesterol · Choline · Daucosterol · Pinellia lectin
· Pinellia polysaccaride PT-F-2-1 · Pinellin)
[약리]
1.유독 성분으로 거담, 진해 작용이 있으며,
2.약물 달인 물은 구토를 멈추게 하고,
3.규폐증 예방에 유효성을 나타낸다.
4.항암작용도 현저하다.
[임상보고]
1.자궁경부암에 일정한 효력을 얻었고,
2.생것의 유독 성분은 가열하면 파괴되므로 30분 전후로 달이는 것이 좋다.
3.임신구토에 반하, 산약 각각 30g씩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는데, 먼저 반하를 45분간 끓인 후 산약을 넣는다.
4.자궁경부미란에 치유 반응을 보이고,
5.급성유선염에 생것의 껍질을 벗겨 아픈 쪽 코 안에 넣은 다음 1~2시간 후에 꺼내는데, 1일 2회 실시한다.
6.만성경부림프절염에 생것 50g을 태워서 가루를 내어 1회에 1.5g씩 식초에 개어서 밤마다 1회 환부에 붙인다.
[주의사항]독성이 강하므로 허약자와 임신부는 사용을 삼가야 한다. 특히 대반하는 더 강한 중독 반응을 일으킨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끼무릇 (Pinellia Tuber)Pinellia ternata Tenore et Breit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들이나 밭가에서 자란다. 알줄기는 지름 1∼2cm. 1∼2
개의 잎이 나오고 작은 잎은 3개이다.
꽃은 6∼7월에 육수 꽃차례로 달린다. 불염포는 녹색이고, 통부는 길이 1.5∼2cm이며, 부리는 바늘모양으로 끝이
둥글다. 꽃차례는 밑부분이 포와 합쳐져 있고, 한쪽에 암꽃이 달리며, 약간 떨어진 윗부분에 수꽃이 1cm 가량의 길이에
밀착하고, 그 윗부분은 길어져 비스듬히 선다. 수꽃은 대가 없는 꽃밥만으로 된다. 열매는 장과로 녹색이며 작다.
[주요성분]
덩이줄기에 에테르엑스 약1%, 정유 0.003∼0.013%,β-시토스테롤과 그배당,콜린,트리테르펜 화합물, 글루코론산
과 그유도체,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리진,오르니틴,세린,글리신,알라닌,물에 풀리는 배당체,포도당,람노오스가 있다
[약리]유독성분으로 거담, 진해작용이 있으며 약물달인 물은 구토를 멈추게 하고, 규폐증 예방에 유효성을 나타낸다.
[효능]조습화담, 강역지구, 소비산결, 담다해천, 담음현계, 풍담현훈, 담궐두통, 구토반위, 흉완비민, 매핵기증
1. 담 치료의 요약으로, 가래가 많고 해수, 천식을 일으킬 때에 유효하다. 특히 담으로 인한 두통, 어지럼증, 가슴이
답답하고 그들먹히며 설태가 끼고 두꺼우며 맥박이 빠른 증상에 쓴다.
2. 담이 위에 정체되어 메스껍고 구토를 일으킬 때에 현저한 반응을 보인다.
3. 담이 원인이 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손으로 누르면 아프고 노란 가래가 나오고 설태가 황백색이며 맥박이 빠른
증상에 활용된다.
4. 담이 인후에 정체되어 목 안에 이물질이 달린 듯한 것을 없애준다.
5. 등 부위에 난 종기, 유방염에는 가루를 내어 달걀흰자를 넣고 개어서 환부에 붙인다.
6. 임신구토에도 유효하다.
[주의사항]
유독성식물, 독성이 강하므로 허약자와 임신부는 사용을 삼가야 한다. 보통 0.1∼2.4g 정도 생식하면 중독되며 구
갈, 위장기능저하, 구강 및 인후동통, 부종, 메스꺼움, 실음, 호흡곤란 등 구강, 인후, 위점막, 신경계통에 중독증상이 나
타난다. 해독법 : 위를 세척하거나 토하게 한 다음 묽은 식초나 오차 또는 과즙을 복용시킨다.
