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지명(古地名)
오늘날 통용되고 있는 8도의 지방명칭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만들어진 이름들 이다. 그러나 그 지역의 범위까지 확정된 것은 조선 태종 - 세종 때 서북방면과 동북방면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압록강 - 두만강 일대를 우리 강토로 회복한 이후부터이며 그 시기는 대략 1500년대 초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00道」라고 할 때의 ‘도(道)’는 “00방면으로 가는 길”이라는 뜻으로서 원래는 조선시대 역을 관장하는 찰방의 관직 앞에 붙어있었던 명칭과 비슷한데, 조선시대의 광역지방명칭으로 이런 체제를 따르게 된 것 같다.
1. 경기도(京畿道) : ‘경기’란 ‘서울을 둘러싼 그 문지방’이라는 뜻이다. 곧 도읍지의 주변지역을 말한다. ‘경기’라는 이름은 1018년(고려 현종 9)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충청도의 북부 일부가 들락날락하였으나 대체로 경기좌도는 한강이남 지역, 경기우도는 한강 이북지역이 해당되었다. (좌.우도는 서열상 좌도가 먼저이다.) 관찰사는 처음 수원에 주재하였다가 뒤에 광주(廣州)로 옮겼으며, 감영을 기영(畿營), 감사(관찰사)를 기백(畿伯)이라 부른 것도 모두 경기의 ‘기’를 붙인 것이다.
2. 강원도(江原道) : ‘강원’이란 이름은 강릉(江陵)과 원주(原州)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강원지방은 삭방도, 춘주도, 동주도, 연해명주도, 교주도 등의 이름으로 불렀으며, 1395년(조선 태조 4) ‘강원’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다. 관찰사는 원주에 주재하였으므로 감영을 원영(原營), 감사를 동백(東伯)이라 불렀는데, ‘동’은 관동의 ‘동(東)’자를 붙인 것이다.
3. 충청도(忠淸道) : ‘충청’이라는 이름은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충청’은 1106년(고려 예종 원년) ‘양광충청주도’라고 할 때 최초로 ‘충청’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대체로 충청좌도는 지금의 충청북도, 충청우도는 지금의 충청남도 지역에 해당된다. ( 좌.우도는 모두 서울의 궁궐에서 남쪽을 바라볼 때의 방향임) 관찰사의 영은 공주에 두었으므로 감영을 금영(錦營), 감사를 금백(錦伯)이라 불렀는데, 이것은 모두 금강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4. 전라도(全羅道) : ‘전라’란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이다. 1018년(고려 현종 9) 처음으로 ‘전라도’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그전에는 강남도, 해양도, 전광도라고도 불렀다. 1407년(조선 태종 7)군사 행정상 편의에 의하여 좌, 우도로 나누었는데, 동쪽 산악지대를 좌도, 서쪽 평야지대를 우도라 하였다. 관찰사는 전주에 두었으므로 감영을 완영(完營), 감사를 완백(完伯)이라 하였는데, 여기서 ‘완’은 옛 이름 완산주의 머리글자를 취한 것이다.
5. 경상도(慶尙道) : ‘경상’이란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1106년(고려 예종 원년) 경상진주도라고 할 때 처음 ‘경상’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동남도, 영남도, 산남도, 경상진주도 등으로 불렀으며, 1314년(충숙왕 원년) 경상도로 되었고, 1407년(조선 태종 7) 좌, 우도로 나누었는데, 낙동강 동쪽을 좌도, 서쪽을 우도라 하였다. 관찰사는 대구에 주재하였으며, 그 감영을 영영(嶺營), 감사를 영백(嶺伯)이라고 불렀는데, 여기서 ‘영’은 지금 영남의 ‘영(嶺)’과 같이 고개를 뜻하는 이름이다.
6. 황해도(黃海道) : ‘황해’라는 이름은 황주(黃州)와 해주(海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본래 관내도, 서해도, 풍해도, 황연도라고도 하였으며, 1407년(태종 7) 황해도라 하였고, 그해에 좌,우도로 나누었다. 여기서 좌도는 동쪽, 우도는 서쪽 지방을 뜻하였다. 관찰사는 해주에 있었으므로 감영을 해영(海營), 감사를 해백(海伯)이라 불렀다.
7. 평안도(平安道) : ‘평안’은 평양(平壤)과 안주(安州)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본래 패서도, 북계, 서북면, 관서라고도 불렀으며, 1413년(태종 14) 평안도로 고친 것이다. 지리적 위치에 따라 동도와 서도를 나누기도 하였으며, 관찰사는 평양에 있었으므로 감영을 패영(浿營) 또는 유영(柳營) 혹은 기영(箕營)이라 하였고, 감사를 기백(箕伯)이라 불렀다. 여기서 패영의 ‘패(浿)’는 패수, 즉 대동강을 말하며, 유영의 ‘유(柳)’는 옛 평양의 이름이 유경(柳京)이었기 때문이다. 또 기영의 ‘기(箕)’는 이곳이 기자의 옛 터전이기 때문이다.
8. 함경도(咸鏡道) : ‘함경’이란 이름은 함흥(咸興)과 경성(鏡城)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그전에는 함길도, 삭방도, 동계, 동북면, 영길도 등으로 불렀다. 1509년(중종 4) 함흥부의 감영을 회복할 때 함경도로 고쳤다. 관찰사가 함흥에 주둔하였으므로 감영을 함영(咸營), 감사를 북백(北伯)이라 불렀다. 북백의 ‘북’은 관북의 북을 취한 것이다.
○ 지방 명칭의 별칭(또 다른 이름들)
1. 영남(嶺南) : 경상도의 별칭으로 교남(嶠南)이라고도 불렀다. 영남의 ‘영’은 고개를 뜻하며 조령(鳥嶺), 죽령(竹嶺), 추풍령(秋風嶺) 등의 고개가 그 경계가 되고 있다. 그러나 그 고개 중에서도 대표적인 고개가 조령(제 1관문 - 제 3관문이 있음)이 되므로 조령이남을 영남이라 한다. 교남은 영남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다.
2. 호남(湖南) : 전라도의 별칭으로 금강하류 남쪽을 뜻한다. 대개 호남의 ‘호(湖)’자를 호수를 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김제 벽골제 이남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금강의 옛 이름이 호강(湖江)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호’는 조선시대에 강변이나 바닷가에도 흔하게 붙여져 있었으며, 서울의 동호(東湖,지금 동호대교 부근의 한강), 마호(麻湖, 지금 마포 앞 한강)와 같은 이름들이 많다. 또 고려 때에도 호남을 강남도(江南道)라 불렀는데, 이것도 역시 금강의 남쪽을 뜻한다.
3. 호서(湖西) : 충청도의 별칭으로 호중(湖中)이라고도 한다. 이 지역도 ‘호(湖)’를 제천의 의림지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금강 상류의 강변에는 호서루(湖西樓)니, 금호루(錦湖樓)니 하는 누정들이 있고, 금강의 옛 이름이 호강으로서 이 강이 충청지방을 휘돌아 흐르기 때문이다.
