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 이야기

약용식물 ㅁ~

Choi가이버 2023. 9. 11. 18:13

마두령(馬兜鈴) 쥐방울덩굴
[기원]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Bunge)의 열매.
[생약명]
마두령(馬兜鈴, Aristolochiae fructus) - 열매
청목향(靑木香) - 뿌리
[이명]
두령(兜笭), 마도령, 목마향과(木馬香果), 마두령(馬兜笭), 마두령(馬兜零), 방울풀, 쥐방울, 쥐방울마도령, 북마두령
[성미]
마두령 - 苦微辛, 寒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쓰다.)
청목향 - 辛苦, 寒
[효능]
마두령 - 청폐화담(淸肺化淡), 지해평천(止咳平喘), 청장료치(淸腸療痔)
청목향 - 행기(行氣), 해독소종(解毒消腫)
[해설]
마두령-1.폐열(肺熱)로 인한 해수, 가래, 천신 모두에 응용되고,
2.폐허(肺虛)로 해수가 오래되고 가래가 적으며 인후가 건조하고 간혹 가래에 피가 섞이고 혀가 붉고 약간의 백태가 끼는 증상에도 활용된다. 3.대장(大腸)의 열을 내리므로 치질이 붓고 아픈 증상을 다스리며,
4.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이 있어서 원발성고혈압에 비교적 좋은 반응을 보인다.
청목향-
1.흉복부가 팽만하고 은은하게 통증을 느낄 때에 행기(行氣) 작용으로 치유하며, 장염과 이질에도 유효하다.
2.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3.종기에도 활용된다.
[성분]
마두령 - aristolchic acid A, C, D, magnoflorine
청목향 - aristolone, aristolochic acid, allantoin, debilic acid
[약리]
1. 달인 물은 토끼에게 가벼운 거담작용을 보이고, 폐렴쌍구균, 인플루엔자균 및 피부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보인
다.
2. 지속적인 혈압강하작용을 나타내며, 항암작용, 항감염작용이 있다.
3. 탐식세포의 활성을 증강시킨다.
[주의사항]
마두령과 청목향에는 최근 신독성(腎毒性) 성분이 함유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54호(2005.9.30)로 공정서(KHP)에서 삭제된 약재입니다.
독성은 약하나 과량 복용하면 혼수, 지각마비, 혈압강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해독법: 즉시 토하게 하고, 녹차나 묽은 탄닌액, 묽은 식초 등으로 위를 세척한다. 10% 포도당액이나 포도당염액에 비타민 B1을 타서 정맥 주사한다.

마린자(馬藺子)붓꽃, 타래붓꽃, 금붓꽃, 노랑무늬붓꽃, 각시붓꽃
[기원]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붓꽃 Iris sanguinea Hornem, 타래붓꽃 Iris pallasii Fischer var. chinensis Fischer, 금붓꽃
Iris koreana Nakai, 노랑무늬붓꽃 Iris odaesanensis Y. Lee, 각시붓꽃 Iris rossii Baker 의 열매. 꽃을 마린화(馬藺花), 뿌리
는 마린근(馬藺根)이라 한다. 등심붓꽃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er 은 약용하지 않는다.
[생약명]
마린자(馬藺子, Iridis Semen) - 열매
마린화(馬藺花) - 꽃
마린근(馬藺根) - 뿌리
[이명]
마린자 - 여실(여實), 초용(炒用)
붓꽃 - 란초, 계손(溪蓀), 수창포, 창포붓꽃
각시붓꽃 - 애기붓꽃, 장미연미, 각씨붓꽃
노랑무늬붓꽃 - 흰노랑붓꽃
금붓꽃 - 노랑붓꽃
[성미]
마린자 - 甘, 平
마린화 - 酸微苦, 凉
마린근 - 甘, 平
[효능]
마린자 - 청열(淸熱), 이습(利濕), 지혈(止血), 해독(解毒)
마린화 - 청열해독(淸熱解毒), 이뇨(利尿), 지혈(止血)
마린근 - 청열해독(淸熱解毒)
[해설]
마린자-
1.습열(濕熱)로 인한 황달, 이질에 유효하며, 2.지혈 작용이 있어서 토혈, 코피, 자궁 출혈에 쓰이고, 3.인후염에도
활용된다.
마린화-1.인후염에 효력이 있고, 2.토혈, 코피를 그치게 하며, 3.소변을 잘 보게 하여 임질 증상에 효력을 나타낸다.
마린근-청열·해독 작용이 있어서 인후염과 종기에 해열·소염 효과를 보인다.
[성분]전분, 지방유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알코올 추출액은 생쥐에게서 항생육·항착상 작용이 나타나 피임 효과가 인정되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붓꽃(Iris)Iris sanguinea Hornem.
산기슭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우리 나라 각처의 산이나 들에 나는 다년초이다. 키는 30-60cm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
라면서 새싹이 나와 뭉쳐나며 밑부분에 붉은빛을 띤 갈색 섬유가 있다. 근경은 길고, 수염뿌리가 많이 밀생한다. 잎은 중맥이 확실하지 않고, 창 모양, 줄기에 2줄로 붙는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지름 8cm 정도로 꽃줄기 끝에 2∼3개씩 달린다. 포는 잎처럼 생기고 녹색이며 작은포가
포보다 긴 것도 있다. 작은꽃자루는 작은포보다 짧고 씨방보다 길다. 외화피는 넓은 달걀을 거꾸로 새운 듯한 모양이며 밑부분에 옆으로 달린 자줏빛 맥이 있고 내화피는 곧게 선다. 열매는 삭과로서 대가 있고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종자는 갈색이고 삭과 끝이 터지면서 나온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한다.
[주요성분]전분과 지방유가 들어 있다.
[효능/효과]피부병, 인후염 황달, 이질, 지혈작용에 사용한다.
[용도]관상용, 약용(종자)

마미련(馬尾蓮) 꿩의다리, 산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좀꿩의다리, 금꿩의다리, 은꿩의다리
[기원]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folium Linne,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Maxim. var tenerum (H. Boiss.) Ohwi (= Thalictrum tuberiferum Maxim.), 자주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i Nakai, 좀
꿩의다리 Thalictrum kemense Fries var. hypoleucum (Siebold et Zucc.) Kitag., 금꿩의다리 Thalictrum rochebrunianum
Franch. et Savat, 은꿩의다리 Thalictrum actaefolium Sieb. et Zucc.의 뿌리와 지상부. 민간에서는 지방에 따라 삼지구엽초
를 잘못 쓰고 있다.
[생약명]마미련(馬尾蓮)
[이명]
꿩의다리 - 아지아꿩의다리, 한라꿩의다리, 우정금, 당송초
산꿩의다리 - 개산꿩의다리, 개산지구엽초
좀꿩의다리 - 연과초(煙鍋草-뿌리)
자주꿩의다리 - 자주가락풀
은꿩의다리 - 은가락풀, 도수련
[성미]苦, 寒
[효능]청열조습(淸熱燥濕), 사하해독(瀉火解毒)
[해설]
1.청열(淸熱)작용이 있어서 습열로 인하여 발병한 장염, 이질, 황달에 유효하다.
2.급성바이러스성간염에 활용되고, 습진, 삼출성피부염에 가루 내어 참기름에 개어서 환부에 붙인다.
3.열병으로 인해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조급증을 다스리고,
4.폐열로 인한 해수에 상백피와 배합하여 쓴다.
5.결막염으로 눈이 충혈되며 아픈 증상 및 종기 등에는 포공영과 배합하여 치료한다. 6.편도선염에도 사용한다.
[성분]alkaloid 성분으로 thallictrine, berberine, palmatine, jatrorrhizine 등이 알려졌다.
[약리]
1.약물 제제는 혈압 강하 작용이 있어서 고혈압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2.진통··소염··체온 강하 작용을 보이고, 3.생쥐의 폐암에도 유효하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folium Linne
아시아 및 유럽의 온대에서 아한대에 분포한다. 줄기는 속이 비었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가 50∼100cm이며 털이
없고 분처럼 흰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의 잎자루는 길지만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짧아져 없어지고 2∼3회 깃꼴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길이가 1.5∼3.5cm, 폭이 1∼3cm로 끝이 얇게 3∼4개로 갈라지며 끝이 둥글다.
꽃은 7∼8월에 흰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고 지름이 1.5cm 정도이며 줄기 끝에서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받침조각
은 4∼5개이고 길이 3∼4mm의 타원형이며 피기 전에 붉은 빛이 돌고 꽃이 피는 동시에 떨어져 나간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많고 길이가 10mm이며, 수술대는 윗부분이 주걱 모양이고, 꽃밥은 넓은 줄 모양으로 노란빛을 띤 흰색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6∼8mm이고 날개 모양의 돌출물이 3∼4개 있다.
길이 4∼5mm의 가는 자루에 붙어 열매 5∼10개가 모여 달린다.
[성분]
전초에 0.1%, 뿌리에 0.07%의 알칼로이드가 있는데 탈로민, 탈르미딘, 이소코리딘, 마그노플로린과 플라보노이드인 쿠에
르쩨틴, 켐페롤 그리고 유기산인 카페인산, P-쿠마르산, 시나핀산, 페룰라산 등이 있다.
[효능/효과]
민간에서 신선한 전초즙 또는 뿌리가루를 벤데 종양, 종처, 자궁출혈 때 염증약, 상처아무는약, 피멎이약으로 바른다. 청열
, 진통, 해열 등에 이용된다.한방에서 감기·두드러기·설사·장염·이질·B형간염·결막염·종기 등에 약으로 쓴다.

