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 이야기

약용식물 ㅌ~ㅍ

Choi가이버 2023. 9. 11. 18:17

탄율수(炭栗樹):이팝나무
[기원]물푸레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Lindley et Paxton의 열매.
[생약명]탄율수(炭栗樹)
[이명]니팝나무, 니암나무, 뻣나무,
[효능]강장(强壯), 흥분(興奮), 익뇌(益腦), 건위(健胃), 활혈맥(活血脈)
[해설]기력이 감퇴되어 일어나는 수족마비에 활용된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이팝나무(Chinese fringe tree) Chionanthus retusa Lindley et Paxton
전라 남도, 경상 남도, 경기도 서해안의 선갑도 개울 근처에 나는 낙엽 교목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약간 난다. 키는 20m, 잎은 난형, 타원형, 길이 3-15cm, 폭 2.5-6cm, 가장자리는 보통 밋밋하며, 윗면
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 맥에 연한 갈색의 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피는데, 새가지 끝에 원뿔 모양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4개로 갈라
지고 꽃잎은 흰색이며 나비 3mm 정도이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7∼10mm이고 마디가 있다. 수술은 2개로서 화통(花筒)
에 붙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로서 타원형이고 검은 보라색이며 10∼11월에 익는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로
한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거나 땔감으로 쓰며, 목재는 염료재와 기구재로 사용한다. 민속적으로 보면 나무의 꽃피는
모습으로 그해 벼농사의 풍흉을 짐작했으며, 치성을 드리면 그해에 풍년이 든다고 믿어 신목으로 받들었다. 한국(중부
이남)·일본·타이완·중국에 분포한다. 관상적 가치가 풍부하며 잎은 바소꼴이고 꽃잎의 나비가 1∼1.5mm인 것을 긴잎이
팝나무(var. corena)라고 한다.
[효능/효과]기력이 감퇴되어 일어나는 수족마비에 활용된다.
[용도]관상용(정원수), 땔감용, 염료재, 기구제(목재), 약용(열매)

토아산(兎兒傘):우산나물
[기원]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Thunberg) maxim.(= Cacalia krameri Matsum.), 애기
우산나물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의 뿌리와 지상부.
[생약명]토아산(兎兒傘)
[이명]삿갓나물, 鬼兒傘(귀아산), Yabure-gasa
[성미]苦辛, 溫
[효능]거풍제습(祛風除濕), 해독활혈(解毒活血), 소종지통(消腫止痛)
[해설]
1.거풍습(祛風濕) 작용으로 인한 사지마비, 관절염, 요통, 타박상에 쓰고,
2.경부림프절염이나 종기에는 짓찧어서 붙인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Thunberg) maxim. (= Cacalia krameri Matsum.)
우리 나라 각처의 깊은 산 나무 밑에 나는 다년초. 키 60-90cm. 전체에 털이없고, 줄기는 곧게 섬. 잎은 대형, 방패
모양, 지름 35-40cm, 손바닥 모양으로 5-9갈래, 갈래는 끝이 날카롭고, 2회 2개씩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
뒷면은 흰색.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경생엽은 보통 2장, 잎자루가 짧고, 5갈래이다.
두상화는 흰색, 지름 8-10mm, 관상화로 되고, 두상화서가 원추상으로 늘어서며, 화축의 길이 3-10mm. 총포는 총
포편이 5장, 흰빛을 띤 자주색, 긴 타원상 피침형. 열매는 수과, 관모는 엷은 갈색. 염색체 수 2n=52.
개화기 : 6-10월 결실기 : 10-11월
[효능/효과]
거풍습작용으로 인한 사지마비, 관절염, 요통, 타박상에 쓰고, 경부림프절염이나 종기에는 짓찧어 붙인다.