[용도]약용(알줄기)
대반하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거제도 상록수림 밑에 나며, 잎은 1-4장, 잎자루에 육아가 없다. 잎몸은 깊게 3갈래, 갈래는 난형 또는 좁은 난형,
길이 10-20cm이다. 꽃줄기는 20-50cm, 불염포는 녹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 길이 6-10cm, 현부(舷部)는 난형, 내면에
소돌기가 밀생하고, 외부는 매끈하다. 부속체는 길이 15-25cm 이다.
한약재인 반하(半夏)는 끼무릇(Pinellia ternata)의 코르크층을 제거한 덩이줄기이다. 약간 편압된 구형이거나 불
규칙한 모양의 지름 7~25mm, 높이 7~15mm이다. 바깥면은 백색~회황백색이고 위쪽에는 줄기의 자국이 오목하게 남
아 있으며 그 주변에는 뿌리의 자국이 작은 점으로 남아 있다. 질은 충실하며 횡단면은 백색이고 분성이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처음에는 없고 약간 점액성이나 후에는 몹시 아리다.
[주요성분]뿌리줄기에는 homogentisic acid, homogentisic acid 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주의사항]유독식물이다. 독성이 강하므로 허약자와 임신부는 사용을 삼가야 한다. 대반하는 반하보다 더 강한 중독반응을
보인다.
발계(菝葜):청미래덩굴
[기원]백합과의 덩굴성 갈잎떨기나무 청미래덩굴(명감나무) Smilax china Linne의 뿌리줄기.
[생약명]발계(菝葜) - 뿌리줄기 발계엽(菝葜葉) - 잎
[이명]망개나무, 매발톱가시, 명감나무, 종가시나무, 청열매덤불, 팥청미래덩굴, 토복령
[성미]甘, 溫
[효능]
발계 - 거풍습(祛風濕), 이소변(利小便), 소종독(消腫毒)
발계엽 - 풍종(風腫), 창절(瘡癤), 탕화창(湯火瘡)
[해설]
발계
1.풍습(風濕)을 제거하므로 관절염, 근육마비 및 허리와 등이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2.이뇨 작용이 있어서 임질을 치료하고, 전신의 부종을 가라앉힌다.
3.악창(惡瘡)을 치료하고, 독충에 물린 것을 풀어준다.
발계엽
1.종기, 창진(瘡疹) 등에 쓰고,
2.탕화창(湯火瘡)에도 가루를 내어 바른다.
[성분]diosgenin과 여러 종류의 saponin, alkaloid, amino acid, 유기산, 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이뇨·해독 작용이 현저하고
2.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탁월하다.
[임상보고]
발계
1.외과의 급성감염증으로 봉와직염, 림프절염, 유선염 등에 현저한 소염 작용을 보이고,
2.풍습성관절염에도 약침 제제로 효력을 얻었다.
3.옴이나 버짐에도 유효하였고,
4.위암, 식도암, 직장암, 유선암, 자궁경부암, 비암, 인후암 등에도 유효한 반응을 나타냈다.
발계엽
신선한 것을 채취하여 말린 다음 가루로 만들어 탕화창에 연고제로 바른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청미래덩굴 (Greenbrier, Catbrier) Smilax china Linne
Eastern Asia에서 분포하며, 황해도 이남의 산기슭 양지에 나는 덩굴성 낙엽 관목이다. 딱딱하며 외상으로는 검은
색이며 안은 하얀색이다. 길이 3m, 뿌리는 굵고, 꾸불꾸불 옆으로 뻗으며, 줄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
며 광택이 나고, 길이 3-12cm, 폭 2-10cm, 두껍고,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심장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5-7개의 맥, 그물맥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 황록색, 잎겨드랑이에 산형화서로 달리고, 화축의 길이는 1.5-3cm, 꽃자루의 길이 1cm이다. 화
피는 6장, 긴 타원형, 뒤로 말린다. 자방은 긴 타원형, 뒤로 말린다. 자방은 긴 타원형, 3실이다. 열매는 장과, 둥근 모양,
붉은색으로 익고, 종자는 5개, 황갈색이다.
[효능/효과]
1.매독, 매독성 관절염, 임파선염, 지혈, 지사, 변질약으로 쓰인다.
2.뿌리를 이뇨 ·해독 ·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 등에 사용한다.
[주의사항]복용기간에 차를 마시면 안된다.
