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 이야기

약용식물 ㅇ~

Choi가이버 2023. 9. 11. 18:14

●애엽(艾葉):쑥, 약쑥, 산쑥, 황해쑥
[기원]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쑥 Artemisia princeps Nakai, 산쑥 Artemisia montana Pampan ., 약쑥 Artemisia
asiatica Nakai, 황해쑥 Artemisia argyi Leveille et Vaniot의 잎.
[생약명]애엽(艾葉)
[이명]rtemisia Herb, 의초(醫草), 구초(灸草), 황초(黃草), 첨애(甛艾), 애(艾), 사재발쑥, 약쑥, 뜸쑥, 참쑥, 빙대
약쑥 - 강화쑥, 사제발쑥, 獅子足艾, 싸주아리쑥
산쑥 - 산호, 두호
황해숙 - 모기쑥
쑥 - 약쑥, 사재밭쑥
[성미] 苦辛, 溫
[효능]온경지혈(溫經止血), 산한지통(散寒止痛), 제습지양(除濕止痒)
[해설]
1.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하므로 자궁과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일어나는 자궁 출혈 및 임신 중 출
혈, 토혈, 코피, 각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2.하초(下焦)가 허약하고 차며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帶下) 등에 유효한 반응
을 보인다.
3.습진, 피부가려움증에는 약물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한다.
[성분]
정유 성분으로 phellandrene, cadinene, thujyl alcohol, β-sitosterol, α-amyrin 등이 알려졌다.
[약리]
1.지혈 작용이 있어서 응혈(凝血) 시간을 단축시키고,
2.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콜레라균, 피부진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
용이 있다.
3.기관지 평활근에 이완 작용이 있으며,
4.진해,거담 작용,
5.수면 시간 연장과 자궁 흥분 작용이 있으며, 정유는 과민성 쇼크에 현저한 보호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
1.유산 전조증으로 출혈을 보일 때에 유효하였으며,
2.만성기관지염에 현저한 유효성을 보였다.
3.과민성 질환에도 유효열이 높았다.
4.만성간염, 지연성간염과 간경변에도 반응을 나타냈으며,
5.화상에 이 약물의 증기를 쐬자 치료율이 증가되었다.
6.세균성이질에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7.방사선피부궤양에 약물 달인 물로 세척하자 높은 치료율을 보였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약쑥 Artemisia asiatica
강화쑥이 이것인데 강화도가 아닌 내륙에도 자란다. 흔히 바닷바람을 쐬며 자라는데 유기질이 많고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 햇볕이 잘 드는 해발 100m 내외의 산자락에 자생하는 강화도의 것을 최고로 치는 인식이 있다. 그래서인지 약재
시장에 출하되는 약은 전체의 10%가 되지 못하나 시장 점유율은 90%를 상회하는 이해하지 못할 상황이 연출되는 실정
이다. 쑥은 엉거시과에 속하는 다년초인데 창쑥·물쑥·약쑥·쑥 등의 종류가 많다. 쑥잎 표면은 푸르며 뒷면은 젖빛의 솜털
이 있고 독특한 향기가 있다. 줄기엽병은 약용, 어린잎은 식용, 잎은 뜸쑥을 만드는데 흰 털은 인주 만드는데 써왔다. 쑥
은 마늘과 더불어 단군 신화에 나올 만큼 역사가 아주 오래된 약초이자인체에 매우 이로운 식품이다.
[성분]칼슘, 섬유,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C, 다량의 엽록소
[효능/효과]
「명의별록」에서는 "쑥은 백병을 구한다"고 극찬할 정도이다. 또 「본초강목」에는 "쑥은 속을 덥게 하고 냉을 쫓
으며 습을 없애 준다"고 기록되어 있고, 「약용식물사전」에는 "쑥은 속을 덥게 하고 복통·토사를 다스리며 자궁출혈·비
혈 등에 지혈로서 효험이 있다. 또 신경통·통경·감기 등에도 유효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예로부터 쑥은 가정 상비약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신경통·관절염 환자들이 쑥뜸을 많이 하는데 쑥
뜸을 뜨면 백혈구의 수가 평상시보다 2-3배나 늘어나 면역물질이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쑥이 비타민 A와 C의 보고이기
때문에 봄철의 피부건조, 호흡기질환, 각종 알러지성 증상, 위장병 등을 예방 및 치료에 좋은 식품이다. 또 비타민 A 효
과가 있는 베타카로틴이 쑥잎에는 풍부한데, 이것이 부족하면 인체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저항력을 상실
하고 만다. 베타카로틴은 항암효과가 인정되고 있는데, 그 외에도 항암효과가 있는 복합 다당체도 보고되고 있다. 이 밖
에도 쑥은 칼슘·철분 등이 많이 들어 있는 훌륭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 체질이 되기 쉬운 우리 몸에 좋은 역할을 한다
쑥은 위장을 튼튼히 해서 식욕을 돋구고 천식에도 좋으며, 특히 쑥즙은 식욕촉진과 함께 소화에 특효가 있는 것으
로 보고 있다. 쑥탕은 신장·신우염등으로 인한 부종을 없애 주는 등 피부의 독소를 제거해 주는 효능이 있다. 야외에 나
갔을 때 피가 나는 상처에 쑥을 붙이면 지혈 효과도 나타낸다. 쑥의 연한 잎을 말려 찐 다음 즙을 만들어 마시면 해열과
진통작용, 해독과 구충작용, 혈압강하와 소염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전래된다.
<약으로서의 사용법>
사용하는 부분 : 잎 6-8월경의 것을 채취하여 햇볕에 충분히 건조시킨다. 생엽도 이용한다.
1) 벌레물림·베인 상처 - 어린 잎은 잘 비벼 즙을 내서 환부에 바른다. 그 찌꺼기를 환부에 붙여 고정시켜 두어도
좋다.
2) 고혈압 - 신선한 생엽을 절구에 넣고 물을 부어 찧어서 청즙을 만든다. 하 루량을 술잔 한잔으로 하고 매일 마신
다. 과음은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적 당량만 섭취하면 된다.
3) 치질·출혈·자궁출혈·코피 - 건조시킨 잎 20g과 생강 2g을 2.5컵의 물에 넣어 약한 불로 약 반이 될 때까지 달인
다. 이것을 하루량으로하여 식전 또는 식후에 나누어 마신다.
4) 신경통·류머티스 - 건조시킨 잎을 20g, 율무열매 4g, 감초 2g을 혼합하여 달여서 마신다.
5) 위병 - 신선한 생엽을 취하여 물로 삶아 형겊으로 걸러 찌꺼기를 버린다. 이 액을 졸여서 엑스를 만들어 젓가락
끝으로 취한 정도의 양을 1회분으로 하여 물에 녹이던가 오블라트로 사서 먹으면 특효가 된다.
[기타]
- 쑥은 어린 싹일수록 향긋하고 약효가 좋으므로 새봄에 시장에 쑥이 나온 것을 많이 먹으면 좋다. 만일 쑥에서 나
는 짙은 냄새가 싫으면 데친 뒤 하룻밤두었다가 조리하면 된다.
- 쑥떡에 넣는 쑥은 아주 어린 때의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 시기에 다량 채취하여 냉동 보관하여 두면 항상 맛있
는 쑥떡을 만들 수 있다.
[용도]
식용(어린 잎), 약용(잎, 줄기엽병)
산쑥 rtemisia montana Pampan
우리 나라 각처의 산지에 나는 다년초이다. 키는 약 1.5-2m이다. 잎은 호생, 중앙부의 잎은 가턱잎이 없고, 길이
15-19cm, 폭 6-12cm, 밑으로 흘러 잎자루와 날개로 되며, 2회 깃 모양, 갈래는 긴 타원형, 긴 타원상 피침형, 끝이 뾰족
하고, 2-3쌍, 뒷면에 흰 솜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없으며, 위로 갈수록 갈래는 없어지고, 작아
진다. 꽃은 노란색, 줄기 끝에 두상화서가 원추화서 모양으로 달린다. 총포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 바깥 조각은 넓은 난형, 끝이 뾰족하고, 안쪽 조각은 긴 타원형, 끝이 둥근 모양. 열매는 수과, 털이 없다.
쑥 (mugwort) Artemisia princeps
국화과의 향쑥(Artemisia)속의 관목종으로 전국 각지의 들에 분포한다. 서남미의 비가 적게 오는 평지와 산의 경사
지에서 자란다. 높이가 60∼120cm에 달하며 원줄기에 융선이 있으며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고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싹이 나와 군생한다. 근생엽(根生葉)과 밑부분의 잎은 후에 쓰러지며 경생엽(莖生葉)은 가탁엽(
假托葉)이 있고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깊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진다. 꽃은 7∼9월에 피며 화경이 거의 없고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성분]
정유 0.02% : 주성분은 1,8-Cineol(=Eucalyptol), α-Thujone,
β-Thujone, Sesquiterpene, Adenine, Acetylchloride, Choline 등이 들어 있다.
황해쑥 rtemisia argyi Leveille et  Vaniot
우리 나라 중부 서해안 이북에 나는 다년초이다. 키 30-100cm. 잎은 호생, 두껍고, 길이 6-8.5cm, 폭 4.5-5cm,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는 2쌍, 표면에 흰 점이 많으며, 뒷면은 흰 솜털이 밀생한다. 윗부분의 잎은 소형, 3갈래 이
거나 밋밋하며, 긴 타원형, 잎자루는 없다. 두상화는 연한 갈색, 지름 2-2.5mm, 두상화서가 총상 원추화서 모양으로 달
린다. 총포는 반구형, 털이 많고, 총포편은 4-5줄로 배열, 바깥 조각은 난형, 안쪽 조각은 긴 타원형, 털이 다. 열매는 수
과, 긴타원형, 털이 없고, 양 끝이 좁다.
[효능/효과]심복냉통(心腹冷痛), 월경불순, 대하, 태동불안, 설사, 하혈, 불임증등의 병리에 유효하다.
[주의사항]
과량 복용하면 구갈, 구토, 전신무력, 어지러움, 이명, 경련, 마비, 간종대,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임신부는 출혈 또는 유산을 일으킬 수 있다. 해독법: 위를 세척한 후 골탄분(骨炭粉)을 관장하여 독소를 배출기킨다. 환자를 조용하
고 약간 어두운 방에 안치하여 외부 자극을 피히도록 하고 진정제를 투여한다. 또 간장을 보호해야 한다.

● 앵도육(櫻桃肉):앵두나무
[기원]장미과의 갈잎떨기나무 앵두나무 Prunus tomentosa Thunb.의 열매. 가지를 앵도지(櫻桃枝)라고 한다.
[생약명]
앵도(櫻桃), 앵도육(櫻桃肉) - 열매
앵도지(櫻桃枝) - 가지
[이명]앵도나무
[성미]甘辛, 平
[효능]익기(益氣), 고정(固精)
[해설]앵도는
1.이질과 설사를 그치게 하고,
2.기운을 증강시키며, 유정(遺精)을 치료한다.
앵도지는 찬곳에 있었거나 찬 기운에 감촉되어 나타난 복통과 전신통에 불에 태워 그 재를 술에 타서 마시면 효과
가 있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앵두나무(korean cherry)  Prunus tomentosa Thunb.
중국이 원산지이고, 과수로 뜰에 심거나 인가 주변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3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
며, 나무 껍질이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빽빽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7cm의 달걀을 거꾸로 세
운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털
이 빽빽이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2∼4mm이고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고 흰빛 또는 연한 붉
은빛이며 지름이 1.5∼2cm이고 1∼2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원통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타원 모양이
고 잔톱니와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둥글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꽃잎보다
짧으며, 씨방에 털이 빽빽이 있다. 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지름이 1cm이고 6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번식은 씨뿌리기·
꺾꽂이·포기나누기 등으로 한다.
[효능/효과]
한방에서는 열매와 가지를 약재로 쓰는데, 열매는 이질과 설사에 효과가 있고 기운을 증강시키며, 불에 탄 가지의
재를 술에 타서 마시면 복통과 전신통에 효과가 있다.
[용도]식용(열매), 관상용

● 앵속각(罌粟殼):양귀비
[기원]
양귀비과의 한두해살이풀 양귀비 Papaver somniferum L.(Papaver prxemko, Papaver neuga, Papaver
przemko)의 성숙한 열매 껍질. 두메양귀비 Papaver radicatum Rott. var. pseudoradicatum (Kitagawa) Kitagawa,
흰두메양귀비 Papaver radicatum Rott. var. pseudoradicatum (Kitagawa) Kitagawa for. albiflorum Y. Lee는 약용하
지 않는다.
[생약명]
아편(阿片) - 설익은 열매 껍질의 유액
앵속(罌粟) - 종자
앵속각(罌粟殼), 어미각(御米殼) - 열매
[이명]앵속,약담배, 아편꽃, 파피 씨드
[성미]酸澁, 平
[효능]염폐(斂肺), 삽장(澁腸), 지통(止痛)
[해설]
1.폐 기능 허약으로 해수가 오래도록 치료되지 않는 것을 다스리고,
2.수렴상이 강하여 오래된 설사, 이질에 특효를 보인다.
3.강한 진통 효과가 있어서 복통, 위통, 근육과 골격통 및 암 등의 격렬한 통증을 다스린다.
[성분]각종 alkaloid, papaverine, morphine, narcotine, code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진통, 진해 작용이 뛰어나고, 호흡 억제 작용도 나타난다.
2.위장과 괄약근의 장력을 증강시키고, 위장 내용물의 전진 운동을 느리게 하므로 변비를 일으킨다.
3.반복하여 사용하면 중독성을 보인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앵속각(罌粟殼)
[基原] 이 약은 양귀비과에 속한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인 양귀비 Papaver somniferum L.의 과실을 건조한 것으
로, 4~6월에 채취하여 종자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性味] 微寒, 酸澁
[歸經] 肺, 腎, 大腸
[功效主治]
1. 斂肺止咳: 久咳不止
2. 澁腸止瀉: 久瀉久痢, 脫肛, 便血
3. 止痛: 胃痛, 筋骨疼痛
[禁忌] 痢疾과 咳嗽初期者
양귀비(opium poppy) Papaver somniferum L.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재배되나 따뜻한 지방이 더욱 좋다. 한국, 이란, 터어키, 인도, 중국(러허성), 내몽고,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두해살이 풀로 전체가 분백색이고 키는 1m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백록색을 띠며 긴 타원형이고
들쭉날쭉한 톱니가 있다. 잎의 밑부분은 줄기를 싼다. 꽃은 흰빛, 붉은 빛, 자주빛 등 여러 빛의 꽃이 5-6월에 핀다. 꽃받
침 2개, 꽃잎 4개,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공 모양이고 위쪽에 방사상의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채
익지 않을때 상처를 입히면 젖물이 나오며, 익으면 그 속에 매우 작은 씨가 많이 생긴다. 약용으로는 흰꽃이 중요하다.
씨는 작고 길이는 1mm이며, 신장모양을 하고 있고 회청색에 어두운 청색으로 다양하다. 견과류와 같이 연한 향을 가지
고, 연한 맛을 가지며, 특히 빵이나 다른 제과품에 많이 쓰인다.
[성분]
식물전체에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으며 특히 열매에 많다(1.5∼2.5%). 아편의 알칼로이드 함량은 품종과 재배, 채
취조건에 다라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보통 8∼15%이다. 아편 알칼로이드는 20∼26개의 알칼로이드로 되어있다. 주알칼
로이드로 모르핀이 6∼15%, 코데인 1∼3%, 나르코틴이 4∼8%, 테바인 0.4∼1%, 파파베인이 0.5∼1.51% 들어 있다. 그
밖에 밀, 펙틴(Pectin), 고무, 수지, 탄닌, 색소, 점액, 단백질 등을 함유한다. 양귀비씨는 44-50%의 고정유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것을 리놀레인산과 올레산의 주요 구성요소이다.
[효능/효과]
1. 한방에서는 진경, 진통, 진해, 최면, 지사약, 해소, 천식, 복통, 설사 등 대단히 사용 범위가 넓다.
2. 껍질은 진해, 진정, 지사약으로 사용한다.
3. 민간에서서도 진통, 지사에 많이 사용한다.
4. 약품으로 아편가루, 아편산, 아편틴크, 모르핀 주사약 등 수십 종에 달한다.
[주의사항]
1. 독식물로 분류되어 있으며 미숙과일에 상처를 내어 그 침출액을 모은 것을 아편이라 하며 그중 20종이상의
alkaloid가 morphine으로 대표되며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극적인 진통작용을 나타낸다.
2. 급성 중독 초기에는 졸음, 두통, 구토, 변비, 배뇨곤란, 담낭 부위의 통증, 동공축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각
하면 사망한다.
[해독법]
0.05% 과망간산칼륨액으로 위를 반복하여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을 투여하여 설사를 시킨다. 5%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산소를 공급하고, 중추흥분제를 사용한다. 또 호흡기감염으로 인한 폐렴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항생제를 사
용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아편은 간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적당한 간장 보호제를 투여하여 간장의 해독 작용을 촉진시
켜준다.
[기타]
1. 양귀비 씨는 양귀비중 Papaver przemko, Papaver neuga의 종자(씨)를 열처리한 것에 대해서만 식품원료로
인정하고 있으며, Papaver somniferum은 아편의 채취원으로서 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없다.
2. 매우 뚜렷한 약효가 있으나 함부로 쓰면 습관성이 되고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3. 아편은 양귀비의 익지 않은 열매 껍질에 상처를 내서 흘러나오는 젖물이 말라서 약간 굳어졌을 때 채취하여 70
℃이하에서 말린 것이다. 모양은 연한 갈색 덩어리이고 맛은 극히 쓰며 마취성이 있다. 이것을 생아편(opium)이라고 한
다.
4. 양귀비의 작은 마른 씨는 식품, 식품향신료, 그리고 양귀비씨 기름에 사용된다.
5. 양귀비씨는 니코틴 성분이 없는데 이는 양귀비가 되는 새순에 들어있는 액상이 씨가 만들어 지기전에만 존재하
기 때문이다.

● 야관문(夜關門):비수리, 호비수리
 [기원]
콩과의 갈잎떨기나무 비수리 Lespedeza cuneata G. Don, 호비수리 Lespedeza daurica (Laxmann)
Schindler의 지상부.
 [생약명]
야관문(夜關門)
 [이명]
노우근(老牛筋), 호지자, 산채자
 [성미]
苦辛, 凉
 [효능]
보간신(補肝腎), 익폐음(益肺陰), 산어소종(散瘀消腫)
 [해설]
1.간신(肝腎)의 기능을 보(補)해 주므로 유정(遺精), 유뇨(遺尿)와 소변 색깔이 흰빛인 것을 치료하고, 여자의 백대
하(白帶下)에 쓰인다.
2.폐음(肺陰)을 강화시키므로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3.유방염과 종기에도 활용되고,
4.시력 강화 작용이 있다.
 [성분]
pinitol, flavonoid, tannin, 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약물 달인 물은 생쥐에게서 진해 작용이 현저하며,
2.소염, 거담 작용이 있고,
3.천식을 가라앉히는 효력이 있다.
4.자궁에 선택적 흥분 작용을 나타내고,
5.황색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연쇄상구균에 항균 작용이 있다.
 [임상보고]
1.만성기관지염에 80g을 2시간 동안 물을 넣고 달여서 하루 2회 복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2.뱀에 물렸을 때 가루를 내어 1회 15g씩 하루 2~3회 복용하고 효력을 얻었다.
3.급성위염, 이질에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증상이 소실되거나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비수리 Lespedeza cuneata G.
Don
한국·일본·타이완·인도·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반관목으로 산기슭 이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고 짧은 가지는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높이 50∼100cm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온 겹잎이다. 작은잎은 줄 모양의 거꾸로 세운 듯한 바소꼴이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산형(傘形)으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받침은 밑까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각 갈
래조각에 1맥이 있다. 꽃잎은 흰 바탕에 자줏빛 줄이 있고 기판(旗瓣) 중앙은 자줏빛이다. 10개의 수술 중 아래쪽 9개는
합쳐진다. 꼬투리는 편평한 달걀 모양이고 털과 그물맥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효능/효과]
진해, 소염, 거담, 항균작용 등이 있다.
[용도]
가축사료 ,빗자루 재료, 약용(지상부)
--------------------------------------------------------------------------------
호비수리 Lespedeza daurica (Laxmann)
Schindler
한국(충북 이북) ·일본 ·중국 및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콩과의 목본성 다년초로 높이 1 m 내외로 줄이 있고 굵은 가
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비스듬히 선다. 잎은 3출엽이며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양끝이 둔하다.
꽃은 8월에 피고 백색이지만 기판의 중앙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폐쇄화는 꽃줄기 밑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깊게 4개로 갈라지고 뒤쪽의 것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3∼7맥이 있다. 꼬투리는 자줏빛
이 돌고 그물맥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염색체 수 2n=36, ca.40

● 야우(野芋):토란
 [기원]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토란 Colocasia antiquorum Schott var. esculenta Engl.의 뿌리줄기.
 [생약명]
야우(野芋)
 [이명]
우두, 토지, 백우, 토란줄기
 [성미]
辛, 寒
 [효능]
유옹(乳癰), 종독(腫毒), 마풍(麻風), 개선(疥癬)
 [해설]
1.유방염,
2.급성경부림프절염,
3.뱀에 물렸을 때나 벌에 쏘였을 때에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성분]
초산 칼슘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초산 칼슘은 자극이 강한데, 끓이고 찌면 자극성이 없어진다.
 [기타]
잎도 뱀에 물린 데 짓찧어 붙인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토란(taro)
Colocasia antiquorum Schott var. esculenta Engl.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식용으로 재배하는 다년초이다. 약간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구경은 타원형, 겉은 섬유로
싸여 있고, 옆에 작은 구경이 달려 있다. 잎은 뿌리에서 나와 높이 1m 정도까지 자라며,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는 30-
50cm이고, 담록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파상으로 굴곡지며, 밋밋하고, 잎몸 밑은 귓불같이 처진다.
개화기는 간혹 8-9월에 꽃이 피는 것이 있으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힌다.
[성분]
초산 칼슘이, 전분 71%(주성분), 무기질 K가 많다(500mg%), 특수 성분으로서 토란의 점질물은 갈락탄(galactan)
이며 아린 맛은 호모젠티스 산(homogentisic acid)이다.
알줄기(cyanoglucoside)
[효능/효과]
알줄기 또는 식물 전체를 급성경부림트선염, 창상출혈,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 옴, 소아탈항 등의 치료에 사용
한다.
[주의사항]
식하거나 과량 복용하면 알줄기에 함유된 cyanoglucoside로 인해 중독되며, 중독되면 인후발열, 후두의 가려움,
구강 부어오름, 침흘림,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정신혼미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기타]
토란은 지하경에 동화영양이 축적된 괴경으로 열대지방에선 조식으로 이용되고 잎, 줄기도 채소로 이용되고 있다.
큰 잎은 보통 스튜에 사용된다.
[용도]
식용(구경), 잎, 약용(뿌리줄기)