[용도]식용(어린순), 약용(뿌리,지상부)
애기우산나물 Syneilesis aconitifolia
한국·중국·만주·아무르·우수리 등지에 분포하며 해발고도 400m 이하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70~120cm. 짧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자란다. 원줄기는 자줏빛을 띠며 가지가 없는데, 대개 2개의 잎이 달린다. 첫째 잎은 둥글고
길이 20~30cm의 방패 모양이며 7~9개로 길게 갈라진다.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어릴
때는 뒤로 젖혀지고 거미줄 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으나 자라면서 차츰 없어진다. 잎자루 길이는 10~16cm이다. 둘째 잎
은 약간 작으며 길이 12~24cm이고,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 꽃은 7~8월에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
다. 열매는 원통 모양의 수과(瘦果)로 백색 또는 적색의 관모가 있고 세로선이 있다.
[효능/효과]
1.거풍·해독·통증 완화에 효능이 있어 말려서 약재로 쓰기도 한다.
2.거풍습 작용으로 인한 사지마비, 관절염, 요통, 타박상에 쓴다.
3.경부림프절염이나 종기에는 짓찧어 붙인다.

파채:시금치
[기원]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 시금치 Spinacia oleracea Linne의 뿌리와 지상부.
[생약명]파채(?菜)
[성미]甘, 凉
[효능]양혈(養血), 지혈(止血), 염음(斂陰), 윤조(潤燥)
[해설]
1.코피, 대변 출혈, 괴혈병에 효과가 있고,
2.소갈로 물을 많이 먹을 때 쓰인다.
3.변비에 도움이 되고,
4.조혈과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고,
5.알코올 해독 작용이 있다.
[성분]
단백질 2g, 지방 0.2g, 탄수화물 2g, 조섬유 0.6g, 회분 2g 등과 amino acid, vitamin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에는 α-tocopherol, 6-hydroxymethyllumazin, xanthophyl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시금치(spinach) Spinacia oleracea
아시아 서남부 원산으로서 한국에는 조선 초기에 중국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이며 흔히 채소로 가꾼다. 높이 약
50cm이다. 뿌리는 육질이고 연한 붉은색이며 굵고 길다. 원줄기는 곧게 서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밑부분이 깊게 갈라지고 윗부분은 밋밋하다. 밑동의 잎은 긴 삼각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잎자루는 위로 갈수
록 점차 짧아진다.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5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수꽃은 수상꽃차례나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4개씩의 화피갈래
조각과 수술로 되어 있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3∼5개씩 모여 달리고 꽃밑에 화피 같은 작은포가 있으며 암술대는 4개
이다. 열매는 포과로서 작은포에 싸인 2개의 뿔이 있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뿌리에 달린 잎과 어린 부분을 나물로 먹는
다.
민간에서는 포기 전체를 주독이나 변비에 약으로 쓴다. 시금치는 일반적으로 종자의 형태에 따라서 유각종(var.
spinosa)과 환종(var. grobe)의 2변종으로 나눈다. 유각종은 동양종, 환종은 서양종을 많이 포함하며, 생김새나 성상에
서 뚜렷한 적응성의 차이를 보인다. 2종의 잡종계 품종도 일찍이 육성하였다. 생육적온은 15∼20℃이고 서늘한 기후에
서 잘 자라며 산성 토양에 매우 약하다. 유각종은 일반적으로 꽃이 빨리 피며 추위에 강하다. 형태는 가늘고 작으며 잎살
이 얇고 잎에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이 많으며 뿌리는 짙은 붉은빛이다. 환종은 대부분 식물체가 크고 잎살이 두꺼우며
추대가 늦다. 잎이 두껍고 잎에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이 적으며 뿌리의 붉은색도 엷다. 시금치 100g 중에는 철 33mg,
비타민A 2,600IU, B1 0.12mg, B2 0.03mg, C 100mg 과 비타민 K도 들어 있어, 중요한 보건식품이다. 데쳐서 나물을 무
쳐 먹거나 토장국을 끓여 먹는다.
[주요성분]
생잎은 조단백질 2.4%, 조섬유 0.4%, 회분 1.3%이다. 단백질은 동물선 단백질과 비슷하며 영양가가 높다. 특히 일
반 곡류에서 매우 부족되는 리신(lysine), 트립토판(trypto-phan), 메티오닌(methionine)이 많이 들어 있다. 또 엽산을
함유하고 비타민 A, C가많다. 무기질은 Ca 외에 Fe이 많아 조혈작용을 가진다. 유기산으로 수산(0.2~0.3%), 사과산,
구연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효능/효과]지혈, 소갈, 변비, 알코올 해독 등에 사용한다.