[용도]약용(뿌리), 식용(어린잎, 열매)
분방기(한방기)(粉防己)
[기원]새모래덩굴과 여러해살이 덩굴성식물 한방기(분방기) Stephania tetrandra S. Moore의 뿌리.
[생약명]분방기(粉防己)
[이명]한방기(漢防己)
[성미]苦辛, 寒
[효능]거풍습(祛风湿)、이뇨(利尿)
[주치]
인후염(咽喉炎)、중서(中暑)、고혈압(高血压)、풍습성소절염(风湿性关节炎)
、글골통(筋骨痛)、신염수종(肾炎水肿)、복통(腹痛)、요로감염(尿路感染)、좌골신경통(坐骨神经
痛)、각기습종(脚气湿肿)、사충교상(蛇虫蛟伤)
[주요성분]
분방기의 뿌리에는 alkaloid, tetrandrine, fanchinoline이다. 그외에 flavone유, phenol류, 유기산, 정유, 당류 등
을 함유한다.
[기타]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 잘 자란다. 과실은 성숙시 붉은 색이 되며,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맺힌다. 음
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서 코르크층을 제거한 후 그늘에 말려서 사용한다.
분방기 Stephania tetrandra
우리나라엔 자생하지 않고, 중국 안휘(安徽), 강서(江西), 복건(福建), 광동(廣東), 광서(廣西) 등지의 산과 들의 구
릉지, 풀숲 또는 관목림 주위에서 자란다.
[기원]
분방기(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중국약전>에서는 분방기의 뿌리를 ‘防己’라 등록하였다. 집산지가 漢口이기 때문에 ‘漢防己’라고도 불리운다. <중
약대사전>에 의하면, 코르크층을 다 벗기고 건조하여 밀도가 균일하고 무거우며 분성이 크고 섬유가 적은 것을 양품으
로 한다고 하였다.
방기(靑藤)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
방기科의 낙엽 덩굴식물로, 우리나라 식물명은 '방기', 중국 식물명은 '靑藤'이다. 우리나라 남쪽 섬에서 자라며, 중
국에서는 하남(河南), 안휘(安徽), 강소(江蘇), 절강(浙江), 복건(福建), 광동(廣東), 광서(廣西), 호북(湖北), 사천(四川),
귀주(貴州), 합서(陜西) 등지의 산에 분포한다. 댕댕이덩굴(木防己) C. trilobus DC. 과 비슷하지만 덩굴줄기에 털이 없
으므로 구별된다. <대한약전>에는 이 식물의 덩굴성줄기 및 뿌리줄기를 '방기(防己)'라 등록하였고, <중국약전>에는 이
식물의 등경(藤莖)을 '청풍등(靑風藤)'이라는 약재로 등록하여 차이를 보인다.
댕댕이덩굴(木防己) Cocculus trilobus DC.
방기科의 낙엽 덩굴식물로, 우리나라 식물명은 ‘댕댕이덩굴’, 중국 식물명은 ‘목방기(木防己)’이다. 우리나라 각지
의 들판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비교적 흔히 자란다.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는 이 식물의 뿌리를 ‘木防己’라는
약재로 기록하였다. <임상본초학>에 의하면, 분방기(粉防己)는 이수소종(利水消腫)작용이 거풍습지통(祛風濕止痛)작용
보다 우수하고, 목방기(木防己)는 거풍습지통(祛風濕止痛)작용이 이수소종(利水消腫)작용보다 우수하다 하였다. <중약
대사전>에는 이 식물의 뿌리를 ‘흑피청목향(黑皮靑木香)’으로 등록하였다.
광방기(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Wu
쥐방울덩굴科의 다년생 덩굴식물로, 중국 식물명은 ‘광방기(廣防己)’이다. 우리나라에는 자생하지 않고, 중국의 광
동(廣東), 광서(廣西) 등지의 야산 산비탈, 관목림 속에서 자란다. <중약대사전>에는 이 식물의 뿌리를 ‘광방기(廣防己)’
라 하여 ‘방기(防己)’의 기원식물 중 하나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하여 거래금지 품
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엽마두령(異葉馬兜鈴) Aristolochia heterophylla Hemsl.