마자인(麻子仁) 삼
[기원]뽕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삼 Cannabis sativa L.의 열매.
[생약명]
마자인(麻子仁) - 과실
대마초(大麻草) - 전초
[이명]대마(大麻), 마(麻), 삼씨, 대마초, 화마인(火麻仁)
[성미]甘, 平
[효능]윤장통변(潤腸通便), 윤조(潤燥), 살충(殺蟲)
[해설]
1.기름성분이 많아서 노인이나 임산부 및 체질 허약으로 진액(津液)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변비에 유효하다.
2.혈허(血虛)로 인해 머리카락이 나지 않을 때에 볶아서 기름을 내어 두부(頭部)에 붙이거나 오동나무 잎을 넣고 달인 물
로 두부를 세척한다.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가루를 내어 꿀을 개어서 두부에 붙인다.
[성분]
지방유 30% 중에 지방산, 포화 지방산 4.5 ~ 9.5%, 불포화 지방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심혈관 계통에 작용해서 혈압을 내린다.
2.지방유는 윤활성(潤滑性)이 있어서 설사를 일으킨다.
3.고지혈증을 내린다.
[임상보고]
볶은 것을 다량 복용하면 오심, 구토, 설사, 사지마비, 정신착란, 수족진전(手足振顫), 동공산대(瞳孔散大)로 혼수에 빠진
다.
[주의사항]꽃이나 잎은 환각 작용이 강하므로 복용을 피해야 한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삼(Hemp)Cannabis sativa Linne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열대 지방과 온대 지방에서 섬유 식물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삼의 재배는 소련이 대부분을 차
지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우량한 삼 섬유를 생산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주로 우리 나라, 중국, 일본에서 섬유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곧은 뿌리는 지하 30∼40cm까지 뻗어 들어가지만 곁뿌리가 발달하지 않아 잘 뽑힌다.뽕나무과(科)의 1년초로써 온대에서
는 키가 3m내외로 자라지만 열대에서는 6m 까지 자란다. 성기게 심으면 아래 부분에서부터 가지를 치지만 배게 심으면 줄기 끝 부분에서만 약간의 가지가 나온다. 줄기의 겉면에는 세로로 골이 져있으며 횡단면은 표피세포 안쪽에 여러 층의 엽록소를 가진 하피(下皮)가 있고 그 안쪽에 유조직이 있으며 우리가 이용하는 인 피섬유(靭皮纖維)가 있다. 섬유의 길이는 긴 것이 10cm쯤이고 대개는 3~4㎝쯤이다. 잎은 긴 잎자루 끝에 5~9개의 작은 잎이 달려있는 장상복엽이며 작은 잎은 폭이 좁고 끝이 뾰족하며 톱니가 있다.
삼은 암수딴그루로서 수꽃은 수그루의 끝 부분의 겨드랑이에 달리는데 5개의 수술을 가진 불완전화이다. 암꽃은 암그루의
줄기 끝 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데 꽃은 매우 작으며 꽃자루가 없고 씨방은 1개의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암술대는 둘로 갈라져 꽃받침 밖으로 나와있다. 씨는 달걀 모양이고 광택이 있는 회백색이나 회갈색을 띠고 표면에는 두 줄의 무늬가 있다.
삼은 크게 나누어 유럽종과 아시아종으로 분류한다.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삼품 종은 주로 아시아계의 일본종이며
지방에 따라서 재래종을 재배하고 있다. 일본종은 줄 기의 빛깔에 따라 적목형(赤木形), 청목형(靑木形), 백목형(白木形)등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성분]
씨에는 단백질 19%, 기름 약 30%(포화지방산 7-14%, 리놀산 14-27%, 리놀레인산 43-58%, 올레인산 13-20%의 글리세
리드), 비타민E, 에데스티나제, 아미노산(이소로이찐, 베타인, 글리코골, 티로신, 아스파라긴산, 트리고넬린, 옥시프롤린, 발린,
로이찐,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흔적의 페놀화합물(칸나비놀, 칸나비디올)과 알칼로이드, 0.1%의 정유가 있다.
삼의 잎과 꽃에는 마취성분이 들어 있어서 담배와 같이 흡연하면 아편과 같은 중독증세를 일으키고 시각과 운동신경에 장
애를 일으킨다.
6(a),7,10(a)-Trihydroxy-delta-9-tetrahydrocannabinol · Acetaldehyde · Acetone· Cystine; (R,R)-form · D-(-)-
Bornesitol
[효능/효과]
비, 폐, 빈혈을 보강하는 자양강장제로 사용하며, 윤활작용이 있어 노인성 변비 치료제로 사용하고, 마취, 이뇨, 지혈 등의
효능이 있다.생즙을 부스럼, 동상, 화상, 뜸자리, 헌데, 유종에 발라준다.
절학(截학), 오발(烏髮), 정통(定痛), 이뇨(利尿), 하충(下蟲) : 한방에서는 열매를 화마인(火麻仁)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변
비와 머리카락이 나지 않을 때 효과가 있다.
[주의사항]
1. 본초는 muscarine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Cannabis을 과량 복용하면 설사, 구토, 경련등이 일어날 수 있다.
2. 피곤함, 흥분, 불안감, 동공의 확장, 두통, 현기증, 구안와사등이 일어날 수 있다.
3. 삼씨에는 독성이 거의 없으나 연한 싹을 먹거나 잎을 흡연하면 중독을 일으킨다.
환각작용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tetrahydro cannabino 이며,중독되면 메스꺼움, 구토, 설사, 사지마비, 자제력 상실, 혼수,
동공확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해독법: 0.05% 과망간산칼륨액 또는 0.5-1% 활성탄액으로 반복하여 위를 세척시킨다. 황산마그네슘 20g으로 설사를 시
킨 다음 5% 포도당염액 2000-3000mL에 비타민C를 혼합하여 금은화 15g, 감초30g, 사삼15g,황련 3g, 복령3g을 물로 달여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기타]
삼으로 만든 섬유는 직물, 모기장, 천막, 로프, 그물, 자릿실, 혼방용 등에 쓰인다.
삼은 재배 역사가 가장 오래 된 작물 중에 하나이다. 기원전 2000년 무렵에 중앙아시아에서 재배되었으며, 중국·유럽에 전
파된 것은 기원전 1500년 무렵이다. 18세기까지 유럽 각국에서 중요한 섬유작물로 재배하였으나 인도의 황마와 마닐라삼의 도입으로 생산이 감소하였다. 한국에서도 옛날부터 재배해온 중요한 섬유작물로 《삼국사기》에도 삼에 대한 기록이 있다. 적어도 기원전 1세기 무렵에는 들어왔으리라 추측하고 있다.
삼은 주로 섬유를 얻기 위해 재배하는데, 러시아가 가장 많은 양을 생산하고, 인도·루마니아·중국·헝가리·폴란드·터키 등이
중요 생산국이다. 주요 수입국은 이탈리아·영국·벨기에·독일·프랑스 등이며, 이탈리아에서는 우량한 삼 섬유를 생산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주로 한국·중국·일본에서 재배한다. 삼은 크게 나누어 유럽종과 아시아종으로 분류한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품종은 주로 아시아계의 일본종이며, 지방에 따라서는 재래종을 재배하기도 한다. 일본종은 줄기의 빛
깔에 따라 적목형(赤木形)·청목형(靑木形)·백목형(白木形)의 3가지로 구분된다.