4. 기전(畿甸) : 경기도의 별칭이며, 기중(畿中), 또는 적기(赤畿)라고도 한다. ‘기(畿)’는 원래 중국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5백 리 이내의 땅을 말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서울을 둘러싼 땅, 그 주변지역을 말한다. 곧 ‘기’가 문지방, 뜰, 또는 안마당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5. 관동(關東)과 관서(關西), 영동(嶺東)과 영서(嶺西) : 강원도의 별칭이며, 관동, 관서의 ‘관(關)’은 대관령이 아닌 철령관(鐵嶺關)의 동쪽과 서쪽을 말한다.(신증동국여지승람 등) 한편 영동과 영서는 대관령 서쪽을 뜻하는 이름이므로 이들이 근래에 서로 혼용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관동은 무방하되, 관서는 평안도를 말하므로 대관령 서쪽의 강원도 지방은 ‘영서’라는 이름으로 고쳐 써야 할 것이다.
6. 해서(海西) : 황해도의 별칭이며, 해서의 ‘해(海)’가 해주라는 설,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라는 설이 있다. 당시의 정황이나 벽란도진의 성세를 감안할 때 예성강 하구설이 더 무게를 갖는다.
7. 관서(關西) : 평안도 지방의 별칭으로서 철령관의 서쪽을 뜻하는 이름이다. 강원도 지방의 관동, 관서와 혼동하기 쉬우나 관서 = 평안도는 문헌상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이름이다.
8. 관북(關北) : 함경도의 별칭으로서 철령관의 북쪽지방이라는 뜻이다. 우리 나라 최고의 산악지대를 이루는 북쪽지방으로서 철령위 문제, 여진족 침입 문제 등 영토분쟁으로 늘 말썽이 된 곳이다. 그러기에 철령을 중심으로 관서, 관북, 관동이라는 지명이 생겨난 것이다.
○ 그 외에 사용된 광역지명(廣域地名) 등
앞에서 소개한 우리 나라 8도의 명칭과 별칭 이외에도 왕실이나 조정에서 사용된 지역이름이 많이 나오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을 뽑아서 여기에 풀어보았다.
1. 상사도(上四道) :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위(북)에 있는 4개 지방을 말한다. 곧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이다.
2. 하삼도(下三道) 또는 삼남(三南)지방 : 서울에서 남쪽에 있는 3개 지방을 말한다.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이다.
3. 이들은 모두 궁성의 남쪽에 위치하므로 하삼남 또는 삼남지방이라고도 하였다.
4. 기호(畿湖)지방 : 경기도지방과 호서(충청도)지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5. 영호남(嶺湖南)지방 : 경상도(영남)지방과 전라도(호남)지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6. 양호(兩湖)지방 : 충청도(호서)지방과 전라도(호남)지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7. 양남(兩南)지방 : 경상도(영남)지방과 전라도(호남)지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8. 양북(兩北)지방 : 강원도지방과 함경도지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9. 양서(兩西)지방 : 황해도(해서)지방과 평안도(관서)지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 기타 청남(淸南) 청북(淸北)지방 : 평안도를 나누어 청천강 이남을 청남, 청천강 이북을 청북지방이라 하였다.
위의 팔도 지방 명칭 중에서 합성지명(合成地名)을 만들기 위하여 대표적인 고을을 선택하는 방법은, 대개 계수관(界首官)이라 하여 그 도의 경계지역 내에서 가장 품계가 높은 관리가 주둔하는 고을의 명칭을 택하여 그 명칭을 붙였다.
이 경우에 두 고을 중에서 어느 고을 이름을 먼저 붙이느냐(앞 자리에)하는 문제는 시대에 따라 바뀌기도 하였지만 대개 두 고을 중 큰 고을 이름을 앞에 붙이거나 역사가 오래 된 고을이름을 앞에 붙이는 것이 관례가 되어 왔다.
1. 경기도(京畿道)
(1) 양천(陽川) : 공암(孔巖) 제양(齊陽) 파능(巴陵) 양평(陽平) 양현 (陽縣)
(2) 시흥(始興) : 곡양(穀壤) 금주(黔州) 금천(黔川) 금천(黔川) 금천(衿川) 금과(衿果) 금양(衿陽)
(3) 과천(果川) : 과림(果林) 부안(富安) 과부(果富) 임진(林津) 과주(果州)
(4) 광주(廣州) : 남한(南漢) 한산(漢山) 회안(淮安) 봉국(奉國) 한주(漢州) 광릉(廣陵)
(5) 고양(高陽) : 고봉(高峯) 행주(幸州) 개백(皆伯) 우왕(遇王) 지봉(至逢) 덕양(德陽) 중자산(中子山)
(6) 부평(富平) : 수주(樹州) 안남(安南) 계양(桂陽) 길주(吉州) 장성(長城) 황어(黃魚)
(7) 양주(楊州) : 견주(見州) 창화(昌化) 내소(來蘇) 한양(漢陽) 풍양(豊壤) 사천(沙川)
(8) 김포(金浦) : 금포(黔浦) 금릉(金陵) 계양(桂陽)
(9) 용인(龍仁) : 구성(駒城) 거서(巨黍) 멸오(滅烏) 용구(龍駒) 처인(處仁)