쥐방울덩굴科의 반관목으로, 중국 식물명은 ‘異葉馬兜鈴’이다. 우리나라에는 자생하지 않고, 중국의 서남(西南),
합서(陜西), 감숙(甘肅), 호남(湖南), 호북(湖北) 등지의 산비탈 관목림에서 자란다. <중약대사전>에는 이 식물의 뿌리를
‘한중방기(漢中防己)’라 하여 ‘방기(防己)’의 기원식물 중 하나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
다 하여 거래금지 품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감별]
방기(防己)는 우리나라 정품(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과 중국 정품(Stephania tetrandra S.
Moore)이 차이가 있다. 목방기(木防己)는 독립적으로 취급되고 있고, 광방기(廣防己)와 한중방기(漢中防己)는 거래금
지 품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중약대사전>
분방기(粉防己) - 주산지는 중국의 절강(浙江), 안휘(安徽), 강서(江西), 호북(湖北) 등지이다. 집산지가 漢口이기
때문에 한방기(漢防己)라고 한다. <알기쉬운 한약재감별법>
중국약전에는 防己의 기원식물은 분방기(粉防己) S. tetrandra S. Moore 로 수재되어 있으며, 대한약전상의 防己
의 기원식물 방기(중국명 靑藤)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 는 중국약전에는 청풍등(淸風藤)으로 수재되
어 있다.
방풍(防風)
[기원]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방풍 Ledebouriella seseloides Wolff의 뿌리및 뿌리줄기.
[생약명]방풍(防風)
[이명]중국방풍
[성미]辛甘, 微溫
[효능]거풍해표(祛風解表), 제습지통(除濕止痛), 해경(解痙)
[해설]
1.일체의 풍증(風症)을 제거하는 묘약으로, 그 중에서도 외감성으로 인해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두통, 전신통
및 인후통이 있을 때 가장 유효하다.
2.풍한습(風寒濕)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지관절동통과 사지경련 및 굴신이 잘 안되는 증상에 널리 활용되므로
신경 계통 질환 및 관절 질환 등에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쓴다.
3.풍증을 제거하고 경련발작을 가라앉히므로 파상풍이나 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입과 치아를 벌리지 못하는 증상
및 사지의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등에 활용된다.
4.피부의 풍증으로 가렵거나, 옴, 버짐이 발생할 때에 형개, 백질여 등과 배합하여 치료한다.
[성분]
휘발성 정유, mannitol, 다당류,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약물 달인 물은 해열 작용이 현저하며,
2.항염증작용,
3.진경(鎭痙)작용이 입증되었으며,
4.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5.항알레르기 작용 및
6.실험성 위궤양에 항궤양 작용을 나타낸다.
7.체외 실험으로는 녹농균과 황생포도상구균 등에 항균 작용을 보이며, 피부 개선균을 억제시키기도 한다.
[임상보고]
1.비화수소의 배출을 돕고 자각 증상을 완화시켰으며,
2.만성요배관절통(慢性腰背關節痛)에 약침 제제가 유효한 반응을 보였다.
3.안면신경마비에 효과가 있었고,
4.사마귀를 제거하였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방풍(防風)Ledebouriella seseloides Wolff
한국·중국·우수리강·몽골·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건조한 모래흙으로 된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가
지가 많이 갈라진다. 종자에서 싹이 난 지 3년 만에 꽃이 피고 진다. 뿌리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
나며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지고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고 3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며 끝
이 뾰족하고 약간 딱딱하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로 달린다. 작은
총포는 바소꼴이며 5∼6개이다. 씨방은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납작하고 넓은 타원 모양이며 어릴 때는 돌
기가 있다. 중국 북동부, 화베이, 내몽골 원산이며 약료작물로 재배한다.
[성분]
휘발성 정유, Phenol성 물질, 고미배당체, mannitol, 다당류,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효능/효과]
1. 약물 달인 물은 해열작용이 현저하다.
2. 항염증작용, 진경(鎭痙)작용이 입증되었으며,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킨다.
3. 항알레르기 작용 및 실험성위궤양에 항궤양 작용을 나타낸다.
4. 체외 실험으로는 녹농균과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항균 작용을 보이며, 피부 개선균을 억제시키기도 한다.
5. 안면신경마비에 효과가 있다.