만삼(萬蔘)참더덕, 삼승더덕, 좀만삼, 당삼, 태삼
[기원]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 Nannf.의 뿌리.
[생약명]만삼
[이명]삼엽채(三葉菜), 선초(仙草), 참더덕, 삼승더덕, 좀만삼, 당삼, 태삼
[성미]甘, 平
[효능]보중익기(補中益氣), 생진양혈(生津養血),
[해설]
1.비위(脾胃)의 기운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신체피곤, 음식 감소 증상에 기운을 증강시키면서 소화력을 높인다.
2.폐의 호흡 기능을 강화시키면서 밭은 기침과 호흡이 짧고 음성이 낮은 증상을 해소시킨다.
3.만성 질환이나 미열로 인하여 갈증이 있고 기운이 없는 증상에 양음(養陰), 생진(生津) 시키는 약물과 배합해서 큰 효과
를 얻는다.
4.보기양혈(報氣養血) 작용이 있어서 기혈을 모두 증강시키는 효능을 보이며,
5.인삼을 복용하면 부작용을 일으키는 사람에게 인삼 대신 사용하면 기(氣)를 보하는 작용을 하므로 유용하다.
[성분]saponin, 당류, 미량의 alkaloid, 전분 등을 함유한다.
[약리]
1.강장 작용이 있어서 항피로 및 고온 능력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고,
2.신체의 면역 기능 항진 작용이 있다.
3.조혈 계통에 작용해서 적혈구 수의 증가 작용을 나타내며, 소화기 계통에서는 위산 과다로 인한 소화성 궤양에 보호 작
용을 나타낸다.
4.소화기 계통에서는 위산과다로 인한 소화성 궤양에 보호 작용을 나타낸다.
5.심혈관 계통에서는 혈압 강하 및 심장·뇌·하지와 내장의 혈류량을 높인다.
[임상보고]
1.기능성 자궁 출혈에 1일 30~60g을 물을 데쳐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였으며,
2.신경기능문란증에도 유효하였다.
3.저혈압에 혈압 상승 효과가 있으며,
4.기(氣)가 허약하여 혈(血)이 응체된 증상에도 유효하였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만삼 (Tangshen)Codonopsis pilosula (Fr.) Nannf.
한국(지리산 천왕봉 산정 근처, 강원도 이북)·중국·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자르면 즙이 나온다. 뿌리는 도라지 모양이
며 길이 약 30cm이다. 잎은 어긋나지만 짧은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양면에 잔털이 나고 뒷면은 흰색이다. 잎 길이 1∼5cm, 나비 1∼3.5cm이고 잎자루는 길이 2∼3cm로 털이 난다.
꽃은 7∼8월에 피고 곁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바로 밑 잎겨드랑이에도 핀다. 꽃받침은 바소꼴이며 5개로 갈라지고 꽃받
침조각은 바소꼴로서 길이 약 15mm, 나비 5mm 정도이다. 화관은 종처럼 생기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
이고 암술대의 끝부분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10월에 익는다.
[성분]
뿌리에 펙틴 9.5%, 덱스트린 3.4%, 수지, 정유 0.05%, 총당분 28%, 사포닌, 스테로이드배당체가 있다. 또한 이눌린이 많
다. 그러나 배당체를 비롯한 성분들의 조성은 밝혀지지않았다.
[기타]줄기와 잎에 털이 있고, 더덕보다 연하다.
[용도]식용(뿌리), 약용(뿌리) 약재사진(좌-재배, 우-야생)

맥문동, 실맥문동, 개맥문동
[기원]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실맥문동 Mondo japonica Maxim, 개맥문동
Liriope spicata Lour.의 덩이뿌리. 소엽맥문동과 맥문아재비의 덩이뿌리는 약용하지 않는다.
[생약명]맥문동(麥門冬)
[분포지역]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서식장소]그늘진 곳
[특성]길이 30∼50cm, 나비 8∼12mm.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흔히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된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50cm이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길이 30∼50cm, 나비 8∼12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cm이며 작은꽃가지에 마디가 있다. 씨방상위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일찍 과피(果皮)가 벗겨지므
로 종자가 노출되며 자흑색(紫黑色)이다. 개맥문동(L.spicata)은 본종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분된다. 덩이뿌리를 소염·강장 ·진해·거담제 및 강심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효능]
맥문동은 인체 진액이 부족할때 쓰이는 대표적인 약재이며 완화 자양강장제로 진해,거담, 해열에 사용하며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혹은 오래된 기관지염이나 폐결핵에 쓰고 심장 기능 허약 혹은 폐의 진액을 보충해주므로 호흡기 질환을 오래 앓아서 생긴 마른기침을 다스린다.
신체 허약에 원기를 돋우고 열성병의 구건증 등에 적용하고 아울러 최유제의 보조약으로 통유작용을 가지고 있다. 특히
맥문동은 노인들의 좋은 보건 건강약으로 애용되어 왔으며 체력의 감퇴를 막고 정상적인 컨디션을 유지하는 약재이다. 폐를 보하는 약이므로 아이들이 감기에 잘 걸리는 경우에 많이 쓰이고, 강심작용 또한 있으며, 점액질이 풍부해서 변비에도 응용된다.
맥문동은 위장의 열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만성위염의 발작기에 위내의 진액이 충분해져 통증을 멈추는 효과도 있다.
<동의학사전>에서는 맥문동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맥문동(Liriopeplatyphylla Wang et Tang)과 좁은잎 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Ker
-Gawl.)의 덩이뿌리를 말린 것이다.
맥문동과 좁은잎 맥문동은 우리 나라 남부의 바다 가까이에서 자라며 각지에서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덩이뿌
리만을 모아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폐경, 심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을 보하고 폐를 눅여주며 심열을 내리고 진액을 불려주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심작용, 이뇨작용, 약
한 거담작용, 진해작용, 영양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마른기침,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데,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데, 토혈, 각혈, 부종, 소변불리, 변비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먹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맥문동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맥문동(Liriopeplatyphylla Wang et Tang)과 실맥문동(Mondo japonica var. umbrosus
Maxim.), 개맥문동(Liriope spicata Lour.)의 덩이뿌리이다.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윤폐양음, 익위생진, 청심제번, 윤장의 효능이 있어 외감성으로 폐음이 손상되어 마른기침이 나고 가래가 없거나 또는 가
래가 적으면서 끈끈하며 심하면 피가 섞이고 각혈을 하는 증상에 쓰인다.
음허로 인한 해수가 있고, 심하면 각혈을 보이는 때에도 사용한다. 위음이 손상되고 허약해서 혀가 마르고 갈증이 나는 데
쓰고, 소갈증으로 입 안이 건조하고 물을 많이 마시고 음식을 많이 먹는 증상에 쓰며, 음혈이 휴손되어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에 쓴다. 변비에 윤장, 통변의 효과가 있다.
성분은 당류, amino acid, β-sitosterol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작용은 황산화 작용이 있고, 관상 동맥의 혈류량 촉진과 심장 근육의 결혈증(缺血症)에 보호 작용이 현저하며, 또한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개선하고, 진정 작용을 나타낸다. 면역 증강 작용이 있고, 혈당을 내리고, 백색포동상구균, 고초간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에 억제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에서 관상동맥 질환에 약물 달인 물을 하루 3회 3~18개월 복용하거나 약침 제제로 효과를 얻었다. 간염, 폐결핵,
마른기침, 만성위축성위염, 당뇨병, 소아 고열등에 유효하였다."
맥문동을 법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본초강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맥문동을 끓는 물에 넣고 펄펄 끓여 눅룩하게 한 다음 잠깐 지나 속을 뽑아 버리거나 기와에 놓고 약한 불에 부드러워질
때까지 구운 다음 뜨거울 때 속을 뽑아 버린다. 만약 환을 짓거나 가루를 만들려면 기와에 놓고 약한 불에 뜨겁게 굽고 바람에 식힌다. 3~4번 반복하면 쉽게 마를 뿐만 아니라 약의 효력도 손실되지 않는다. 또는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짓찧어 연고를 만들어 써도 된다. 자보약(滋補藥)을 만들려면 술에 담가 찧어 써야 한다."
우리나라 중부이남 산지의 나무 그늘에 나는 상록 다년초. 근경은 짧고, 포복경은 옆으로 뻗으며, 수염뿌리는 군데군데가
방추형. 잎은 총생, 납작하고 길이 30-50cm, 폭 8-12mm, 끝이 뭉뚝함. 화피는 길이 4mm가량, 1마디에 수송이의 꽃이 붙음. 화피는 6장, 연분홍색, 열매는 장과, 둥근모양, 검은색으로 익음. 개화기는 5-8월, 결실기는 10-11월.
[성미]性은 微寒하며, 味는 甘, 微苦하다.
[함유성분]다종의 Steroid Saponin.
[효능/효과]
청심윤폐(淸心潤肺), 양위생진(養胃生津), 해열(解熱), 소염(消炎), 진해(鎭咳), 거담(祛痰), 이뇨(利尿), 강심(强心), 강장(
强壯), 항균(抗菌).
[채취시기]초여름(6-7월)
[국내주요산지]밀양, 고령, 청양지방.
[재배방법]
분주법, 실생법. 기후 토질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서북향의 음습지 또는 나무 그늘 밑에서 잘 자란다. 하지만 약용부위
인 괴근의 발달을 위해서는 양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토질은 남부지방의 적습한 사양토 또는 양토가 가장 적당하다. 물빠짐이 나쁘거나 점질토에 재배하면 괴근이 썩고 수량도 매우 적다.
[ 주성분 ]
맥문동의 성분에 대해서는 일본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Kato 등(1968)이 소엽 맥문동의 괴근으로부터 β-sitosterol, stigmasterol과 함께 ruscogenin(5-spiro-stene-1, 3-dlol)을 비당부로 하는 steroidal saponin인
ophlopogonin-A-B-C-D의 분리한 이래, 1972년 Tade 등이 탄소와 당이 에테르와 조합을 하고 있음을 밝혔고, Watanabe
(1977) 등은 비당부로 하는 (saponin) 3종을 더 분리하여 이를 ophlopgonin-B′-C′-D-으로 명명하여 현재까지 소엽 맥문동에
대해서는 7종의 사포닌이 보고되고 있다.
Tomoda 및 Kato는 맥문동 괴근에 함유된 단당류 및 올리고당을 분석한 바, 포도당, 과당, 설탕이 각각 4∼9% 정도, 올리
고당이 57% 정도 함유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농가에서 재중인 재래종의 괴근 성분은 단백질 1.8∼2.6%, 전당함량 64.4
∼77.0%, 조사포닌이 1.1∼1.5% 포함되어 있으나, 수확시기별로 전당함량 분포는 55.1%에서 79.5%의 범위를 나타내었는데 전당함량이 가장 높은 시기는 1월 말경이었으며 그 이후 점차 감소하다가 최고 괴근 수량을 보이는 3월 15일경에 가장 낮았다.
이것은 새로 형성된 분얼의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와 일치하여 괴근내에 함유되어 있는 양분이 분해되어 지상부로 전류되
었던 것이 기인된 것으로 보여진다. (성 등, 19993) 이들 성분에 있어서는 수집종에 큰 차이는 없고, 재배방법이 맥문동의 성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 용도 및 이용 ]
맥문동 괴근에는 단당류(포도당, 과당, 설탕), ρ-sitosterol-steroidal 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어 폐기능을 돕고 기력을
돋구는데 뛰어난 효과를 가진 약재로 알려져 있는데 체력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작용이 있으므로 원기를 북돋울 때 쓰면 아주 좋다.
중국의 본초서 신농본초경에서는 맥문동을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할 수 있으며 양식이 떨어지더라도 굶주
림을 느끼지 않는다고 하였다. 맥문동을 신선의 음식, 신선의 약재로 여겼던 것이다. 명의별록에도 몸을 강건하게 하고 안색을 좋게 하며 정력을 길러 주고 폐기능을 돕는다는 기록이 있다.
사지통, 신경통, 류머티즘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으므로 노인이나 회복기 환자, 허약 체질자와 젖이 부족한 수유부에게
좋다. 맥문동을 국 같은 음식에 넣어 평소에 자주 먹으며 혈색이 몰라보게 좋아지고 살이 찌며 기분이 상쾌해지고 온몸이 부쩍 기운이 솟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맥문동은 기침을 가라 앉히고 가래를 식히며 열을 내리는데도 뛰어난 약효가 있다. 따라서 폐결핵이나 만성 기관지염, 만
성 인후염 등에 의한 만성 해수에 좋은 약이 된다. 맥문동은 여러 가지 약효를 가지 있으면서도 부작용은 거의 없어 마음놓고 먹을 수 있다. 동의보감에는 여름철 더위를 이겨내고 기운을 돋우는 비방으로 생맥산을 소개하고 있다. 생맥산은 맥문동에 인삼과 오미자를 함께 넣어 만드는 음료다.
여름만 되면 더위를 많이 타고 식욕이 떨어지며 체질적으로 땀을 흘리는 사람에게 아주 좋은 음료수다. 기침이 심한사람
은 맥문동 15g, 반하 5g, 인삼 9g, 감초 3g, 대추 6g, 멥쌀 15g을 한 첩 분량으로, 하루에 두 첩씩 재탕까지 해서 아침, 점심, 저녁으로 복용하면 기침이 가라앉고 증상이 나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감기처럼 감염성 질환 때문에 나타나는 열성 기침에는 맥문동을 약으로 쓰지 말아야 한다. 그 이유는 맥문동이 대
단히 영양이 풍부하여 폐를 보강해 주기는 하지만 점액질 때문에 가래가 더 많아지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질이 차갑기 때문에 비위가 허약하여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은 지나치게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맥문동 잎은 사계절 푸른 녹색 또는 황백색, 흑자색을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어 비교적 원예적 가치가 있는 맥문동을
이용하여 최근 정원이나 가로수 등에 조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분화를 만들어 판매하기도 한다.
맥문동(Big blue lily turf)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제주도, 전라남도, 전라북도(덕유산), 경상남도(밀양), 경상북도(울릉도)에 자생하며 밀양, 청양, 부여, 화순에서 많이 재배
된다.
나무 그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 근경은 굵고 딱닥하며 옆으로 뻗지 않고 수염뿌리의 끝이 땅콩처럼 굵어지는 것도 있다.
잎은 짙은 녹색이며 밑에서 총생하고 길이 30∼50cm, 나비 8∼12mm로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지기도 하며 11∼15맥이 있고 밑부분이 가늘어서 엽병 비슷하게 된다. 꽃은 5∼6월에 피며 3∼5개씩 마디마다 모여 달리며 화서는 길이 8∼12cm이다.
(뿌리) 방추형으로 길이 10~25mm, 지름 3~5mm이다. 한쪽끝은 뾰족하고 다른쪽은 좀 둥글다. 바깥면은 엷은 황색~엷
은 황갈색이며 크고 작은 세로주름이 있다. 피층은 부드러우며 무르고 중심주는 질겨서 꺾기 어렵다. 피층의 꺾은면은 엷은 황갈색을 나타내고 약간 반투명하며 점착성이 있다. 약간의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달며 점착성이다.
[주요성분]
ophiopogonin A, B, C, D, B', C', D', 다종의 Steroid saponin, monosaccharide와 oligosaccharide인 glucose,
fructose, sucrode가 71%이고 그외 saponin계의 ophiopogonin B가 독특하게 들어 있다.
[효능/효과] 양음생진, 윤폐청심, 괴경을 이뇨, 심장병, 해열, 감기, 진정, 강장, 소염, 진해, 거담, 강심등의 약으로 쓰임. 면역증강작용과 항균작용이 있다.
[주의사항]비위 허약 및 대변이 묽고 설사하는 자는 부적합