(10) 인천(仁川) : 군성(郡城) 경원(慶源) 인주(仁州) 이포(梨浦)
(11) 파주(坡州) : 파평(坡平) 영평(鈴平) 봉성(峯城) 서원(瑞原) 원평(原平) 곡성(曲城) 파산(坡山) 임진(臨津)
(12) 교하(交河) : 선성(宣城) 굴화(屈火) 원화(原火) 심악(深岳) 석잔(石棧)
(13) 수원(水原) : 한남(漢南) 수성(隋城) 매홀(買忽) 수성(水城) 수주(水州) 쌍고(雙阜) 청구(靑邱) 내미(內彌) 쟁홀(爭忽) 영음(令音) 종덕(宗德) 정송(貞松) 오타(五朶) 계석(桂石) 양간(陽干) 사량(沙梁) 분촌(盆村) 심곡(深谷) 공촌(公村) 용성(龍城) 광덕(廣德) 유제(楡梯) 주석(柱石) 사정(奢井)
(14) 통진(通津) : 분진(汾津) 수안(守安) 동성(童城) 비사(比史)
(15) 포천(抱川) : 풍홀(馮忽) 견성(堅城) 포주(抱州) 청화(淸化)
(16) 남양(南陽) : 익주(益州) 당성(唐城) 당은(唐恩) 강녕(江寧) 영제(寧堤) 대양(戴陽) 화양(花梁)
(17) 강화(江華) : 화구(火口) 해구(海口) 심주(沁州) 강도(江都) 하음(河陰) 진강(鎭江)
(18) 장단(長湍) : 온천(溫川) 야야(耶耶) 송림(松林) 단주(湍州) 임단(臨湍) 장임(長臨) 임진(臨津) 임강(臨江)
(19) 양근(楊根) : 항양(恒陽) 빈양(濱陽) 영화(永化) 익화(益和) 미원(迷源)
(20) 진위(振威) : 부산(釜山) 연달(?達) 영신(永新) 송장(松莊)
(21) 적성(積城) : 칠중성(七重城) 내별중성(乃別重城)
(22) 양지(陽智) : 양양(陽良) 양산(陽山) 추계(秋溪) 고안(高安)
(23) 가평(加平) : 가평(嘉平) 근평(斤平) 병평(幷平) 조종(朝宗)
(24) 이천(利川) : 남천(南川) 황무(黃武) 남매(南買) 영창(永昌)
(25) 영평(永平) : 동음(洞陰) 양골(梁骨) 영흥(永興) 유석(乳石)
(26) 연천(漣川) : 웅섬(熊閃) 장주(瀁州) 연주(漣州) 장포(獐浦)
(27) 양성(陽城) : 적성(赤城)
(28) 개성(開城) : 개주(開州) 개경(開京) 황도(皇都) 송경(松京) 송도(松都)
(29) 지평(砥平) : 지현(砥峴) 지제(砥堤)
(30) 죽산(竹山) : 개산(介山) 음평(陰平) 연창(延昌) 죽주(竹州)
(31) 안성(安城) : 백성(白城)
(32) 마전(麻田) : 임단(臨湍) 니사(泥沙) 파홀(波忽) 마전천(麻田淺)
(33) 여주(驪州) : 영의(永義) 황려(黃驪) 여강(驪江) 여흥(驪興) 여성(驪城) 황리(黃利) 등신(登神) 천녕(川寧)
(34) 풍덕(豊德) : 해풍(海豊) 덕수(德水) 승천(昇天) 하원(河源) 정주(貞州)
(35) 교동(喬棟) : 대운(戴雲) 고림(高林)
(36) 음죽(陰竹) : 설성(雪城)
(37) 삭녕(朔寧) : 소읍(所邑) 삭읍(朔邑) 안삭(安朔) 승령(僧嶺) 비물(非勿) 동량(?梁)
(38) 안산(安山)
2. 충청도(忠淸道)
(1) 평택(平澤) : 팽성(彭城) 하입(河入)
(2) 직산(稷山) : 위례성(慰禮城) 사산(蛇山)
(3) 천안(天安) : 소태(蘇泰) 풍세(豊歲) 돈의(頓義) 모산(毛山) 신종(新宗) 안읍(安邑) 덕흥(德興) 환주(歡州)
(4) 아산(牙山) : 아술(牙述) 음봉(陰峯) 음잠(陰岑) 인주(仁州) 영인(寧仁) 아주(牙州) 덕천(德泉)
(5) 신창(新昌) : 굴직(屈直) 기양(祈梁) 온창(溫昌) 창성(昌城)
(6) 진천(鎭川) : 상산(常山) 의녕(義寧) 창의(彰義) 진주(鎭州) 강주(降州) 황양(黃壤) 흑양(黑壤) 신지(新知)
(7) 목천(木川) : 목주(木州) 신정(新定) 목록(木麓)
(8) 음성(陰城) : 잉홀(仍忽) 설성(雪城) 파천(巴川)
(9) 전의(全義) : 구지(仇知) 금지(金池) 전기(全岐) 전성(全城)
(10) 온양(溫陽) : 온창(溫昌) 온수(溫水) 온천(溫泉) 온정(溫井)
(11) 예산(禮山) : 오산(烏山) 고산(孤山) 문석(文石) 화물(化物)
(12) 충주(忠州) : 감물(甘勿) 이차탄(伊次呑) 광반석(廣反石) 충원(忠原) 창화(昌化) 조성(藻城) 소잉림(所仍林) 태원(太原) 익양(翼陽) 덕산(德山) 국원(國原) 중원(中原)
(13) 괴산(槐山) : 괴양(槐壤) 괴주(槐州) 시안(始安) 모곤(毛坤)
(14) 대흥(大興) : 임존(任存) 금주(今州) 임성(任城) 거변(居邊)
(15) 청안(淸安) : 청연(淸淵) 도서(道西) 도안(道安) 청당(淸塘) 염곡(念谷) 난곡(亂谷)
(16) 덕산(德山) : 금물(今勿) 금무(金武) 덕풍(德豊) 이산(伊山) 마시산(馬尸山) 신곡(新谷)
(17) 연기(燕岐) : 전기(全岐) 잉지(仍只) 연산(燕山) 연주(燕州)
(18) 청주(淸州) : 상당(上黨) 낭비(娘臂) 서원(西原) 청주(靑州) 낭성(琅城) 전절(全節) 배음(拜音) 간신(間身) 조풍(調豊) 덕평(德平) 청천(靑川) 남계(南界) 추자(楸子)
(19) 홍주(洪州) : 운주(雲州) 지주(知州) 안평(安平) 해풍(海豊) 해흥(海興) 홍양(洪陽) 신평(新平) 고구(高丘) 흥양(興陽) 여양(驪陽) 정성(政聲) 운천(雲川) 용화(用和) 용천(龍泉) 궁경(躬耕) 태산(太山) 합덕(合德)
(20) 면천(沔川) : 혜군(?郡) 혜성(?城) 마산(馬山) 종해(宗海) 면주(沔州)
(21) 결성(結城) : 결기(潔己) 결성(潔城) 결주(潔州) 평성(枰城) 안흥(安興)
(22) 해미(海美) : 정해(貞海) 여미(餘美) 여촌(餘村) 여읍(餘邑) 잠양(岑陽) 지성(枳城) 소당(炤堂) 염솔(鹽率) 염정(鹽貞) 사곡(寺谷)
(23) 제천(堤川) : 내토(奈吐) 내제(奈堤) 의천(義川) 의원(義原) 제주(堤州)