6. 발한(發汗)작용, 해열(解熱)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7. 항Virus작용
[주의사항]
음허화왕(陰虛火旺)및 혈허발경(血虛發痙)한 자, 풍사(風邪)가 없는 자
[기타]우리 나라에서는 방규(防葵) 갯기름나물의 뿌리가 식방풍(植防風)으로 시판되고 있다.
백과(白果):은행나무
[기원]은행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은행나무 Ginkgo biloba Linnaeus의 종자.
[생약명]
백과(白果) - 종자
백과엽(白果葉) - 잎
백과수피(白果樹皮) - 수피
백과근(白果根) - 뿌리
[이명]공손수(公孫樹) , 행자목(杏子木)
[성미]苦甘澁, 平, 有小毒
[효능]염폐평천(斂肺平喘), 수삽지대(收澁止帶)
[해설]
백과-1.수렴성이 있어서 해수, 가래, 천식에 유효하다. 따라서 폐열(肺熱)로 인한 해수와 천식, 폐허(肺虛)로 인한
해수와 천식 모두에 응용된다.
2.습열(濕熱)로 인해 소변 색깔이 희고 대하의 색깔이 노랗고 냄새가 심할 떄에 효과가 있다.
3.살충 작용이 있어서 옴, 전염성피부염에 쓰이며,
4.배농 작용이 있어서 유방염에 쓰인다.
백과엽-1.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관상동맥, 심장과 뇌혈관의 혈액순환 개선 및 고지혈증을 저하시킨다.
[성분]
지방유, amino acid및 gibberelin, cytokinin-like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겉껍질에는 유독성의 ginkgolic acid,
hydroginkgolinic acid 등이 알려졌다.
[약리]
1.기관지 점액 분비 기능의 개선효과가 있으며,
2.기관지 평활근 이완작용,
3.혈관 확장 작용이 있다.
4.뇌혈관의 혈류량을 개선시키며,
5.항균 작용으로 결핵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탄저균, 대장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
타낸다.
[임상보고]
1.폐결핵에 개선 반응을 보였고,
2.다량 복용하자 중독 증상을 나타냈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은행나무(Ginkgo, Maiden Hair Tree) Ginkgo biloba Linnaeus
중국이 원산이며 우리나라에는 고대 불교 전래와 함께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5~10m이나 40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줄기는 회갈색으로 은행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나무껍질은 회색으로 두껍고 코르크질이며 균열이 생긴다.
가지는 긴 가지와 짧은 가지의 2종류가 있다. 잎은 대부분의 겉씨식물[裸子植物]이 침엽인 것과는 달리 은행나무의 잎
은 부채꼴이며 중앙에서 2개로 갈라지지만 갈라지지 않는 것과 2개 이상 갈라지는 것 등이 있다. 잎맥은 2개씩 갈라진다
. 긴 가지에 달리는 잎은 어긋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다.
꽃은 4월에 잎과 함께 피고 2가화이며 수꽃은 미상꽃차례로 달리고 연한 황록색이며 꽃잎이 없고 2~6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녹색이고 끝에 2개의 밑씨가 있으며 그 중 1개가 종자로 발육한다. 화분실(花粉室)에 들어간 꽃가루는 발
육하여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기 전 정자(精子)를 생산하여 장란기(藏卵器)에 들어가서 수정한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공 모양같이 생기고 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바깥껍질에서는 냄새가 나고 피부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킨다. 중과피는 달
걀 모양의 원형이며 2∼3개의 능(稜)이 있고 백색이다. 열매가 살구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살구 행(杏)자와 중과피가 희
다 하여 은빛의 은(銀)자를 합하여 은행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성분]
아멘토플라본, 아피게닌, 베타-카로텐, 필로팔리드, 징코산, 징게틴, 이소람네틴, 캠페롤, 루테올린, 미리스트산,
파라쿠마릭산, 프로시아니딘, 케르세틴, 시키미산, 스티그마스테롤, 타닌, 티몰, 아미노산, 칼슘,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칼륨, 아연, 비타민 A, B1, B2, B3, B5, C
[효능/효과]
1. 종자는 식용하는데, 한방에서는 종자를 백과(白果)라 하여 해수 ·천식 ·유정(遺精) ·소변백탁(小便白濁) ·자양(滋
養) 등에 처방하여 복용한다.
2. 수피(樹皮)를 백과수피라 하고 뿌리를 백과근이라 하여 관상동맥경화 ·흉통 ·심장통 ·심계(心悸) ·고혈압 ·천식 ·
해수 등에 처방한다.