맥아(麥芽)겉보리
[기원]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겉보리 Hordeum vulgare Linne Var. hexastichon Aschers.의 종자를 발아시켜 건조시킨 것.
[생약명]맥아(麥芽)
[성미]甘, 平
[해설]
전분성 음식물(특히 밀가루 음식)의 소화 장애에 신통한 효력이 있다. 비위가 허약해서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할 때 쓰인다
. 유즙 분비 부족에 이 약물 30~6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나누어 복용한다. 유즙 분비가 멈추었을 때에는 150~20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성분]diastase, vitamin B, 지방, 포도당, 맥아당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소화 촉진 작용과 일정한 혈당 강하 작용이 나타난다.
[임상 보고]
1.급만성 질염에 건조시킨 가루를 1회 10mL씩 하루 3회 식후에 복용하였고, 2.진균감영증에는 생맥아 40g에 75% 메칠알
콜 100mL를 부어 실온에서 1주일간 두었다가 아침 저녁으로 외용하였다. 3.유즙분비과다증에 생맥아 달인 물을 1ㅣㄹ
100~200g 복용시키고, 회유(回乳)작용을 위해서 약물 달인 물 40~120g을 아침 저녁으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면조아(綿棗兒) 무릇
[기원]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무릇 Scilla scilloiees (Lindi.) Druce의 비늘줄기와 지상부.
[생약명]면조아(綿棗兒)
[이명]물구지, 면조아(綿棗兒)
[성미]甘, 寒
[효능]활혈해독(活血解毒), 소종지통(消腫止痛)
[해설]
1.유방염이나 창독(瘡毒:피부가 헐어 생긴 독이나 상처의 독), 머리에 창진(瘡疹)이 생겼을 때에 짓찧어 환부에 붙이며,
2.비늘줄기와 잎을 알코올에 담가 추출한 액체는 강심·이뇨 작용을 보인다.
3.지상부를 달인 물은 치통 및 근육과 골격의 동통, 타박상, 허리와 대퇴부의 동통을 그치게 한다.
[성분]fructose, sucrose, proscillaridim A,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심혈관 계통에 강심 효과를 나타낸다. 2.실험용 개에서 현저한 요량(尿量) 증가를 보인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무릇 (Chinese squill)Scilla scilloiees (Lindi.) Druce
한국, 아시아 동북부의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우리 나라 각처의 들이나 밭에 나는 다년초이다. 키는 50cm
가량이다. 비늘줄기는 난형이고, 길이는 2-3cm, 겉껍질은 거은색, 밑에 가는 뿌리가 나오고, 꽃줄기는 곧게 선다. 여러 장의 잎이 밑동에서 나오고, 보통 2장씩 대생, 선형, 끝이 날카롭고 부드러우며, 길이는 15-30cm, 폭은 4-6mm이다.
꽃은 잔한 분홍색이며, 총상화서, 꽃가루는 가늘고 짧으며, 포는 작고 선형이다. 화피는 6장, 피침형이고, 길이는 약 3mm,
벌어진다. 수술은 6개, 화피와 거의 같은 길이, 실 모양, 아랫부분이 넓다, 암술은 1개, 자방은 타원형, 암술대는 짧은 기둥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 난형, 길이는 5mm 가량, 삭과는 벌어져 흑색의 가는 씨를 낸다.
[성분]전분, fructose, scillain
[효능/효과]구충제, 머리에 창진이 생겼을 때 찧어 붙인다.
[용도]식용(어린잎, 비늘줄기), 약용(전초)