[기타]
겨울부터 봄까지 나물, 국거리, 기타 요리에 많이 쓰여진다. 삶으면 영양분의 손실이 많으므로 찌는 것이 좋다. 삶
거나 찔때 중조나 소금을 소량 넣고 가열하면 변색을 막아 선녹색을 지닐 수 있다. 또 남비 뚜껑을 열어 놓고 가열하면
유기산이 휘산되므로 황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팔선화(八仙花):수국
[기원]범의귀과의 갈잎떨기나무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Seringe for. otaksa Wilson의 뿌리, 잎, 꽃
[생약명]팔선화(八仙花)
[이명]자양화
[성미]苦微辛, 寒
[효능]학질(?疾), 심열경계(心熱驚悸), 번조(煩躁)
[해설]
1.학질을 치료하고,
2.심장이 허약해서 잘 놀라는 증상에 사용하다.
3.고환염(睾丸炎)에는 약물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한다.
[성분]alkaloid, rutin, daphnetin, umbelliferone, hydrangenol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1.학질 치료에 약침 제제로 효력을 보이며,
2.혈압 강하 작용,
3.심장 조율성 수축 증가 작용을 나타낸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수국( hydrangea)
Hydrangea macrophylla Seringe for. otaksa Wilson
우리나라 중부이남의 절이나 집에서 재배하는 낙엽관목이다. 키는 1m이고, 겨울 동안에 윗가지가 말라 죽는다. 잎
은 대생, 난형, 두껍고 광택이 나며 진녹색이다. 길이 7~15cm, 폭 5~10cm,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은 대형의 산방화서, 화서는 둥글고 지름 10~15cm이며 무성화이다. 꽃받침은 4~5장, 꽃잎모 양, 연한 자주색에서 푸른
색으로, 다시 연한 붉은색으로 된다. 꽃잎은 극히 소형으로 4~5장, 수술은 10개 정도이다.
[주요성분]
잎과 꽃에 항말라리아작용을 하는 알칼로이드가 있다. 꽃에 루틴 0.36%, 과당 3%, 포도당 2%, 뿌리에 다프네틴과
움벨리페론, 히드란게놀, 히드란그산, 루눌라르산이 있고, 잎페 히드란게놀 배당체, 페부리푸킨, 스킴민 등이 있다.
[효능/효과]
동의치료에서 꽃과 뿌리를 달여서 학질, 정혈제,심장병, 감기, 설사, 편도염, 해열제, 가슴두근거림, 고혈압 등의 치
료에 사용한다. 10∼15g을 달여서 학질에 먹는다. 또한 궤양성 피부염에 바르기도 한다.
[주의사항]
중독을 일으키는 주성분인 hydrangenol은 독성이 커서 과량 복용하면 구토를 일이킨다. 해독법: 구토, 설사 및 위
세척을 시킨 후 활성단을 사용하여 독물을 흡착시키며, 기타 대중요법을 실시한다.
[용도]관상용, 약용(뿌리, 잎, 꽃), 식용(어린잎)

편축(篇蓄) :마디풀
[기원]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Linne의 지상부.
[생약명]편축(篇蓄)
[이명]옥매듭, 돼지풀
[성미]苦, 微寒
[효능]이수통림(利水通淋), 살충(殺蟲), 지양(止痒)
[해설]
1.하초(下焦)의 습열을 내리므로 소변을 잘 못 보고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2.살충 작용이 있으므로 회충, 요충 제거에 다량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3.습열로 인해 나타난 옴이나 버짐 등에 내복하거나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한다.
4.습열로 인한 황달에도 유효하다.
[성분]avicularin, quercitin, d-catecholl, gallic acid, caffeic acid, oxalic acid, silic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1.흰쥐의 요(尿) 중 칼륨 배출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2.약물 달인 물과 약침 제제로 혈압을 내리고,
3.모종의 진균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1.급성세균성이질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1일 후 해열이 되었고, 4일 후에는 복통이 소실되고 설사가 멎었
으며 대변이 정상으로 되었다.