3. 최근에는 은행 잎에서 심장병 치료약의 성분을 추출하여 이용하고 있다.
4. 대뇌와 말초의 혈액순환을 늘리고 산소를 공급해서 뇌가 더 기능을 잘하도록 하며 다리의 경련을 완화시킨다.
5.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알츠하이머의 진행을 더디게 한다.
6. 치매, 우울증, 습진, 두통, 심장, 신장질환, 기억상실, 귀울림에 좋다.
[주의사항]
과량 복용하면 부종의 증상이 나타나고 생식하거나 장기 복용하면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발열, 답답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해독법 : 0.05% 과망간산칼륨액 또는 0.05% 활성탄 현탁액으로 위를 세척하고 달걀 흰자를 복용시켜
위점먹을 보호한다. 관장이나 황산마그네슘으로 설사를 시키고 포도당염액을 정맥주사한다.
백굴채(白屈菜) 애기똥풀
[기원]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Linne var. asiaticum (Hara) Ohwi의 지상부
[생약명]백굴채(白屈菜)
[이명]젖풀, 즙채, 산황련(山黃連), 토황련(土黃連), 황장초(黃漿草), 산대연(山大烟), 웅황초, 가황연, 까치다리
[특성]
우리 나라 각처 촌락 부근에 나는 월년초. 키는 50cm가량. 전체에 길고 연한 털이 드문드문 나 있음. 줄기는 연하
고, 곧게 서며, 등황색의 유액을 함유하고 있음. 잎은 호생, 잎자루가 있고, 끝은 깃 모양, 갈래는 난상 긴 타원형, 다시 갈
라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 윗면은 녹색, 아랫면은 연둣빛. 꽃은 노란색, 산형화서, 옆에서 나오고 꽃잎 4장, 긴 난형,
길이 12mm. 꽃받침 2장, 타원형, 꽃이 필 때 떨어지고, 꽃잎은 4장, 길이 5-7cm, 둥근 모양, 수술은 다수, 암술머리는 방
사형. 열매는 삭과, 난상 구형, 개화기 5-6월.
[성미]性은 寒(有毒) 味는 苦하다.
[함유성분]Chelidonine, Chlerythrine, Protopine, Hemochelidonine, α-, β-Allokryptopine.
[효능/효과]
진통(鎭痛), 진해(鎭咳), 이뇨(利尿), 해독(解毒), 소종(消腫), 중추신경억제(中樞神經抑制), 항종류(抗腫
廇), 혈압강하(血壓降下), 항균(抗菌), 관상동맥확장(冠狀動脈擴張).
[채취시기]꽃이 활짝 필 때.
[국내주요산지]전국 각지.
[재배방법]
실생법. 반 그늘지는 장소에서 재배한다. 토양은 물빠짐과 보습성이 좋은 사질양토에 부엽 등을 충분히 섞어 사용
하는 것이 좋은데 가능한 지하부의 습기유지를 충분히 해준다. 여름철 고온에 주의한다.
[주의사항]
과량 복용하면 어지럼증, 두통, 메스꺼움, 사지마비, 혈압하강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해
독법: 초기에는 토하게 하고 위를 세척한 후 설사를 시킨다. 필요시엔 수액을 공급학고 기타 대중요법을 실시한다.
백굴채는 몸 전체에 진노랑 유액이 나오기 때문에 애기똥풀이라 부르며 젖풀이라고도 한다. 속명의
'Chelidonium'은 제비를 뜻하는 'chelidon'에서 유래했다. 제비 새끼는 태어나면 눈에 이물질이 많아 눈을 뜨지 못하는
데, 이때 어미가 애기똥풀의 줄기를 입으로 꺾어 그 유액으로 새끼의 눈을 씻어준다고하여 생긴 이름이다.
맛은 쓰고 맵다. 성질은 따듯하고 유독하다.[苦辛溫]
효능은 급만성위장염, 위,십이지장궤양, 담낭염 등의 복부동통, 이질, 황달형 간염, 피부궤양, 풍습성사지마비 등
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경련, 장관연동 및 타액분비 촉진, 항종양, 간염, 항균 작용이 보고되었다.