모란(帽蘭) 노각나무
[기원]
차나무과의 떨기나무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var koreana (Nakai) KIM.의 나무껍질과 뿌리 껍질.
[생약명]모란(帽蘭)
[이명]노가지나무, 비단나무,금수목, 목단, 목단피(牧丹皮)
[성미]辛苦, 凉
[효능]
[해설]
1.활혈(活血) 작용이 있어서 타박상으로 어혈(瘀血)이 진 것을 풀어 주고, 2.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이
있을 때에 유효하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노각나무(Korean mountain camellia)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var koreana (Nakai) KIM.
우리 나라 남부와 평안 남도 양덕의 산중턱에 나는 낙엽 교목이다. 키는 7-15m, 수피는 갈색, 홍황색 얼룩무늬가 있다. 잎
은 호생, 타원형, 끝이 뾰족하며, 길이 4-10cm, 표면에 비단털이 있다가 없어지고, 녹색, 뒷면에 잔털이 있고, 연한 녹색,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양성화, 흰색, 지름 7.5cm, 6-7월 햇가지 기부의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둥근 모양, 털이 펴져 나고,
꽃잎은 도란상, 5-6장,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암술대는 5개, 수술 5개로 되어 있다. 열매는 삭과, 10월에 익으며 오각상 원추형, 비단털이 있다.
[성분]paeonol, paeonoside 등이 들어있다.
[효능/효과]타박상과 사지마비에 효과 항염증이나 항균작용이 있다.
[용도]관상용, 가구재 ·장식재(목재), 약용(수피), 원예 및 조경용

모랑(毛莨)  미나리아재비
[기원]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erg의 지상부.
[생약명]모랑(毛莨), 모간(毛莨)
[이명]바구지, 참바구지, 놋동이, 자래초, 애기미나리아재비, 야근채, 모건초
[성미]甘淡, 平
[효능]이습퇴황(利濕退黃), 명목거예(明目去翳)
[해설]1.전염성간염으로 인한 심한 황달을 치료하고, 2.눈에 배개가 낀 것을 제거한다.
[주의사항]다량 복용하면 중독 반응을 일으킨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erg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산이나 들에 나는 다년초이다. 키는 50-70cm로 전체에 흰털이 나고, 줄기는 선다. 근생엽의
잎자루는 길고, 잎은 깊게 3-5갈래, 갈래는 다시 얕게 2-3갈래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경생엽 중 줄기 하부의 것은 잎자루가 짧고 근생엽과 비슷하며, 줄기 상부의 것은 잎자루가 없고 3갈래, 갈래는 선형이다.
꽃은 6월에 짙은 노란 색으로 피고 취산상(聚 狀)으로 갈라진 작은꽃자루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타원 모
양이며 겉에 털이 있고 수평으로 퍼진다. 꽃잎은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원형이며 꽃받침조각보다 2∼2.5배 길다.
수술과 암술은 많은 수가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원형이며 약간 편평하고 구형의 덩어리를 이루며 모여 달린다.
[효능/효과]
1. 지상부를 학질, 황달, 편두통, 류마티즘성관절염, 관절결핵, 치통, 결막염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2. 외용에는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삶은 물로 씻는다.
3.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부를 모랑(毛 )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간염으로 인한 황달를 치료하고 눈에 낀 백태
를 제거한다.
[주의사항]
ranunculosides를 함유하고 있으며, 과량복용하여 중독되면 구강 작열감 및 부어오름, 심한설사, 서맥, 호흡곤란, 동공확
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해독법] 과망간산칼륨액으로 위를 세척하고 활성단을 복용하고 복통이 심하면 atropine등을 투여한다. 피부나 점막에 과량 사용했을 때는 맑은 물이나 붕산 또는 타닌액으로 세척한다.
[기타]식용, 약용에 쓰이고, 어린 순을 식용하며 민간에서 전초를 창종 및 살충발포약으로 쓴다.

목근피(木槿皮) 무궁화
[기원]아욱과의 갈잎떨기나무 무궁화 Hibiscus syriacus Linne 의 뿌리 껍질과 가지 껍질.
[생약명]
목근피(木槿皮) - 껍질
목근화(木槿花) - 꽃
목근근(木槿根) - 뿌리
[이명]목근, 사철푸른떨기나무
[성미]
목근피 - 甘苦, 凉
목근화 - 甘苦, 寒
[효능]
목근피 - 청열(淸熱), 살충(殺蟲), 지양(止痒), 해독(解毒), 이습(利濕), 지혈(止血)
목근화 - 청열(淸熱), 이습(利濕), 양혈(凉血)
목근근 - 청열(淸熱), 해독(解毒), 이습(利濕), 소종(消腫)
[해설]
목근피는 1.열을 내리고, 살충 작용이 있어서 옴이나 버짐 및 가려움증에 중탕을 해서 환부에 붙여 치료한다.
2.치질과 탈항에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거나 증기를 쬐고, 다시 백반, 오배자를 가루 내어 붙인다.
3.습열(濕熱)이 과다하여 발생하는 적백대하(赤白帶下:여성의 질에서 흘러나오는 붉거나 흰 분비물)증과 외음부가려움증
에도 유효하다.
4.습열로 인한 이질설사에도 치유율이 높고,
5.장출혈에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목근화는
1.대장에 열이 축적되어 일어나는 출혈과 이질에 쓰고,
2.부인의 백대하에도 활용된다.
목근근은
1.해수와 폐농양에 유효하며,
2.충수염에 소염 작용이 있고,
3.대변 출혈에도 활용된다.
[성분]목근피에는 tannin과 점액질, 목근화에는 sapon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목근피는
 1.황색포도상구균, 고초간균, 이질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보이고,
2.정유 성분은 피임에 활성 반응을 보인다.
목근화는 1.대장균, 이질균에 억제 작용을 보인다.
목근근은 그람양성균과 이질균, 티푸스균에 억제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
세균성이질에 목근화를 가루 내어 1회 2g을 복용한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무궁화(Rose of Sharon, Shrubby althaea)Hibiscus syriacus Linne
중국과 인도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부이남의 정원에서 흔히 재배하는 낙엽관목이다. 가지는 회백색, 키는 3~4m이다. 잎
은 호생, 난형, 마름모꼴 난형, 길이 4~10cm, 폭은 2.5~5cm, 위쪽이 3갈래,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짙은 녹색, 밑부분에 커다란 3개의 맥,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연두빛을 띤다.
꽃은 보통 흰색과 분홍색, 안쪽에는 진한 붉은 자주색의 무늬가 있고, 꽃자루는 짧으며,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붙는다. 꽃
받침은 5갈래이고, 꽃받침은 밑에 선형의 부꽃받침이 5~7개, 꽃잎은 난형이고 5장이다. 밑동에서 서로 붙고 수술은 단체 웅예이다. 암술은 1개, 암술머리는 5갈래이고 열매는 삭과, 타원형이며 5갈래이다.
[주요성분]
꽃에 사포나린이 있다. 물분해되면 사포나레틴과 포도당으로 된다 식물전체에 점액이 있다. 뿌리껍질에 타닌질, 점액, 씨
기름에 말르발르산, 스테르쿨린산, 디히드로스테르콜린산이 있다.
[효능/효과]
이질균 등에 항균작용이 있다. 한방에서는 4∼6월에 수피 또는 근피를 벗겨 햇빛에 말린 것을 근피(槿皮)라 하며 해열·해
독·소종(消腫)의 약효가 있어 기관지염·인두염·장염·이질·탈항(脫肛)·치질·대하(帶下)·옴 등의 치료에 달여서 복용하게 하였다. 동의보감에는 사혈(瀉血)을 멎게 하고, 설사 후의 갈증이 심할 때 달여 마신다고 하였다.
[용도]원예 및 관상용, 식용(어린잎), 약용(뿌리와 가지의 껍질), 제지용