● 야초(野椒):산초나무, 머귀나무, 민머귀나무
[기원]
운향과의 갈잎 떨기나무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 et Zucc., 머귀나무 Zanthoxylum
ailanthodes Sieb. et Zucc., 민머귀나무 Zanthoxylum ailanthoides var. inermis의 열매껍질.
[생약명]
야초(野椒)
[이명]
분지나무 , 상초, 젠피나무
[성미]
辛, 溫
[효능]
온중산한(溫中散寒), 조습살충(燥濕殺蟲), 행기지통(行氣止痛)
[해설]
1.온중(溫中)시키므로 복부냉증을 제거하고 구토, 설사를 그치게 한다.
2.회충, 간디스토마에 효과가 있으며,
3.치통,
4.지루성피부염에도 효력을 보인다.
[성분]
isopimpinellin이 함유되어 있다.
[기타]
종자도 식용한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산초나무 (prickly ash)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 et Zucc.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3m이고, 잔가지는 가시가 있으며 붉은빛이 도는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13∼21개의 작
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1∼5cm의 넓은 바소꼴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와
더불어 투명한 유점(油點)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8∼9월에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작은꽃자루에 마디가 있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2mm의 바소꼴이며 안으로 꼬부라
진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같고, 암술은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둥글며 길이가 4mm이고 녹색을
띤 갈색이며 다 익으면 3개로 갈라져서 검은 색의 종자가 나온다. 초피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자루 밑 부분에 가시가 1개
달리고 열매가 녹색을 띤 갈색이며 꽃잎이 있는 것이 다르다.
[주요성분]
acid amides계인 sanshool I, II, III, VI와 정유성분 등이 들어 있다.
[효능/효과]
복부냉증을 제거하고 구토와 설사를 그치게 하며, 회충, 간디스토마, 치통, 지루성피부염에 효과가 있다.
[용도]
식용(열매, 잎, 종자), 약용(열매껍질), 향신료(열매껍질)
--------------------------------------------------------------------------------
머귀나무 (Ailanthoides fagara)
Zanthoxylum ailanthodes Sieb. et Zucc.
울릉도를 포함한 남부 바닷가에 나는 낙엽 소교목이다. 키는 10-15m,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 깃꼴겹잎, 길이는
40cm, 작은잎은 19-23장, 두껍고, 넓은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뒷면은 회갈색, 길이 7-12cm,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월
에 길이 12cm의 꽃자루가 있는 원추모양꽃차례에 달리며 암수딴그루, 황백색, 산형상 원추화서, 꽃받침은 5갈래, 둥근
모양, 꽃잎은 5장, 긴 타원형, 열매는 삭과, 둥근모양, 매운맛이 나고, 향기가 적다. 개화기는 5-8월, 결실기는 11월이다.
[효능/효과]
과실을 식수유(食茱萸)라 하며 심복냉통, 하리, 치통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2-3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 산제
로 하여 복용하며, 외용에는 짖찧어 바른다. 잎은 감기 및 학질의 치료에 사용하한다.
[주의사항]
구체적인 중독증상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과량 복용은 금하며, 특히 폐결핵 환자 등과 같이 몸에 진액이 부족하거
나 허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
민머귀나무 Zanthoxylum ailanthoides var.
inermis
한국(제주도·경상북도·전라남도)·일본·타이완·중국·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머귀나무와 닮았으나, 울릉도에서 자
라고, 가시가 없다. 바닷가 부근의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7∼15m, 지름 약 60c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머귀나무와 달리 가시가 없다. 잎은 어긋나고 13∼23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타원꼴로
서 두껍고 길이 5∼10cm, 나비 2∼4.5cm이다. 끝부분은 점점 뾰족해지고 뒷면은 잿빛을 띤 갈색이며 가장자리에는 줄
모양의 잔 톱니가 있다. 작은 잎자루는 짧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7∼8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우산 모양의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차
례 길이 약 20cm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둥근 모양이다. 꽃잎은 5장이며 긴 타원 모양이다. 열매
는 공 모양의 삭과로서 향기가 적고 매운 맛이 있으며 11월에 익는다.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효능/효과]
잎·나무껍질·열매는 한방과 민간에서 중풍·치통·변비 등에 약재로 쓴다

● 약사초(藥師草):고들빼기, 이고들빼기, 왕고들빼기
[기원]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MAXIMOWICZ,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var. laciniata의 지상부.
[생약명]
약사초(藥師草)
[이명]
꼬들빼기, 씬나물, 고채
[성미]
苦, 寒
[효능]
소종(消腫), 건위(健胃)
[해설]
1.종기와 악창에 짓찧어 환부에 붙이고,
2.어린싹은 건위 및 소화 작용을 나타낸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고들빼기 (Korean youngia)
Youngia sonchifolia MAXIMOWICZ
한국·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2년생초본으로 전국 각처의 산야지 노방(路傍) 및 원포(園圃) 등지에 흔히 자생하고 근
래에는 농가에서 재배도 한다.
높이 80cm 안팎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자줏빛이 돌며 털이 없다. 근생엽(根生葉)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葉柄)이 없고 긴 타원형이 며 둔두(鈍頭)이고 길이 2.5~5 cm. 너비 14~17 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이며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진다. 경생엽(莖生葉)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3~6 cm로서 예두(銳頭)이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크 게 감싸며 불규칙한 결각상(缺
刻狀)의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5~7윌에 꽃이 피고 꽃은 황색이며 두화(頭花)는 가지끝에 산방상(撒房狀)으로 달리고 화경(枓更)은 길이 5~9
mm이며 포(苞)는 길이 0.5~0.7mm로서 2~3개이다. 총포(總苞)는 길이 5~6 mm이고 중앙부의 지름이 3 mm이며 외
포편(外苞片)은 1줄로 배열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0.5~1.5 mm로서 둔두이고 화관은 황색이며 길이 7~7.5 mm. 너비
1.5 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통부(通部)는 길이 l.5~2 mm이며 잔털이 약간 있다. 6윌부터 열매가 성숙되고 수과는 흑
색이며 편평한 원추형이고 길이 2.5~3 mm로서 12줄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3 mm 정도이고 백색이다.
[성분]
lactucarium, germanicum
[효능/효과]
1. 종기와 악창에 짓찧어 환부에 붙이고, 어린 싹은 건위 및 소화작용을 나타낸다.
2. 민간에서 전초(全草)를 건위(健胃), 최면(催眠), 진정(鎭靜), 발한(發汗), 이뇨(利尿), 종창(腫瘡)에 사용한다.
[용도]
식용(전초), 약용(지상부)
--------------------------------------------------------------------------------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우리 나라 각처의 산과 들의 건조한 곳에 나는 1-2년초이다. 키는 약 30-70cm이다. 줄기는 자줏빛이 나고, 가지가
퍼진다. 잎은 호생, 주걱 모양, 끝은 둔하고, 길이 6-11cm, 폭 3-7cm,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으며, 밑은 줄
기를 약간 둘러싸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 양 면에 털이 없다. 두상화는 노란색, 지름 1.5cm, 산형을 이루고, 개
화시에는 곧게 서며, 개화 후에는 아래로 처진다. 포엽은 2-3장, 총포는 좁은 통 모양, 털이 없고, 총포편은 2줄, 긴 타원
상 피침형, 안쪽 조각은 8장, 길이가 거의 같으며, 선형, 어두운 검은색. 화관에는 노란색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 갈색
또는 검은색, 방추상으로 12개의 능선이 있다. 관모는 흰색, 길이 3.5mm 가량이다.
[효능/효과]
해열제로 사용한다. 목 아플때 약으로 쓴다.
[용도]
식용(뿌리, 어린순)
--------------------------------------------------------------------------------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들에서 자란다. 높이 1∼2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의 바소꼴로 길이 10~30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앞면은 녹
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깃처럼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다. 상처에서 흰 유액(乳液)이 나온다. 꽃은 7∼10월
에 피고 많은 두화(頭花)가 원추꽃차례[圓錐花序]에 달리며 노란색이다. 두화는 지름 2cm 정도이고 총포는 밑부분이
굵어지며 안쪽 포편은 8개 내외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뿌리가 있고 갓털은 흰색이다.
[주요성분]
β-Amyrin, Stigmasterol, β-sitosterol
[효능/효과]
1. 동의치료에서 전초를 건위소화약, 약한 설사약, 열내림약으로 쓴다.
2. 신선한 전초즙은 부스럼이 빨리 터지게 하는데 쓰며 진정작용, 마취작용이 있다.
3. 종기와 악창에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기타]
이와 비슷하지만 잎이 갈라지지 않고 바소꼴인 것을 가는잎왕고들빼기(for. indivisa),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재
배하는 것을 용설채(var. dracoglossa)라고 한다.
[용도]
식용(어린잎), 약용(전초)

● 양우(洋芋):감자
[기원]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감자 Solanum tuberosum Linne의 덩이뿌리.
[생약명]
양우(洋芋)
[이명]
양우(洋芋), 마령서, 북감저, 북저, 지두자, 양우, 토두, 양산우, 양산약, 토두자, 번우
[성미]
甘, 平
[효능]
보기(補氣), 건비(健脾), 소염(消炎)
[해설]
1.위장의 소화력을 높이고 기운을 증강시키며,
2.볼거리염, 화상에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성분]
전분, 당, 섬유, 지방, 회분, vitamin류 등이 함유되어 있고, solanin이 확인되었다.
[약리]
1.해독 작용,
2.백혈구 증가 작용이 있으며,
3.간기능 활성화 반응이 나타난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감자(potato)
Solanum tuberosum Linne
서쪽 남미에서 분포하며 꽃은 양성적인 기관을 가졌으며 벌레에 의해 수정된다. 이 식물은 배수가 잘 되며 알칼리
를 함유하는 흙에서 잘 자라며 습기가 있는 토양이 필요하다.
감자는 북미 안데스산맥지방이 원산지로서 유럽에는 1580년경 스페인에 의해 도입되었고 17세기말에 전 유럽에
전파되었다. 우리 나라에도 이조 순조 24년(1824년) 만주의 간도지방으로부터 두만강을 건너 도입되었기 때문에 북저(
北著)라고도 부른다. 우리 나라의 생산은 강원도와 경북의 산간지대에서 많이 생산하고 있다. 감자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줄기가 생긴 후에 뿌리가 생기며 괴경에서 생긴 뿌리는 직립근(直立根)
이 없다.
감자의 가식부는 저하경에 전분을 집적 (集積)하여 두꺼워진 괴경부이다. 줄기는 지상, 지하부가 있고 지하부의 줄
기를 복지(匐枝, stolon)라 하며 이 복지는 지하에서 수평으로 퍼져가면서 대개 그 끝의 일부에 영양을 축적하여 비대해
진 감자덩이(괴경)이다. 괴경의 형태는 품종에 따라서 구형, 편구형, 타원형, 편타원형, 장타원형, 원통형 등이 있고 표면
이 매끄럽거나 그렇지 않은 것, 백, 홍, 황, 적, 자색 등 여러 색깔이 있으며 7~8개의 눈이 있어서 저장할 때 발아하여 품
질을 손상시킨다. 괴경의 내부에도 피층이 있고 다음에 수심부(髓心部, medulla) 가 외수부(外髓部)와 내수부(內髓部)
로 구분되어 있는데 내수부는 별모양으로 수분 함량이 많으며 투명도가 높다.
감자는 일반적으로 표피 2.5%, 피층 8.5%, 수심부 89%의 비율로 되어 있다. 우리 나라 감자의 품종은 아직 재배
이용이 분야별로 유형화(類形化)되지 못하고 있다. 식용은 겉껍질이 매끄럽고 백색 또는 황색이며, 눈이 얕고, 육색은 백
색, 분상질인 것이 알맞다. 분상질은 전분이 많으며 당분이 적다. 그러나 전분 함량이 16% 이하인 것은 단 백질이 많고
점질이다. 점질의 감자는 가열에 의하여 희고 불투명한 외관을 나타낸다.
우리 나라에 가장 많이 보급된 품종은 남작(男爵, irish cobbler)이나 그밖에도 몇 가지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남
작은 다수확이고 대형이며 맛이 좋고 눈도 얕고 적으며 표피가 희고 매끄러워 우량종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주용성분]
감자가 고구마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감자에는 당분이 적다는 점이며 섬유는 고구마보다 적지만 단백질은 많은
편이다. 감자의 주성분은 품종재배 및 저장 조건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전분으로 10~30% 정도 들어있다.
당분은 고구마에 비하여 1/4~1/5적은 1% 정도로서 이 때문에 맛이 담백하여 주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
나 저온에서 저장하면 전분이 감소하면서 서당(sucrose)이 증가하여 단맛이 커진다. 단백질은 0.7~4.5% 정도로서 그
의 60~70%는 투베린(tuberin) 이라고 하는 글로불린(globulin)이며 아미노산 조성은 우수한 편이나 함황 아미노산이
적다. 무기질은 K가 많고(400mg%) Ca 함량은 아주 적으나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가치가 크다. 비타민은 비타민 C가 많
으며(15mg%) B1도 상당히 많아 생채소가 귀한 겨울철의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하다.
특수 성분으로서 솔라닌(solanin)이라는 독성물질이 2~60mg% 들어 있으며 특히 새싹(81mg%), 녹색 부분의 표
피(48mg%) 부분에 많이 함유되어있어 주의를 요한다. 보통 솔라닌(solanin)(C45H73O15N)을 30mg 이상 섭취하면 중
독을 일으켜 복통, 위장장해, 현기증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껍질을 벗기면 약 70% 제거되고 가열처리하여도 분해된다.
이것은 묽은 질산(HNO3)에 의해 적변하므로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효소로서는 폴리페놀옥
시다아제가(polyphenoloxidase), 티로시나아제(trysinase)가 존재하며 껍질을 벗기면 흑색으 로 변색되는 것은 트립
신(tryp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하여 멜라닌(melanin) 색소로 변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막기 위해 아황
산 처리나 가열처리 하여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다.
감자에는 식물전체에 글리코알칼로이드가 있다. 꽃에 1.5~3.6%, 줄기에 0.02~0.06%, 잎에 0.5~0.6%, 덩이뿌리
에 0.02~0.03%, 덩이뿌리의 겉껍질에 0.1~0.3%, 속껍질에 0.06~0.07%, 속살에 0.006~0.04% 있다. 덩이뿌리에서 돋
아난 싹에는 글리코알칼로이드가 많이 들어있다.
[주의사항]
1.저장중에 생기는 녹색부위와 발아한 새로운 싹에 0.1%이상의 solanine을 함유하고 있다. solanine은
solanidine이라는 steroid계 alkaloid에 glucose, galactose, rhammnose가 결합한 배당체이다. solanine이나
solanidine은 용혈작용 및 운동중추 마비작용이 있다. 중독증상은 식후 수시간 이내에 복통, 설사, 구토, 현기증, 졸음,
두통, 발한, 언어장애, 환각, 의식장애 등을 일으키며 발열은 없다.
2.덩이줄기는 아주 작은 양의 atropine alkaloids를 함유하고 있으며 위에 산을 감소시킨다.
3.잎은 경련 방지제로 쓰인다.
[기타]
전립분이 매우 커서 15~100μ 정도이다. 생산이 많은 중부지방의 산간지대에서는 주식 또는 간식으로 쓰이며 기
타 부식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엿, 떡, 감자부침 등 가공식품로 이용하기도 하고 전분용, 주정용, 기타사료용으로도 이
용된다.
[용도]
식용(괴경,뿌리,꽃잎), 약용(괴경,덩이줄기,잎)

● 양유근(洋乳根):더덕
[기원]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Trautv.의 뿌리. 사삼(沙蔘)이라
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생약명]
양유근(洋乳根), 산해라(山海螺)
[성미]
甘辛, 平
[효능]
소종배농(消腫排膿), 해독(解毒), 거담(祛痰), 최유(催乳)
[해설]
1.소종(消腫) 작용이 있어서 유방염, 폐농양, 충수돌기염, 피부의 종기를 제거하고,
2.인후염, 림프절결핵에도 활용된다.
3.부인의 백대하, 유즙 분비 부족 등에도 쓰이며,
4.미약한 자양(滋養) 강장 효과를 지닌다.
[성분]
sapon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만삼(蔓蔘)의 작용과 유사해서 적혈구 수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백혈구 수는 감소 작용을 보인다.
2.항피로 작용이 있으며,
3.달인 물은 혈압 강하와 호흡 흥분 작용을 보이며,
4.토끼의 혈당치를 현저하게 올린다.
5.생쥐에게 투여하면 진해 작용이 나타나서 천식을 가라앉히나, 거담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더덕(Codonopsis lanceolata)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우리 나라의 여러 곳에 자생하며, 근래에는 재배하기도 한다.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만초(蔓草 : 덩굴풀)이다.
괴근(塊根: 덩이뿌리)은 비대(肥人)하고 방추형(紡錘形)이며 덩쿨진 줄기는 감겨서 뻗어 올라 가고, 길이는 2m이상에 이
른다. 잎은 3~4개로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8~9월에 자색의 종상화(鍾狀花)가 가지의 끝에 정생(頂生)하고 삭과(
果)는 윈추형이다.
[주요성분]
생뿌리의 일반성분의 함량은 대체로 수분 82.2%, 단백질 2.3%, 지질 3.5%, 당질 4.5%, 섬유 6.4%, 회분 1.1%, Ca
90 mg%, P 121 mg%, Fe 2.l mg%, vitamin A 효력 øIU/100g, B1 0.12 mg%, B2 0.22 mg%, 니아신(niacin) 0.8 mg%,
C ømg%등이다. 당질(약 4.5%)중 유리당으로는 과당, 포도당, 설탕 등이며, 재배더덕에는 엿당도 포함되어 있다. 특수
성분으로는 사포닌 및 스테톨 성분 등도 포함되어 약리효과가 있다고 한다.
[효능/효과]
진해, 거담, 강장약으로서 천식, 폐(肺), 소변불리(小便不利)에 효과가 있다.
[기타]
한방에서는 인삼대용 생약으로 쓰이고, 식용으로는 더덕뿌리를 잘 다져 여러 양념과 같이 하여 더덕구이 등의 재
료로 한다.
[용도]
식용, 약용(뿌리)

● 양총(洋蔥):양파
[기원]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양파 Allium cepa Linne의 비늘줄기.
[생약명]
양총(洋蔥)
[성미]
甘辛, 溫
[효능]
창상(創傷), 궤양(潰瘍), 부인적충음도염(婦人滴蟲陰道炎)
[해설]
1.피부궤양과 창상(創傷)에 짓찧어 환부에 바르고,
2.부인의 질염에 쓴다.
3.관상 동맥 확장 작용과 고지혈증용해 작용이 있어서 관상 동맥 질환에도 쓰인다.
[성분]
thiol, methyldisulfide, allyldisulfide, trisulfide, citrate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고혈당에 대해서 항당뇨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1.건강한 남성이 이 약물 60g을 기름에 튀겨서 복용하자 고지방 음식으로 인한 혈청 콜레치가 내려가는 동시에 섬
유단백 용해의 활성이 하강되었다.
2.vitamin C·B1·B2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vitamin 결핍증에 효력이 있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양파 (Onion)
Allium cepa
비늘줄기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납작한 둥근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겉에 얇은 막질(膜質:얇은 종이
처럼 반투명한 것)의 자줏빛이 도는 갈색 껍질이 있고 안쪽의 비늘은 두꺼우며 층층이 겹쳐지고 매운 맛이 난다. 잎은 속
이 빈 원기둥 모양이고 짙은 녹색이며 꽃이 필 때 마르고 밑 부분이 두꺼운 비늘 조각으로 되어 있다. 꽃은 9월에 흰색으
로 피고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려 공처럼 둥근 모양이다. 꽃줄기는 원기둥 모
양이고 높이가 50∼100cm에 달하며 아랫부분이 부풀어 있으며 그 밑에 2∼3개의 잎이 달린다. 화피는 6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바소꼴이며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6개이고 그 중 3개의 수술대 밑 양쪽에
잔 돌기가 있으며, 암술은 1개이다.
[주요성분]
탄수화물이 많고 갈락탄(galactan), 크실란(xylan), 메틸 펜토오즈(methyl pentose) 등이 주이며, 헤미셀룰로오
즈(hemicellulose)도 많다. 단백질, 비타민도 비교적 많지만 비타민 A는 거의 없다. 척극성분은 황화 아릴(allyl,(C3H5)
2S) 및 아릴 프로필(allyl propyl), 이황화물(C3H5S・SC3H7)이다. 색소 성분으로
쿼세틴(quercetin,C15H10O7)이라는 성분이 껍질 부분에 들어 있는데 지방성분의 산패를 막아주며 고혈압의 예방에 효
과가 인정되고 있다. 잎은 100g 중에 비타민A 5,000IU, 비타민C 45mg, 칼슘 80mg, 마그네슘 24mg, 칼륨 220mg이 들
어 있다.