기침, 해소천식, 설사, 복통에도 효과가 인정되고 있으며 피부염이나 독충에 의 한 상처, 옴에도 사용한다.
백굴채는 가지가 많이 갈라진 줄기와 마주 난 잎이 붙어 있으며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연한 갈색을 띤다. 잎 뒷면
은 흰색을 띤 녹색이다.
<내용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백두옹(白頭翁) 할미꽃
[기원]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할미꽃(Pulsatilla cernua(THUNB.) Spreng. var. koreana (Nakai) Y. Lee의 뿌
리
[생약명]백두옹(白頭翁)
[이명]
노고초(老姑草), 내하초(奈何草), 노옹발(老翁發), 묘고도(猫古都), 묘두화(猫頭花), 백두공(白頭公), 백두초(白頭
草), 분유초(粉乳草), 야장인(野丈人), 주지화(注之花), 호왕사자(胡王使者)
[어원]
백두옹은 씨앗이 달리는 꽃줄기 끝에 흰색 털이 있는데 그 모양이 머리가 하얀 노인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
다.
어느 마을에 한 젊은이가 배가 몹시 아프고 땀을 많이 흘리면서 통증이 심해 쓰러져 신음소리를 내고 있었는데 지
나가던 백발의 노인이 근처에 있던 흰 털이 난 풀을 달여 먹도록 일러주었다. 노인이 일러 준 대로 그 풀을 달여 먹으니
배가 아픈 것도 낫게 되었고 설사까지 멎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 풀의 이름을 ‘백발의 늙은이’라는 의미로 백두옹(白頭翁
)이라고 짓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성미]이 약은 자극성인 냄새가 나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苦寒]
[효능]백두옹은 습열로 인한 이질, 아메바성 이질, 경부림프절염, 치질출혈에 쓰인다.
[약리작용]
항균작용, 아메바원충과 음도원충 억제작용, 심장독성, 진정, 진통작용, 피부점막자극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성상]
생김새는 원주형으로 바깥 면은 황갈색이거나 갈색이며 불규칙한 세로주름이 있고 표피가 쉽게 떨어져 나가 황색
의 목부가 노출되며 그물 모양으로 갈라진 무늬가 있다. 근두부에는 백색의 연한 털이 달렸으며 줄기와 잎자리가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 푸석푸석하여 쉽게 꺾이며 꺾은 면은 평탄하다. 묵은 뿌리는 썩어서 공동(空洞)으로 된 것도 있다.
<내용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할미꽃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유독식물로서,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경남, 경북,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 함북) 산야의 양지초원 대개는 건조한 땅, 무덤가 등지에 자생한다. 꽃이 필 때 굽어 있으니 젊어서도 할미꽃
, 열매가 익으며 열매이삭이 백발 노인의 머리를 연상시켜 늙어서도 할미꽃이라 하여 백두옹(白頭翁) 이라고도 한다. 또
한 할미꽃의 뿌리를 백두옹이라고도 하는데, 생약(生藥)에서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용하
는데, 바깥쪽은 황갈색으로 세로 주름이 있고 부서지기 쉬우며 안쪽은 엷은 황갈색으로 많은 공간이 있으며, 맛은쓰다.
가는할미꽃, 세잎할미꽃, 분홍할미꽃의 뿌리도 백두옹이라 하여 동의치료에 쓴다.
다년초, 전체에 긴 털이 밀생하고 줄기는 곧게 섰고 높이는 30-40cm 이다. 땅속의 뿌리는 굵고 흑갈색이며 윗부분
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근생엽은 밀생하고 잎자루가 길고 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우상복엽(羽狀複葉)이며 전체에 긴
흰털이 빽빽히 나고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털이 없다. 밑부분의 작은잎은 길이 30-40cm 이고 2-3개로 깊
게 갈라지며 정열편(頂裂片)은 폭 6-8mm 로 끝이 둔하다.
꽃은 3-5월에 피고 적자색이며 화경(花梗)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고 소포(小苞)는 화경 윗부분에 달리며
3-4개로서 다시 잘게 갈라져 겉에 꽃자루와 더불어 긴 흰털이 빽빽히 난다. 꽃받침열편은 6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mm, 12mm 정도로서 겉에 명주실같은 흰털이 빽빽히 나며 안쪽은 털이 없다. 수술은다 수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암술 다수, 자방과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는 4월부터 성숙되며 수과(瘦果)는 암술대에 붙어 있고 긴 난형이고 길이 5mm 정도이며 겉에 흰 털이 있고,
암술대는 길이 40mm 정도로서 깃꼴 모양으로 퍼진 털이 빽빽히 난다.