목단피(牡丹皮) 모란
[기원]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모란 Paeonia suffruticosa Andr.의 뿌리 껍질.
[생약명]목단피(牡丹皮)
[이명]목단, 부귀화, 목작약(木芍藥)
[성미]고신(苦辛), 오한(傲寒)
[효능]
혈열로 인한 반진(班疹), 코피, 토혈에 유효하며, 부인의 생리 전 전신통과 발열을 치료하며, 허열(虛熱)을 내리므로 땀이
안 나면서 뼛골이 쑤시는 증상을 다스린다. 간울화왕(肝鬱火旺)으로 혈압이높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많은 증상을 치료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므로 생리 기간이 지나도 생리가 없고 간혹 생리가 있어도 통증이 심한 증상을 완화 시킨다. 타박상이나 어혈로 인한 전신통을 치료한다. 소염 작용이 있어 신체의 내부나 외부에 발생된 종기를 치료하고, 맹장염 초기에 신통력을 나타낸다.
[약리]
중추 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진통.진정.해열.항경련 작용을 나타낸다. 항염증 작용, 혈전 형성 억제 작용, 알레르기 작용 등
이 나타나며, 위액 분비 억제 작용이 있어서 위.십이지장 궤양을 예방한다. 동물의 자궁 점막에 충혈 작용이 있어서 생리를 정상으로 유도하며,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콜레라균에 비교적 강한 항균 작용을 보인다.
<내용인용> 안덕균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모란 Paeonia suffruticosa Andr.
모란은 중국 서북부가 원산이며, 중국의 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도 隋 양제(煬帝) 시대에 모란을 심었다는 기록은 볼 수
없으며 모란이 정원에 심겨진 것은 649년에 즉위한 唐 고종 시대인 것으로 짐작된다. 또 당 현종(玄宗)(712년) 시대에 궁중을 비롯하여 민간에서도 경쟁적으로 심었다는 것으로 보아 모란을 재배한 것은 대체로 당나라 시대인 것 같다. 신라 선덕여왕 때 기록으로 미루어 우리 나라에는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귀화식물로 추측된다. 모란은 내한성이 강하여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충북 단양군, 제원군과 전남 화순군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 형태 ]
다년생 낙엽관목으로 키는 1.5∼1.8m 정도가 보통이고 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우상 복엽이며 꽃은 초여름에 그해에
자란 새가지의 끝에 한 송이가 크고 아름답게 피며 꽃받침은 다섯 개로 갈라져 있고 종자를 맺으며 꽃잎은 얇고 광택이 난다.
꽃잎은 3회 3출(복엽의 세 군데 서 세 갈래로 갈라짐)로 얼핏보아 5개의 복엽으로 이루어 진 것처럼 보인다. 모란꽃의 원
색은 담홍색이나, 개량종은 모양과 꽃색이 다양하다. 수술은 많이 있으며 암술은 다수가 꽃판 가운데 서있고, 수술은 노란 색이고 암술은 붉은 색이다. 종자는 콩알 크기로 암적색으로 익는다.
[ 주성분 ]
모란의 비후한 근피에는 정유와 파에오놀 (paeonol)의 배당체, 파에오노사이드 (paeonoside) 및 파에오놀라이드
(paeonolide), 작약과 유사한 모노데르펜 유도체인 파에오니프로린 (paeoniflorin), 옥시파에오니프로린 (oxypaeoniflorin), 벤조일파에오니프로린 (benzoyl paeoniflorin), 벤조일옥시파에오니프로린 (benzoyloxy paeoniflorin)에 더하여 안식향산 및 캄페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꽃잎에는 아스트라갈린(astragalin)이 들어 있다.
[ 용도 및 이용 ]
약용 및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본, 중국, 한국에서는 심은지 3∼5년 된 뿌리의 껍질을 말려 약용한다. 꽃이 화려하
여 동양을 막론하고 꽃의 제왕으로 불리고 있으며 정원의 관상용으로도 심겨지고 있는데 일본과 유럽 등지에서 다수의 관상용 품종이 육성되어 재배되고 있다.
약리작용은 항균, 혈압강하, 통경, 항염증, 위액분비억제 진경 등이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소염해열, 통경, 진통, 진경,
배농 등에 처방하고, 특히 혈행장해의 부인과 질환에 많이 사용한다. 가미소요산, 계지복령관, 대황모란피탕, 팔미지황환 등에 넣어 쓴다.
약리실험 결과 paeonol 이 진정작용, 살균작용 및 항염증작용을 하며, 목단피를 달인 물은 혈압강하작용이 인정되고 있으
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 알레르기 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임상적으로는 고혈압의 치료나 알레르기성 비염에 탕제로 사용되고 있다. 관상용은 주로 정원에 심어 꽃을 감상하고 있으나, 최근 일본, 미국 등에서 절화 및 분화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촉성재배 연구가 행해지고 있어 된다.
[함유성분]
Paeoniflorin, Oxypaeoniflorin, Paeonol, Paeonoside, Paeonolide, Tannin.
[효능/효과]
청열양혈(淸熱凉血), 활혈산어(活血散瘀), 항균(抗菌), 혈압강하(血壓降下), 통경(通經).
[채취시기]가을(10월)
[국내주요산지]충북 제천 및 경북 영주지방에서 많이 재배한다.
[재배방법]
실생법, 분주법. 재배상 기후조건으로는 따뜻하고 건조한 곳이 적당하며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지방에서 가장 잘 된다.
중부지방 이북에 있어서는 대부분 겨울 동안에 방한이 필요하다. 토질은 물이 잘빠지고 유기질이 풍부하며 표토 밑에는 다소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나 점질양토로서 동남향으로 좀 경사진 곳이 가장 적당하다.

목방기(木防己) 댕댕이덩굴
[기원]새모래덩굴과의 낙엽 덩굴나무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DC. Menispermaceae의 뿌리.
[생약명]목방기(木防己)
[이명]꾸비돗초, 댕강덩쿨, 댕담이덩굴
[성미]辛苦, 溫
[효능]거풍지통(祛風止痛), 이뇨소종(利尿消腫), 해독(解毒), 하강혈압(下降血壓)
[해설]
1.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관절염, 늑간신경통에 진통 효과가 있다. 2.이뇨 작용이 있어 급성신우신염, 요로감염증에 쓰
이고, 3.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4.풍습성심장병 등에 유효하다. 5.외용으로 뱀에 물린 데 쓰인다.
[성분]trilobine, isotrilobine, homotrilob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trilobine은 해열작용이 있다. 2.trilobine을 소량 부여하면 소장·자궁 흥분 작용이 나타나며, 3.혈압 강하 작용도 입증되
었다.
[임상보고]
다리가 달아오르면서 마비감이 있고 아픈 증상에 목방기 10%를 알코올에 60일간 담갔다가 하루 2~3회 매회 10~20mL씩
10일간 복용하여 효력을 얻었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DC. Menispermaceae
새모래덩굴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황해남도 및 강원도 이남의 산기슭 양지 및 밭둑의 돌사이에서 자란다. 댕댕이덩굴의
뿌리부분을 목방기라고 하는데, 생약(生藥)에서 이 뿌리를 가을에 캐서 물에 씻고 잔뿌리를 다듬어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낙엽 덩굴나무, 길이 3m,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으로 길이 3-12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거의 심장형 간혹 3회 얕게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6-8월에 피고 황백색으로 작고 암수딴그루로 취산화서이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열매는 10월에 성숙되고 핵과로 둥근모양이며 푸른빛이 도는 검은색으로 익는다.
[성분]
뿌리와 줄기에 트릴로빈(녹음점 235℃), 이소트릴로빈(녹음점 215℃), 호모트릴로빈, 트릴로바민, 노르-메니사린, 다프놀
린, 콕쿨로빈과 같은 제3급 비스콕쿨라우린형알칼로이드와 제4급 염기인 마그노플로린이 있다. 잎에 살출성분인 코쿨로딘이 있다.
[효능/효과]
동의치료에서 아픔멎이약, 오줌내기약으로 신경아픔, 류마치스성관절염, 각기, 물고임, 림질, 방광염에 쓴고, 혈압강하와
뱀물린데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대싸리열매와 함께 달인액을 오줌내기약으로 쓴다. 댕댕이덩굴뿌리(목방기)달임약(5:100)을 하루 3번에 나누어 먹으면 붓기, 방광염,각기, 신경아픔, 류마치스성관절염에 효과적이다.
목방기탕은 댕댕이덩굴뿌리 4g, 석고 10g, 계피나무가지, 인삼 각각 3g으로 200ml 되게 탕약을 만들어 심장과 콩팥의 질
병으로 인하여 몸이 부었을 때에 하루 3번에 나누어 더운채로 먹는다. 줄기는 바구니 재료로 쓰인다.
[주의사항]습열이 없는 자는 삼가한다.
[용도]약용(뿌리), 가구용

목우내(木牛奶)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Thunberg의 뿌리, 가지.
[생약명]목우내(木牛奶)
[이명]보리똥나무, 포리똥나무, 볼네나무, 보리화주나무, 보리똥나무
[성미]酸苦, 凉
[효능]청열이습(淸熱利濕), 지혈(止血), 지하(止瀉)
[해설]
1.청열(淸熱) 작용이 있어 발열성해수에 유효하고, 2.이습(利濕) 작용이 있어 설사, 이질에 쓰이며, 3.부인의 자궁 출혈, 대
하에 활용된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보리수나무(oleaster)Elaeagnus umbellata Thunberg
한국(평남 이남) ·일본에 분포한다. 보리수나무과로 산비탈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는 3~4m이며 줄기 끝이 약간 처지고,
가시가 있으며 햇가지는 회백색 또는 갈색이다. 잎은 호생이며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윗면에는 별 모양의 회백색 털이 약간 있으나 곧 떨어지고, 뒷면에는 흔히 갈색 별 모양의 털이 붙는다. 잎자루는 길이 1~4mm이고 회백색이다.
꽃은 햇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7송이씩 붙고, 산형화서, 별 모양의 털로 덮이고, 흰빛에서 엷은 황색으로 변한다. 꽃받침
통은 길이 12mm 정도, 끝이 4갈래, 수술 4개, 암술 1개, 암술대에 별 모양의 털이 붙는다. 열매는 장과 모양으로 붉게 익고, 비늘모양의 털로 덮인다. 염색체 수 2n=28. 개화기는 5-6월, 결실기 10월이다.
[효능/효과]자양, 진해, 지혈, 발열성 해수에 효과가 있다.