[효능/효과]
비늘줄기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는 이황화프로필·황화알릴 등의 화합물 때문이다. 이것은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
를 촉진하고 흥분·발한·이뇨 등의 효과가 있다. 인경은 관상동맥 질환, 고혈당, 당뇨 등에 사용한다.
[용도]
식용, 약용(인경)

● 어성초(魚腥草):약모밀
[기원]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Thunb. 의 지상부.
[생약명]
어성초(魚腥草)
[이명]
집약초, 즙채, 취재, 필관채, 십약, 즙채, 중약초,  어성채(魚腥菜), 취채(臭菜), 십약(十藥)
[성미]
청열해독(淸熱解毒), 배농(排膿), 이뇨통림(利尿通淋)
[해설]
1.열을 내리면서 농(膿)을 배출하는 작용이 현저하여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과 피고름을 토해 낼 때에 탁월한 효과
가 인정된다.
2.폐렴, 급만성기관지염에 신속한 효과를 보이고,
3.장염과 요로감염증에도 비교적 양호한 반응을 보인다.
4.열로 인한 종기에 짓찧어 붙이고,
5.열이 많고 소변을 자 못 보며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에 쓰인다.
6.차료 달여서 복용한다.
[성분]
휘발성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으로 decanoylacetaldehyde, methyl-n-nonylketone, myrcene, lauric
aldehyde 등이 알려졌다.
[약리]
1.항균 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디프테리아균, 장염균, 이질균의 발육을 억
제한다.
2.면역 기능을 증강시키며,
3.항염증 작용,
4.이뇨 작용,
5.진해 작용이 있다.
[임상보고]
1.폐농양, 폐렴, 기관지확장증, 폐결핵에 이 약물 3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매일 1회 복용하고 신속한 반응을 얻었
다.
2.만성기관지염에 약침 제제로 유효율을 높였으며,
3.자궁내막염에도 약침 제제로 효력을 얻었다.
4.신증후군(nepthrotic syndrome)에도 양호하였으며,
5.자궁경부미란증,
6.위축성비염,
7.혈관종양
8.과민성 쇼크에도 유효성이 인정되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어성초(魚腥草)
[性味] 辛, 微寒
[歸經] 腎,肺
[效能主治]
1. 淸熱解毒: 肺癰, 肺熱咳嗽, 癰腫瘡毒
2. 利水通淋: 熱淋, 熱痢
--------------------------------------------------------------------------------
약모밀(Houttuynia)
Houttuynia cordata Thunb.
삼백초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남쪽지방에 먼저 들어와 지금은 중부지방 및 울릉도의 습기있는 곳에서 야생상태로
자라고 있는 일종의 귀화식물(歸化植物)이다. 전체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이 풀에서 심한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어성
초(魚腥草), 어성채(魚腥菜) 또는 취채(臭菜) 등으로 불리고 10가지의 병을 치유한다하여 십약(十藥)이라 하기도 한다.
다년생초본(多年生草本)으로 습지에서 더 잘 번식하며 식물 전체에서 물고기의 비린내같은 냄새가 고약하게 나고
땅속 줄기는 흰색이며 연하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땅위의 원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으며 높이 20-50cm이고 곧게
자라며 몇개의 종선(縱線)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엽병(葉柄)이 길며 넓은 염통 모양이고 길이 3-8cm, 너비 3-6cm로서
뚜렷한 5출맥(五出脈)이 있으며 연한 녹색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탁엽(托葉)이 잎자루 밑에 붙어 있
다.
꽃은 5-7월에 피고 황색이며 원줄기 끝에서 짧은 화경(花莖)이 나오고 그 끝에서 길이 1-3cm의 수상화서(穗狀花
序)가 나와 많은 나화(裸花)가 달린다. 포(苞)는 4개이고 꽃차레 밑에 십자형으로 달려 꽃잎같이 보이며 길이 1.5-2cm로
서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떨어지지 않는다. 꽃은 화피(花被)가 없고 3개의 수술이 있으며 황색으로 보이고 씨방은
1개이며 상위(上位)로서 3실(三室)이고 3개의 암술대가 달린다. 열매는 8-9월에 삭과가 되며 삭과는 화주(花柱) 사이에
서 갈라져 연한 갈색의 종자가 나온다.
[주요성분]
生전초에는 정유가 0.005% 있다. 그 주성분은 Methylnonylketone, Myrcene, Auricaldehyde, Afzerin,
Capricaldehyde, Capric acid, Quercitrin, Isoquercitrin, Decanoyl Acetaldehyde(특유의 고기 비린내 성분)이다. 이
외에 물에 풀리는 무기성분 2.7%가 있다. 그의 주성분은 칼리움염이다. 꽃과 열매이삭에는 쿠에르찌트린이 없고 이소쿠
에르찌트린이 있다.
[효능/효과]
한방과 민간에서 뿌리, 잎, 줄기, 풀 전체 등을 수종, 매독, 방광염, 자궁염, 유종, 폐농, 중이염, 게선, 중풍, 페렴,
피부염, 간염, 고혈압, 강심해열, 동맥경화, 이뇨, 임질, 완화, 뇨도염, 등에 약재로 쓴다. 전초는 염증약.이뇨해독약으로
임질과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기관지염, 물고임,무좀치루, 탈항,악창 등에 쓴다. 차처럼 매일 달여서 마시면 동
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다. 풍악와 축농증에도 달여 마신다. 민간에서는 즙을 내어 헌데, 무좀, 치질과 뱀독, 옻이 올랐을
때 붙인다.
[용도]
식용(전초), 관상용, 약용
--------------------------------------------------------------------------------
- 어성초에는 몸 속의 온갖 독을 없게 하는 해독초(解毒草)입니다.
어성초가 얼마나 독을 잘 제거하는가는 일본에서 "도꾸다미"(글자로 풀면 毒橋)라고 부르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
습니다. 즉 독을 교정한다는 뜻이지요. 학자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얻은 외래독, 몸속 자체에서 생긴 자가중독, 세균독 까
지 없애준다는 기이한 해독전문 식물인 것입니다.
- 어성초는 미용초(美容草)입니다.
어성초 속의 풍부한 "쿠에르치트런"이라는 특수 성분이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피를 맑게 해주며 살결 속의 독도
없애주므로 어성초를 먹으면 살결이 희어지고 피부 "트러블"이 사라집니다. 일본에서는 "먹는 미용제"라 알려지고 있으
며 또 외용으로 "어성초비누","어성초유액","어성초화장수","어성초연고" 등 미용제로 시판되고 있습니다.
- 어성초는 정장초(整腸草)입니다.
어성초는 식품으로 복용하면 대장벽의 모세혈관이 부활되어 장속을 깨끗이 해줍니다. 즉 변비나 설사에도 좋아 장
의 상태를 정상화 시켜 줍니다. 또한 대장 속의 유해세균을 없애 줌으로써 상대적으로 유익 세균을 보호하게 되어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 주기도 합니다.
- 어성초는 청혈초(淸血草)입니다.
많은 어성초 관계문헌에는 한결같이 어성초는 피를 맑게 해준다고 기록 되어있습니다. 이것은 어성초 속의 "이소
쿠에르치트런"과 "쿠에르치트런" 플러스 "알파"의 물질이 상승해서 모세혈관의 혈액 운반 작용을 촉진시키므로 혈액의
신진대사가 원활해져 그런 것인데 그래서  어성초를 즐겨 먹으면 피가 맑아지는 것입니다.
- 어성초는 청뇨초(淸尿草)입니다.
어성초는  그 속의 풍부한 "칼륨"과 이소쿠에르치트런" 및 "쿠에르치트런"의 상승 작용으로 무리없이 신진대사가
원활해지기 때문에  맑은 소변을 보실수 있습니다.
- 어성초는 소염초(消炎草)입니다.
어성초는 먹거나 발라도 염증을 가시게 하는 효능식품입니다. 염증을 없애려고 일부러 먹지 않아도 일상으로 차처
럼 또는  애용가게 되면  염증이 생기지 않는 체질로 변하게 해주는  소염식물입니다..
- 어성초는 재생초(再生草)입니다.
원폭을 맞은 "히로시마"시에 제일 먼저 소생한 풀이 어성초로 알려져 있으며  이런 생명력 탓인지 원폭으로 상한
사람들이 이 어성초를 이용해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먹거나 바르면 세포 재생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
다. 이는 중약 대사전에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일상적으로 먹으면 상한조직의 회복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조규형저 어성초 건강법(서진각 출판)중에서 발췌

● 영산홍(迎山紅):진달래, 흰진달래
[기원]
진달래과의 갈잎떨기나무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Trucz. var. mucronulatum, 흰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albiflora Nakai의 꽃.
[생약명]
영산홍(迎山紅), 산척촉(山躑躅)
[이명]
두견화, 홍두견, 백두견, 영홍두견, 백화두견, 참끗나무
[효능]
해독(解毒), 청폐지해(淸肺止咳)
[해설]
1.청폐(淸肺) 작용이 있어서 해수, 기관지염에 유효하고,
2.감기로 인한 두통을 치료한다.
3.이뇨 작용이 있고,
4.쥐나 고양이에게 물렸을 때 사용한다.
[성분]
saponin, tannin, 다당류, flavonoid, 중성 수지, sitosterol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1.생쥐에게 투여하면 진해·거담 작용이 나타난다.
2.황생포도상구균을 억제시킨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진달래 (Korea rosebay)
Rhododendron mucronulatum
낙엽관목이며 일본·중국 및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야지양지(山野地陽地) 해발 50∼2.000 m 지역에 자생한다. 높이 2∼3 m이고 소지(小枝)는 연한 갈색이며 인편(鱗片)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점첨두(漸尖頭)이며 예저(銳底)이고 길이 4∼7 cm, 너비 1.5∼2.5 cm이며 톱니가 없고 표면에 인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인편이 빽빽히 나고 엽병(葉柄)은 길이 6∼10 mm이다.
3∼4윌에 꽃이 피고 꽃은 홍자색(紅紫色) 또는 연한홍색이며 잎보다 먼저 피고 가지끝의 측아(側芽)에서 1개씩 나오지만 2∼5개가 모여 달리기도 하며 화관(花冠)은 벌어진 깔때기 모양이고 지름 3∼4.5 cm이며 겉에 잔털이 있고 10개의 수술은 수술대 기부(基部)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가 수술대보다 길다. 8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삭과( 果)는 원통형(圓筒形)이고 길이 2 cm 정도이다. 백색꽃이 피는 것을 흰진달래(for. albiflorum NAKAI.)라 한다. 소지(小枝)와 잎에 털이 있는 것을 털진달래(var. ciliatum NAKAI.) 라 한다.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왕진달래(var. latifolium NAKAI.)라 한다. 잎 표면에 윤채(潤彩)가 있고 양면에 사마귀같은 돌기(突起)가 있는 것을 반들진달래(var. maritiumum NAKAI.)라 한다. 열매가 보다 가늘고 긴 것을「한라산진달래](var.taquetil NAKAI.)라 한다.
[주요성분]
잎에 안드로메도톡신,아잘레아틴.아잘레인,아비쿨라린,헤페로시드,쿠에르세틴,타니질,정유(0.4%0,우르솔산,p-히드록시안식향산,프로토카테킨산,바닐린산,시린가산이 있다. 곷과가지에도 안드로메도톡신이 있다.
[효능/효과]
줄기와 잎을 백화영상홍이라고 하며, 화혈, 산어의 효능이 있고, 토혈, 장풍하혈, 이질, 혈붕, 타박상을 치료한다. 관절염, 신경통, 담결리는데 사용한다.
[기타]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는 것 중에서 잎에 윤기가 있고 양면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는 것을 반들진달래(var. maritimum)라고 하고, 열매가 보다 가늘고 긴 것을 한라진달래(var. taquetii)라고 한다. 키가 작고 꽃도 작으며 5개의 수술이 있는 것을 제주진달래 (R.saisiuense)라고 하며 한라산 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용도]
식용(꽃), 관상용, 약용(꽃), 술용

● 영실(營實):찔레나무
[기원]
장미과의 갈잎떨기나무 찔레나무 Rosa multiflora Thunberg의 열매.
[생약명]
영실(營實)
[이명]
야장미, 칠성매, 자매화, 자매장미화, 찔레, 설널레나무, 질누나무, 약왕자, 들장미, 가시나무, 영실장미, 야객, 설객, 새비나무, 질꾸나무, 찔룩나무
[성미]
酸, 凉
[효능]
이수제열(利水除熱), 활혈해독(活血解毒), 안신강지(安神强志)
[해설]
1.노인이 소변을 잘 보지 못할 때와 전신이 부었을 때 쓰고,
2.불면증, 건망증 및 꿈이 많고 쉬 피로하고 성 기능이 감퇴되었을 때에도 유효하다.
3.종기, 악창(惡瘡)에 활용된다.
[성분]
saponin, 지방산, vitamin C, amino acid 등이 밝혀졌다.
[약리]
1.관상 동맥을 확장시키고,
2.생쥐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3.체내에서 지방와 단백질 대사를 개선시키고, 죽상동맥경화의 형성을 억제시킨다.
[임상보고]
1.노인의 불면, 건망, 항피로, 성 기능 감퇴 등과 뇌 기능을 향상시킨다.
2.식용 증가, 수면 촉진 및 정력 개선과 적응력을 개선시킨다.
[기타]
뿌리는 1.폐결핵 및 당뇨병에 효력이 있고,
2.타박상, 관절염, 반신불수에도 응용되며,
3.코피, 토혈, 변혈에도 쓰인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찔레나무(Baby brier, wild rosebush)
Rosa multiflora Thunberg
장미과에 속하며, 일본 및 우리나라 전도각지의 산야지 해발 50-1,950m 지역 인가 부근 및 산기슭 양지 등에 흔히 자생한다. 찔레나무의 열매를 영실이라고 하는데, 생약(生藥)에서 여문 열매를 따서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낙엽관목, 높이 2m 안팎, 가지끝이 밑으로 처지며 어린가지에 털이 있는 것도 있고 전체에 가시가 많다. 잎은 호생하고 5-9장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은 난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2-3cm, 폭 1-2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흰빛을 띤 연두색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턱잎은 빗살 같은 톱니가 있고 밑부분은 잎자루와 합해진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 연분홍색이며 지름 이 2cm 가량이고 햇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소화경(小花梗)에 털이 없거나 선모(腺毛)가 약간 있으며, 꽃받침은 5갈래로 피침형이며 뒤로 젖혀지고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5장으로 난형이며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향기가 있다. 열매는 9-10 월에 성숙되며 수과는 난상 타원형 또는 구형이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주요성분]
열매에 쿠에르쩨틴의 람노글리코시드인 물티플로린(Multiflorin)이 0.6-0.8%, 약간의 루틴, 쿠에르쩨틴, 켐페롤(Kaempfefol)이 있다. 물티플로린은 이전에 캠페롤의 배당체로 생각하였으나 물분해하면 쿠에르쩨틴과 포도당, 람노즈로 된다. 열매의 붉은 색소는 리코핀이다. 꽃잎에는 아스트라갈린, 뿌리에는 토르멘트산, 쿠에르쩨틴, 탄닌질, 잎에는 약 0.2%의 비타민C가 있다. 열매에는 비타민C가 거의 없고 비타민P 활성물질 이 0.15-0.3% 있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열매에는 쿠에르쩨틴배당체, 켐페롤배당체, 그리고 메틸갈라트가 분리되었다. 이중에서 설사성분은 켐페롤-람노즈-글루코질아세타트라고 한다.
[효능/효과]
한방과 민간에서 열매를 복진통, 하리, 루뇨, 교취, 관절염, 음위, 풍습, 창종, 강장, 치통, 자상, 변비, 이뇨에 약재로 쓴다.
불면증, 항피로, 정력감퇴 등에 효과가 있다.
[기타]
잎과 화서에 선모가 많은 것을 ''털찔레나무(var. adenochaeta Ohwi.)''라 한다. 소엽(小葉)의 길이가 1-2cm 이고 꽃이 작은 것을 ''좀찔레나무(var. quelpaertensis Nakai)''라 한다. 탁엽(托葉)의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암술대에 털이 있는 것을 제주찔레나무(Rosa luciae Fr. et Rockheb.)''라 한다. 전자와 비슷하지만 꽃이 붉은색이고 탁엽에 톱니가 있는 것을 "국경찔레나무(Rosa jaluana Kom.)"라고 한다.
[용도]
관상용, 신탄재, 향료재, 화장수, 화전용(꽃잎) 식용(열매, 잎, 꽃잎)

● 오가피(五加皮):오갈피나무, 서울오갈피, 지리산오갈피, 오가나무, 섬오갈피
[기원]
두릅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오갈피나무 Acanthopanax sessiliflorus (Rupr. et Max) Seem.(=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서울오갈피 Acanthopanax seoulense Nakai, 지리산오갈피 Acanthopanax chiisanensis , 오가나무 Acanthopanax sieboldianum., 섬오갈피 Acanthopanax koreanum Nakai의 뿌리 껍질과 나무 껍질.
[생약명]
오가피(五加皮)
[이명]
남오가피(南五加皮), 오화(五花), 목골(木骨), 오엽목(五葉木), 오주, 오가피나무
[성미]
辛苦, 溫
[효능]
거풍습(祛風濕), 강절골(强節骨), 소수종(消水腫)
[해설]
1.간신(肝腎)을 보익(補益)시켜 근육과 골격을 튼튼히 하고,
2.풍한습(風寒濕)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 사지마비, 구련(拘攣)의 실증(實證)에 응용된다. 특히 허리와 무릎의 연약 증상, 하지 무력감 및 어린이의 보행이 더딘 증상에 유효하다.
3.골절상, 타박상에도 유효하며,
4.이수(利水) 작용이 있어서 신체의 부종, 특히 피부층이 부은 것을 가라앉힌다.
[성분]
정유, tannin, saponin, palmitic acid, sesamin, savinin, acanthoside, vitamin A·B1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비특이성 면역 증강 작용을 나타낸다.
2.항산화·항피로·항고온·항자극 작용을 보이며, 내분비 계통의 기능 문란을 조절하고, 적혈구·백혈구 및 혈압의 조절 작용을 보이며, 항방사능·해독작용 등도 나타난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오가피나무(Five-leaved aralia)
Acanthopanax sessiliflorus (Rupr. et Max) Seem.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두릅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만주, 중국북부, 우수리와 아무르에 분포한다. 산지에서 비교적 흔히 자라며 가지가 밑에서 많이 갈라져서 총생하고 털이 없으며 가시도 드물다. 잎은 어긋나고 장상복엽이며 작은잎은 3-5개로서 도란상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작은 꽃줄기가 짧은 꽃이 산형화서에 밀생한다. 꽃잎은 5개, 암술대는 끝까지 합쳐지고 열매는 다소 편평한 타원형이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용도]
약용(뿌리껍질), 식용(어린잎, 줄기, 뿌리, 가지)
--------------------------------------------------------------------------------
서울오갈피 Acanthopanax seoulense Nakai
서울 청량리에 야생하며 정원에 심는 낙엽 관목이다. 식물의 높이는 2-3m이다. 가지에 가시가 없다. 잎은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잎은 3-5장,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2.5-8.5cm이다. 가장자리에 누운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연한 녹색이며 산형화서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화축의 길이는 2-3cm이고 꽃받침은 거의 갈라지지 않는다. 꽃잎은 3각형이고 3개이다. 열매는 핵과이고 납작한 타원형이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
지리산오갈피 Acanthopanax chiisanensis
한국 특산종으로 중부 지방 이남에 분포하며 에서 자란다. 높이는 3m에 달하고 뿌리 근처에서 많이 갈라지며, 작은 가지에 털과 가시가 없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3∼5개이고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길이가 2.5∼8.5cm, 폭이 8∼31mm이고 양끝이 뾰족하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주맥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맥 위에 잔가시와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겹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가 3∼7cm이며 털은 없으나 가시가 있다.
꽃은 여름에 피고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작은꽃자루가 짧아 둥근 머리 모양이고 흰색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있다. 꽃잎은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뒤로 젖혀지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이고 길이 6mm의 타원 모양이며 10월에 검은 색으로 익는다.
[효능/효과]
지리산 오갈피는 오갈피 나무 중에서도 두상 오갈피계통에 속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와 나무의 껍질을 약재로 쓰는데,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고, 사지마비·하지 무력감·골절상·타박상·부종 등에 효과가 있다. 풍습(風濕)을 제거하고 간장과 신장을 보하여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풍한습(風寒濕 : 바람 기운과 찬 기운과 축축하여 무거운 기운)으로 인한 손발저림이나 동통(疼痛 ― 신경통, 관절통, 중풍 반신불수(半身不遂) 등), 허리나 무릎이 아픈 것, 관절에 쥐가 나는 것(關節攣急), 근골에 힘이 없는 것, 어린아이가 다리에 힘이 없어 걸음을 더디 걷는 것, 몸이 허약한 것, 넘어지거나 얻어맞아서 다친 것(어혈), 골절, 부종, 각기(脚氣), 음부가 축축하며 가려운 것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고 하였으며, 주요 약리작용으로는 항염(抗炎)진통(鎭痛) 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면역증강 작용, 성호르몬樣 작용, 핵산(RNA, DNA)합성촉진 작용, 항피로 작용, 耐缺 작용, 抗위궤양 작용, 抗간손상 작용, 혈중지질 강하작용 등이 있다고 하였다.
[기타]
오가피는 원래는 오갈피나무의 뿌리 껍질을 약재로 썼는데, 현대적인 연구 결과 줄기 중에도 상당한 약리 성분들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껍질을 벗길 때에 유효 성분의 손실이 많고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므로 지금은 껍질을 벗기지 않고 뿌리나 줄기를 통째로 잘게 썰어서 사용하는 것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이 경우 용량만 2~3배 더 늘리면 된다. 그리고, 오갈피나무의 잎사귀와 열매 중에도 유효한 약리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속속 밝혀짐에 따라 오갈피나무는 뿌리에서부터 줄기와 잎사귀 열매에 이르기까지 버릴 것이 전혀 없게 되었다.
<본초강목>에 보면 “한 줌의 오가피가 한 수레의 금옥 보다 낫다.(寧得一把五加, 不用金玉滿車.)”고 하였고,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수명을 연장하여 늙지 않게 하니 신선들의 경전에 나오는 약이다.(延年不老, 仙經藥也.)" 라고 하여 모두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본초강목>에는 또 오가피 술을 반주로 복용하여 정력이 쇠하지 않고 300세까지 산 사람도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부작용이나 독성이 거의 없고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체질에 거의 상관없이 널리 응용할 수 있는 오가피가 더 각광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사상의학적으로 볼 때에는 오가피는 태양인에게 더 좋은 약으로 되어 있지만, 임상 경험으로 볼 때 태양인이 아니더라도 모두 효과가 있으며, 태양인의 반대가 되는 태음인에게도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섬오갈피 Acanthopanax koreanum Nakai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에서 자란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향기가 나며 밑부분에 넓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모양겹잎이다. 작은잎은 3∼5개씩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주맥 빝동에 털이 밀생한다. 잎 표면이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녹색이며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2∼5 cm이고 작은꽃자루도 길다. 꽃잎은 5개이고 꽃받침은 희미하게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로 편평하고 10월에 검게 익으며 암술대가 남아 있다.
[효능]
간신을 보익시켜 근육과 골격을 튼튼히 하고,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 사지마비, 구련의 실증에 응용된다. 특히,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 하지 무력감 및 어린아이의 보행이 더딘 증상에 유효하다. 이수작용이 있어서 신체의 부종, 특히 피부층이 부은 것을 가라앉힌다.
[약리작용]
비특이성 면역증강작용을 나타낸다. 항산화, 항고온, 항자극 작용을 보이며, 내분비 계통의 기능 문란을 조절하고, 적혈구, 백혈구 및 혈압의 조절작용을 보이며, 항방사능, 해독작용 등도 나타낸다.
--------------------------------------------------------------------------------
오가나무 Acanthopanax sieboldianum.
중국이 원산지이며 약용자원으로 심고 있으며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거나 모여나고 손바닥 모양의 겹잎은 3∼5개의 작은잎으로 되며 작은잎에 톱니가 있다. 꽃은 단성화이며 7월에 피고 산형꽃차례[傘形花序]에 달리며, 작은꽃줄기는 길이 1∼2cm이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은 5∼7개이다. 열매는 둥글며 5∼7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10∼11월에 검게 익는다.
[용도]
약용, 식용(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 오매(烏梅):매화나무
[기원]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 매화나무 Prunus mume Sieb.et.Zucc.의 덜 익은 열매를 가공한 것이다. 꽃을 매화라 한다.
[생약명]
오매(烏梅) - 덜익은 열매를 매연(媒煙)에 훈증(薰蒸)한 것
매화(梅花) - 꽃
오매핵(烏梅核) - 종자
[이명]
매실나무, 매실(梅實), 훈매(薰梅), 흑오매(黑烏梅)
[성미]
오매 - 酸澁, 溫
매화 - 微酸澁, 平
[효능]
오매 - 렴폐(斂肺), 십장(澁腸), 생진(生津), 안회(安蛔)
매화 - 開鬱和中, 화담(和淡), 해독(解毒)
[해설]
오매 - 1.신맛은 폐의 기운이 흐트러진 것을 수렴시켜 오래 된 해수에 지해(止咳) 작용을 나타낸다.
2.오랜 이질, 설사에 지사(止瀉) 작용이 있으며,
3.진액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갈증에 생진지갈(生津止渴)의 효능을 보인다.
4.회충으로 인한 복통에 유효하다.
매화 -