2.치통에 약물 50~10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2회로 나누어 복용하자 치료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Linne
북반구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하며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10~40cm 정도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말라도 빛깔이
변하지 않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거나 곧게 서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또는
줄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자루와의 사이에 마디가 있다. 잎집 모양의 턱잎은 막질이고 2개로 크게 갈라지고 다시 가늘게
갈라지며 가는 맥과 더불어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양성화로 6∼7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리며 꽃잎은 없다. 꽃받침은 녹색 바탕에 백색
또는 붉은빛이 돌며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6~8개이고 암술은 3개이며, 열매는 세모지며 화피보다 짧고 광택이 없으며
잔 점이 있다.
[주요성분]
전초에 탄닌질 약 3%, 쿠에프쩨틴, 켐페롤, 미리찌트린, 델피니딘, 이소람네틴, 루테올린, 쿠에르찌트린, 히페로시
드, 아비쿨라린 적은 량의 유리형 및 결합형에 모딘, 당분 2-3%, 아스코르빈산의 환원형 400-450mg%, 산화형 250-
300mg%, 랍이 있다. 플라보노이드배당체 가운데서 제일 많은 것은 아비쿨라린이다. 전초에는 규산이 약1% 있다. 그 가
운데서 약 0.2%는 물에 풀린다. 규산함량은 식물이 자라는 시기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지만 플라보노이드배당체는 꽃필
때 제일 높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플라보노이드로서 아비쿨라린과 쿠에르찌트린, 이소쿠에르찌트린, 레우노우트린, 히
페린, 루틴 등이 주성분이라고 한다. 당으로서는 람노즈, 크실로즈, 아라비노즈, 포도당, 갈락토즈 등이 확인되었다. 물
에 풀리는 다당류는 꽃봉오리때 6.8%, 꽃필 때 12% 이다. 다당류는 회분 17-20%, 우론산 46-48%, 포도당 4-8%, 갈락
토즈 23-26%, 아라비노즈 10-37%, 크실로즈 6-10%, 람노즈 22-33%로 이루어졌다. 또한 전초에는 카페산, 클로로겐
산, 싱아산, 탄닌질, 사포닌이 있으며 정유, 카로틴, 쿠마린인 스코폴레틴과 움벨리페론, 점액, 살리찔산, 글루코탄닌, 페
르시카리올, 휘발성 알칼로이드, 펙틴이 있다. 뿌리에는 옥시메틸안트라키논이 있다.
[효능/효과]
1.마디풀
유럽에서는 전초(全草)를 이뇨제, 지혈제, 신장 및 방광결석 ·소화기출혈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기관지천식에, 중
국에서는 민간약으로서 신장결석 ·방광결석 ·어린이 호열자 ·종기 ·치질 및 피부병에, 일본에서는 구충제, 황달 ·복통에
사용한다.
2.편축: 마디풀의 지상부.
하초의 습열을 내리므로 소변을 잘 못 보고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에 물은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살충 작용이 있으
므로 회충, 요충 제거에 다량을 물을 넣고 달려서 복용한다. 습열로 인해 나타난 옴이나 버짐 등에 내복하거나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한다. 습열로 인한 황달에도 유효하다.
[약리]
흰쥐의 요중 칼륨 배출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약물 달인 물과 약침 제제로 혈압을 내리고, 모종의 진균 억제 작용
을 나타낸다.
[용도]식용(어린잎, 어린순), 약용(지상부)

평과:사과나무
[기원]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 사과나무 Malus pumila miller의 열매.
[생약명]평과(?果)
[이명]임과(林果), 시과
[성미]甘, 凉
[효능]생진(生津), 윤폐(潤肺), 제번(除煩), 해서(解暑), 개위(開胃), 성주(醒酒)
[해설]
1.갈증을 그치게 하고,
2.폐의 호흡 기능을 활성화시키며,
3.위장의 소화력을 촉진시키고, 기운이 나게 한다.
4.알코올에 대한 분해 작용이 크다.
[성분]
탄수화물로, 이 중 대부분은 당이다. 특히 malic acid, quin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등과 방향 성분이 확인되었다.