(24) 공주(公州) : 웅천(熊川) 웅주(熊州) 웅진(熊津) 안도(安都) 공산(公山) 유성(儒城) 신풍(新豊) 덕진(德津) 양화(良化) 귀지(貴智) 난부(亂釜) 금생(金生) 갑촌(甲村) 복수(福水) 촌개(村介) 모산(摸山) 회도(懷道)
(25) 연풍(延豊) : 상모(上毛) 장연(長延) 장풍(長豊)
(26) 청양(靑陽) : 고양(古良) 부리(夫里) 청무(靑武)
(27) 문의(文義) : 모산(牟山) 연산(燕山) 문산(文山)
(28) 청풍(淸風) : 사열(沙熱)
(29) 회덕(懷德) : 양술(兩述) 오천(?淺) 비풍(比豊)
(30) 서산(瑞山) : 기군(基郡) 부성(富城) 서녕(瑞寧) 서주(瑞州) 성연(聖淵) 인정(仁政) 지곡(地谷) 안면(安眠) 화변(禾邊) 정소(井所) 광지(廣地) 금암(金巖)
(31) 회인(懷仁) : 미곡(未谷) 매곡(昧谷)
(32) 정산(定山) : 열기(悅己) 열성(悅城)
(33) 당진(唐津) : 대수지(代首只) 부지(夫只)
(34) 보령(保寧) : 신촌(新村) 신읍(新邑) 유성(柚城) **안(**安) 신성(新城)
(35) 진잠(鎭岑) : 진현(眞峴) 진령(鎭嶺) 사성(祀城) 정성(貞城)
(36) 영춘(永春) : 자춘(子春) 을아조(乙阿朝)
(37) 단양(丹陽) : 적성(赤城) 적산(赤山) 단산(丹山) 단구(丹丘)
(38) 남포(藍浦) : 사포(寺浦) 옥산(玉山)
(39) 노성(魯城) : 니산(尼山) 니성(尼城) 노산(魯山) 은산(恩山) 저정(猪井)
(40) 부여(扶餘) : 반월(半月) 사비(泗?) 여주(餘州)
(41) 보은(報恩) : 보령(保齡) 삼산(三山) 보령(保令) 임언(林堰)
(42) 태안(泰安) : 소태(蘇泰) 소주(蘇州) 순성(蓴城) 소성(蘇城)
(43) 석성(石城) : 진악산(珍惡山) 석산(石山)
(44) 임천(林川) : 가림(加林) 가림(嘉林) 임주(林州) 고다지(古多只)
(45) 연산(連山) : 황산(黃山) 은산(恩山) 광소(廣炤)
(46) 은진(恩津) : 덕은(德恩) 덕은(德殷) 덕근(德近) 신포(薪浦) 시진(市津) 채운(彩雲)
(47) 옥천(沃川) : 고시산(古尸山) 관성(管城) 옥주(沃州) 양산(陽山) 소리(所利) 안읍(安邑)
(48) 홍산(鴻山) : 대산(大山) 한산(翰山)
(49) 비인(庇仁) : 비중(比衆) 옥전(沃田)
(50) 청산(靑山) : 굴산(屈山) 돌산(突山) 춘산(春山) 주성(酒城) 은계천(銀界川)
(51) 한산(韓山) : 마산(馬山) 마읍(馬邑) 한주(韓州) 아주(鵝洲) 거이(居爾)
(52) 서천(舒川) : **림(**林) 서림(西林) 서주(西州)
(53) 영동(永同) : 길동(吉同) 계주(稽州) 영산(永山) 계산(稽山) 죽주(竹州)
(54) 황간(黃磵) : 소라(召羅) 황청(黃靑) 황계(黃溪)
3.경상도(慶尙道)
(1) 문경(聞慶) : 관문(冠文) 관산(冠山) 문희(聞喜) 호계(虎溪) 가은(加恩) 벌천(伐川) 병곡(柄谷) 견천(絹川) 고곡(高谷) 마량(馬梁) 잉을항(仍乙項)
(2) 풍기(풍기) : 기주(基州) 기목(基沐) 영정(永定) 안정(安定) 은풍(殷豊)
(3) 함창(咸昌) : 고녕(古寧) 위녕(威寧) 고릉(古陵) 덕봉(德峯) 이안(利安)
(4) 용궁(龍宮) : 축산(竺山) 원산(園山) 용주(龍州) 무송(茂松) 양정(陽井) 풍양(豊壤) 하남(河南) 평구(平坵) 곡계(曲溪)
(5) 순흥(順興) : 급산(?山) 흥주(興州) 순정(順政) 흥녕(興寧)
(6) 영천(榮川) : 내녕(奈寧) 강주(剛州) 순안(順安) 영주(榮州) 구성(龜城)
(7) 상주(尙州) : 상주(上州) 상락(上洛) 사벌(沙伐) 상산(商山) 타아(陀阿) 중모(中牟) 영순(永順) 청리(靑里) 장천(長川) 백원(白原) 하해(河海) 생물(生物) 양녕(壤寧) 보량(保良) 연산(連山) 화녕(化寧) 산양(山陽) 관제(灌濟) 단곡(丹谷) 주선(主善) 평안(平安) 단밀(丹密) 공성(功城) 은선(銀鐥) 무림(茂林) 해상이(海上伊)
(8) 예천(醴泉) : 영주(永酒) 보주(甫州) 기양(基陽) 청하(淸河) 양양(襄陽) 선천(?川) 연천(連川) 파천(罷川) 보진(寶珍) 금천(金川) 효천(孝川) 다인(多仁) 수주(水酒)
(9) 봉화(奉化) : 봉성(鳳城) 옥마(玉馬) 매토(買吐) 물야(勿也)
(10) 예안(禮安) : 매곡(買谷) 선곡(善谷) 선성(宣城) 선인(宣仁)
(11) 안동(安東) : 고창(古昌) 영가(永嘉) 복주(福州) 능라(綾羅) 지평(地平) 석릉(石陵) 일계(一界) 화산(花山) 고녕(古寧) 고위(古浙) 창녕(昌寧) 풍산(豊山) 임하(臨河) 감천(甘泉) 영양(英陽) 춘양(春陽) 길안(吉安) 가량(加良) 일직(一直)
(12) 비안(比安) : 병산(屛山) 비옥(比屋) 병옥(幷屋) 안정(安貞) 안정(安定) 물실(勿失)
(13) 선산(善山) : 일선(一善) 숭선(嵩善) 선주(善州) 화의(和義) 해평(海平)
(14) 개녕(開寧) : 청주(靑州) 감주(甘州) 달오(達烏) 무차(茂?) 다질(多叱) 상조지(上鳥知) 금물도(今勿刀) 하활곡(下活谷)
(15) 금산(金山) : 금릉(金陵) 황금(黃金) 영명(迎命) 횡천(橫川) 조마(助馬) 어모(御侮)
(16) 군위(軍威) : 적라(赤羅) 효령(孝靈)
(17) 인동(仁同) : 수동(壽同) 옥산(玉山) 약목(若木)
(18) 의성(義城) : 소문(召文) 문소(聞韶) 황산(黃山)
(19) 성주(星州) : 성산(星山) 가야(伽倻) 신안(新安) 벽진(碧珍) 광평(廣平) 대주(岱州) 경산(京山) 흥안(興安) 명곡(椧谷) 가리(加利) 화원(花園) 영선(永善)
(20) 의흥(義興) : 구산(龜山) 구성(龜城)
(21) 지례(知禮) : 구성(龜城)