1.신경과민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잘 안 되며, 목 안에 이물질이 걸려 있는 것 같은 증상을 치료하고,
2.나력창독(瘰癧瘡毒)에도 효력을 보인다.
[성분]
오매에는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매화에는 benzoic acid, benzaldehyde, isoeugen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신체 면역 기능을 증강시키며,
2.항균 작용이 나타나고, 체외 실험으로 자궁경부암의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임상보고]
1.내치질(內痔疾)에 약침 제제로 활용되었으며,
2.바이러스성간염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3.소아의 복통, 설사에 높은 유효율을 보였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오매 (烏梅, Mume Fructus)
Prunus mume Siebold et Zuccarini
형태는 둥그스름한 모양이며 지름이 2-25㎝이며 표면은 윤기있는 흑색 혹은 갈흑색으로 쭈글쭈글하고 과핵은 단단하고 황갈색이며 표면에는 볼록한 점이 있다. 종자는 편원형으로 담황색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시다.
[주요성분]
구연산 19%, 사과산 15%, 호박산, 탄수화물, 시토스테롤, 올레놀산
[약리]
거담작용, 장운동 억제작용, 항균작용
[효능]
염폐(斂肺), 삽장(澁腸), 생진(生津), 지갈(止渴), 소종(消腫), 하기(下氣), 조중(調中), 정심(定心), 안면(安眠), 안회(安蛔), 지해(止咳), 제열(除熱), 용담(涌痰), 성주(醒酒), 거비(去痺), 구충(驅蟲), 해독(解毒), 지혈(止血), 이근맥(利筋脈), 거악육(去惡肉), [염폐삽장(斂肺澁腸), 용담소종(涌痰消腫)]
1. 간과 비장, 폐, 대장에 작용한다.
폐를 수렴시키고 기침을 멎게 하며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인체에 진액을 보충하고 갈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다.
2. 회충증 등 기생충으로 인한 구토와 복통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 근래에는 담도회충증으로 인한 담산통과 위산결핍으로 인한 식욕부진 및 소화불량 등에 이용되기도 한다.
[주치병증]
휴식리(休息痢) ,혈리(血痢) ,장학(장학) ,허로(虛勞) ,회궐(蛔厥) ,소갈(消渴) ,아관긴급(牙關緊急) ,유황독(硫黃毒) ,사지불인(四肢不仁) ,상주(傷酒) ,상한(傷寒) ,번열(煩熱) ,분돈(奔豚) ,붕중(崩中) ,구건(口乾) ,대변불통(大便不通) ,반위(反胃) ,계안(鷄眼) ,골증(骨蒸) ,곽란({곽}亂)
[주의사항]
복용 중 돼지고기를 함께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약한 독성이 있으나 장기복용하지 않으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매화(梅花, Mume Flos)
[주요성분]
alpha-Terpineol, Amygdalin, Benzaldehyde, Benzoic acid, Benzyl alcohol, beta-Sitosterol, Caprylic acid, Citric acid, 2,3-Dimethylmaleic anhydride, Ethyl benzoate, Eugenol, Furfural, Guaiacol, 5-Hydroxymethyl-2-furfuraldehyde, Isovaleric acid, Lauric acid, Linalool, Linalyl oxide, Linolenic acid, L-Malic acid (S-form), 2-Methylbutan-1-ol, 5-Methyl-2-furaldehyde, Naringenin, o-Cresol, Oleanolic acid, Oleic acid, p-Cresol, p-Cymene, Stearic acid, Succinic acid
[효능]
서간(舒肝), 개울(開鬱), 화중(和中), 화담(化痰), 산울(散鬱), 해독(解毒), 척번(滌煩), 안신정혼(安神定魂), 이폐기(利肺氣), 평간기(平肝氣), 청두목(淸頭目)
1.신경과민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잘 안되며, 목 안에 이물질이 걸려있는 것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2.나력창독에도 효력을 보인다.
[주의사항]
독성은 약하지만 장기간 복용은 피한다.
--------------------------------------------------------------------------------
오매핵(烏梅核, Mume Semen)
[주요성분]
alpha-Terpineol, Amygdalin, Benzaldehyde, Benzoic acid, Eugenol, Furfural, Guaiacol, Lauric acid, Linalool, Linalyl oxide, Linolenic acid, Naringenin, o-Cresol, Stearic acid, Succinic acid
[효능]
청서(淸暑), 제번(除煩), 명목(明目)
[주의사항]
약한 독성이 있으나 장기복용하지 않으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매화나무 Prunus mume Sieb.et.Zucc.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꽃을 매화라고 하며 열매를 매실(梅實)이라고 한다. 높이 5∼10m이다. 나무껍질은 노란빛을 띤 흰색, 초록빛을 띤 흰색, 붉은색 등이다. 작은가지는 잔털이 나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4∼10cm이다.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나며 잎자루에 선(腺)이 있다.
중부지방에서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붉은색을 띤 흰빛이며 향기가 난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둥근 모양이고 꽃잎은 여러 장이며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수술은 많고 씨방에는 빽빽한 털이 난다.
열매는 공 모양의 핵과로 녹색이다. 7월에 노란색으로 익고 지름 2∼3cm이며 털이 빽빽이 나고 신맛이 강하며 과육(果肉)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매화(for. alba), 꽃잎이 많은 종류 가운데 흰 꽃이 피는 것을 만첩흰매화(for. albaplena), 붉은 꽃이 피는 것을 만첩홍매화 (for. alphandii)라고 한다. 5∼6월에 덜 익은 열매를 따서 약 40℃의 불에 쬐어 과육이 노란빛을 띤 갈색(60% 건조)이 되었을 때 햇빛에 말리면 검게 변한다. 매화의 고자(古字)는 ‘某’인데 ‘梅’의 본자이다.
강희안(姜希顔)은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9등품론에서 1품으로 분류하였다. 만물이 추위에 떨고 있을 때, 꽃을 피워 봄을 가장 먼저 알려주므로서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삼았고, 늙은 몸에서 정력이 되살아나는 회춘(回春)을 상징하였다. 또한 사랑을 상징하는 꽃 중에서 으뜸이며 시나 그림의 소재로도 많이 등장한다. 꽃말은 ‘고격·기품’이다
[주요성분]
열매살에는 레몬산,사과산,포도주산,호박산 등의 유기산과 시토스테롤,올레아논산,세틸알콜 등이 있다. 씨에는 아미그달린이 있다. 레몬산이 많으므로 레몬산의 원료로 쓸 수 있다.
[효능/효과]
한방에서는 수렴(收斂)·지사(止瀉)·진해·구충의 효능이 있어 설사·이질·해수·인후종통(咽喉腫痛)·요혈(尿血)·혈변(血便)·회충복통·구충증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용도]
약용(뿌리-매근(梅根), 가지- 매지, 잎- 매엽, 씨-매인(梅仁)), 식용(열매, 꽃), 관상용, 과수

● 오미자(五味子):오미자, 흑오미자, 남오미자
[기원]
목련과의 낙엽 덩굴나무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흑오미자 Schizandra nigra Maxim.의 성숙한 열매.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Thunberg) Dunal의 열매도 약용한다.
[생약명]
오미자(五味子)
[이명]
개오미자, 북오미자, 검은오미자
[성미]
酸, 溫
[효능]
염폐습신(斂肺濕腎), 생진렴한(生津斂汗), 영심안신(寧心安神)
[해설]
1.이 약의 신맛은 수렴성이 강하고 자음(滋陰) 효과가 커서 오래 된 해수, 천식에 유효하다.
2.수렴 작용이 있어서 피부의 땀샘을 수축시켜 땀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액의 생성 작용이 강하여 갈증을 풀어 주고 기운이 없는 소갈증에 유효하다.
3.신(腎)기능 허약으로 인한 유정(遺精), 유뇨(遺尿) 및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으로 다스리며, 오래 된 이질, 설사에도 효력이 뛰어나다.
4.음혈(陰血) 부족으로 가슴이 뛰고 잠을 이루지 못하면서 꿈이 많은 증상에 쓰인다.
5.뇌력(腦力), 지력(智力)을 향상시켜 기억력 감퇴, 집중력 감소, 정신이 산만한 증상에 정신력을 강화시키고 사고력을 향상시킨다.
[성분]
휘발성 정유 3% 중에 sesqucarene, β-2-bisabolene, β-chamigrene, α-ylangene이 확인되었으며, 건조한 열매 중에는 citric acid 12%, malic acid 10%, tartaric acid, schizandrin, schizand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중추 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대뇌 피질의 흥분 작용을 현저하게 하는 동시에 혈압 강하 작용과 거담·진해 작용을 보인다.
2.호흡 흥분 작용을 나타내며,
3.심혈관 계통에 작용하여 동물의 심장에 강심 효과를 보이며,
4.당 대사 촉진과 간장 내에서 당원 분해에 관여하며,
5.세포 면역 기능의 증강 작용을 나타낸다.
6.자궁 흥분 작용,
7.담즙 분비 촉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이 입증되었으며,
8.시력 증대·시야 확대 작용도 나타나고,
9.포도상구균, 탄저균, 인플루엔자균, 폐렴균, 이질균, 콜레라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임상보고]
1.황달형전염성간염에 유효하고, 만성간염에도 영지, 단삼, 시호와 배합하여 유효율을 높였다.
2.이질에 양호한 반응을 얻었고,
3.신경쇠약으로 두통, 불면, 어지럼증 및 눈앞에서 꽃이나 별과 같은 것이 헛보이고 가슴이 뛰면서 유정(遺精)이 있을 때 회복력이 뛰어났다.
4.기관지천식에도 어성초와 같이 복용하자 유효한 반응을 보였다.
5.고산병에 1개월간 복용하자 어지럽고 가슴이 뛰며 호흡이 짧은 것 등의 자각 증상이 개선되었다.
6.당뇨병에 혈당 강하 작용이 나타났다.
[기타]
종자도 간 기능 활성화 작용을 나타낸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오미자 (五味子, Chinese magnolia vine)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목련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산골짜기에서 자라고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와 아무르에 분포한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뒷면 맥위 외에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2가화이며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이다. 꽃이 핀 다음 암꽃의 꽃턱은 길이 3-5cm로 자라서 열매가 수상으로 달린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주요성분]
스키잔드롤, 스키잔드린(스키잔드롤 A), 데옥시스키잔드린, 고미신, 스키잔들럴 A, B, 시트랄, 알파-카미그렌, 베타-카미그렌, 카미그레날, 푸말산
[효능/효과]
진해(鎭咳), 수렴(收斂), 지사(止瀉), 자양(滋養), 강장약(强壯藥)으로서 해(咳)가 있어서 구갈(口渴)하며, 하리(下痢)가 멈추지 않으며, 발한하며 담(痰)이 많은 것에 사용한다.
[기타]
열매는 차, 술로 만들어 먹는다.
[용도]
식용(열매), 약용(열매)
--------------------------------------------------------------------------------
흑오미자 Schizandra nigra Maxim.
제주도의 산기슭에 나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잎은 호생, 난형, 길이 2-6m, 가장 자리에 얕은 이모양의 톱니이다. 꽃은 암수딴그루, 연분홍색, 흰색,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의 지름은 15mm이다. 화피는 9-10장, 암술 다수, 수술 다수이다. 열매는 장과, 검은색으로 익는다.
--------------------------------------------------------------------------------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Thunberg) Dunal
한국(제주도 ·전라남도)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산기슭 양지쪽에서 자란다. 덩굴은 길이 3m, 지름은 1.5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으로 넓거나 긴 타원형의 바소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윤이 나며 길이 5∼10cm, 나비 3∼5cm이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꽃은 단성(單性) 또는 양성(兩性)으로 4∼8월에 피는데, 연한 황백색이고 지름 2cm 정도이며 꽃대는 잎자루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2∼4개, 꽃잎은 6∼8개이고 암술과 수술은 많다. 열매는 장과로 9월에 검게 익는다.
[주요성분]
목부에는 키실로글루쿠로니드를 주성분으로 한 점액이 있다.
[효능/효과]
1. 동의치료에서 오미자 대신 자양강장약, 기침멎이약으로 쓴다.
2. 줄기에도 키실로글루쿠로니드라는 점액성 물질이 있으므로 줄기껍질의 물 추출물은 점액성이 세다.
3. 머릿기름으로 쓴일이 있다.
[기타]
줄기에 점액이 많아서 제지용 호료(糊料)로 쓴다. 옛날부터 껍질을 물에 삶아서 머리를 감았다

● 옥잠화(玉簪花): 비비추, 좀비비추, 참비비추, 일월비비추, 주걱비비추
[기원]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옥잠화 Hosta plantaginea Aschers., 비비추 Hosta lowgipes (Franch. et Savat) Matsumura, 좀비비추 Hosta minor (Baker) Nakai, 참비비추 Hosta clausa var. normalis F.MAEKAWA.,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koidz.) Nakai, 주걱비비추 Hosta clausa Nakai.의 꽃, 잎, 뿌리.
[생약명]
옥잠화(玉簪花)
[이명]
옥잠화 - 옥비녀꽃, 백학석
비비추 - 장병옥잠(長柄玉簪), 장병백합(長柄百合)
좀비비추 - 조선비비추, 자옥잠(紫玉簪)-말린꽃, 자옥잠근(紫玉簪根), 자옥잠엽(紫玉簪葉)
참비비추 - 꽃비비추, 폐합옥잠
주걱비비추 - 꽃비비추
일월비비추 - 방울비비추, 비녀비비추
[성미]
甘, 凉
[효능]
인후종통(咽喉腫痛), 소변부통(小便不通), 창독(瘡毒), 화상(火傷)
[해설]
꽃 - 1.약성이 서늘해서 인후염에 쓰고,
2.열이 있으면서 소변을 잘 못보는 증상에 쓰인다.
3.창독(瘡毒)과 화상에는 짓찧어 붙인다.
잎 - 종기와 창진(瘡疹), 뱀에 물린 데 짓찧어 붙이며,
뿌리 - 종기와 림프절염, 인후염에 활용된다.
[임상보고]
1.화상에 잎을 짓찧어 참기름에 2개월간 담갔다가 창상 면에 하루 2회씩 바르자 5~10일 후 완쾌되었다.
2.유방염, 창독, 뱀에 물린 데 짓찧어 붙인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옥잠화 Hosta plantaginea Aschers.
중국원산으로, 전국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다. 꽃줄기의 높이는 40~56cm, 포 길이 3~8cm이다.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많이 총생한다. 잎은 자루가 길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심장저로서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고 8~9쌍의 맥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향기가 있고 총상으로 달린다. 6개의 꽃잎 밑부분은 서로 붙어 통 모양이 된다. 꽃줄기는 높이 40~56cm이고 1~2개의 포가 달리며 밑의 것은 길이 3~8cm이다. 화관은 깔때기처럼 끝이 퍼지고 길이 11 cm 내외이며 수술은 화피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삭과로 세모진 원뿔 모양이고 종자에 날개가 있다. 개화기는 6~8월이다.
[효능/효과]
1. 꽃: 약성이 서늘해서 인후염에 쓰고, 열이 있으면서 소변을 잘 못보는 증상에 쓴다. 창독과 화상에는 짓찧어 붙인다.
2. 잎: 종기와 창진, 뱀에 물린데 짓찧어 붙인다.
3. 뿌리: 소종, 해독, 지혈의 효능이 있고, 나력, 인종, 목 안에 가시가 걸린 것을 치료하며, 림프절염, 인후염에 활용된다.
[기타]
비비추류에 비해 전체가 대형이고 연한녹색인 것이 다르며 잎이 타원형인 것이 긴옥잠화(장타원형)와 다르다.
--------------------------------------------------------------------------------
비비추 Hosta lowgipes (Franch. et Savat) Matsumura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30∼40cm이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달걀 모양 심장형 또는 타원형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8∼9맥이 있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다소 물결 모양이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30∼40cm이다. 포는 얇은 막질이고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서 비스듬히 서고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검은색으로서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주요성분]
saponin 등이 들어 있다.
[효능/효과]
염증과 뱀물린데 찧어 붙인다.
[기타]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비비추(for. alba)라고 한다.
[용도]
식용(어린잎), 관상용, 약용(전초)
--------------------------------------------------------------------------------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koidz.) Nakai
한국(전남 백운산, 전북 덕유산, 경남 지리산, 경북 가야산), 일본에 분포한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석회암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35∼65cm이다.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10∼16cm, 나비 5∼7.7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거나 일(一)자 모양이다. 잎자루 밑동에 자줏빛 점이 있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6∼7월에 자줏빛으로 피는데, 잎 가운데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배처럼 생기고 흰색에 자줏빛을 띤다. 화관은 길이 4.5∼5cm로서 끝이 6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6개로서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둥글다. 열매는 삭과로서 10월에 익으며 길이 2.5∼2.7cm이다. 종자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길이 약 9mm이고 검은빛의 날개가 달린다.
--------------------------------------------------------------------------------
좀비비추 Hosta minor (Baker) Nakai
한국(제주)·일본에 분포하며 숲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30cm내외이다. 땅속줄기는 짧으며 끈 모양의 수염뿌리가 뭉쳐 난다.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서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10cm 정도이다. 잎밑은 얕은 심장저에서 갑자기 잎자루로 흐른다.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다.
꽃줄기는 길이 30cm 내외로서 세로줄이 있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바소꼴이고 화관은 종 모양이며 길이 5cm 정도이고 끝이 6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 9월에 결실한다.
[효능/효과]
1. 자옥잠(紫玉簪)-말린꽃 : 부녀의 허약함과 대하, 유정, 토혈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2. 자옥잠근(紫玉簪根)-뿌리및 근경 : 치통, 위통, 인후통, 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3. 자옥잠엽(紫玉簪葉) : 대하 및 상처 치료에 이용한다.
[기타]
1. 백색꽃이 피는 것을 흰좀비비추(for. alba)라고 한다.
2. 보호방안 : 현재까지는 상당수의 개체가 남아 있으며 번식력도 좋으나 주민들이 나물로 이용하거나 관상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남획의 위험이 있으므로 자생지를 보호하고 관상용으로 개발가치가 뛰어나므로 대량증식에 의해 경제적으로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을 한다.
3. 유사종 : 참비비추(H. calausa Nakai)는 주로 냇가에 자생하고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 지피식물로 중요하고 산나물로 재배되고 있다. 산옥잠화(H. lancifolia Engl.)는 깊은 산 계곡 냇가 근처에 자생하고 엽병이 유난히 길다. 비비추[H. longipes (Franch. et Sav.) Matsum.]는 산지 냇가 근처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로 조경지피소재나 산나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주걱비비추(H. clausa var. normalis F. Maekawa)는 산지 풀밭 특히 대관령 근처에 많이 자생하는데 잎모양이 특이하고 꽃이 아름다워 조경지피식물로 개발가 치가 높은 식물이나 자생지에 개체수가 많지 않으므로 보호를 요하는 식물이다.
4. 특이사항 : Hosta속 식물은 동아시아 지역에만 40여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5종이 자생한다. 특히 외국에는 많은 원예품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우리나라도 앞으로 개발가치가 높은 자생식물이다.
--------------------------------------------------------------------------------
주걱비비추(Plantain lily)
Hosta clausa Nakai.
우리 나라 각처의 산이나 들에 나는 다년초이다. 키는 60cm 가량이며 땅속줄기는 짧고, 흰색이다. 옆으로 뻗으며, 꽃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뿌리에서 총생, 곧게 선다. 잎은 뿌리에서 총생, 곧게 서고, 긴 타원형, 피침형, 길이는 6-15cm, 폭은 1-3cm, 경생엽은 1-2장이며 작다.
꽃은 7-8월에 피고 꽃줄기는 높이 20~50cm이며 많은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연한 자주색이다. 꽃은 연보라색, 총상화서의 길이는 25cm, 화관은 종모양, 길이 4cm, 6갈래, 갈래는 긴 타원형,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수술은 6개, 암술은 1개, 모두 화피보다 길게 나온다. 열매는 삭과, 세모진 긴 타원형, 씨는 검은색이다.
--------------------------------------------------------------------------------
참비비추 Hosta clausa var. normalis F.MAEKAWA.
경기도의 광릉과 속리산의 냇가 근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살이 많으며 백색이고 잎은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퍼지는데, 잎자루가 있고 잎사귀는 끝이 날카로우며 짙은 풀빛으로 윤기가 있다.
꽃은 옅은 자주색으로 8~9월에 피는데, 꽃자루는 길이 40~50센티미터로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銃傷)으로 달리고 활짝 벌어지지 않으며 길이 3~4센티미터이다. 꽃의 밑부분이 좁고 윗부분은 굵어지지만 꽃잎이 벌어지지 않으므로 다시 가늘어진다. 봄철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기도 하며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기도 한다. 은은한 연보라빛의 참비비추 꽃 속에 짙은 자주빛의 꽃밥을 품은 봉오리를 숙이고 다소곳이 있는 모습이 청초하고 단아하다

● 와거(萵苣):상추
[기원]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상추 Lactuca sativa Linne의 지상부.
[생약명]
와거(萵苣)
[이명]
상치
[성미]
甘苦, 凉
[효능]
소변부리(小便不利), 뇨혈(尿血), 유즙부통(乳汁不通)
[해설]
1.소변을 잘 못 볼 때나 소변 출혈에 짓찧어 배꼽에 붙이고,
2.산후 유즙 부족에는 술에 넣어서 복용한다. 유즙 분비 부족에 와거자 3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면 효력이 있다.
[성분]
정유, flavonoid, amino acid, vitamin류, 단백질 등이 풍부한데, 정유 중에는 pentanal, hexanal, pentanol, ρ-cymene 등이 알려졌다.
[임상보고]
1.소변 출혈에 효력을 얻고,
2.고혈압에 와거자를 진하게 달인 물에 꿀을 타서 복용한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상추(lettuce)
Lactuca sativa Linne
상치는 1년생 초본으로서 유럽, 아시아, 북부아프리카 원산으로, 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샐러드용 채소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과거에 주로 잎상치가 재배되었으나 근년에는 결구상치의 수요가 증가하여 재배면적도 아울러 늘어나고 있다.
상치는 유럽원산의 국과(菊科, Compositae)에 속하는 1~2년생 초본으로 경엽에는 흰가 루를 바르고 있다. 샐러드용 채소로서 과거에 잎상치가 재배되었으나 근년에는 결구상치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밑동잎은 타원형이고 줄기의 잎은 어긋나고 위로 올라 갈수록 작아지고 꽃은 담황색이고 10여개의 해꽃으로 되어있다. 줄기가 짧고, 그 위에 많은 잎을 총생하여 머리통같이 생긴 결구상치가 가장 애용 재배되고 있다. 결구상치의 잎은 폭이 넓고 담록색이며, 보통 녹색을 띤다.
상치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6종이 있다. 즉, 크리스프헤드(crisp head)형은 속이 단단하고, 지름 15cm로 무게는 1 kg이나 되며, 잎은 연하다. 여기에는 그레이트 케익 그룹(great cake group), 임페리얼 그룹(imperial group),골든 스테이트 그룹(golden state-group) 등이 있다. 버터 헤디드 타입(butter headed type)은 속이 들지 않고 작다.잎이 연하기 때문에 쉽게 손상을 입어 수송하기가 곤란하다. 그래서 도시 근교에 재배한다. 화이트 보스톤(white boston), 빅 보스톤(big boston), 비브(bibb), 버터 크런치 (butter crunch) 등이 있다. 코스(cos) 또는 로마인(romaine)형은 배추와 유사하게 잎이 길고 속잎은 쪼개져 있으며, 거칠게 보이지만 단맛이 있고 부드럽다. 역시 너무 연해서 수송이 어렵다. 패리스 아일랜드(Parris island), 화이트 패리스(white paris), 다크 그린 (dark green) 등이 있다. 오그라기형(loose leaf 또는 bunching type)은 잎의 굴곡이 심하다. 겨울철 온실에 재배하여 수송성이 없다. 프라이즈 헤드(prize head), 그랜드 래피즈(grand rapids), 샐러드 바울(salad bowl), 블랙시드(black seed), 심슨(simpson), 오크 립(oak leaf)등이 있다. 줄기형(stalk stein type)은 다른 형과 달라서 줄기가 크고 줄기를 벗겨서 날것으로 먹거나 삶아 먹는다. celtuce종만이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라틴형(latin type)은 로마인(romaine)형과 비슷하지만 잎이 짧고 속이 들지 않는다. 잎은 좀 질기다. 갈레가(gallega) 종이 있다.
품종으로는 메이킹 (may king), 웨어헤드(wer head), 빅 포스톤(big poston), 뉴욕그레 이트레이크(new york great lake)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생식하므로 청정 재배하고 위생적으로 취급하여야 한다.
[주요성분]
당류는 대부분이 포도당이고 로이신과 발린이 다른 채소보다 많다. 채소치고는 비타민 C가 적고, 향기성분은 알파아미노산황산염이 대부분이다. 감칠맛 성분으로 아데닐산(1mg%)이 들어 있다. 경엽을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다른 엽채류에 비해서 비타민류를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비타민 C 15 mg%, 캐로틴(carotene) l,250 I.U. 정도이다. 상치줄기 절단면에서 나오는 유액에는 쓴맛을 내는 락투신(lactucin), 렉투코피크린(lec -tucopicrin)이 존재하여 최면작용을 나타낸다.
[효능/효과]
소변출혈, 유즙분비 부족, 고혈압 등에 사용한다.
[용도]
식용(잎), 약용(지상부, 종자