목통(木通) 으름덩굴
[기원]
으름덩굴(Akebia quinata Decaisne)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줄기로서 껍질을 제거하고 가로로 잘라서 만든 약재(한국, 일
본). 중국은 으름덩굴(Akebia quinata Decaisne) 및 같은 으름덩굴과의 삼엽목통(Akebia trifoliata (Thunb.) Koidz.:三
叶木通), 백목통(Akebia trifoliata var. australis (Diels) Rehd.:白木通)을 사용한다.
[생약명]목통(木通)
[이명]으름, 유름
[효능]이뇨작용, 여러 종류의 진균 발육을 억제시킨다.
[특성]
황해도 이남에 나는 낙엽 덩굴나무. 길이 5m. 잎은 손바닥 모양의 겹잎. 작은 잎은 5장, 난형 또는 타원형. 밑이 뾰족하고
끝은 약간 오목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함. 꽃은 암수한그루 총상화서, 단성화, 암자색, 잎겨드랑이에서 나옴.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수술은 6개.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림. 꽃받침은 3장. 열매는 육질의 삭과, 긴 타원형, 암자색. 개화기 4-8월, 결실기 10월.
[성미]性은 寒하고 味는 苦하다.
[함유성분]Akebosides, Kalium salt, Aristolochic acid, Calcium, Tannin.
[효능/효과]강화(降火), 통유(通乳), 이뇨(利尿), 항균(抗菌), 항진균(抗眞菌).
[채취시기]여름(6-7월)
[국내주요산지]전국에서 고르게 생산된다.
[재배방법]
삽목법, 분주법. 산비탈의 유휴지나 울타리 등에 심으면 잘 자라고 사질양토, 약간의 습기가 있는 곳을 좋아한다.
으름덩굴 (Five leaf akebia)산과 들에서 자란다. 길이 약 5m이다. 가지는 털이 없고 갈색이다. 잎은 묵은 가지에서는 무리지어 나고 새가지에서는 어
긋나며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잎은 5개씩이고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약간 오목하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4∼5월에 자줏빛을 띤 갈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없고 3개의 꽃받침조각이 꽃잎같이 보인다. 수꽃은 작고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으며, 암꽃은 크고 3∼6개의 심피가 있다. 꽃받침은 3장, 열매는 장과(漿果)로서 긴 타원형이고 10월에 자줏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길이 6∼10cm이고 복봉선(腹縫線)으로 벌어진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꺾꽂이 등으로 한다.
[성분]
수분 약 72.2%, 단백질 2.0%, 지질 12.9%, 당질 6.8%, 섬유 5.1%, 회분1.0%, Ca 6mg, P 269mg%, Fe 3.4mg%, vitamin
A 효력 65IU/100g, B10.06mg%, B2 0.04mg%, 니아신(niacin)5.7mg%, C 31mg%로서 비교적 비타민 C의 함량이 많은 편이다
. 줄기에는 배당체 Akebin이 포함되어 있다.
[효능]
1. 한방에서는 뿌리와 줄기을 소염·이뇨·통경 작용에 쓴다.
2. 줄기와 뿌리를 9월에 말려 다려 마시면 수종(水腫)에 좋다.
3. 수피를 봄에 나무껍질을 말려 삶은 물로 씻으면 눈병을 완화시킨다.
4. 젖이 부족할 때 잎을 다려 먹으면 좋다.
5. 울화증에 열매를 먹으면 좋다.
[용도]식용(어린잎), 약용(줄기, 뿌리, 수피, 잎, 열매), 섬유용, 목재

무화과(無花果) 무화과
[기원]뽕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무화과 Ficus carica Linne의 열매.
[생약명]무화과(無花果)
[성미]甘, 平
[효능]건위청장(健胃淸腸), 소종해독(消腫解毒)
[해설]
1.대장염, 이질, 변비에 유효하며, 2.인후염, 종기, 옴, 버짐, 악창 등에 활용된다.
[성분]포도당, fructose, sucrose, malic acid, shikimic acid, aux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영양 성분이 풍부하여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데, 변비에 가벼운 설사를 일으킨다. 2.미숙한 열매는 육종, 생쥐자발성유암
, 성선암, 골수성백혈병, 림프육종 등에 억제 작용을 보인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무화과(fig tree) Ficus carica / Ficus carica Linn
한국(제주)에 분포한다.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재배하고, 북쪽에서는 온실에서 기른다. 높이 2∼4m이고 나무껍질은 회
백색이다. 가지는 굵으며 갈색 또는 녹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으로 두껍고 길이 10∼20cm이며 3∼5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5맥이 있다.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털이 있으며 상처를 내면 흰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열매 같은 꽃이삭이 달리고 안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겉에서 꽃이 보이지 않으므로
무화과나무라고 부른다. 암꽃은 화피갈래조각이 3개이고 2가화이지만 수나무는 보이지 않는다.
열매는 꽃턱이 자란 것이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길이 5∼8cm로서 8∼10월에 검은 자주색 또는 황록색으로 익으
며 날것으로 먹거나 잼을 만든다. 종자에는 배(胚)가 없으므로 꺾꽂이로 번식시킨다. 열매를 완하제(緩下劑)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유액을 치질 및 살충제로 사용한다. 수목의 품종은 3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여름과실 품종·가을과실 품종·여름과 겨울 수확할 수 있는 품종으로 3종이 있다.
서양에는 무화과나무에 대한 전설이 많다. 금단(禁斷)의 나무 또는 생명의 나무 열매를 먹은 아담과 하와가 무화과나무의
잎으로 허리를 감쌌다고 한다. 예수께서 베타니아에서 멀리 무화과나무가 있는 것을 보고 열매를 찾았으나, 없기에 실망하여 “ 이제부터 너는 영원히 열매를 맺지 못하여 아무도 너에게서 열매를 따먹지 못할 것이다”라고 저주하였던 바, 다음날 제자들이 그 나무가 송두리째 죽었음을 발견하였다는 이야기가 성서에 실려 있다. 로마에서는 바쿠스(Bacchus)라는 주신(酒神)이 무화과나무에 열매가 많이 달리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다산(多産)의 표지로 삼고 있다. 꽃말의 ‘다산’이란 뜻은 여기에서 유래 되었을 것이다. 아시아 서부에서 지중해에 걸쳐 자생한다.
[성분]
열매에 레몬산 등을 주성분을 하는 유기산이 비교적 많이 들어 있다. 알칼로이드,사포닌,고무질,수지 활성이 높은 단백질
분해효소 피찐이 있다. 잎에는 알칼로이드,사포닌,루틴 등의 플라보노이드,고무질등이 있다.또한 P-씨멘,구아야콜 등을 주성분
으로 하는 정유, 스테롤,루페올,피쿠신등이 알려졌다.
[효능/효과]
1. 열매를 먹으면 소화가 잘 된다.
2. 마른 열매는 젖양이 적을 때와 밥맛이 없거나 설사할 때도 쓴다.
3. 민간에서는 줄기 또는 잎꼭지으 자름면에서 흘러나오는 점액을 사마귀에 바른다.
[기타]
우리 나라에서는 생식하는 경우가 많다. 가공품으로서는 통조림, 잼(jam), 건과등이 있다. 잼 제조의 경우 그 풍미와 젤리
화를 위해서 유기산을 원료의 약0.3%정도 가하여야 한다. 무화과에 포함된 펙틴(pectin)의 비율은 젤리화하는 데 적합한 양이다. 무화과의 건과는 무화과 과실을 알칼리 처리에 의해서 껍질을 벗긴 다음 황의 훈증으로 변색과 부패를 방지하게 하고, 60℃ 전후에서 일주야 인공건조하여 수분을 20-30%로 만든 것으로 과자에 이용한다. 과육에도 단백질 분해효소 피신(ficin)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질긴 쇠고기 등과 섞어두면 연육 효과가 있다.