(22) 청송(靑松) : 청기(靑己) 적선(積善) 운봉(雲鳳) 청보(靑寶) 안덕(安德) 송생(松生) 청부(靑鳧)
(23) 진보(眞寶) : 진안(眞安) 보성(寶城) 재암(載巖) 청보(靑寶) 진해(眞海) 춘감(春甘) 파질(巴叱)
(24) 영양(英陽) : 고은(古隱) 연양(延陽) 익양(益陽)
(25) 신녕(新寧) : 정화(丁火) 화산(花山) 이지(梨旨)
(26) 고령(高靈) : 대가야(大伽倻) 영천(靈川)
(27) 칠곡(漆谷) : 가산(架山) 기성(箕城) 칠성(柒城) 거성(?城)
(28) 대구(大邱) : 달성(達城) 하빈(河濱) 수성(壽城) 해안(解顔)
(29) 현풍(玄風) : 현효(玄驍) 포산(包山) 현풍(玄豊) 구지(仇知)
(30) 영천(永川) : 임고(臨皐) 영주(永州) 익양(益陽) 영양(永陽) 고울(高鬱)
(31) 하양(河陽) : 하주(河州) 화성(花城) 안심(安心)
(32) 초계(草溪) : 팔계(八溪) 청계(淸溪) 대여(代如)
(33) 경산(慶山) : 압양(押梁) 압독(押督) 장산(獐山) 장산(獐山) 옥산(玉山)
(34) 거창(居昌) : 거열(居烈) 거타(居陀) 아림(娥林) 제창(濟昌)
(35) 함양(咸陽) : 함성(含城) 천령(天嶺) 허주(許州) 함양(含陽) 마천(馬淺)
(36) 창녕(昌寧) : 화왕(火王) 하주(下州) 창산(昌山) 창성(昌城) 하성(夏城) 하산(夏山)
(37) 합천(陜川) : 대량(大良) 강양(江陽) 합주(陜州) 대야(大倻) 야로(冶爐) 구산(龜山) 말곡(末谷) 좌이(坐伊)
(38) 자산(慈山) : 구화(具火) 인산(仁山) 자인(慈仁)
(39) 영산(靈山) : 서화(西火) 상약(尙藥) 취산(鷲山) 취성(鷲城) 계성(桂城) 삼계(森溪)
(40) 청도(淸道) : 도주(道州) 오산(?山) 이산(伊山) 대성(大城) 마악(馬岳) 이서(伊西)
(41) 영해(寧海) : 우시(于尸) 유린(有隣) 예주(禮州) 단양(丹陽) 덕원(德原)
(42) 안의(安義) : 이안(利安) 마이(馬利) 화림(花林) 감음(感陰) 여선(餘善) 안음(安陰) 가을산(加乙山)
(43) 경주(慶州) : 진한(辰韓) 사로(斯盧) 낙랑(樂浪) 계림(鷄林) 월성(月城) 동경(東京) 금오(金鰲) 문천(蚊川) 비안곡(比安谷) 기계(杞溪) 안강(安康) 구사(仇史) 신광(神光)
(44) 삼가(三嘉) : 삼기(三岐) 삼지(三支) 기산(岐山) 마장(麻杖) 가수(嘉壽) 가수(嘉樹) 봉성(鳳城)
(45) 영일(迎日) : 임정(臨汀) 오천(烏川) 연일(延日)
(46) 칠원(柒原) : 칠토(柒吐) 칠제(柒堤) 구성(龜城) 무릉(茂陵) 부곡(釜谷)
(47) 의녕(宜寧) : 장사(獐舍) 의춘(宜春) 의산(宜山) 신번(新繁) 지산(砥山) 정골(正骨)
(48) 흥해(興海) : 퇴화(退火) 의창(宜昌) 곡강(曲江) 오천(鰲川)
(49) 영덕(盈德) : 야성(野城)
(50) 창원(昌原) : 의안(義安) 의창(義昌) 회산(檜山) 합포(合浦) 회원(檜原) 환주(還珠)
(51) 함안(咸安) : 아라(阿羅) 가야(伽倻) 함주(咸州) 금라(金羅) 사라(沙羅) 파산(巴山)
(52) 밀양(密陽) : 밀성(密城) 밀주(密州) 밀산(密山) 귀화(歸化) 의천(疑川) 내진(來進) 수산(守山) 풍각(豊角) 두야포(頭也浦) 이음동(伊音冬) 금음물(今音勿)
(53) 청하(淸河) : 아혜(阿兮) 해아(海阿) 덕성(德城)
(54) 장기(長?) : 지답(只畓) 기립(?立) 봉산(蓬山)
(55) 언양(彦陽) : 헌양(火+? 陽) 헌산(火+? 山)
(56) 하동(河東) : 하남(河南) 청하(淸河)
(57) 산청(山淸) : 산양(山陽) 회계(會稽) 사명(四明) 산음(山陰) 개품(皆品)
(58) 진해(鎭海) : 팔진(八鎭) 우산(牛山)
(59) 진주(晉州) : 거타(居陀) 청주(菁州) 강주(康州) 진양(晉陽) 청천(菁川) 진산(晉山) 진강(晉康) 반성(班城) 악양(岳陽) 영선(永善) 살천(薩川)
(60) 울산(蔚山) : 하곡(河曲) 울주(蔚州) 학성(鶴城) 화성(火城) 공화(恭花) 흥려(興麗)
(61) 웅천(熊川) : 웅구(熊口) 웅신(熊神) 병산(屛山) 웅산(熊山) 사법(寺法) 천읍(川邑) 완포(莞浦)
(62) 김해(金海) : 가락(駕洛) 가야(伽倻) 금환(金宦) 임해(臨海) 금녕(金寧) 분성(盆城) 태산(太山) 금주(金州)
(63) 단성(丹城) : 문성(問城) 강성(江城) 진성(珍城) 적촌(赤村) 단읍(丹邑) 단계(丹溪)
(64) 사천(泗川) : 사물(史勿) 사수(泗水) 사주(泗州) 동성(東城)
(65) 양산(梁山) : 양주(良州) 의춘(宜春) 양주(梁州) 순정(順正)
(66) 곤양(昆陽) : 곤명(昆明) 곤남(昆南) 철성(鐵城) 곤산(昆山) 유보(有寶)
(67) 고성(固城) : 고주(固州) 철성(鐵城) 발산(鉢山) 곤의(坤義) 적진(積珍) 곡산(曲山) 보성(保城) 구허(丘墟) 도선(道善) 진여(珍餘) 해빈(海濱) 보안(保安) 어례(魚禮) 궤촌(?村) 녹명(鹿鳴)
(68) 남해(南海) : 해양(海陽) 전산(轉山) 화전(花田) 윤산(輪山) 난포(蘭浦) 평산(平山)
(69) 동래(東萊) : 장산(?山) 내산(萊山) 봉래(蓬萊) 봉산(蓬山) 동평(東平)
(70) 기장(機張) : 갑화(甲火) 양곡(良谷) 차성(車城)
(71) 거제(巨濟) : 상군(裳郡) 기성(岐城) 아주(鵝州) 연정(鍊汀) 명진(溟珍) 하청(河淸) 고정(古丁) 죽토(竹吐) 송변(松邊)
4. 전라도(全羅道)
(1) 여산(礪山) : 여양(礪良) 호산(壺山) 낭산(朗山) 야산(野山) 궐산(闕山) 피제(皮堤) 공촌(公村)
(2) 용안(龍安) : 칠성(七城) 풍제(豊堤) 창산(倉山)
(3) 함열(咸悅) : 함라(咸羅) 감물아(甘勿阿) 도전(桃田)