● 용규(龍葵):까마중
[기원]
가지과의 한해살이풀 까마중 Solanum nigrum Linne의 지상부.
[생약명]
용규(龍葵), SOLANI NIGRI HERBA
[이명]
Common nightshade, Garden Nightshade. Petty Morel, Black Nightshade, Solanum rubrum, Makoy, Kakamachi, poisonberry , Manal thakkali, 강태, 깜두라지
[성미]
微苦, 寒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활혈소종(活血消腫), 이뇨통림(利尿通淋)
[해설]
1.여러 종류의 암종(癌腫)에 사매를 배합하여 쓴다.
2.인후염, 종기, 피부가려움증에도 내복하거나 외용한다.
3.열로 인하여 소변을 잘 보지 못하고 몸이 붓는 증상에도 유효하다.
[성분]
solanine, solasonine, solamargine, solasodine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1.항염증 작용과 더불어 항체 형성을 촉진시키며,
2.혈당치를 하강시키고,
3.진해·거담 작용과 심장 흥분 작용이 나타난다.
[임상보고]
1.고혈압에 달인 물이나 환(1개 0.2g)을 하루 10~20개씩 2회로 나누어서 복용하고 초보적인 관찰을 보고하였다.
2.자궁경부암, 식도암, 유선암, 폐암, 간암 등에 하루 9~15g(생것은 30~6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일정한 지연 효과를 나타냈다.
[기타]
종자는 급성편도선염에 유용하며, 뿌리는 이질과 고환염에 쓰인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까마중(Nightshade)
Solanum nigrum Linne(Solanum rubrum, Solanum incertum)
황무지에서 서식하는데 아메리카의 각처에서 볼 수 있다.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온대와 열대에 널리 분포하며, 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직립하고, 덤불처럼 우거진 풀이다. 꽃잎은 5갈래이고, 부리처럼 생긴 노란 꽃밥이 있다. 잎은 길고,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으며 삼각형이다. 열매는 black berry형이다. 높이 20∼90cm이다. 줄기는 약간 모가 나고 가지가 옆으로 많이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6∼10cm, 나비 4∼6cm이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긴 잎자루가 있다.
꽃은 5∼9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잎과 잎 사이의 줄기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3∼8개의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각각 5개로 갈라지며 암술 1개와 수술 5개가 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7월부터 검게 익는다.
[주요성분]
약재(solanine(녹색의 열매), 식물 전체, 어린 잎),soladulcidine, 전초에 스테로이드알칼로이드와 적은 양의 아트로핀, 니코틴이 있다. 스테로이드알칼로이드로서는 솔라닌 C45H73O15N, 솔라소딘, 솔라니그린 등이 있다. 전초에는 또한 플라보노이드 루틴, 아스파라긴, 솔란구스틴, 시토스테린, 7-10%의 탄닌질, 사포닌 (디오스게닌, 티고게닌), 유기산이 있다. 선열매에도 전초에서와 비슷한 성분이 있다. 익은 열매에는 글리코알칼로이드, 사포닌과 이밖에 안토시안 색소, β-카로틴(카로틴으로 318-503mg%), 1630mg%의 아스코르빈산이 있다. 다른 자료는 솔라소닌(0.2%), 솔라마르긴(0.25%)있다고도 한다. 잎에는 24-184mg%의 아스코르빈산, 50mg%의 카로틴이 있다. 뿌리에도 알칼로이드와 사포닌이 있다.
[효능/효과]
지상부는 용규(龍葵)라고 부르며 갖가지 암. 치질. 가래.신장결석.관절염 등에 효과가 높은 민간약재로 위암.폐암.자궁암.직장암에 효과가 있다. 용규는 피부화농증, 질타손상, 급성신염, 급성기관지염, 피부소양증 등의 치료에 사용하며, 최근에는 고혈압, 요도염, 자궁미란 등의 치료에 응용한다.
항염증, 진해, 거담작용, 치료에서 강장약, 열내림약, 오줌내기약으로 피로를 회복하는데 사용한다. 잎과 줄기는 여러 가지 상처, 곪긴데 붙이며 열매는 눈을 밝게 한다. 민간에서는 강장약, 오줌내기약으로 신석증, 물고임때 사용한다. 전초즙은 진정약, 진경약, 땀내기약으로 감기때 사용한다. 꽃은 가래약으로, 잎은 수렴약, 피멎이약으로 설사, 적리, 간비대때에 사용한다. 잎과 열매 우린 액은 방부약, 염증약으로 치질, 궤양, 상처, 종처, 버짐, 습진, 뽀두라지, 단독, 선병 등에 사용한다. 또한 아픔멎이약으로 머리아픔, 류마티스, 통풍, 종양 때도 사용한다.
[주의사항]
모든부위에 잠재적으로 독성이 있으나, 열매에 가장 독성이 높다. 독성정도는 중간이며 동물에게 사료로 주었을 때 독성이 더 높았다. 중독증상은 구토, 식욕부진, 위통, 설사(혈변)등의 위장증상과 우울증, 호흡곤란, 운동실조, 허약, 허탈감, 경련 등의 신경증상이 나타나고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 미성숙열매에는 solanine이 함유되어 있어서 복용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유독성분 중 열매중에 solanine은 위점막에 강한 자극을 주며 중추신경계를 마취시키거나 적혈구를 용해시킨다. 중독되면 인후부의 소양감 및 작열감, 상복부동통, 구토, 설사, 탈수, 산염기평형실조, 혈압강하, 번조불안, 헛소리, 의식상실, 호흡, 순환 기능의 쇠약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해독법: 최토시킨 후 1% 타닌산액이나 2% 소다수를 복용시킨다. 또는 식초와 위를 보호할 수 있는 액체를 같이 복용시키거나, 농차로 위를 세척하거나 황산마그네슘 등으로 설사를 시키는 등의 대증용법을 실시한다.
[용도]
식용(잎, 어린잎, 어린싹, 약용(지상부)

 

● 우방자(牛蒡子):우엉
[기원]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우엉 Arctium lappa L.의 열매.
[생약명]
우방자(牛蒡子) - 열매
우방근(牛蒡根) - 뿌리
악실경(惡實莖) - 줄기
[이명]
우방근, 악실, 대력자, 우채, 구보
[성미]
辛苦, 寒
[효능]
소풍청열(疏風淸熱), 해독투진(解毒透疹), 이인(利咽), 산종(散腫)
[해설]
1.찬 약성(藥性)은 외감성으로 인한 해수와 가래가 잘 배출되지 않고 인후가 붓는 증상을 치료하며,
2.폐열(肺熱)로 기침을 연달아 하고 가래의 배출이 안 되는 증상에 쓰인다.
3.홍역 초기와 피부가려움증에 형개 등과 배합하여 쓰며,
4.해열·해독 작용이 있어서 인후염, 편도선염, 볼거리염, 피부가 헐어서 생긴 발진 등에 널리 활용된다.
우방근은 약성이 고한(苦寒)하여 얼굴이 붓고 아픈 것을 가라앉히고, 인후염, 종기, 옴, 버짐에 활용된다.
[성분]
arctiin 15~20%, ι-arctigenin, isoarctigenin, archidic acid와 alkaloid, 지방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소염 및 해열·이뇨·혈당 강하 작용이 나타나며,
2.물에 담가 우린 추출액은 황색포도상구균과 여러 종류의 피부진균에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1.편두통에 분말로 만들어 1회 12g씩 더운물로 복용케 하여 땀을 내게 하고,
2.성홍열에도 유효율을 높였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우엉(burdock)
Arctium lappa L.
우엉은 지중해 연안에서 서부아시아에 이르는 지대가 원산지로 유럽, 아시아의 온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 도입된 경로는 불명확하지만 도입된 지는 오래된 것 같지 않다. 전국적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채소로서 재배면적이 상당히 증가되고 있다. 우엉은 엉거시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 뿌리는 육질이며 근신은 심부와 피설부로 나누어지는데 피층부는 육질이 엷고 심부는 아주 조그만 구멍이 있으며 섬유질이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검은 자줏빛이 돌며, 두화는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둥글고 포는 바늘 모양이며 끝이 갈고리처럼 생긴다. 꽃은 관상화이고 종자는 검은색이며 관모는 갈색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9월에 익는다. 강건하여 병이 거의 없고 추위에도 매우 강하며 토질을 별로 가리지 않는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주요성분]
식용이 되는 부분은 뿌리가 지중에 깊이 뻗어서 비대한 부분으로서 수분은 비교적 적고 탄수화물이 많지만 주로 이눌린(inulin)이고 또 단백질 성분도 있으나 별로 소화력은 좋은 편이 못 된다. 비타민류는 별로 없지만 비타민 B1은 0.3 mg%로서 다른 근채류보다 많은편이다. 우엉을 삶을 때 청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우엉에 합유된 K, Na, Ca, Mg 등의 알칼리성 무기질이 용출되어 안토시안(anthocyan)계 색소를 청색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기타 곤약과 함께 삶으면 이와 같은 청변현상이 심하게 일어난다(곤약 중의 석회염에 의한다). 또 우엉을 잘게 잘라서 접시에 넣으면 흑변하는데, 이는 탄닌(tannin)계의 폴리페놀(polyphenol)화합물이 우엉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로 산화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초에 담그면 pH가 산성으로 내려가서 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함과 동시에 탄닌(tannin)이 산에 용해되므로 흑변현상은 안일어난다.
그 외 아세트산, 아르크티제닌(arctigenin), 베타-카로텐, 부티릭산, 커피산, 클로로겐산, 코스틱산, 이소바레익산, 로릭산, 리그닌, 미리스트산, 프로피오닉산,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아미노산, 구리, 크롬, 망간, 인, 셀렌, 규소, 아연이 들어있다.
[효능/효과]
- 항산화제 역할을 하며 세포의 돌연변이를 막아 암을 예방한다
- 체액, 요산, 독소가 과다하게 분비되는 것을 막는다
- 항생, 항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피를 맑게 하고 간과 쓸개의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와 면역 작용을 촉진한다
- 종기, 등창와 같은 피부병을 예방하고 통풍이나 폐경기 증상을 완하한다
- 헤어린스로 사용되는 뿌리는 두발과 모피를 건강하게 한다
[주의사항]
철분 흡수를 방해하므로 변이 묽은 사람을 복용하지 않는다.
[용도]
약용(뿌리, 씨) ,식용

● 우슬(牛膝):쇠무릎, 우슬
[기원]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 쇠무릎 Achyranthes japonica Nakai., 우슬 Achyranthes bidentata Bl.의 뿌리.
[생약명]
우슬(牛膝)
[이명]
쇠물팍, 백배, 마청초, 쇠무릎지기, 마청초, 우슬초, 일본우슬, 우실, 산현채(山見菜), 대절채(對節菜), 쇠무릎풀
회우슬(懷牛膝, 우슬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중국 우슬
[성미]
苦酸, 平
[효능]
활혈거어(活血祛瘀), 보간신강근골(補肝腎强筋骨), 이뇨통림(利尿通淋), 인혈인화하행(引血引火下行)
[해설]
1.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힘이 강하여 생리통, 생리불순 및 생리가 없을 때 및 산후 복통과 타박상에 활용된다.
2.간신(肝腎) 부족으로 인한 근육과 골격의 연약 증상, 무릎과 다리에 힘이 없으며 통증이 있을 때 쓰고,
3.관절을 부드럽게 하므로 다리와 무릎 관절이 붓고 아픈 풍습성관절염, 류머티스성관절염,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며,
4.이뇨 작용이 있어서 소변 출혈, 소변의 양이 적으면서 잘 나오지 않는 증상에 사용된다.
5.토혈, 코피가 날 때 활용되며,
6.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잇몸이 붓고 아프며 입 안과 혀가 헐어 발진이 생겼을 때에 쓴다.
[성분]
triterphenoid 화합물인 oleanolic acid, ecdysterone, inokoster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곤충 변태 호르몬은 강한 단백질 촉진 작용이 나타나고,
2.자궁 흥분 작용,
3.이뇨 작용,
4.혈당 강하 작용,
5.간 기능 개선 작용,
6.콜레스테롤 강하 작용이 나타난다.
[임상보고]
1.자궁경관 확장 작용을 이용하여 인공 유산에 응용하였으며,
2.기능성 자궁 출형에 1일 30~4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연속 2~4일 복용하자 지혈이 되었다.
3.감자기 나는 코피에 다른 약물과 배합해서 치료하였다.
4.우윳빛 소변에는 이 약물 90~120g, 미나리 씨 45~60g에 물을 넣고 달여서 2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쇠무릎(Japanese Achyranthes)
Achyranthes japonica Nakai.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며 맛은 쓰고 시며, 약성은 평범하고 독이 없다. 비름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뿌리는 거칠은 수염 모양이고 줄기는 네모졌으며 곧게 섰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높이 약 1m 이상이며 마디는 융기되었다. 잎은 대생하며, 꽃은 수상화서로 정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왔는데, 꽃의 수가 많고 밀착하였다. 과실은 포과(胞果)이며 긴 타원형이고 숙존악(宿存 ) 속에 숨어 있으며 종자는 하나 있다. 꽃은 녹색이고 8-9월에 핀다. 우슬의 뿌리는 황갈색으로 길이 30-50cm, 경(徑) 5mm 내외, 세로 주름이 있고 중국산(당우슬)은 국산 우슬보다 비대하다.
[성상]
가늘고 긴 원주형의 주근 또는 곁뿌리가 달린 주근이며, 근두는 근소하게 근경이 붙어 있던가 또는 근경부는 제거되어 있다. 주근은 대개 가늘고 긴 막대모양이거나 또는 조금 구부러졌고, 길이 15~90cm, 지름 3~7mm이다. 바깥면은 회황색~회갈색이며 많은 세로주름과 드문드문 곁뿌리의 자극이 있다. 꺽은면은 회백색~엷은 갈색이며 평탄하고, 중심부에 황백색의 목부가 있다. 질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거나 또는 조금 유연하다.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조금 달고 점액성이다.
[주요성분]
뿌리에 곤충변태 hormone ecdysterone 및 inokosterone을 함유한다. 그밖에 Sitosterol, Stigmasterol, Aspartic acid, Amino acid, 다염기성산 등을 함유한다.
[효능]
생용(生用): 산어혈(散瘀血), 소옹종(消癰腫), 배농(排膿), 지통(止痛), 숙용(熟用):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 한방에서 뿌리를 이뇨·강정·통경에 쓰며, 민간요법에서는 임질과 두통약으로 쓴다.
[약리]
1. 한방과 민간에서 각기, 정혈, 보익, 관절염, 통풍, 이뇨, 신견통, 통경, 어혈 등에 약재로 쓰인다. 임질, 혈뇨, 월경폐지, 산후어혈로 인한 복통, 무릎의 통증, 타박상 등에 효과가 있다.
2. 뿌리의 알코올 및 물 추출액은 동물 실혐에서 자궁 수축 작용이 뚜렷하다. 그 작용은 특히 수태 말기와 산욕기 자궁에서 세게 나타난다.
3. 작용기전은 평활근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으로 보고 있다.또한 콩팥사구체의 여과과정을 항진시키고 세뇨관의 재흡수를 억제하므로 이뇨작용도 나타낸다.
[주의사항]
월경과다자 및 임부는 금한다.
[용도]
약용, 식용(부원료로 사용)

● 운대(蕓臺):유채
[기원]
십자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유채 Brassica napus L. var. Oleifera Makino의 종자.
[생약명]
운대(蕓臺) - 잎
운대자(蕓臺子) - 종자
[이명]
한채, 대개, 운개, brown-hulled rape
[성미]
辛, 凉
[효능]
산혈(散血), 소종(消腫)
[해설]
운대는 1.지나친 노동으로 토혈을 하거나 이질로 대변에 피가 섞일 때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
2.단독(丹毒), 악창(惡瘡), 유방염 등에 쓰인다.
운대자는 산후어혈복통, 종기, 치루(痔瘻), 이질 등에 활용되고, 피임용 으로도 쓰인다.
[성분]
지방, 단백질, rutin, erucic acid, campesterol, brassic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유채(Rutabaga)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높이 80∼130cm이다.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다.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곁가지가 나온다. 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진다.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3∼4월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배추꽃과 비슷하며 약 10cm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꽃받침은 각각 4개로 갈라지며 수술 6개, 암술 1개, 4개의 꿀샘이 있다. 성숙한 이삭 길이는 가지의 위치, 재식방법, 품종 등에 따라 다르나 대개 35∼45cm이고 한 이삭에 30∼40개의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각과(角果)로서 길이 8cm 가량의 원통 모양이다.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으로 갈라지며, 보통 20개 가량의 짙은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주요성분]
지방, 단백질, rutin, erucic acid, campesterol, brassicasterol
[효능/효과]
1. 운대는 지나친 노동으로 토혈을 하거나 이질로 대변에 피가 섞일 때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
2. 단독(丹毒), 열독(熱毒), 악창(惡瘡), 유방염 등에 쓰인다.
3. 종자를 운대자하고 하며 종기, 치루 등에 사용한다.
[주의사항]
과잉섭취시 닭은 간장출혈, 갑상선 비대, 체중감소 또는 증가등의 중독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
현재 대한약전에는 강황은 C. Longa의 뿌리줄기, 울금은 C. Longa의 덩이뿌리를 사용한다.

● 월견자(月見子):달맞이꽃
[기원]
바늘꽃과의 한해살이풀 달맞이꽃 Oenothera odorata Jacq., 큰달맞이꽃 Oenothera lamarckiana SER., 애기달맞이꽃 Oenothera lamarckiana Hill.의 종자.
[생약명]
월견자(月見子) - 종자
월견초(月見草) - 뿌리
[효능]
해열(解熱)
[해설]
월견초는 감기로 고열(高熱)이 있고 인후염이 있을 때에 6~12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종자의 기름을 당뇨병에 복용한다.
월견자는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질 성분의 과다한 축적 작용을 억제시키므로 고지혈증 등에 음용된다.
[성분]
꽃에는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달맞이꽃(Evening primrose)
Oenothera odorata Jacq.
남아메리카 칠레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며 전국각지의 물가·길가·빈터에서 자란다. 굵고 곧은 뿌리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50∼90cm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노란 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지름이 2∼3cm이고 저녁에 피었다가 아침에 시든다. 꽃받침조각은 4개인데 2개씩 합쳐지고 꽃이 피면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4개로 끝이 파진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가 4개로 갈라진다. 씨방은 원뿔 모양이며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 모양이고 길이가 2.5cm이며 4개로 갈라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여러 개의 모서리각이 있으며 젖으면 점액이 생긴다.
[주요성분]
뿌리에는 大環加水分解 tannin인 odenothein B, 종자에 아미노산, 꽃에 flavonoid,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종자유에는 리놀레산(Linolenic acid)과 천연의 감마리놀렌산(Υ-Linolenicacid, 힘)이 포함되어있다. 이들은 모두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 물질이다.프로스타글로딘은 국소 호르몬의 일종이며 성인병의 예방과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효능/효과]
1. 월견초는 감기로 고열이 있고 인후염이 있을 때 달여서 복용한다.
2. 월견자는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질성분의 과다한 축적 작용을 억제시키므로 고지혈증 등에 활용된다.
3. 민간에서는 종자에서 뽑은 기름을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병에 이용한다.
[기타]
달맞이꽃에 비하여 잎이 넓고 연한 녹색이며, 꽃의 지름이 6~7cm인 큰달맞이꽃도 약효가 같다.
[기타]
약용(뿌리, 종자), 식용(씨) 어린 잎은 소가 먹는다.
--------------------------------------------------------------------------------
큰달맞이꽃 (Evening primrose)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 나라 각처의 황무지에 나는 월년초이다. 키는 1.5m 정도, 뿌리는 굵고 곧다. 잎은 호생, 도란상 피침형,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근생엽은 피침형, 로제트 모양이다.
꽃은 7월에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달리며 저녁에 피었다가 아침에 진다. 꽃봉오리는 둔한 사각형이고, 꽃의 지름은 6∼7cm이며, 꽃 밑에 녹색의 포가 2개 있다. 꽃받침 조각은 4개이고 2개씩 붙어 있으며 꽃이 핀 다음 젖혀진다. 꽃잎은 4개이고 연한 황색이며 끝이 파진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수술보다 길며 4개로 갈라지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원기둥 모양이며 잔털이 있고 4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온다.
[기타]
꽃이 저녁때 피었다가 아침에 지므로 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900년에 네덜란드의 식물학자인 드브리스가 돌연변이의 실험 재료로 사용하면서 유명해졌다