[약리]
약침 제제를 정맥 주사 하였을 때에 혈당이 상승되는데, 그 이유는 포도당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사과나무 (apple tree)Malus pumila var. dulcissima
주요 과수의 하나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작은가지는 자주빛이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톱니가 있으며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 꽃이 잎과 함께 가지 끝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열매는 8∼9월에 익으며 많은 재배종이 있다. 사과속(屬) 식물은 유럽·아시아·북아메리카 대륙에 약 25종이 분포되어 있는데 재배의 기본 종은 유럽 중·서부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원생종 Malus sylvestris가 개량된 것이다. 사과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 사람들에 의하여 애용되었고 재배종은 유럽 전역에 전해졌다. 유럽에서 개량된 사과나무는 17세기에 미국에 전파되어 더욱 개량되어 사과나무재배는 미국의 주요산업으로 발전되었다.
동양에서는 중국에서 1세기경에 재배한 기록이 있으며 그 당시의 것은 능금[林檎]이라 불러 한국과 일본에 전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사과나무를 한국에서 최초로 심었던 사실이 기록으로 남은 것은 1884년부터이고 그 후 1901년 윤병수가 선교사를 통해 사과나무 묘목을 얻어 원산 부근에 과수원을 조성하여 좋은 성과를 얻은 것이 경제적 사과나무재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1906년 서울 뚝섬에 원예모범장을 개설하고 각종 개량 과수묘목을 들여올 때 사과나무를 많이 심었다. 그후 재배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8·15광복 후 한때 사과원의 황폐기가 있었으나 1960년대부터 농어민소득작물로 사과나무재배가 권장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왜성사과 재배와 우량품종의 도입, 재배기술의 향상에 힘입어 사과재배는 한국 과수의 주종을 이루었다.
[주요성분]
잎과 나무껍질에 디히드로갈콘인 플로리드진이 있다. 물분해하면 플로레틴과 글루코즈가 생긴다. 열매에는 사과산, 레몬산 등 유기산이 많고 포도당,서당 등 당질이 많다. 플리보노이드인 쿠에르세틴,히페린 등이 있다. 열매껍질에는 아미노산인 프롤린,히도록시프롤린,메틸히도록시프롤린 등이, 납성분으로 n-노나코잔 등이 있다. 씨에는 아미그달린과 기름이 있다.
[효능/효과]
열매로 사과산철엑스 또는 팅크를 만들어 빈혈증에 먹는다.

피마자
[기원]대극과의 한해살이풀 피마자(아주까리) Ricinus communis Linne의 종자.
[생약명]
피마자(?麻子) - 종자
피마엽(?麻葉) - 잎
피마유(?麻油) - 종자기름
피마근(?麻根) - 뿌리
[이명]아주까리, 비마자, 비마인, 대마자, 홍피마, 피마주, 피마자({피}麻子, Ricini Semen)
[성미]피마자: 甘辛, 平, 有毒
피마근: 微溫, 淡
[효능]
피마자: 소종발독(消腫拔毒), 사하통체(瀉下通滯)
피마엽: 각기(脚氣), 해천(咳喘) 음낭종통(陰囊腫痛)
피마근: 진정해경(鎭靜解痙), 거풍산어(祛風散瘀)
[해설]피마자는
1.종기 초기, 옴, 버짐, 악창, 경부림프절염에 짓찧어 환부에 붙이고,
2.변비에 효력이 신속하나 독성이 강하여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3.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 반신불수에 활용되며,
4.물이나 불에 데었을 때에도 조개껍데기가루와 같이 외용한다.
피마엽은
1.각기(脚氣),
2.고환염,
3.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4.종기와 악창에 환부에 붙여서 치료한다.
5.어린잎은 식용한다.
피마근은
1.파상풍에 쓰고,
2.간지에서 경련을 풀어 주고 진정 효과를 보인다.
3.풍습성으로 오는 사지동통을 치료하며,
4.타박상에도 쓰인다.
[성분]
피마자에는 지방유 40~50%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ricinine, ricin과 유독한 단백질 acidicricin, basicricin 등이다. 