(4) 익산(益山) : 금마(金馬) 익주(益州) 흑석(黑石)
(5) 진산(珍山) : 진동(珍同) 황산(黃山) 진례(進禮) 옥계(玉溪) 진주(珍州) 횡정(橫井) 고제(高堤) 금암(金巖) 가흥(嘉興) 원산(猿山)
(6) 고산(高山) : 봉산(鳳山) 운제(雲梯)
(7) 무주(茂州) : 무산(茂山) 무풍(茂豊) 주계(珠溪) 적천(赤川) 단천(丹川)
(8) 금산(錦山) : 경양(景陽) 금계(錦溪) 금주(錦州) 이성(伊城) 대곡(大谷) 안성(安城) 부리(富利) 횡천(橫川)
(9) 임피(臨陂) : 피산(陂山) 취성(鷲城) 시산(屎山) 근문(?文) 소도(所島)
(10) 전주(全州) : 견성(甄城) 완산(完山) 안남(安南) 승화(承化) 이성(利城) 두모(豆毛) 경명(景明) 우주(紆州) 이성(伊城) 옥야(沃野)
(11) 만경(萬頃) : 두산(杜山) 두내산(豆乃山) 부윤(富潤) 니파(泥波)
(12) 금구(金溝) : 구지(仇知) 지산(只山) 양양(樣陽) 대율(大栗) 거야(巨野) 촉정(促政) 낭산(朗山)
(13) 김제(金堤) : 벽골(碧骨) 평고(平皐) 재남(才南) 마천(馬川) 명양(鳴良) 제견(堤見)
(14) 용담(龍潭) : 물거(勿居) 옥천(玉川) 청거(淸渠) 동향(銅鄕)
(15) 옥구(沃溝) : 마서(馬西) 양왕산(良王山) 회미(澮尾)
(16) 태인(泰仁) : 무성(武城) 인의(仁義) 태산(泰山) 대곡(大谷) 나향(羅鄕) 능향(綾鄕)
(17) 부안(扶安) : 개화(皆火) 부녕(扶寧) 계발(戒發) 보안(保安) 낭천(浪川) 희안(喜安) 부풍(扶豊) 고촌(鼓村)
(18) 임실(任實) : 청웅(靑雄) 운수(雲水) 구고(九皐) 취선(醉仙)
(19) 진안(鎭安) : 난진아(難珍阿) 월낭(越浪) 마령(馬靈)
(20) 정읍(井邑) : 정촌(井村) 초산(楚山) 답곡(畓谷)
(21) 고부(古阜) : 영주(瀛洲) 안남(安南) 고사(古沙) 부리(夫里) 수금(水金) 우일(雨日) 부안(富安) 황조(荒調) 덕림(德林) 독변(禿邊) 음성(音聲) 모조(毛助)
(22) 남원(南原) : 대방(帶方) 고룡(古龍) 용성(龍城) 거녕(居寧) 유곡(楡谷) 남전(南田) 사등(沙等) 방광(放光)
(23) 순창(淳昌) : 도보(道寶) 오산(烏山) 옥천(玉川) 순화(淳化) 유등(柳等) 감물토(甘勿土) 복흥(福興) 치등(置等) 대안(大安) 적성(赤城)
(24) 흥덕(興德) : 상자(上紫) 상질(尙質) 장덕(章德) 흥성(興城) 좌경(坐卿) 북조(北調) 남조(南調)
(25) 고창(高敞) : 모양(毛良) 부리(夫里) 모양(牟陽) 대양평(大良坪) 도성(陶成) 덕암(德岩)
(26) 장수(長水) : 고택(高澤) 장계(長溪) 이방(梨方) 양악(陽岳) 복흥(福興) 덕흥(德興) 우평(雨坪) 장천(長川)
(27) 옥과(玉果) : 과지(果支) 설산(雪山) 금산(金山) 흥복(興福)
(28) 담양(潭陽) : 추성(秋城) 담주(潭州) 원율(原栗) 정석(貞石)
(29) 장성(長城) : 갑성(岬城) 구진(丘珍) 이성(伊城) 오산(鰲山) 마양(馬良)
(30) 무장(茂長) : 무송(茂松) 송산(松山) 장사(長沙) 상노(上老) 사도(沙島)
(31) 곡성(谷城) : 욕내(欲乃) 욕천(浴川) 율곡(栗谷)
(32) 운봉(雲峰) : 모산(母山) 아영(阿英) 아용(阿容) 운성(雲城) 아요(阿要)
(33) 창평(昌平) : 굴지(屈支) 기양(祈陽) 명양(鳴陽) 명평(鳴平) 장평(長平) 갑향(甲鄕)
(34) 영광(靈光) : 무영(武靈) 임치(臨淄) 조지(造紙) 망운(望雲) 심정(深井) 회의(懷義) 홍농(弘農) 진양(陳粮) 육사(陸事) 공아(貢牙) 옥천(玉川) 삼계(森溪)
(35) 광주(光州) : 무진(武珍) 무주(武州) 광산(光山) 해양(海陽) 익주(翼州) 화평(化平) 무진(茂珍) 익양(翼陽) 서석(瑞石) 양**(良**) 벽진(碧津)
(36) 동복(同福) : 구성(龜城) 옹성(瓮城) 복천(福川)
(37) 나주(羅州) : 발나(發羅) 통의(通義) 금산(錦山) 금성(錦城) 수다(水多) 반남(潘南) 복용(伏龍) 장산(長山) 여황(艅?) 회진(會津) 안노(安老) 압해(山+甲 海) 종의(從義) 임성(任城) 극포(極浦) 영산(榮山) 거평(居平) 손리(孫利) 반계(潘溪) 금마(金磨) 군산(群山)
(38) 능주(綾州) : 연미(連味) 이능(爾綾) 수죽(樹竹) 능성(綾城)
(39) 남평(南平) : 현대(玄?) 오산(烏山) 영평(永平) 철수(鐵首) 도민(道民) 철야(鐵冶)
(40) 구례(求禮) : 봉성(鳳城) 사등(沙等) 남전(南田) 방광(放光)
(41) 화순(和順) : 여미(汝湄) 오성(烏城) 여궤(汝潰) 산양(山陽) 해빈(海濱)
(42) 함평(咸平) : 함풍(咸豊) 다기(多岐) 모양(牟陽) 모평(牟平) 영풍(永豊) 해제(海際) 다경(多慶)
(43) 낙안(樂安) : 분차(分嵯) 분사(分沙) 부사(浮擄) 분령(分嶺) 낙주(洛州) 양악(陽岳) 가용(加用)
(44) 순천(順天) : 무평(武平) 승평(昇平) 승주(昇州) 연해(?海) 승화(昇化) 평양(平陽) 부유(富有) 율촌(栗村) 정방(正方) 진례(進禮) 별량(別良) 죽청(竹靑) 청양(靑良) 소라(召羅) 두잉(豆仍) 삼일포(三日浦) 상이사(上伊沙) 하이사(下伊沙) 가음(嘉音) 송림(松林) 이진(梨津) 팔마(八馬) 여수(麗水)
(45) 무안(務安) : 금주(錦州) 물양(勿良)
(46) 광양(光陽) : 노마(老馬) 희양(?陽) 아마(阿磨) 본정(本井) 골약(骨若) 아마대(阿磨代)
(47) 영암(靈巖) : 월나(月奈) 낭천(朗川) 낭산(朗山) 송지(松旨) 곤미(昆湄) 진남(鎭南) 조지(造紙) 북평(北平)
(48) 보성(寶城) : 산양(山陽) 구주(具州) 진력(珍力) 조양(兆陽) 보성(保城) 사어(沙於) 야촌(冶村) 복성(福城)