● 위릉채(萎陵菜):딱지꽃
[기원]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딱지꽃 Potentilla chinensis Ser.의 지상부 또는 뿌리를 쓴다.
[생약명]
위릉채(萎陵菜)
[이명]
위능채, 황용미, 동록풀 , 황연미
[성미]
苦, 寒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지혈(凉血止血)
[해설]
1.대장(大腸)에 있는 열을 내리므로 세균성이질과 어메바성이질에 유효하다.
2.양혈(凉血) 작용이 있어서 대변 출혈, 자궁 출혈, 소변 출혈, 코피, 토혈 등의 증상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성분]
ascorbic acid 및 단백질, 지방, 조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아메바 원충에 대한 작용이 백두옹보다 약하다.
[임상보고]
1.출혈성 질환에 생것 15~8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거나 약침 제제로 치료하였으며, 아메바성이질에도 1일 20~30g을 3회로 나누어서 복용하였다.
4.화적(化積) 작용이 있어서 담적(痰積)과 식도암에 치료반응을 보였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딱지꽃 Potentilla chinensis Ser.
한국·일본·중국·아무르·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들이나 강가, 바닷가 등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보랏빛으로 몇개가 뭉쳐나며 줄기잎에는 털이 많다. 높이는 30 ~ 60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다시 깃꼴로 갈라지고 그 조각은 바소꼴로 길이 2∼5cm, 너비 8∼15mm이며, 앞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에는 흰 솜털이 많이 난다. 턱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6∼7월에 노란색 꽃이 가지 끝에 피며 산방상 취산꽃차례[揀房狀聚揀花序]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거꾸로 된 심장 모양이며, 포(苞)는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5조각이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길이 1.3mm정도이고 넒은 달걀 모양이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뒷면에 능선이 있다.
[주요성분]
전초와 뿌리에 많은 량의 플라보노이드, 뿌리에 흔적의 사포닌이 있다. 같은속 식물의 뿌리에서는 켐페롤, 찌아니딘, 여러가지 카테킨이 분리되었다. 잎에서 220-300mg%, 뿌리줄기에서 약 106mg%의 아스코르빈산, 전초, 뿌리줄기에서 10-18%의 탄닌질, 정유 그리고 플라보노이드로서 미리쩨틴, 쿠에르쩨틴, 켐페롤, 델피니딘, 찌아니딘 등이 분리되었다. 또한 P-쿠마르산, 페룰라산, 엘라그산, 수지, 쓴맛물질이 있다.
[효능/효과]
동의치료에서 뿌리줄기를 열내림약, 아메바적리치료약으로 그리고 월경주기가 고르지 못할 때 쓴다. 전초는 피멎이약으로 각혈과 설사, 대장염 고장에 쓰며 염증약으로 감기, 위장질병, 진통진경약으로 관절류마티스, 통풍, 기관지천식과 기침 등 때에 쓴다. 민간에서는 줄기잎을 봄가을에 채취하여 두창에 바르던지 말려서 해열과 이뇨에 사용한다. 또 토혈, 혈변, 장출혈에 달여 먹는다.
[주의사항]
많이 복용하면 신장을 상하게 한다.
[용도]
약용(뿌리, 전초)

 

● 옥죽(玉竹):둥굴레, 왕둥굴레, 퉁둥굴레, 죽대, 무늬둥굴레
[기원]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MILLER) var. pluriflorum Ohwi, 왕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var. maximowiczii Koidz, 퉁둥굴레 Polygonatum inflatum Komarov, 죽대 Polygonum lasianthum var. coreanum NAKAI., 무늬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Miller) Druce var. Pluriflorum (Miqel) Ohwi for. variegatum Y. Lee의 뿌리줄기.
[생약명]
옥죽(玉竹)
[이명]
둥굴레 - 둥글레, 괴물꽃 , 편황정, 옥죽, 수위, 황정
왕둥굴레 - 큰둥굴레
죽대 - 큰대잎둥굴레
[성미]
甘, 平
[효능]
자음윤폐(滋陰潤肺), 생진양위(生津養胃)
[해설]
1.조사(燥邪)가 폐에 침범해서 일어나는 마른기침과 가래가 없는 증상, 또는 가래가 적거나 끈끈한 증상 및 입안이 건조하고 인후가 마를 때에 유효하다.
2.위음(胃陰)부족으로 음식을 먹고 난 후에도 허기증을 느끼며 혀가 건조하고 입 안이 마르는 증상에 활용된다.
3.음허(陰虛)로 인한 해수에 유효하며,
4.평소에 음허하거나 외감성으로 열이 있으면서 오한(惡寒)이 나며 바람과 찬 것을 싫어하는 증상 및 마른기침이 나고 가래가 약간 있고 어지러우면서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 입 안이 마르는 증상 등에 효력을 보인다.
[성분]
convallamarin, convallarin, quercitol과 전분, vitamin A 등의 물질이 확인되었다.
[약리]
1.약물 달인 물은 개구리의 심장 박동을 증강시키고,
2.죽상동맥경화로 인한 반괴(斑塊) 형성을 풀어 준다.
3.항산화 작용이 나타나며,
4.흰쥐의 혈당 억제 작용을 보이고,
5.혈당 강하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1.풍습성심장병과 관심병(冠心病)으로 인한 심장 박동 쇠약, 관상동맥죽상경화성심장병, 폐원성심장병 등에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둥굴레( Korean solomon's seal )
Polygonatum odoratum(MILLER) var. pluriflorum Ohwi
산지는 한국 전도각지와 일본이며 채집시기는 8-9월이다. 다년생 초본으로서 지하에 농후한 긴 근경이 있으며 약간 납작하고 많은 마디가 있어서 염주모양으로 되어있다. 줄기는 근경의 새싹에서 돋아서 높이 1m에 달하며 원주상이고 상부는 비스듬히 기울어졌다. 잎은 호생 2열로 되어 협피침형-타원형이며 변화가 많고, 길이 10-15cm이며, 단병 또는 무병이고 끝이 뾰족하며 하면분백이다.
꽃은 액출하여 담녹색의 작은 꽃이 2-5개 달린다. 장과는 구형이며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동속약초로는 우리나라 중부, 남부에 자생하는 왕둥글레 Polygonatum robustum Nakai 가 있다.
[주요성분]
본속의 엽에는 azetidine-carboxylic acid를 함유한다. convallamarin, sugar, 비타민 A 등이 들어 있다.
뿌리줄기에 콘빌라린, 콘빌라마린을 비롯한 강심배당체, 많은 점액질, 조성이 밝혀지지 않은 스테로이드 배당체, 적은 양의 알칼로이드, 켈리도닌산, 아스파라긴, 만니트가 있다. 점액질의 약 80%는 과당이고 나머지는 포도당과 아라비노오스이다. Mn, Cu, Fe, Mg, Zn, Mo이 있다.
[약리]
1. 아드레날린과 혈당을 일으킨 동물에게서 혈당량을 뚜렷하게 줄인다. 그러므로 당뇨병 환자에게 쓰면 치료효과가 좋다.
2. 강심작용도 있다. 심장을 세게 수축시키고 율동을 느리게 한다.
3. 혈압을 높이며 호흡을 흥분시킨다.
4. 둥굴레의 강심배당체 함량이 매우 낮으므로 오래 쓸 때에도 다른 강심배당체 함유 약초에서 볼 수 있는 축적작용과 부작용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효능]
1. 치풍열풍습입기작통요약(治風熱風濕入肌作痛要藥)으로 강장, 지통(止痛), 두통, 요통, 신통(身痛), 구갈(口渴), 비위허약, 남자소변빈수, 번민, 요슬동통, 실정(失精), 일절허손(一切虛損), 자한(自汗), 발열, 목통에 효과적이다.
2. 동의치료에서 병후쇠약, 전신쇠약, 부인과 질병에 보약으로 쓴다. 즉, 허약하여 입 안이 마르고 기침과 땀이 나고 열이 있을 때 자주 오줌을 누거나 유정에 쓴다. 또한 열성병에 해열제, 자갈약으로 쓰며 기침가래약, 강심약으로 쓴다.
3. 민간에서는 뿌리줄기를 달여 기관지염, 폐렴, 기침, 폐결핵에 기침가래약, 감기와 학질에 땀내기약으로 쓴다.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당뇨병, 설사, 류마티스성 심장병, 통풍, 좌골신경통, 척수신경근염, 요통, 치질에도 쓴다.
4. 전초 추출물도 해열제, 담석증 치료약과 기타 황달, 흰이슬, 부기, 콩팥염에 쓴다.
5. 뿌리줄기즙이나 전초추출물은 타박상, 생손앓이, 고름집, 만성 건성습진 등 피부질병에 바르거나 붙인다.
[주의사항]
비장이 허한 자, 만성장염에는 신중하게 사용
[용도]
차용(지하경), 식용(지상부, 지하경), 약용(지하경)
--------------------------------------------------------------------------------
왕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var. maximowiczii Koidz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북도(봉화 ·울릉도) ·충청북도 ·경기도 ·강원도 등지에 분포한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풀밭에서 야생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길게 가로 뻗으며 약간의 마디가 있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게 서고 모나며 높이 75c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고 양 끝이 뭉뚝하다. 뒷면이 분처럼 희고 가는 센털이 분포하며, 길이 15cm, 폭 7cm 내외이다.
꽃은 액출(腋出:잎겨드랑이에서 돋음)하고 꽃자루는 2∼5개로 갈라진다. 화개(花蓋)는 통처럼 생긴 종 모양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으로 녹색이며, 6개의 수술이 숨어 있다. 씨방은 3실이며 암술대는 단일이고 줄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공 모양이며 검게 익는다.
둥굴레에 비하여 앞뒤에 가는 센털이 나 있다. 6월에 1개 꽃자루에 보통 2∼5송이의 꽃이 녹백색으로 핀다.
[용도]
약용(근경), 식용(어린잎)
--------------------------------------------------------------------------------
퉁둥굴레 Polygonatum inflatum Komarov
우리 나라 각처 산지의 숲 밑에서 나는 다년초이다. 키 30-70cm, 근경의 마디 사이는 길고, 지름 4-5mm, 줄기에 능각이 있다. 잎은 긴 타원형, 난상 타원형, 길이 10-15cm, 폭 4-7cm, 뒷면은 흰색이다. 꽃은 녹백색, 잎겨드랑이에 3-7송이씩 달린다. 화축 끝에 3-7장의 포가 있고, 포는 넓은 피침형, 막질 1맥, 길이 5-10mm이다. 꽃자루의 길이는 포와 같다. 화관은 길이 20-25mm, 화관 안쪽과 화사에 길고 연한 털이 나며, 화사의 떨어진 부분은 좌우가 편평하다. 열매는 장과, 구형, 지름 10mm, 검은 자색으로 익는다. 염색체 수 2n=22. 개화기는 5-6월이다.
--------------------------------------------------------------------------------
죽대 Polygonum lasianthum var. coreanum NAKAI.
한국(지리산)·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육질이고 옆으로 자라며 마디가 있으나 잔뿌리가 더욱 많다. 원대는 곧게 자라다가 끝이 휘어서 옆으로 자라고 높이 30∼60cm이며 세로줄이 있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서 2줄로 배열하고 긴 타원상 바소꼴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며 원통형이고 녹색이 도는 백색이다. 꽃줄기는 길이 2∼3cm이고 꽃이 1개씩 달리지만 2개씩 달리는 것도 있다. 화피는 6장, 수술은 6개이며 수술대에 털이 있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8∼9월에 결실하며 장과(漿果)이고 둥글며 검은 하늘색으로 익는다.
[효능/효과]
1.성미는 자양강장제로 脾(비),위, 폐, 腎(신)경에 入하며 말기 암에도 사용 가능하다.
2.근경은 주로 신체허약, 근골연약, 보신, 보정기, 보심폐, 허손한열, 오로칠상, 통풍,당뇨병, 구갈에 쓰인다.
3.뿌리줄기는 자양강장제로 사용한다.
뿌리 -

1.조사가 폐에 침범해서 일어나는 마른기침과 가래가 없는 증상,또는 가래가 적거나 끈끈한 증상 및 입안이 건조하고 인후가 마를 때에 유효하다.
2.위음 부족으로 음식을 먹고 난 후에도 허기증을 느끼며 혀가 건조하고 입 안이 마르는 증상에 유효하다.
3.음허로 인한 해수에 유효하다.
--------------------------------------------------------------------------------
무늬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Miller) Druce var. Pluriflorum (Miqel) Ohwi for. variegatum Y. Lee, for.nov.
전국 각처에 분포하며 백합과 식물로 잎가장자리에 흰 무늬가 있는 둥글레이며,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토양적응성도 뛰어나 낙엽활엽수 하부등 반음지에 식재하는 것이 잎을 오래 감상할 수 있다. 4월~5월에 개화하며 토심을 깊게하고 땅을 비옥하게 하면 좋다. 휴면기(가을~이른봄)에 완숙퇴비를 ㎡당 4kg정도 사용한다.
지나친 직사광은 생육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 차광이 되는 곳이 좋다.
[효능/효과]
둥굴레의 뿌리와 줄기는 강장·강정의 효과가 있어 늙고 허약한 사람의 기운을 돕고 수명을 길 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 율초(葎草):환삼덩굴
[기원]
뽕나무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한삼덩굴(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 et Zucc.(= Humulus scandens)의 지상부.
[생약명]
율초(葎草)
[이명]
범삼덩굴
[성미]
甘苦, 寒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퇴허열(退虛熱), 이뇨(利尿)
[해설]
1.열로 인한 피부가려움증, 종창(腫脹), 습진, 림프절결핵 및 뱀이나 벌레에 물려 독이 퍼졌을 때 내복하거나 외용한다.
2.습열(濕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이질에 복용하며,
3.허열(虛熱)로 인한 조열과 식은땀, 폐결핵, 해수 등의 증상에 활용된다.
4.소변을 볼 때 화끈거리는 감이 있고 소변의 배설이 잘 되지 않는 증상에 쓰인다.
[성분]
humulone, lupulone, humuladienone, humulenone-Ⅱ,tannin, 정유,수지 등이 알려졌다.
[약리]
항균작용이 있어서 그람음성균에 억제 작용이 현저하다.
[임상보고]
1.세균성이질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였으며,
2.폐결핵에 약침 제제를 사용하여 일정한 효능을 얻었다.
3.노인성만성기관지염에 1회 2g씩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여 효력을 얻었으며,
4.만성결장염에 생것을 달여서 무릎 이하의 다리를 세척하여 치료 반응을 얻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한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 et Zucc.(= Humulus scandens)
우리나라 각처의 들, 빈 터에 나는 덩굴성 1년초 식물이며 온몸에 밑을 향해 난 가시가 있다. 잎은 대생, 손바닥 모양으로 깊게 5-7갈래로 갈라지고, 길이 5-12cm 가장자리에 톱니, 양 면에 거친 털이 있고, 뒷면에 자루가 없는 노란 선모가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수꽃 이삭은 원추화서, 화피 5장, 수술은 5개이다. 암꽃이삭은 이삭화서, 넓은 난형이다. 포엽은 털이 있고 난상 원형, 자갈색이며, 막질이다. 꽃이 진 후에 커서 짧은 이삭을 이루고, 포에 싸여있으며 자방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 둥근 모양이며 볼록 렌즈 모양이다. 황갈색이며,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 염색체 수2n=14+XX, 2n=14+Y1Y2
[주요성분]
humulone, lupulone, humuladienone, humulenone-Ⅱ,tannin, 정유,수지 등이 알려졌다.
[효능/효과]
1. 폐결핵에 약침 제제를 사용하여 일정한 효능을 얻었다.
2. 항균 작용이 있어서 그람음성균에 억제 작용이 현저하다.
3. 만성결장염에 생것을 달여서 무릎 이하의 다리를 세척하여 치료 반응을 얻었다.
[용도]
섬유용(수피), 약용(열매)

● 음양곽(淫羊藿):삼지구엽초
[기원]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 Nakai의 잎과뿌리.
[생약명]음양곽(淫羊藿)
[이명]황련초, 간계근, 천량금, 방장초, 선령비, 강전, 양곽엽, 삼지초
[성미]辛甘, 溫
[효능]補腎壯陽, 祛風除濕
[해설]
1.신양(腎陽)이 허약해서 나타나는 발기부전, 유정(遺精), 허리.무릎의 연약및 무력증과 2.여자의 자궁냉증으로 임신이 안되는 증상을 다스린다. 3.풍한습(風寒濕)이 침입해서 일어나는 사지냉증, 피부마비, 구안와사, 반신불수 등에도 활용된다.
[성분]icarin 등의 flavonoid 물질과 휘발성 정유, cholesterol, alkaloid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1.정액 분비 촉진 작용이 강하다. 2.혈압 강하 작용이 있고, 3.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며, 산소 결핍 증상을 해소시킨다. 4.혈당과 고지혈증을 나추고, 4신체의 면역 기능을 촉진심킨다. 6.일정한 진해.거담.평천.진정 작용이 있으며, 7.억균.소염 작용이 나타난다. 8.약침 제제는 닭의 대퇴골 생장과 단백 다당의 합성을 활성화시킨다.
[임상 보고]
1.관상동맥경화증에 장기간 복용으로 심교통증을 완화시켰으며, 2.만성기관지염에 진해.거담 효율을 높였다. 3.신경쇠약에도 현저한 반응을 보였으며, 4.바이러스성심근염, 5.백혈구감소증에도 유효하였다. 6.척수질염과 소아마비 후유증에도 높은 치유율을 보였다.
[기타]열매도 잎과 뿌리 다음으로 정액 분비 촉진 작용이 강하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우리나라에서는 매자나무과의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지상부이다. 중국에서는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심엽음양곽(Epimedium brevicornum Maxim.:心葉淫羊藿), 유모음양곽(Epimedium pubescens Maxim.:柔毛淫羊藿) 전엽음양곽(Epimedium sagittatum (Sieb. et Zucc) Maxim.:箭葉淫羊藿), 무산음양곽(Epimedium wushanense TS Ying:巫山淫羊藿)을 사용한다. 일본은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중국 서천북부지방에서 양이 하루에 백 차례나 교미를 하고 이 약초를 먹고 다시 암놈을 찾아 다녔다고 하며 음탕한 양을 흥분시킨다하여 음양곽(淫羊藿)이라고 하였다. 이때 곽이란 콩잎을 말하는데 이 약초의 잎이 그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삼지구엽초라는 이름은 줄기가 셋으로 갈라지고 끝에서 다시 셋으로 갈라져 9장의 잎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
이 약은 냄새가 없으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辛甘溫]
음양곽은 발기부전, 유정, 자궁냉증, 사지냉증, 피부마비, 구안와사, 건망증, 반신불수, 허리와 무릎 연약증, 고혈압, 소아마비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정액분비촉진, 혈압강하,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혈당강하, 콜레스테롤강하, 면역기능증진, 진해, 거담, 평천, 진정작용, 억균, 소염작용, 닭의 대퇴골 생장과 단백다당 합성 활성화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줄기와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줄기는 가늘고 원주형이며 표면은 황록색 혹은 담황색이고 광택이 있다. 줄기에 붙은 잎은 마주나기이고 2회 3출복엽이다. 작은 잎은 난원형으로 잎 끝은 약간 뾰족하고 끝에 달리는 작은 잎은 밑부분이 심장모양이고 양쪽의 작은 잎은 비교적 작으며 심장모양에 가깝다. 바깥편은 비교적 크고 귀모양을 나타내며 가장자리는 황색으로 자모(刺毛)와 같은 잔톱니로 되어 있다. 표피의 주맥은 7~ 9 줄이고 아랫부분에는 드문드문 가늘고 긴 털이 있고 그물맥이 뚜렷하다. 작은 잎자루는 길고 질은 빳빳하다.
다른 이름으로 강전(剛前), 건계근(乾鷄筋), 기장초(棄杖草), 방장초(放杖草),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선령비(仙靈脾), 천량금(千兩金), 황련조(黃連祖) 등이 있다.<내용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한국의 경기도 청계산, 천마산, 팔당, 파평산이 산지이며, 채취시기는 5∼6월이다.
맛은 맵고 쓰며, 약성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서 산간음지에 자생한다. 높이 10-40cm, 줄기는 수경이 섭생하며, 잎은 1-3회 삼출복엽, 소엽은 장난형-광난형, 예두(銳頭) 또는 둔두(鈍頭), 잎의 가장자리에 끝이 뾰족한 거치(鋸齒)가 있고 기부는 심장형이며 중앙엽은 좌우균등, 측엽은 불균등하다. 4-5월에 총상화서로 개화한다. 꽃은 홍자색, 백색 또는 담황색이다.
일본산 음양곽은 Epimedium grandiflorum, 중국산은 E.sagittatum이다.
[성분]뿌리와 잎에는 이카린(Icariin), 근 및 근경에는 데스-O-메틸이카린, 마그노플로린
[효능]
익기(益氣), 강지(强志), 온신(溫腎), 조양(助陽), 거풍(祛風), 제습(除濕), 견근골(堅筋骨), 보요슬(補腰膝)
1. 간과 신장에 작용한다. 음양곽은 대표적인 강장약물로, 신장의 양기를 보하고 따뜻하게 하는 기능이 강하여 남자의 발기부전, 정력감퇴, 여자의 자궁발육부전, 팔다리가 차고 저린 증상에 효과가 좋다.
2. 팔다리의 풍습(風濕)을 몰아내어 중풍 등의 질환으로 인한 사지마비 등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에는 여성의 갱년기 장애와 소아마비의 급성기를 치료하는데 많이 응용되고 있다.
[주의사항]
1. 성욕항진자에게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2. 류마치스로 관절에 발진, 종창, 이 있는 자에게는 사용해선 안된다.
3. 독성은 약하나 장기간 복용은 피한다.
4. 너무 많이 먹으면 체력을 손상할 수 있고 이뇨를 억제하므로 몸에 부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해롭다.
5. 눈이 쉽게 충혈되고 입술이 쉽게 타며 변비가 심한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 의이인(薏苡仁):율무, 염주
[기원]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율무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염주 Coicis lachryma-jobi Linne의 종자.
[생약명]
의이인(薏苡仁) - 종피를 제거한 성숙한 종피
의이근(薏苡根) - 뿌리
[이명]
율무 - 율미, 울미
염주 - job's tears, yi yi ren
[성미]
甘淡, 微寒
[효능]
이습건비(利濕健脾), 제비(除痺), 청열배농(淸熱排膿)
[해설]
1.비(脾) 기능이 허약하여 비(脾)에 습(濕)이 정체되어 일어난 수종(水腫:몸의 조직 사이나 체강 안에 장액·림프액 등이 괴어 몸이 붓는 병), 각기, 천급(喘急), 비위 허약으로 소변의 양이 적고 잘 나오지 않는 증상 및 음식 감소, 설사에 유효하다.
2.습(濕)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사지마비동통, 굴신불리와 근육이 땡기고 아픈 증상에 좋은 반응을 보인다.
3.열을 내리고 농(膿)을 배출시키므로 폐농양, 맹장염 등에 널리 활용된다.
[성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전분, amino acid, vitamin B1, coixol, coixenolide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1.동물 실험에서 항암 작용이 입증되었다.
2.골격근의 수축을 억제시키며,
3.장관(腸管)과 자궁에 억제 작용이 있고,
4.진정·진통·해열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1.사마귀에 이 약물 60g으로 매일 죽을 쑤어서 7~16일간 먹고 모두 치료하였으며,
2.좌골결절활낭염에도 약물 달인 물을 26~45일간 복용 후 완쾌되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율무(Job's tears)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열대 및 아열대가 원산으로 식물분류상으로는 옥수수에 가깝다. 인도, 이외의 여러 지방에서 재배된다.
종자는 길이 6~12mm, 폭 6mm내외로 광택을 띤 암갈색의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다. 내부의 열매길이는 6mm, 폭은 3~4mm로 끝이 뾰족하고, 약간 편평한 알모양으로 배(胚)가 크고, l,000개 열매의 무게는 100~110g이다.높이 1∼1.5m이다. 속이 딱딱하며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나비 약 2.5cm로서 밑부분은 잎집으로 된다.
꽃은 7∼9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이삭 끝에 길이 3cm 정도의 수꽃이삭이 달린다. 밑부분에 타원형의 잎집에 싸여 있는 암꽃이삭이 있다. 포는 딱딱하고 타원 모양이며 길이 약 1.2cm로서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씨방이 성숙하면 잎집은 딱딱해지고 검은 갈색으로 된다. 열매는 견과로서 10월에 익는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주요성분]
가식부 100g중 수분12g, 단백질 13.8g, 지질 5.1g, 당질 67.7g, 섬유 0.7g, 회분 1.6g, 칼슘 21mg, 철 3.6mg, 비타민B1 0.l9mg, 나이신 4.3mg이다. 이는 다른곡류에 비해서 단백질, 지질이 많은 편이고, 탄수화물은 그의 대부분이 녹말이다. 그 성질은 찰기를 나타낸다.
[효능/효과]
이뇨, 배농(排膿), 소염, 진통, 자양약으로서 부종, 피부 거침, 신체의 동통, 류마티스, 신경통 등에 응용되며, 민간약으로 혹을 제거하는 데 특효약으로 사용된다.
[주의사항]
비장이 약하고 변이 곤란한 자오 임부는 삼가 사용한다.
[용도]