피마엽에는 kaemferol-3-rutinoside, isoquercitrin, rut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피마근에는 methyltrane-2-decene-4, 6, 8-triynoate, 1-tridecene-3, 5, 7, 9, 11-pentyne, β-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피마자는 십이지장 내에서 지방을 분해시켜 설사를 일으키게 한다. 피마유는 1.복통과 설사를 유발시키며, 2.피부윤활 작용을 일으켜 피부염과 기타 피부병에 활용된다. 피마엽 약침액은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임상보고]피마자는
1.안면신경마비에 짓찧어서 기름을 제거한 다음 하악관절과 입가에 붙인다.
2.중독 증상으로 구토, 복통, 설사, 의식마비, 수족냉증, 동공산대를 일으키는데, 병원에서 응급 처치를 해야 한다.
피마근은
1.전간(癲癎)에 효험이 있고,
2.소아파상풍,
3.기관지폐렴, 뇌염에도 유효성을 나타냈다.
[주의사항]피마자는 독성이 강해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내용인용> 안덕균 교수의 한국본초도감
피마자(Castorbean) Ricinus communis Linne / Ricinus dicoccus Euphorbiaceae
대극과에 속하며, 인도, 소아시아, 북아프리카이며 재배작물로 들여와 전국 각처의 농가에서 흔히 심고 있는 귀화식물이다. 씨는 진드기 같고 잎은 삼(역삼, 마)과 비슷하여 이 식물을 피마자라 부르게 되었고, 씨를 피마자라고도 한다.
피마자 기름은 종자의 껍질을 벗기고 압착해서 짜낸 기름이다.
1년초, 높이 2m 안팎,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가 길고 방패모양이고 지름 30-100cm 이며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5-11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녹색 또는 갈색이 돌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황색 또는 홍자색이며 암수 한그루로서 원줄기 끝에 길이 20cm 정도의 총상화서가 발달하고 암꽃은 윗부분에 수꽃은 밑부분에 달린다. 수꽃은 꽃받침이 막질이며 5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다수이다. 암꽃은 꽃받침이 5갈래로 3실의 자방이 있고 암술대 3개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10월에 성숙되며 삭과는 3실이고 종자가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으며 겉에 가시가 있거나 없고 종자는 타원형이고 밋밋하고 암갈색 반점이 있다.
[주요성분]
씨에는 기름 30-50%와 단백질(약 26%)인 글로불린, 누클레오알부민, 글리코프로테인, 독성 알부민인 리찐(Ricin), 리파제 그리고 독성이 있는 알칼로이드인 리찌닌 (Ricinine)이 0.2% 있다. 기름의 80-85%는 리찌놀산의 글리세리드로 되었고 적은량의 9,10-디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글리세리드, 올레인산, 리놀레인산의 글리세리드가 섞여 있다. 

리찌놀레인을 산 또는 리파제로 물분해하면 리찌놀산이 생긴다. 이 물질은 선광성이 있고 200℃ 이상으로 덥히면 에난톨(헵틸알데히드)과 운데찔렌산으로 된 리찐은 기름을 짠 찌꺼기에 있는데 리찐D와 산성리찐, 염기성리찐으로 분리된다. 

리찐D는 당단백이며 493개의 아미노산과 23개의 당으로 이루어졌다. 씨껍질에는 루페올, 30-노르-루판-3β-올-20-온이 있다. 잎에는 주석산, 레몬산, 사과산, 코리달리스산과 루틴(약 0.2%), 쿠에르찌트린, 이소쿠에르찌트린, β-엘레오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코리라긴, 몰식자산, 시킴산이 있다. 코리라긴은 당에 몰식자산 3분자가 결합한 것이다. 씨에는 적은량의 찌토크롬C도 있다. 또한 리파제가 많아서 그 제조원료로 이용된다.