(49) 강진(康津) : 금릉(金陵) 도강(道康) 탐진(眈津) 양무(陽武) 오산(鰲山) 칠양(七陽) 영가(永可) 평덕(平德) 수운(水雲) 대구(大口) 대곡(大谷) 운수(雲水) 명진(溟津) 고금도(古今島) 수녕(遂寧) 예양(汭陽)
(50) 장흥(長興) : 오차(烏次) 오아(烏兒) 정안(定安) 회주(懷州) 관산(冠山) 회녕(會寧) 안양(安壤) 장택(長澤) 정화(丁火) 어산(語山) 유치(有眞) 장릉(長陵)
(51) 흥양(興陽) : 고이(高伊) 고흥(高興) 고양(高陽) 영주(瀛州) 남양(南陽) 도양(道陽) 풍원(豊原) 가을평(加乙坪) 태강(泰江) 풍안(豊安) 도화(道化) 총곡(?谷) 두원(荳原)
(52) 해남(海南) : 한금(寒琴) 만순(漫淳) 투빈(投濱) 해진(海珍) 옥천(玉泉) 진산(珍山) 팔마(八馬) 죽산(竹山) 사라(紗羅) 구양(仇良) 황원(黃原) 옥산(玉山) 뉴천(杻川)
(53) 진도(珍島) : 옥주(沃州) 의신(義新) 가흥(嘉興) 임회(臨淮)
(54) 제주(濟州) : 탐라(耽羅) 동영주(東瀛洲) 모라(毛羅) 탐모라(耽毛羅)
(55) 대정(大靜)
(56) 정의(旌義)
5. 강원도(江原道)
(1) 철원(鐵原) : 철원(鐵圓) 철성(鐵城) 동주(東州) 육창(陸昌) 창원(昌原)
(2) 춘천(春川) : 우수(牛首) 삭주(朔州) 광해(光海) 춘주(春州) 안양(安陽) 수춘(壽春) 봉산(鳳山) 사탄(史呑)
(3) 금화(金化) : 부여(夫如) 부평(富平) 화강(花江) 화산(花山)
(4) 안협(安峽) : 궁악(窮岳) 안상(安翔)
(5) 횡성(橫城) : 횡천(橫川) 황천(潢川) 화전(花田)
(6) 낭천(狼川) : 왕천(往川) 화음(華陰)
(7) 홍천(洪川) : 녹효(綠驍) 화산(花山)
(8) 원주(原州) : 평원(平原) 일신(一新) 정원(靖原) 익흥(益興) 성안(成安) 원성(原城) 학성(鶴城) 주천(酒泉)
(9) 평강(平康) : 평강(平江) 광평(廣坪) 부양(斧壤) 사정(史丁) 신촌(新村)
(10) 금성(金城) : 모성(母城) 익성(益城) 금양(金壤) 통구(通溝) 소수(小水) 기성(岐城)
(11) 이천(伊川) : 이진(伊珍) 매화산(買花山)
(12) 평창(平昌) : 욱오(郁烏) 백오(白烏) 노산(魯山)
(13) 양구(楊口) : 양구(楊溝) 양록(楊麓) 방산(方山)
(14) 인제(麟蹄) : 저족(猪足) 오사회(烏斯回) 서화(瑞和) 영소(靈昭)
(15) 회양(淮陽) : 회주(淮州) 각연성(各連城) 연성(連城) 이물성(伊勿城) 화천(和川) 남곡(嵐谷) 문등(文登) 장양(長陽)
(16) 영월(寧越) : 내생(奈生) 내성(奈城) 연주(延州)
(17) 정선(旌善) : 삼봉(三鳳) 주진(朱陳) 도원(桃源) 침봉(?鳳)
(18) 통천(通川) : 휴양(休壤) 통주(通州) 벽산(碧山) 임도(臨道) 운암(雲岩) 금란(金蘭)
(19) 흡곡(絡谷) : 습계(習溪) 학림(鶴林) 습비곡(習比谷)
(20) 고성(高城) : 달홀(達忽) 풍암(豊岩) 안창(安昌) 태가(泰?)
(21) 강릉(江陵) : 예국(穢國) 임둔(臨屯) 명주(溟州) 동원(東原) 우계(羽溪) 연곡(連谷) 임영(臨瀛) 명원(溟源)
(22) 양양(襄陽) : 익현(翼峴) 이문(伊文) 익령(翼令) 덕녕(德寧) 양산(襄山) 양주(襄州) 현산(峴山) 동산(洞山)
(23) 간성(杆城) : 변성(邊城) 수성(守城) 수성(水城) 열산(烈山)
(24) 삼척(三陟) : 실직(悉直) 척주(陟州) 진주(眞珠)
(25) 울진(蔚珍) : 선사(仙擄)
(26) 평해(平海) : 기성(箕城)
6. 황해도(黃海道)
(1) 금천(金川) : 굴갑(屈岬) 금릉(金陵) 강음(江陰) 강서(江西) 우봉(牛峰) 화산(花山)
(2) 백천(白川) : 도랍(刀臘) 치악성(雉岳城) 구택(?澤) 백주(白州) 개흥(開興) 중익(中翊) 복흥(復興) 은주(銀州)
(3) 토산(兎山) : 오사(烏斯) 월성(月城)
(4) 연안(延安) : 대곡(大谷) 영풍(永豊) 평주(平州) 연덕(延德) 동양(東陽) 염주(鹽州)
(5) 평산(平山) : 대곡(大谷) 영풍(永豊) 평주(平州) 연덕(延德) 동양(東陽)
(6) 서흥(瑞興) : 오곡(五谷) 오궐(五闕) 동주(洞州) 농서(?西) 서성(瑞城) 옥곡(玉谷)
(7) 신계(新溪) : 신은(新恩) 신성(新城) 단계(丹溪) 단계(檀溪) 담주(覃州) 협계(俠溪)
(8) 해주(海州) : 지성(池城) 장지(長池) 폭지(瀑池) 대녕(大寧) 안서(安西) 수양(首陽) 고죽(孤竹)
(9) 봉산(鳳山) : 휴암(?巖) 서암(棲巖) 지가(池可) 봉주(鳳州) 봉양(鳳陽)
(10) 곡산(谷山) : 고곡(古谷) 진서(鎭瑞) 영풍(永豊) 상산(象山)
(11) 수안(遂安) : 저색(猪塞) 장율(獐栗) 수주(遂州) 요산(遼山)
(12) 강령(康翎) : 영강(永康) 백령(白翎)
(13) 황주(黃州) : 동홀(冬忽) 취성(取城) 고녕(固寧) 제안(齊安) 용흥(龍興) 성성(聖城) 대룡(大龍) 동울(冬鬱)
(14) 대녕(戴寧) : 식성(息城) 한홀(漢忽) 중반(重盤) 안릉(安陵) 안풍(安風) 안주(安州)
(15) 신천(信川) : 승산(升山) 승주(升州) 화산(花山) 신주(信州) 신안(信安) 신성(信城)
(16) 옹진(甕津) : 옹촌(瓮川) 만진(萬津) 만진(萬珍)
(17) 송화(松禾) : 마경(麻耕) 청송(靑松) 가화(嘉禾) 영녕(永寧)
(18) 장연(長淵) : 장담(長潭) 연강(淵康)
(19) 문화(文化) : 유주(儒州) 시녕(始寧) 문성(文城) 궐구(闕口)
(20) 안악(安岳) : 양산(楊山) 양악(楊岳)
(21) 풍천(豊川) : 굴천(屈川) 풍주(豊州) 서하(西河) 성해(成海) 안주(安州)