식용, 종자
--------------------------------------------------------------------------------
염주(Coix)
Coicis lachryma-jobi
재배하던 것이 저지대에 야생상으로 자란다.
일년초로서 높이가 1.5m에 달한다.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폭 2.5cm로서 밑부분이 엽초로 되고 가장자리가 거칠다.
꽃은 7월에 피고 엽액에서 1~6개의 길고 짧은 수상화서가 나오며 밑부분에 지화수가 달린다.
지화수는 엽초가 변한 딱딱한 포로 싸이고 3개의 꽃이 있으나 그 중 1개만 발달하며 웅화수는 지화수를 뚫고 위로 3cm정도 자라며 각 마디에 2개의 꽃이 달린다.
열매가 익을 때는 포가 딱딱해지며 란상구형이고 길이 9mm정도이다.
맛은 달고 약간 차갑다.
[효능/효과]
이뇨제, 항류머티즘, 진경제, 항염증약, 설사억제제, 해열제등으로 쓰인다. 또한 분비물의 이상 정체을 조절해 주며 염증을 치료해 준다. 부종, 고름, 설사, 담(가래), 장과 폐의 농양, 류마티즘, 관절염등의 병리를 가진 환자에게 유효하다.
[주의사항]
임산부는 먹지 말아야 한다.
[용도]
약용(종자)

● 이(梨):배나무
[기원]
장미과의 갈잎떨기나무 배나무 Pyrus pyrifolia (BURM. fil.) Nakai var. culta (Makino) Nakai의 열매.
[생약명]
이(梨)
[성미]
甘, 平
[효능]
생진윤조(生津潤燥), 청열화담(淸熱化痰)
[해설]
1.열병으로 진액이 손상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을 일으킬 때 쓰고,
2.소갈증에 갈증을 멈추게 하며,
3.발열 및 해수에 해열·진해 작용을 나타낸다.
4.대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에도 유효하다.
5.민간에서는 배의 속을 빼고 꿀을 넣어 고아서 먹는다.
[주의사항]
대변이 묽고 잔기침을 할 때에는 복용을 피해야 한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배나무(Pear)
Pyrus pyrifolia (Burm. fil.) Nakai var. culta (Makino) Nakai
주로 유라시아의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전세계에 20여 종이 있으며 크게 일본배·중국배·서양배의 3품종군으로 나눈다. 돌배나무에 비해 잎과 열매가 크고, 많은 재배 품종을 볼 수가 있다.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 꽃은 흰색이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다. 과피는 갈색이거나 녹색을 띤 갈색이고 과육에는 돌세포[石細胞]가 들어 있다. 암술은 2∼5개,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는 꽃턱이 발달해서 이루어지며 2∼5실을 기본으로 한다. 종자는 검은빛이다.
[주요성분]
열매에는 당분 10∼14%, 과육 100g에 칼륨 140∼170mg, 비타민C 3∼6mg이 들어 있다.
[효능/효과]
해열, 진해, 이뇨작용이 있다.
[기타]
1. 일본배:일본 중부 이남, 한국 남부와 중국의 양쯔강 연안 일대에 분포하는 돌배나무(P. pyrifolia)를 기본종으로 개량한 품종군이다. 여름에 비가 많이 오고 온난한 기후에 적합하며 잎은 크고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둥글고 육질은 서양배보다 질이 떨어지지만 과즙이 많고 신선한 맛이며 저장성도 강하다. 현재 한국에서 주로 재배하는 품종이다.
2. 중국배:중국의 허베이[河北] 지방과 북동부, 한국 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산돌배(P. ussuriansis)를 기본종으로 하여 중국에서 개량한 것이다. 중화리(中華梨)와 중국소리(中國小梨)로 나누는데, 그중에 널리 알려진 야리[鴨梨]와 쓰리[慈梨]는 중화리 계통이다. 여름 생육기간에 비가 적은 곳에서 잘 자란다. 잎은 타원형이거나 둥근 모양이고 꽃 피는 시기가 빠르다. 열매는 대체로 크며 녹색이고 약간 떫은맛이 있다.
3. 서양배(P. communis):유럽 중부로부터 터키 일대에서 야생한 배를 기본종으로 하여 여름에 비가 적은 곳에서 개량한 것이다.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긴 타원 모양의 달걀 모양으로 잎자루가 가늘고 길다. 열매는 보통 병 모양의 원뿔형이지만 변이가 많다. 성숙한 것을 따서 다시 후숙하여 먹는다. 돌세포가 적고 향기와 맛이 매우 좋다.
한국에서도 옛날부터 고실네·황실네·청실네 같은 품종들을 재배하였고, 지방에 따라 금화배·함흥배·안변배·봉산배가 유명하였다. 1906년 서울 근교 뚝섬에 원예모범장을 세우고 일본배를 도입, 재배하면서 이들 재래배는 점차 사라졌다. 뒤에 일본배 장십랑(長十郞)과 재래배 청실네를 교배하여 단배를 신품종으로 육성하였다.

● 익모초(益母草)
[기원]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익모초 Leonurus sibiricus Linne의 지상부.
[생약명]
익모초(益母草) - 지상부
충위자(?蔚子), 익모초자(益母草子), 충울자(充蔚子) - 씨
[이명]
육모초, 임모초, 야천마(野天麻)
[성미]
辛苦, 微寒
[효능]
활혈거어(活血祛瘀), 이뇨소종(利尿消腫), 청열해독(淸熱解毒)
[해설]
1.부인과 질환에 상용하는 약물로, 생리가 없을 때 및 생리통에 생리 조절 작용을 나타내고,
2.산후 자궁 수축 불량으로 출혈이 있거나 복통이 있을 때에 어혈(瘀血)을 제거시키면서 자궁 수축에 탁월한 반응을 나타낸다.
3.가벼운 이뇨 작용이 있어서 소변의 양이 적으면서 잘 나오지 않을 때와 몸이 부엇을 때에 다른 약물들과 배합해서 사용한다.
4.습진, 가려움증에도 내복하거나 외용한다.
충위자는 생리 조절 작용이 있으며, 시력 증강에도 쓰인다.
[성분]
leonurine, stachydrine, leonuridine, leonurinine 등 여러 종류의 alkaloid와 vitamin A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자궁에 직접 흥분 작용을 나타내고,
2.실험성 폐내(肺內) 혈전에 일정한 용해 작용을 나타낸다.
3.심장과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4.호흡 흥분 작용,
5.이뇨 작용,
6.피부진균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1.급성신우신염으로 인한 부종에 이 약물 12~2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1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하였고,
2.관상 동맥 질환에 약침 제제로 효험을 높였다.
3.고혈압에 취오동, 희렴, 하고초와 함께 사용하여 효험을 얻었다.
4.생리불순에 15~2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1일 3회 복용하여 효력을 얻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익모초(Chinese motherwort)
Leonurus sibiricus
꿀풀과에 속하며, 일본·중국, 대만, 유구, 만주, 북미 및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원야지 인가 부근 빈터 및 밭둑 등에 흔히 자생한다. 여성들의 여러가지 병에 쓰이며 어머니들의 건강에 좋은 약초라 하여 익모초(益母草)라고 한다. 익모초의 씨를 충위자 또는 충자라고 하는데, 생약(生藥)에서 익은 씨를 따서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2년초, 높이 1m 정도, 줄기는 둔하게 네모지며 백색털이 있어 전체에 백록색이 돌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고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며 약간 둥근 모양이고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缺刻狀)이며 꽃이 필 때는 없어진다. 경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깃 모양으로 갈래는 선형이다.

꽃은 6∼9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수 송이가 잎겨드랑이에 모여 붙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화관은 아래위 2개로 갈라지며 하순꽃잎은 다시 3갈래로 갈라지고 가운데의 것이 가장 크며 붉은색의 줄이 있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는 9∼10월에 성숙되며 소견과는 넓은 난형이며 약간 편평하고 3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털이 없고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씨는 검고 세모지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2∼2.5mm 이다.
[주요성분]
전초에 알칼로이드 레오누린(Leonurine), 레오누리딘(Leonuridine), 스타히드린이 있다. 또한 쓴맛물질, 피토스테린, 정유, 사포닌, 기름 0.5%, 역한 냄새나는 물질,수지, 루틴, 유기산 등이 있다. 유기산으로는 라우린산, 리놀산, 리놀렌산, 올레인산이 있다. 알칼로이드는 꽃피기전에 많이 들어 있다. 탄닌질은 꽃피기전의 잎에 2-3%, 전초에 약 2%, 줄기에 약 1.6% 있다. 씨에도 레오노린, 적은량의 스타히드린, 콜린 등과 기름(37%)이 있다. 또한 쿠마린, 플라보노이드배당체가 있다. 그 가운데는 루틴(0.17%)도 들어 있다. 씨기름의 64%는 올레인, 21%는 리놀레인이다.
[효능/효과]
1.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피를 깨끗하게 하고 월경을 조정하며 산후의 지혈, 현기증, 복통에 사용한다.
2. 씨도 같은 목적으로 쓴다.
3. 이뇨에 효과가 있어서 수종, 부종 또는 안질에 사용한다.
[주의사항]
동공이 상대한 자 및 임신 중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혈액이 부족한 사람이나 몸에 어혈이 없는 사람은 복용을 피해야 한다.
[용도]
약용(전초, 씨), 식용
--------------------------------------------------------------------------------
익모초 (益母草, Leonuri Herba)
삼릉형으로 한쪽 끝은 약간 넓고 다른 끝은 점차 좁아지며 길이 2-3mm, 너비는 약 1.5mm이다. 표면은 회갈색이며 짙은 색의 반점이 있고 광택은 없으면서 약간 엉성하다. 횡단면은 삼각형으로 외피는 갈흑색이고 배유는 극히 얇으며 회색으로 종피상에 부착되어 있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차갑다.
[주요성분]
Chamazulene, Cycloleonurinin, 12,13-Epoxyoleic acid, Eugenol, Isokobusone, Isoleosibirin, Leonurine, (+)-Leosibiricin, Leosibirin, Linoleic acid, L-Stachydrine, p-Menthan-3-ol; (1R,3R,4R)-form, Violaxanthin (all-E form), Zeaxanthin (all E-form)
[효능]
행혈(行血), 활혈(活血), 거어(祛瘀), 조경(調經), 해독(解毒), 하수(下水), 이뇨(利尿), 소종(消腫)
1. 심포와 간에 작용한다. 충울자는 혈의 운행을 원활히 하고 어혈을 제거하며 간의 열을 내려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2. 생리 불순과 월경통, 냉대하, 산후 어혈로 인한 통증, 타박상으로 붓고 통증이 있는 데 등의 어혈로 인한 증상과, 간의 열로 인한 두통과 눈이 붉어지면서 아픈 증상 등을 호전시킨다.
[용도]
약용(지상부)

 

● 인동(忍冬):인동덩굴, 잔털인동덩굴, 붉은인동
[기원]
인동과의 덩굴성 갈잎떨기나무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그 변종의 덩굴.
[생약명]
금은화(金銀花) - 꽃.
인동등(忍冬藤) - 덩굴.
[이명]
인동화(忍冬花), 이화(二花), 은화(銀花), 쌍화(雙花), 금화(金花), 금등화(金藤花), 금은등(金銀藤), 원앙등(鴛鴦藤), 로사등(鷺?藤), 노옹수(老翁須), 좌전등(左纏藤), 금채고(金釵股), 통영초(通靈草), 밀통등(蜜桶藤),
눙박나무, 이화, 인동, 겨우살이덩굴
[성미]
금은화 - 甘, 寒
인동등 - 甘, 寒
[효능]
금은화 -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염배농(消炎排膿)
인동등 - 청열해독(淸熱解毒), 통락(通絡)
[해설]
금은화는 1.외감성으로 열이 나며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갈증이 있을 때(특히 여름 감기) 차로 달여서 마신다.
2.종기와 피부가 헐어 독이 퍼졌을 때에 유효하다.
3.내부 장기염증(맹장염, 복막염, 자궁내막염 등)의 염증 제거 및 농(膿)을 배출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4.이질에 농이 섞인 변을 배설할 때에 유효하다.
5.열독(熱毒)으로 인한 피부 조직의 괴사에도 신속한 효과를 보이고,
6.초기 유선염에도 치료율이 높다.
인동등은

1.감기에 해열 작용 및 전신통을 제거하고, 발한 작용이 신속하며, 사지관절의 염증을 다스린다.
2.피부가려움증, 종기에도 유효하고,
3.전염성간염,
4.근골동통을 다스리므로 풍습성관절염에 효과가 있다.
[성분]
근은화에는 luteolin, inositol, saponin, 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인동등에는 lonicerin, luteolin-7-rhamno-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금은화는 1.항균 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백일해균, 이질균, 녹농균, 콜레라균, 대장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높고,
2.항염증 작용이 있어서 염증의 증식을 억제시키면서 해열 작용과
3.백혈구의 탐식 작용을 촉진시키고,
4.중추 신경 계통의 흥분 작용을 나타내며,
5.혈청 콜레스테롤을 일정하게 내리고,
6.실험성위궤양에 가벼운 예방 효과를 보인다.
인동등은 1.소장의 경련을 풀어 주고,
2.포도상구균, 고초간균의 생장을 억제시킨다.
[임상보고]
금은화는 1.급성맹장염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으며,
2.만성간염,
3.만성장염,
4.만성설사,
5.유선염에 치료율을 향상시켰으며,
6.호흡기감염증 예방에는 관중(貫衆)과 각각 60g씩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거나 인후부에 분무하였따.
인동등은

1.전염성간염에 8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간 기능 회복 작용이 현저하였으며,
2.세균성이질과 장염에도 유효하였다.
3.충수염에도 일정한 효능을 보였다.
[어원]
인동이란 이름은 넝쿨이 살아서 추운 경울에도 시들지 않기 때문에 생겼으며 금은화란 이름은 처음 피는 꽃이 흰색이지만 차차 노랗게 변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서로 떨어지기 싫어하는 쌍둥이 자매가 있었는데 언니는 금화(金花), 동생은 은화(銀花)라고 불렀다. 그런데 열병으로 두 자매는 연이어 죽게 되었는데 이들의 무덤가에 처음 필 때는 흰색이었다가 점점 노란색으로 변하는 덩굴이 자라났다. 그 후 마을에 두 자매에게 걸렸던 열병이 돌았는데 그때 마을 사람들은 그 꽃을 달여 먹고 낫게 되니 마을사람들이 이 약초의 이름을 '금은화(金銀花)'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네이버 백과사전
--------------------------------------------------------------------------------
인동(忍冬, Japanese honeysuckle)
Lonicera japonica Thunberg
인동과에 속하며, 일본, 중국 및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야지 해발 50-600m 지역 산기슭 및 인가부근 둑에 자생한다. 인동덩굴의 꽃은 처음에 희고 점차 노란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금은화(金銀花)라고 하며, 줄기잎은 인동(忍冬)이라고 하는데 이는 겨울에도 견딘다고 하여 즉 사철푸르다는 뜻에서 불리는 이름이다.
생약(生藥)에서 봄과 가을에 인동덩굴의 줄기잎을 채취하여 말려 약재로 사용하고 또한 꽃은 꽃잎이 피기전 부풀어난 꽃봉오리를 따서 그늘에 말려서 약재로 쓴다.
덩굴성 낙엽관목, 반상록성(半常綠性)관목, 길이 3-5m 안팎, 가을 또는 겨울까지 잎이 붙어 있으며,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며, 소지(小枝)는 적갈색이고 털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대생(對生)이며 긴 난형,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예두(銳頭) 또는 끝이 둔한 예두이고 원저(圓底)이며 길이 3-8cm, 폭 1-3cm 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털이 나 있다. 어린잎은 양 면에 털이 있으나 자라면 없어지고 뒷면에 약간 남아 있는 것도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5mm 로 털이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처음에는 흰색이나 나중에는 노란색으로 변하고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붙고 가지끝에 밀생하는 것 같다. 포는 잎모양,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1-2cm 로서 대생하고 소포(小苞)는 길이 1mm 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난형이고 끝에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3-4cm 이고 입술 모양으로 겉에 털이 있고 안쪽에는 누운 털이 있으며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그 중 1개는 길게 갈라져 뒤로 말리고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9-10월에 성숙되고 장과(漿果)로 둥글고 지름 7-8mm 이며 흑색으로 익는다.
[주요성분]
꽃에는 배당체 루테올린, 이노시톨(Inositol)이 있으며, 단맛은 약 1%의 이노시톨에 의한다. 그외 탄닌질 약 8%, 사포닌(saponin)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잎과 줄기에는 5-8%의 탄닌질이 있다.
Acetylcholine, alpha-Pinene(+,-), alpha-Terpineol, Apigenin, Auroxanthin, Benzyl alcohol, beta-Carotene (all-trans), Caffeic acid methyl ester, Carvacrol, Chlorogenic acid, Choline, cis-2,6,6-Trimethyl-2-vinyl-5-hydroxytetrahydropyran, Epivogeloside, epsilon-Carotene, Eugenol, gamma-Carotene, Geraniol, Hederagenin-3-O-[alpha-L-rhamnopyranosyl-(1->2)-alpha-L-arabinopyranosyl]-28-O-beta-D-xyl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 ester, Hederagenin-3-O-[alpha-L-rhamnopyranosyl(1->2)-alpha-L-arabinopyranosyl]-28-O-[3-O-acetyl-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ide, Hederagenin-3-O-[alpha-L-rhamnopyranosyl-(1->2)-alpha-L-arabinopyranosyl]-28-O-[3-O-acetyl-beta-D-xylopyranosyl-(1->6)-beta-D-glucopyranoside, Linalool, Loganin, Lonicerin, Loniceroside A, Loniceroside B, Luteolin, Lycopene, 2-Phenylethanol, Phytofluene, Secologanin, Secologanin dimethylacetal, Secoxyloganin, Tauroside G3, trans-2-Methyl-2-vinyl-5-(alpha-hydroxyisopropyl)-tetrahydrofuran, trans-2-Methyl-2-vinyl-5-(alpha-hydroxy-isopropyl)-tetrahydrofuran, Vanillic acid, Venoterpine, Vogeloside, Zeaxanthin (all E-form)
[효능/효과]
맹장염, 간염, 장염에 사용한다. 한방에서 줄기잎(인동)을 이질, 종기에, 꽃(금은화)을 치창(治瘡), 해독에 사용하고, 또 이뇨, 건위, 해열약, 매독, 관절염 등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감기에 줄기와 잎을 다려 먹는다. 뜨거운 재속에 넣었다가 꺼내 비벼서 종기에 붙이면 속의 독을 빨아낸다. 종기, 화상, 류마티스 등에 사용한다. 인동물에 목욕하며 습창, 관절통, 타박상에 효과가 있다.
청열(淸熱), 해독(解毒), 보허(補虛), 거풍(祛風), 통락(通絡), 지갈(止渴), 제리(除痢), 지기(止氣), [보허요풍(補虛療風), 산열해독(散熱解毒), 소종거농(消腫去膿)], 구복(久服): 경신(輕身), 연년(延年)
1. 폐와 위와 심에 작용하여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경맥을 잘 통하게 한다. 여러 가지 염증성 질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니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두염, 편도선염, 결막염 및 창양, 부스럼을 치료한다.
2. 열로 인하여 생긴 병이나 감기, 호흡기 질병, 매독 등에 효과가 있다.
[주의사항]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낸다.
[기타]
어린가지와 잎에 갈색털이 있는 것을 ''털인동(var. repens (Sieb.) Repens (Sieb.) Rehder)''이라고 하며, 잎가장자리 이외에는 털이 없고 겉에 홍색이 도는 것을 ''잔털인동''이라 한다. 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티푸스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다