[성분]
뿌리에 Anemonin과 Tannin이 있다. 신선한 뿌리에는 유독물질로서 Protoanemonin의 형태로 들어 있으며 공기
속에서 2분자가 중합되여 Anemonin으로 된다. 또한 헤데라게닌을 비당부분으로 한 4가지 Saponin이 분리되었다.
[효능]
관상초 및 한방과 민간에서 뿌리부분을 진통, 백독, 지형, 소염, 건위, 익혈, 풍상, 산기, 수렴, 이질, 지사, 학질, 신
경통 등에 약재로 쓴다. 잎은 강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의사항]유독식물. 강력한 심장독인 anemonin이 들어 있다.
백모근(白茅根) 띠
[기원]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띠 Imperata cylindrica Beauvois var. koenigii Durand et Schinz의 뿌리줄기.
[생약명]백모근(白茅根), 모근(茅根)
[이명]삘기, 모침, 모초, 삐비, 필기
[성미]甘, 寒
[효능]양혈지혈(凉血止血), 청열이뇨(淸熱利尿), 청폐위열(淸肺胃熱)
[해설]
1.혈열(血熱)로 인한 토혈, 코피, 소변, 소변 출혈, 각혈에 생즙을 복용하고,
2.열을 내리고 소변을 잘 보게 하므로 전신이 부었을 때 쓴다.
3.황달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4.위열(胃熱)로 인해 구토를 일으키거나,
5.폐열(肺熱)로 인한 해수, 천식에도 쓰인다.
[성분]포도당, 과당, stearic acid, sucrose, palmi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토끼에게 달인 물을 복용시키면 이뇨 작용이 나타난다.
2.항균 작용이 있어서 이질균에 현저한 억제 반응을 보인다.
[임상보고]
1.급성신우신염에 비교적 양호한 반응을 얻었고,
2.급성전염성간염에 이 약물 8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1일 2회로 나누어서 복용하자 5일후 제반 증상이 소실되고 간 기능
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띠(Cogongrass)Imperata cylindrica Beauvois
북아메리카·아시아·아프리카의 온대에서 열대에 널리 분포하며,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지어 자
란다.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 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 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를 감싸는 잎집이 된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수상꽃차례 모양의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가 10∼20cm이고
은백색의 긴 털로 덮인다. 작은이삭은 긴 타원 모양이고 길이가 3.5∼4.5mm이며 밑 부분이 길이 12mm의 긴 털에 둘러싸이고 자루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쌍을 이루며 마주난다.
포영(苞穎:작은이삭의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바소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맥
이 약간 있으며, 호영(護穎:화본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조각)은 퇴화하여 매우 작은 비늘 조각으로 된다. 까끄라기는 없다. 수술은 2개이고 길이가 2.5∼3mm이다. 암술머리는 2개이고 길며 짙은 보라색이다.
[성분]
뿌리줄기에 arundoin, cylindin, ferneol, simiarenol, isoarborinol, sucrose, D-glucose, D-fructose이 함유되어 있다
. 또한 당분 18.8%, 칼륨 0.73%, 사과산, 레몬산, 초산, 타닌질,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알란토인이 있다. 지상부에는 타닌질
2.6%, 플라보노이드 0.4%, 쿠마린 0.1%가 있다.
[효능/효과]
한방에서는 모근(뿌리줄기)을 발한, 어혈, 이뇨, 토혈에 사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더위 먹은데 띠뿌리와 메밀 볶은 것을
갈아 달여서 먹는다. 혈뇨에 달여 먹는다. 딸꾹질에 띠 뿌리를 8~19g 달여 먹는다. 동물 실험 결과 모근의 이뇨작용은 현저하다 고 한다. 또, 뿌리줄기는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주의사항]당뇨병 환자에 사용하면 안된다.
[용도]도구용, 식용(어린 꽃) ,약용(뿌리줄기), 지붕을 덮거나 도롱이를 만드는 데 사용(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