(22) 은율(殷栗) : 율구(栗口) 율천(栗川)
(23) 장연(長連) : 장명(長命) 연풍(連豊) 장연(長延)
7. 평안도(平安道)
(1) 중화(中和) : 당악(唐岳)
(2) 평양(平壤)
(3) 순안(順安) : 평교(平郊) 순화(順和) 안정(安定)
(4) 강동(江東) : 송양(松壤)
(5) 함종(咸從) : 아산(牙山) 아선(牙善) 아성(牙城)
(6) 상원(祥原) : 토산(土山) 식달(息達) 금달(今達) 상산(祥山) 북산(北山)
(7) 영유(永柔) : 청계(淸溪) 영청(永淸) 영녕(永寧) 정수(定水)
(8) 자산(慈山) : 자모(慈母) 태안(太安) 자주(慈州) 문성(文城)
(9) 용강(龍岡) : 오산(烏山) 군악(軍岳) 황룡(黃龍) 용성(龍城)
(10) 증산(甑山) : 서하(西河)
(11) 삼등(三登) : 능성(能城) 양양(陽壤)
(12) 숙천(肅川) : 진원(鎭圓) 평원(平原) 숙주(肅州)
(13) 삼화(三和) : 우산(牛山)
(14) 은산(殷山) : 동창(同昌) 흥덕(興德) 경주(慶州)
(15) 순천(順川) : 정융(靜戎) 순주(順州)
(16) 성천(成川) : 졸본(卒本) 부여(夫餘) 다물(多勿) 송양(松壤) 성주(成州) 비류(沸流)
(17) 안주(安州) : 안릉(安陵) 밀성(密城) 식성(息城) 중반(重盤) 안비(安比) 팽원(彭原) 영주(寧州)
(18) 맹산(孟山) : 철성(鐵城) 철옹(鐵瓮) 맹주(孟州) 덕맹(德孟)
(19) 박천(博川) : 박릉(博陵) 박주(博州) 덕창(德昌)
(20) 영변(寧邊) : 밀운(密雲) 안삭(安朔) 연산(延山) 연주(延州) 무주(撫州) 무산(撫山)
(21) 개천(价川) : 연주(連州) 조양(朝陽) 익주(翼州) 안수(安水) 개주(价州)
(22) 가산(嘉山) : 신도(信都) 가주(嘉州) 무녕(撫寧)
(23) 영원(寧遠) : 영녕(永寧)
(24) 운산(雲山) : 운중(雲中) 달화(達化) 운양(雲陽) 위화(威化)
(25) 태천(泰川) : 광화(光和) 연삭(寧朔) 연삭(連朔) 태주(泰州)
(26) 덕천(德川) : 요원(遼原) 장덕(長德) 덕주(德州)
(27) 정주(定州) : 정원(定遠) 오천(烏川) 신안(新安)
(28) 곽산(郭山) : 장리(長利) 정양(定襄) 곽주(郭州)
(29) 구성(龜城) : 만년(萬年) 구주(龜州)
(30) 양덕(陽德) : 동양(東陽) 양춘(陽春) 양암(陽岩) 수덕(樹德)
(31) 선천(宣川) : 안화(安化) 통주(通州) 선주(宣州)
(32) 철산(鐵山) : 장녕(長寧) 동산(銅山) 철천(鐵川) 철주(鐵州)
(33) 희천(熙川) : 위성(威城) 청색(淸塞) 위주(威州)
(34) 용천(龍川) : 안흥(安興) 용주(龍州) 장흥(長興) 용만(龍巒)
(35) 삭주(朔州) : 영색(寧塞)
(36) 창성(昌城) : 장정(長靜) 창주(昌州) 니성(泥城)
(37) 의주(義州) : 화의(和義) 보주(保州) 포주(抱州) 파주(把州) 함신(咸新) 송산(松山) 용만(龍灣)
(38) 벽동(碧潼) : 벽단(碧團) 임토(林土) 음동(陰潼) 설성(雪城)
(39) 이산(理山) : 이주(理州) 초산(楚山)
(40) 위원(渭原) : 위성(渭城) 밀산(密山) 도한(都漢)
(41) 강계(江界) : 이언(伊彦) 석주(石州) 청원(淸源)
(42) 강서(江西) : 무학(舞鶴)
8. 함경도(咸鏡道)
(1) 안변(安邊) : 천성(淺城) 삭도(朔道) 등주(登州) 삭방(朔方) 학성(鶴城) 팔명(八名)
(2) 덕원(德源) : 천정(泉井) 의천(宜川) 의주(宜州) 덕주(德州) 동모(東牟) 의춘(宜春) 춘성(春城) 용주(湧洲)
(3) 문천(文川) : 매성(妹城) 문주(文州) 이균(伊均)
(4) 고원(高原) : 덕녕(德寧) 홍원(洪原) 고주(高州)
(5) 영흥(永興) : 박평(博平) 화주(和州) 장령(長嶺) 화녕(和寧) 역양(歷陽) 쌍성(雙城) 당문(唐文) 정변(靜邊)
(6) 정평(定平) : 선성(宣城) 천정(千丁) 중산(中山) 정주(定州)
(7) 함흥(咸興) : 함주(咸州) 흡란(洽蘭) 함평(咸平) 함산(咸山)
(8) 홍원(洪原) : 홍헌(洪獻) 홍배(洪背)
(9) 북청(北靑) : 삼철(三撤) 청주(靑州) 안북(安北) 청해(靑海)
(10) 이성(利城) : 이원(利原) 시리(時利) 다보(多甫) 아사(阿沙) 관성(觀城)
(11) 단천(端川) : 복주(福州) 증주(甑州) 단산(端山)
(12) 삼수(三水) : 삼강(三江)
(13) 길주(吉州) : 해양(海洋) 길성(吉城) 웅성(雄城) 양궁(洋弓) 한촌(漢村) 영주(英州)
(14) 명천(明川) : 명원(明原)
(15) 경성(鏡城) : 우농(于籠) 낭목(郞木) 즉고(卽古) 치성(雉城)
(16) 부녕(富寧) : 석막(石幕) 부거(富居) 영산(寧山)
(17) 무산(茂山) : 삼산(三山) 오대(鰲載)
(18) 회녕(會寧)
(19) 종성(鍾城) : 수주(愁州) 수성(愁城) 종산(鍾山)
(20) 온성(穩城) : 다온(多穩)
(21) 경원(慶源) : 공주(孔州) 광주(匡州) 추성(楸城)
(22) 경흥(慶興) : 공성(孔城) 공주(孔州) 예성(禮城) 광성(匡城)
(23) 영월(寧越) :
'죽산최씨... > 역사.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연표 [기원전~1945] (1) | 2023.07.16 |
---|---|
古朝鮮(고조선) 王儉朝鮮(단군왕검) (1) | 2022.12.17 |
신삼국사기 고구려본기 1-2. (0) | 2022.10.31 |
신삼국사기 고구려본기 3-4-5. (1) | 2022.10.31 |
한국의 창세 신화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