● 인삼(人蔘)
[기원]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인삼 Panax schinseng Nees의 뿌리. 일본산인 죽절인삼(竹節人蔘) panax japonicus C. A. Meyer도 약용한다.
[생약명]
인삼(人蔘) - 뿌리
인삼엽(人蔘葉) - 잎
인삼로(人蔘蘆) - 노두(蘆頭)
미삼(尾蔘) - 잔뿌리
인삼자(人蔘子) - 씨
홍삼(紅蔘) - 인삼을 찐 것
산삼(山蔘) - 깊은 산 속에서 자라는 것.
장뇌(樟腦) - 산삼의 종자를 받아 민간에서 재배한 것.
[이명]
백삼(白蔘), 야산삼(野山蔘), 별직삼(別直蔘), 귀개, 토정, 신초, 혈삼
[분포/특성]
우리 나라 각처 깊은 산의 수림 속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높이는 60cm, 뿌리는 봉상, 근경은 짧고, 곧거나 비스듬히서며, 끝에 1개의 원줄기가 나온다. 줄기 끝에 3-4장의 잎은 윤생, 잎자루는 길고, 그 잎은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도란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 연한 녹색, 줄기 끝의 윤생엽 가운데에서 나온 긴 화축 끝에 산형화서가 1개 달리고, 5수성,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납작하고 둥근 모양, 붉게 익는다.
[주요성분]
1. 배당체(配糖體):인삼에는 주요성분으로 알려진 배당체가 있으며 이들 혼합물을 산(酸)으로 가수분해하면 유리당으로서 포도당·람노오스·수크로오스·프룩토오스 등과 아글리콘이 생성되며, 인삼사포닌의 배당체로서는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β-시스토스테롤 및 올레아놀산의 성분이 나온다.
2. 파나센(panacen):인삼 고유의 향기성분으로 끓는점이 낮은 부분(60∼110℃)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의 화합물이다.
3.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일본에서는 인삼에서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을 분리하여 파낙시놀이라 명명하고 그 화학구조식을 밝힌 바 있으며, 미국에서는 인삼이 어떤 종의 항세포 배양물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발휘함을 발견하였으며 그 밖에 β-시스토스테롤·스티구마스테롤 등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4. 함질소 성분:인삼 중의 염기성 물질(알칼로이드)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있었고 이 물질은 Hela-cell(乳癌細胞)이나 KS-cell의 생육이 억제된다고 하였으며 그 밖에 펩티드는 인슐린과 같은 작용을 하여 당뇨병에 유효하다고 한다.
5.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인삼의 줄기와 잎에는 캠페롤·트리폴림·파나세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6. 비타민:인삼 중 비타민류로는 B복합체와 니코틴산·판토텐산·폴산·비오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7. 미량원소(粘液質):인삼에는 미량원소로서 망간·구리·바나듐·코발트·비소·게르마늄·인·알루미늄·니켈 등이 있으며 게르마늄 세포독성을 통하여 노화된 세포가 신생세포로 바뀌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가장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항암작용도 있다고 한다.
8. 효소(酵素):인삼에는 아밀라아제와 페놀라아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효능]
- 용토격상담음(涌吐膈上痰飮)
1. 인삼의 간장보호 작용 : 인삼은 생체내에서 단백질 합성을 촉진, 부분 절제한 간의 재생율 증가, 급성간 장해에 대한 간기능 회복효과 입증, 간의 콜레스테롤 대사촉진 효과, 숙취해소 효과 등 간염환자에 대한 인삼의 유효성 이 입증되었으며 인삼은 알콜의 체내 대사및 배설을 촉진 함은 물론 알콜로 인한 간상해를 막아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당뇨병에 대한 인삼의 개선작용 : 인삼은 혈당강하 작용, 당뇨병에 유효한 인슐린 유사물질규명, 당뇨병에 유효한 임상효능 제시. 일반자각증상 개선 효과 등이 있으며 인삼의 혈당강하작용은 대단히 효과적이며 합성당뇨병 치료약과 같이 지나치게 혈당 당뇨치를 떨어뜨리는 위험이 없기 때문에 당뇨병환자는 안심하고 복용해도 좋다고 한다.
3. 암에 대한 인삼의 효능 : 인삼성분의 암세포증식 및 성장억제 효과 확인, 동물실험을 통한 인삼의 암발생효과 입증, 인삼 추출물을 항암제와 병용시 항암제의 효과증진 , 인삼의 암환자에 대한 임상적 유효성이 제시되었으며 인삼이 암환자의 자각증상은 물론 수술후 조기회복, 항암제의 부작용 방지, 암세포의 증식억제 , 면역기능회복 및 증진등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인삼의 항피로작용 : 인삼의 항피로 효과에 대한 약리작용규명, 동식물을 통한 인삼성분의 항피로 효과규명, 임상실험을 통한 인삼의 항피로 작용이 규명되었으며, 이러한 인삼의 항피로 효과를 감안해 볼때 과로한 업무로 피로에 시달리는 현대인 들은 물론 입시공부에 시달리는 수험생 들에게 권장되고 있다.
5.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에 대한 인삼의 효과 : 인삼은 생체내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동맥경화예방에 유효, 혈중 콜레스테롤 치의 증가억제 , 혈압에 미치는 인삼의 효과가 있으며 인삼사포닌은 콜레스테롤의 소실을 촉진 하고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능 및 동맥경화예방에 유효하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성분과 강화시키는 성분이 공존하므로 서 선택적으로 혈압을 정상화 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6. 중추신경(뇌기능)계에 대한 인삼의 작용 : 인삼배당체가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규명, 생체의 반응성 적정화 및 적응능력을 개선, 중추신경계에 대한 자극 및 진정작용 효과가 있으며, 인삼의 소량투여는 흥분작용을, 대량투여는 진정작용을 나타내며 학습활동과 기억력 및 스트레스반응의 적응력 을 증진한다.
7. 심맥관계(순환관계)에 대한 인삼의 효능 : 인삼의 강심작용 을 약리학적으로 입증 , 심박동수, 평균동맥압의 강하, 중추정맥압 상승효과, 심박출량, 중추정맥압의 강하규명, 각종순환기 질환에 대한 임상효과등이 있으며, 인삼은 강심작용과 심장의 기질적인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 및 심맥계 근육에 대한 이환 효과가 혈압에 대한 조정적 작용이 있다.
8. 빈혈에 대한 인삼의 효능 : 인삼의 적혈구 생성촉진 효과, 방사선 장해에 의하여 손상 받은 조혈장기의 회복촉진, 암환자의 빈혈 및 혈액상 회복효과 , 각종 빈혈에 대한 임상효과가 확인되었다.
9. 인삼의 면역증강 및 소염작용 : 인삼은 미생물감염에 대한 저항성 증대, 임파구의 유사분열촉진, 체세포의 내성증강 효과, 항염증효과와 소염작용 효과가 있으며 생체의 방어력이 약해지기 쉬운 상태 즉, 암과 같은 병적 상태, 영양결핍, 뇌쇠화 등에서 올 수 있는 면역기능의 저하에 매우 효과적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인삼의 강정작용 : 인삼은 고환에서 DNA 및 단백질합성강화, 난소에서 내협막세포의 세포질적 향상효과 남성 불임증치료에 대한 임상적 효과 등이 규명되었으며 성홀몬의 결핍증이 있을 때에는 성활동의 현저한 촉진작용 을 나타낸다.
13. 인삼의 기타효과 : 인삼은 위궤양을 예방 하고 치료하며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고 모발의 인장강도를 증가하여 피부질환의 치유와 피부를 강화 하는 작용이 있다.
[약리작용]
1. 인삼의 에타놀 추출액은 부신피질호르몬인 glucocorticoid의 분비를 촉진하며 여러 스트레스에 대해서 부신피질 기능을 강화한다.
2. 대뇌 피질을 자극해서 cholin 작동성을 증강하고, 혈압강하, 호흡촉진, 실험적 과혈당의 억제, 인슐린 작용증강, 적혈구 및 헤무글로빈 증가, 소화관 운동을 항진시킨다.
3. Saponin 분획은 항피로작용, 작업능력 증진작용, 성선(性腺) 발육 촉진작용, 혈당치 강하작용이 있다.
[응용]
강심(强心), 건위(健胃), 보정(補精), 진정약, 강장으로서 널리 이용되며 위의 쇠약에 의한 신진대사 기능의 저하에 대한 진흥약(振興藥), 병약자의 위부정체감(胃部停滯感), 소화불량, 구토, 흉통, 이완성하리, 식용부진 등에 응용한다.
[주의사항]
1. 성질이 더운 약재이므로 열이 많이 나는 증세, 고혈압병에는 쓰지 않는다.
2. 폐열(肺熱), 폐기불리자(肺氣不利者)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3. 임상학적으로 임신 중에는 권하지 않는다. 인삼에 관한 신뢰할만한 연구결과는 없으므로 어린아이를 양육하는 어머니는 의사와의 상담없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특히, 6세 이하의 어린이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연구결과에 따르면 권장섭취량을 지킨다면 장기적으로 복용해도 별다른 부작용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Siegel's open study에 따르면 133명의 환자에게 과량의 인삼을 준 결과, 고혈압, 신경과민, 자극감수성, 불면증 같은 '인삼남용증후군'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
홍삼 (紅蔘, ginseng steamed red)
Panax ginseng
긴 원주형~방추형을 이루며 때때로 중간쯤에서 2~3개의 곁뿌리가 갈라지고 길이 5~25cm. 주근의 지름이 5~30mm이다. 바깥면은 엷은 황갈색~적갈색을 띠고 반투명하며 세로주름 및 가는 뿌리의 자국이 있다. 근두부는 약간 찌그러진 짧은 뿌리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다. 꺾은면은 평탄하며 질은 단단하고 각질상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 에는 약간 달고 나중에는 조금 쓰다.
[주요성분]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카리오필렌, 시나미산, 페룰릭산, 푸말산, 진세노사이드, 캠페롤, 올레놀산, 파낙스산, 파낙신, 사포닌, 스티그마스테롤, 바닐릭산, 칼슘, 콜린, 섬유, 엽산,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칼륨, 규소, 아연, 비타민 B1, B2, B3, B5, C
[효능/효과]
부신과 내분비선의 재생력을 강화한다. 면역기능과 폐기능을 좋게 하고 식욕을 촉진한다. 기관지염, 순환기질환, 당뇨, 불임, 무기력,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다. 코카인을 끊기 쉽게 하고 방사능 노출로부터 보호한다. 노인들의 약이나 술로 약해진 간기능을 향상시킨다.
[주의사항]
열이 성한자는 금한다.
--------------------------------------------------------------------------------
미삼 (尾蔘, Fine Rootginseng)
가늘고 긴 원주형으로 많은 수염뿌리가 달려 있으며 길이는 5~15cm. 가는 뿌리의 지름은 1~5cm. 가는 뿌리의 지름은 1~5mm이다. 바깥면은 홍갈색~엷은 갈색이며, 세로주름이 있고 위쪽은 주근으로부터 떼어낸 자국이 있으며 그 면은 편평하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달다가 나중에는 쓰다.
[주요성분]
Ginsenoside Ro, Pa-Rh, Panaxynol, Amino acids, Peptides, Maltol
[효능/효과]
1. 두뇌활동을 원활하게 하며 학습 능력향상에 도움을 준다.
2.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3. 암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다.
4. 동맥경화, 고지혈증 치료 예방에 효과가 있다.
5. 신체기능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한다. 고려인삼은 정력증강에 효과가 있다.
5. 간장(肝臟) 보호 및 치료 효과가 있다.
6. 위장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7. 숙취 제거에 효과가 있다.
8.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
9.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다.
10.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
11.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준다.
12.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13. 빈혈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
14. 방사능 방어작용을 한다.
15. AIDS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
16. 환경호르몬의 독성을 예방한다.
17. 중금속 해독능력이 있다.
[주의사항]
열이 성한자는 금한다.
--------------------------------------------------------------------------------
장뇌삼 (長腦蔘)
Panax ginseng C.A. Meyer
산삼의 종자를 야생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한 인삼이다. 인삼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밭에서 키우는것이고 산삼은 산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는것을 말하며 장뇌삼은 밭이 아닌 산에서 인위적으로 기르는 삼이다.
[주요성분]
정유성분, 사포닌, 조지방, 조섬유, 전분,
[효능/효과]
1. 항당뇨작용, 항암작용, 심장강화 및 혈압조정, 간기능강화, 위장기능강화, 스트레스 해소 및 강장효과, 체력(정력)증진, 뇌기능강화, 노화억제, 방사선조사 방어작용, 빈혈회복 효과, 조혈작용, 면역기능 증진, 소염작용, 허약체질개선 등에 효능이 있다.
2. 혈당치를 저하시키는 아드레날린과 인슐린이 생성되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
3. 장뇌는 간의 기능을 도와 각종 간질환 감염, 간경변, 간암등을 회복 시키는 효능이 탁월하며, 장뇌에 함유되어 있는 게르마늄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4. 장뇌는 부인들의 냉증, 월경과다, 자궁출혈, 산후 신경쇠약에 효과적이며 피부미용과 탈모방지에도 효능이 탁월하다.
5. 장뇌는 강장, 강정의 효능이 뛰어나 생성 기능을 왕성하게 하며 노년기 정력감퇴와 불감증을 예방한다.
6. 장뇌는 위의 신진대사를 돕고 소화불량, 구토, 흉통, 설사, 식욕 부진 등에 응용된다.
[이명]
산양삼(山養蔘)

● 인진호(茵蔯蒿):사철쑥
[기원]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의 어린싹.
[생약명]
인진호(茵蔯蒿) - 가을에 채취한 것
면인진(綿茵蔯) - 어린싹(봄에 채취한 것)
[이명]
애탕쑥, 인진호, 인진, 자화열당, 황화열당, 초조용, 생당쑥, 댕강쑥, 인진쑥
[성미]
苦, 微寒
[효능]
청열(淸熱), 이습(利濕), 퇴황(退黃)
[해설]
1.습열(濕熱)로 인한 황달로 열이 나고 전신황색, 소변이 붉고 적은 증상, 즉 급성간염에 탁월한 반응을 보인다.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에도 좋은 치료제이다.
2.담낭염, 담낭결석에도 활용되며,
3.습진, 옴, 버짐, 풍진 등의 피부 질환에도 널리 활용된다.
[성분]
scoparone, 6-7-dimethoxy coumarin, β-pinene,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capilin, capillene, capillarin 등이 알려졌다.
[약리]
1.인진의 여러 제제들은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고,
2.실험성간염에 간 기능 보호 작용이 현저하며, 특히 간세포의 재생 작용이 탁월하다.
3.지질의 분해 작용, 관상 동맥 확장과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나고,
4.해열·이뇨 작용이 있다.
5.항미생물 작용이 있어서 결핵균, 디프테리아균, 탄저균, 티푸스균, 이질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6.실험성복수암 세포에도 억제 효과를 보인다.
[임상보고]
1.전염성간염에 1회 40~6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해열 및 간(肝) 용적 축소와 효소의 활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2.인진 80g, 대추 18개를 넣고 달여서 콜레스테롤 환자에게서 콜레스테롤치 강하 작용을 보였고,
4.휘발성 정유 성분들은 피부진균 억제 반응을 나타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사철쑥(Tarragon)
Artemisa capillaris THUNB
한국(전국 각도), 일본, 중국, 타이완, 만주,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 풀로 키는 30~60cm정도이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줄기의 아래쪽은 목질이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있고 흰털이 밀생하며 2회 깃꼴로 찢어졌고 그 잎은 가는 선형이다. 여름에 말라 버린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깃꼴로 찢어진다. 꽃은 8~9월에 노란 머리꽃이 겹총상꽃차례를 이루어서 핀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나는데 봄철에 한 뼘쯤 자란 것을 베어 말려서 약으로 쓴다. 음력 3월경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높만 4월이후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없다고 한다.
모든 쑥 종류는 봄철에는 독이 없지만 여름에는 독이 생기며 1~1.5m까지 자란다. 줄기의 밑부분은 나무처럼 딱딱하고 잎은 두 번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솜털이 빽빽하게 안다. 줄기에서 나는 잎은 한 번만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털이 없다. 갈라진 잎 조각은 모두 실오라기처럼 가늘다.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원뿌리 꼴로 모여 피는데 꽃잎은 없고 암술과 수술이 둥글게 뭉쳐 달걀 꼴을 이룬다. 꽃은 8~9월에 피어 9~10월에 열매가 익는다.
[주요성분]
전초에 정유(베타-비넨, 카필린, 카필론)가 함유되어 있다. 그밖에 에스쿨레린, 6,7-다이메틸에테르가 들어 있는데 이것이 유효 성분인 듯 하다.
전초에 스코폴레틴, 정유, 방향족옥시카본산, 플라보노이드, 옥시쿠마린 등을 함유한다. (인진의 일반성분과 유효성분 참조)
-인직쑥 생잎
생잎중에는 수분76.7% 단백질4.7% 지질1.9% 탄수화물14.5% 회분2.2% 무기질은 칼슘133.1mg 나트륨3.1mg 칼륨915.8mg 인173.1mg 철분173.1mg함유되어 있다. 무기질 중에는 칼슘,인,칼륨 그리고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특히 칼륨의 함량이 대단히 높기때문에 알카리성을 띨뿐만 아니라 우리 몸에서 소화 흡수되고 대사되어 나갈때 나트륨과 함께 배설 되므로 염분섭취가 많은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인진쑥의 이용은 대단히 바람직하다.
-인진쑥 생줄기
생줄기에는 수분45.8% 단백질1.5% 지질0.8% 탄수화물50.7% 회분1.2% 무기질은 칼슘107.4mg 나트륨3.5mg 칼륨424.7mg 인51.2mg 그리고 철분이 1.3mg 함유되어있다
-인진쑥 생뿌리
수분59.5% 단백질1.6% 지질1.5% 탄수화물32.5% 회분4.8% 함유되어 있고 무기질은 칼슘82.8mg 나트륨20.8mg 칼륨344.2mg 인82.1mg 철분이 42.6mg 함유되어 있다.
[효능/효과]
술, 담배, 과다한 업무, 스트레스,잦은 술자리, 각종 약물등 이 모든 것들이 우리의 간을 혹사시키고 있다. 인진쑥은 간기능을 활성화시켜주는 영양성분과 많은 활성영양소,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여 간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며 체내 독성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어 간을 깨끗이 하고 간의 해독기능을 도와 지방대사를 원활히 시켜 피로회복, 체력개선에 좋은 식품이다
[용도]
식용(지상부), 약용

● 일년봉(一年蓬):개망초
[기원]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개망초 Erigeron annus (Linne) Pers.의 지상부.
[생약명]
일년봉(一年蓬)
[이명]
왜풀, 넓은잎잔꼴풀, 일년봉(一年蓬 ), 일년연, 비연, 야호, 치학초, 개망풀, 돌잔꽃,Daisy Fleabane, Sweet Scabious, Jagged Fleabane
[해설]
1.소화불량에 효과가 있고,
2.장염으로 인한 복통, 설사를 치료한다.
3.전염성간염,
4.림프절염,
5.소별 출혈에도 응용된다.
[성분]
pyomeconic acid, quercetin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혈당 강하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1.학질에 유효하며,
2.급성전염성간염에 이 약물 80g을 물을 넣고 1일 2회 복용하고 2주일 후에 일정한 효과를 얻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개망초(Daisy fleabane, Sweet scabious.)
Erigeron annus (Linne) Pers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 나라 각처의 밭, 들, 길가에 나는 월년초로, 귀화식물이다. 키는 30-100cm이며 전체에 털이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시들고, 잎자루가 길며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 밑의 것은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4-15cm, 폭 1.5-3cm이며 양 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있다. 위의 잎은 좁은 난형, 피침형으로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털이있다. 두상화는 흰색이며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붙고 지름 2cm, 자줏빛을 띤 설상화가 2-3줄 있다. 총포는 길이와 거의 같다 염색체 수 2n=26, 27.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8-9월이다.
[주요성분]
pyromeconic acid이 꽃에 0.7%, 잎에 0.14%, 줄기에 적은 양 있다. 꽃에는 quercetin, 아피게닌-7-글루쿠노이드가 있다.
[성분]
* 약리작용 : 잎과 줄기를 석유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다음 물로 추출한 것은 혈당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1. 소화불량, 학질에 효과가 있다.
2. 장염으로 인한 복통,설사를 치료한다.
3. 전염성간염, 림프절염, 소변 출혈에도 응용된다.
4. 미약하지만 임질에 이뇨작용을 보이며,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기침에 활용된다.
5. 민간에서는 전초가 소화를 돕고 열을 내리며 독풀이작용을 한다고 하여 소화가 안될 때 달여 먹는다.
[기타]
가축의 사료로 쓰인다.
[용도]
식용(어린잎) 약용(지상부), 사료용

● 임자(荏子):들깨
[기원]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들깨 Perilla fruescens Britton var. japonica Hara의 종자와 잎.
[생약명]
임자(荏子)
[이명]
일본자소
[성미]
甘苦, 溫
[효능]
하기(下氣), 온중(溫中), 보수(補水)
[해설]
1.하기(下氣) 작용이 있어서 폐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해수에 쓴다.
2.수분을 보충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갈증에도 효험이 있다.
[성분]
지방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
들깨(perilla)
Perilla fruescens Britton var. japonica Hara
한국·중국·인도·일본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인도의 고지(高地)와 중국 중남부 등이 원산지이며, 한국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참깨와 함께 들깨를 재배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옛날부터 전국적으로 재배된 것으로 보인다. 낮은 지대의 인가 근처에 야생으로 자란다. 높이는 60∼90cm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곧게 서며 긴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원형으로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다. 잎은 길이 7∼12cm, 나비 5∼8cm로 톱니가 있고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에는 자줏빛이 돈다.
꽃은 8∼9월에 총상꽃차례를 이루고 흰색이며 작은 입술 모양의 통꽃이 많이 핀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고 위쪽은 3개로, 아래쪽은 2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4∼5mm로 아랫입술꽃잎이 약간 길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는 분과(分果)로서 꽃받침 안에 들어 있으며 둥글고 지름 2mm 정도로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확정된 품종은 없으나 열매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몇 종으로 나누는데, 한국에서는 거의 갈색종을 재배하고 있다. 유료작물로 재배하며, 잎에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식용한다. 종자에서 짜낸 기름은 용도가 많다.
이밖에도 페인트·니스·리놀륨·인쇄용잉크·방수용구칠과의 혼용, 포마드·비누 등의 원료로 쓰인다. 또 백지에 기름을 먹여 유지 장판지로 쓰기도 한다. 깻묵은 사료와 비료가 된다. 들깨에는 40% 정도의 건성유가 들어 있다. 잎에는 0.4% 정도의 휘발성 기름이 들어 있는데 그 주성분은 페닐라케톤 C100H14O2로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주요성분]
식물성 정유인 l-퍼릴알데히드(l-perillaldehyde), l-리모넨(l-1imonen), 페닐라케톤(penillaketone) 등이 0.3~0.8%나 들어 있어서 특이한 향취를 낸다. 각종 비타민도 풍부하며 유리 아미노산이 12종 가량 들어 있다. 들깨의 종실 중에는 40~45% 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고, 이 지방은 리놀렌산(linolenic acid(20 %)), 리놀레산(linoleic acid(50%)), 올레산(oleic acid(1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성유에 속한다. 아미노산 중에 아르기닌 (arginine)과 리신(lys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리신(lysine) 이 부족한 참깨와는 좋은대조가 된다.
[효능/효과]
해수, 갈증에 효과가 있다. 심신을 보익하는 건강차, 고급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 성인병을 예방하며, 장기 복용하면 정신이 맑아지고 흰 머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 천식에도 유효하다. 들깨에는 비타민 E·F가 들어있어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미용 차로도 매우 좋으며 특히 머리카락에 윤기를 준다. 여름철 체력 저하나 산후 회복에 도움을 준다. 강장보호(腔腸保護), 건망증(健忘症), 건위(健胃), 고운 살결을 원할 때(美顔:미안), 고혈압(高血壓), 뇌졸중(腦卒中), 담(痰), 독충해독(毒蟲解毒), 발 손 삔데(挫閃: 좌섬), 변비(便秘), 보신(補身), 사독(蛇毒), 소화불량(消化不良), 원기회복(元氣回復), 위산과다증(胃酸過多症), 음종(陰縱), 저혈압(低血壓) 등에 효험이 있다.
[기타]
1. 종자에서 짜낸 기름은 용도가 많다. 이밖에도 페인트·니스·리놀륨·인쇄용잉크·방수용구칠과의 혼용, 포마드·비누 등의 원료로 쓰인다. 또 백지에 기름을 먹여 유지 장판지로 쓰기도 한다. 깻묵은 사료와 비료가 된다.
2. 들깨기름은 구미지역에서는 주로 공업용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참기름의 대용이나 튀김용으로 쓰이며, 그밖에 유지용, 페인트, 와니스, 기타 용도로 쓰인다. 잎에는 l-퍼릴라 알데히드(l-perilla aldehyde), l-리모넨(l-limonen), 퍼릴라케톤(perilla ketone)등이 0.3~0.8% 들어 있어 특이한 향기를 내어 부식용으로 이용된다. 한편 깻묵은 사료로서 소화율이 높고 비료로서도 중요하게 쓰인다.
[용도]
식용(종자, 잎), 공업용, 사료, 비료. 약용(종자, 잎)

'약용식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용식물 ㅊ~  (0) 2023.09.11
약용식물 ㅈ~  (0) 2023.09.11
약용식물 ㅅ~  (0) 2023.09.11
약용식물 ㅁ~  (0) 2023.09.11
약용식물 ㄴ~  (0)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