무환자(無患子) 무환자나무
[기원]무환자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무환자나무 Sapindus mukorossi Gaertner의 종자.
[생약명]무환자(無患子)
[성미]苦, 平
[효능]청열거담(淸熱祛痰), 소종살충(消腫殺蟲)
[해설]
1.인후염으로 열이 있고 목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며, 2.해수, 천식에도 진해·거담 작용을 보인다. 3.종기에도 소염 효
과를 나타낸다. 4.백대하(白帶下)에도 효력을 보인다.
[성분]지방,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임상보고]
적충성음도염에도 이 약물 600g당 물 1L를 붓고 끓여서 농축된 물로 환부를 세척하는데, 1일 1회 7~10일간의 치료로 일
정한 효력을 얻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무환자나무(Chinese Soapberry)Sapindus mukorossi Gaertner
우리 나라 남부의 절 및 마을 부근에 나는 낙엽 교목이다. 키는 20m, 잎은 호생, 1회 깃꼴겹잎, 작은잎은 9-13장, 긴 타원
상 난형, 긴 타원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7-14cm, 폭은 3-4.5cm, 양 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주름살이 많으며, 가장자리
는 밋밋하다.
꽃은 적갈색, 지름 4-5mm, 단성화,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고, 화서의 길이 20-30cm, 열매는 핵과, 둥근 모양, 황갈색,
2-3개로 갈라지고, 씨는 1개이다. 개화기는 5-6월, 결실기는 10월이다.
[성분]saponin, hederagenin
[효능/효과]거담이나 소염 효과가 있다.
[용도]약용(껍질), 관상용

문형(問荊) 쇠뜨기
[기원]
속새과의 여러해살이풀 쇠뜨기 Equisetum arvense Linne(= Equisetum arvense var. alpestre Wahlenb)의 지상부
[생약명][이명]
즌솔, 쇠띠기, 뱀밥, 접속초, 필두엽, Shave grass, scouring rush, equisetum, pewterwort, corncob plant, bottle
brush
[성미]苦, 平
[효능]청열양혈(淸熱凉血), 지해(止咳), 이뇨(利尿)
[해설]
1.청열(淸熱)작용이 있어서 혈압을 내린다. 열을 수반한 해수에도 유효하며, 2.이뇨 작용이 현저하다. 3.양혈(凉血)작용이
코피, 토혈, 소변출혈, 각혈, 치질출혈, 자궁출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성분]규소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규소 성분은 폐결핵 공동(空洞)을 치료한다는 보고가 있다.
[임상보고] 1.만성기관지염에 달인 물을 1일 3회 복용하자 진해·거담 작용이 나타났고, 2.혈압 강하에 좋은 반응을 보였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쇠뜨기(Field horsetail) Equisetum arvense
전국의 들, 야산, 길가, 밭둑에 자라나며 한국(전국 각도), 일본, 북반구의 난대, 온대, 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여러해
살이 풀로 흑갈색의 땅속줄기로부터 땅위줄기를 낸다.
땅위줄기는 홀씨줄기와 영양줄기로 분화한다. 영양줄기는 높이 30~40cm정도이고 세로로 모가 졌으며 많은 가지가 돌려
났고 마디에는 퇴화한 잎이 있다. 홀씨줄기는 봄에 영양줄기에 앞서 땅속줄기로부터 나와서 10~25cm정도 자란다. 홀씨줄기는 원기둥모양이고, 뚜렷한 마디가 있으며 끝에 방패 같은 육각형의 홀씨잎이 많이 붙어서 붓 모양을 이루고 그 밑에 긴 타원형의 홀씨주머니를 단다.
[성분]
전초에 니코틴, 3-메톡시피리딘, 팔루스트린이 있다. 그리고 사포닌인 에쿠이세토닌, 티아미네이즈, 규산, 사과산, 아코니
트산, 싱아산, 플라보노이드인 에쿠이세트린,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이소쿠에르시트린, 루테올린, 에쿠이세트로시드, 켐페롤
-3-모노글루코시드가 있다. 이 밖에 수지, 타닌질, 쓴맛물질, 카로틴, 시토스테롤, 디메틸술폰
[효능/효과]
1. 전초는 동물실험에서 이뇨작용과 피멎이작용, 항염증작용이 있다.
2. 만성적인 심장부전에 강심약과 함께 쓴다.
3. 요도질병과 방광염에는 월귤잎과 함께 쓰는 것이 좋다.
4. 만성 및 급성 납중독의 에방과 치료에 쓴다.
5. 피멎이약으로는 치질과 자궁출혈에 쓴다.
6. 칼슘흡수를 도우며 골절부위와 결합조직을 받쳐준다.
7. 심장과 폐에 좋고 관절염, 골다공증, 구루병, 기관지염, 심혈관 질환, 부종, 쓸개의 이상, 통풍, 근육경련, 전립선 질환에
효과가 있다.
8. 파프제, 화상과 상처를 치료하는데 쓰인다.
[주의사항]
토끼, 개에 정맥주사하면 혈압강하와 반사성의 호흡 흥분을 일으킨다. 너무 많이 복용하면 독성분에 중독되는 경우가 있다.

미후리(獼猴梨), 다래나무, 섬다래나무
[기원]
대라과의 낙엽 덩굴나무 다래나무 Actinidia arguta Planchon., 섬다래나무 Actinidia rufa (Sieb . et Zucc.) Planch.의
열매
[생약명]
미후리(獼猴梨), 미후도(獼猴桃) - 열매
미후등(獼猴藤) - 줄기
[이명]섬다래
[성미]甘酸, 寒
[효능]해열(解熱), 지사(止瀉), 통림(通淋)
[해설]
1.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많은 증상을 치료하고, 소갈증을 제거시킨다. 2.급성전염성간염에도 유효하며, 3.식용부진 및
소화불량에 건조시킨 것 8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성분]
당, vitamin, 유기산, 색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다래나무(Bower Actinidia) Actinidia arguta Planchon.
한국·일본·중국(만주)·우수리강(江) 유역·사할린 등지에 분포하며, 깊은 산의 숲 속에서 자란다. 덩굴 식물로 길이가 7m에
달한다. 줄기의 골속은 갈색이며 계단 모양이고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으며 피목(皮目)이 뚜렷하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6∼12cm, 폭이 3.5∼7cm이며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타원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끝이 급하게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갈색 털이 났다가 없어진다. 잎 가장자리에는 가는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가 3∼8cm이고 누운 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월에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3∼10개가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꽃잎은 5개이고 밑 부분이 갈색을 띤다. 수꽃에는 많은 수술이 있고, 암꽃에는 1개의 암술만이 있으며 암술끝이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장과이고 길이 2∼3cm의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10월에 황록색으로 익는다.
[성분]
잎과 줄기에는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가 많다. 씨에는 15~16%의 단백질, 22~34%의 기름, 열매에는 900mg%의 아스코
르브산이 있다. 열매에는 탄수화물(4~10%), 유기산(0.8~2.5%), 단백질(2%), 기름(0.4%), 비타민C, 색소, 탄닌질, 펙틴질이 있으며 씨에도기름(22~34%), 단백질(15%)이 들어 있다. 또한, acotinidine이라는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고양이나 호랑이에게 먹이면 중추신경흥분 작용이 있다. 수피에는 tannin, arabinogalactan 등이 함유되어 있다.
[효능/효과]
1.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많은 증상을 치료하고 소갈증을 제거한다.
2. 급성간염에도 효과가 있고, 식욕부진과 소화불량에 건조시킨 미후리를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3. 열매에 비타민C가 많아서 괴혈병의 예방과 치료에 쓴다.
4. 건위, 청열, 최유, 이습의 효능이 있고, 소화불량, 구토, 복사, 황달, 류머티즘에 의한 관절통을 치료한다.
5. 동의치료에서는 열매를 진통약, 이뇨제, 지갈해열약으로 쓴다.
6. 민간에서는 열매를 설사약, 구충약, 거담약으로 쓴다. 가지와 잎은 촌충을 없애는 데 쓴다.
[용도]식용(열매, 줄기, 어린순), 약용(열매)
섬다래나무 Actinidia rufa (Sieb . et Zucc.) Planch.
전라 남도 산의 숲 속에 나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잎은 호생, 타원형, 넓은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6-13cm이다. 뒷면
은 연한 녹색, 맥겨드랑이에 갈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 지름 1-1.5cm, 가지 중앙부 잎겨드랑이에 1-8송이씩 취산화서로 달린다. 화서와 꽃받침에 적갈색 털이 있으며
, 자방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장과, 둥근 모양, 짧은 원기둥 모양, 길이 2-3cm, 밝은 갈색 반점이 있고, 갈색으로 익는다.
[용도]식용(열매), 약용(줄기ㆍ열매)

'약용식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용식물 ㅇ~  (0) 2023.09.11
약용식물 ㅅ~  (0) 2023.09.11
약용식물 ㄴ~  (0) 2023.09.11
약용식물 ㄱ~  (0) 2023.09.11
한의학사전 ㅎ  (0)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