지방유 64~71%, ricin, ricin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Astragalin, beta-Amyrin, beta-Carotene (all-trans), 3-beta-Hydroxy-30-nor-lupan-20-one, beta-Sitosterol, Brassicasterol, Campesterol, Casbene, Casbene synthetase,  Chlorogenic acid, Chlorophyll A, Chlorophyll B, 6,8-Dihydroxy-3,4-dimethoxycoumarin, 6,7-Dihydroxy-8 methoxycoumarin, Enolase, Gallic acid, Glutamic acid, Hemagglutinin, Hyperoside
[효능/효과]
1. 종자를 피마자라 하며 종기, 결핵성경부림프선염, 옴 등의 치료에 외용하며 복수, 변비 등에 설사약으로 사용한다.
2. 한방에서 잎, 종자, 근부(根部)를 지혈, 맹장염, 타박상, 풍습, 변독, 통변, 패신, 각기, 부종, 종독, 외치, 피부병, 한열, 나력, 실음, 두통, 탕화상, 진통, 통경, 후중종, 난산, 중풍, 설사약, 소아소화불량, 적대, 악창, 태의불하, 개선 등에 약재로 쓴다. 또한 한방에서는 피마자기름을 하제로서 상습변비, 식중독, 급성 위장염, 이질 등에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 끝에 탈항이 되었을 때 아주까리 49개를 짓이겨 물로 반죽하여 덩어리를 만들어 정수리에 붙인다. 약품으로는 가향 피마자기름, 운데렌산, 운데씰렌산 아연 등이 있다.
[효능]
통규(通竅), 소종(消腫), 발독(拔毒), 통체(通滯), 통변(通便), 축수(逐水), 배농(排膿), 지통(止痛), 최생(催生), 낙포
(落胞)
[주치병증]
한열(寒熱) ,후비(喉痺) ,편풍(偏風) ,탕화상({탕}火傷) ,해수(咳嗽) ,부종(浮腫) ,비색(鼻塞) ,실음(失音) ,독종(毒腫) , 두풍(頭風) ,발황(發黃) ,이롱(耳聾) ,태의불하(胎衣不下) ,대변불통(大便不通) ,나력(나력), 나창(癩瘡) ,수징(水징),각기(脚氣) ,구금(口금) ,구안와사(口眼와斜)
[주의사항]
피마자유 및 박중에 독성이 강하나 열에 약한 ricin, ehrtjddms ricin보다 약한 alkaloid 독소인 ricinin, 일부 사람에게 심한 allergy성 증세를 일으키는 allergen이 함유되어 있다. 중독되면 인후 및 식도의 작열감, 구토, 복통, 설사, 경련 용혈, 간장 및 신장 손상,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해독법: 최토, 위세척 및 관장을 하여 독극물을 배출시킨다. 지방이 있는 음식을 금지하고 밀가루로 쑨 등을 먹어 위점막을 보호한다. 수혈, 수액 및 전해질을 공급하고 항리신(ricin) 혈청을 피하주사 한다.
[용도]공업용, 약용(종자), 식용(어린잎), 열매로 기름을 짜내고 윤활유, 포마드, 인쇄잉크, 인주(印朱)재료 피마자는 아주까리라고도 하는데 그 씨를 말하며 잎은 피마엽, 종자에서 짜낸 기름은 피마유 또는 피마자유 라고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조금 있고 식물성 기름 맛이 나며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며 독이 있다.[甘辛平有毒]
피마자는 염증을 제거하고 독을 뽑아내 변으로 내보내는 효능이 있어 종기 초기, 옴, 버짐, 악창, 경부림프절염, 변비,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장내적취에 쓰고 중풍의 구안와사, 반신불수, 화상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복통과 설사유발, 피부염 및 기타 피부병 치료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조금 편압된 구형으로 바깥 면에는 흑색이나 갈색 및 백색 무늬와 광택이 있다. 위쪽 끝의 뒷면에는 백색의 카룬쿨라(Caruncula)가 붙어 있으며 때로는 떨어진 것도 있다. 씨의 껍질은 얇고 안쪽에 기름이 많은 백색의 배유가 있다. <내용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약용식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용식물 ㅂ~  (0) 2023.09.11
약용식물 ㄷ~  (0) 2023.09.11
약용식물 ㅎ~  (0) 2023.09.11
약용식물 ㅊ~  (0) 2023.09.11
약용식물 ㅈ~  (0)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