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생전(楮生傳)-이첨(李詹)
生姓楮 名白 字無玷 會稽人也.
漢中常侍尙方令蔡倫之後.
生之生也 欲蘭湯 弄白璋 藉白茅 故濯濯也.
其同母弟凡十九人 皆與之親睦造次不失其序.
생(生)의 성은 저(楮)이고 이름은 백(白)이며, 자(字)는 무점(無玷)이고, 회계(會稽) 사람이다. 한(漢)나라 중상시(中常侍)4) 상방령(尙方令) 채륜(蔡倫)의 후손이다.
생은 태어날을 때 난초탕에서 목욕을 시켰고, 흰 구슬과 놀게 하였으며, 흰 띠로 꾸몄기 때문에 모습이 매우 깨끗하고 희었다.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생의 아우 는 모두 19명인데, 서로 화목하여서 잠시도 서로 떨어지지 않았다.
性本精潔 不喜武人.
樂與文士游 中山毛學士 其契友也.
每狎之 雖點汚其面 不拭也.
생은 본래 성질이 정결하여 무인(武人)을 좋아하지 않았다.
문사(文士)들만 사귀어 놀았는데, 그중에서도 중산(中山)의 모학사(毛學士)가 가까운 친구였다. 늘 친하게 놀아 비록 모학사가 생의 얼굴에 점을 찍으며 더럽혀 도 씻지 않았다.
學而通天地陰陽之理 達聖賢性命之源.
以至諸子百家之書 異端寂滅之敎 無不記識 徵之班班可見.
생은 천지(天地)와 음양(陰陽)의 이치를 통하는데 학문이 이르렀고, 성현(聖賢) 과 성명(性命)에 대한 근원까지 통달하였다. 심지어 제자백가(諸子百家)의 글 과 이단(異端), 적멸(寂滅)의 가르침에 이르기까지 기록하지 않은 것이 없어 서, 모두 알 수 있었다.
古今書契 多編竹簡 兼用繒帛 幷不便.
臣雖不腆 請以心胸代之 如其不效 請墨之.
한(漢)나라에서 책(策)으로 선비를 선발할 때, 생은 방정과(方正科)에 응시 하여 임금께 아뢰었다.
“옛날이나 지금의 글은 대나무 조각을 엮은 것에 쓰거나, 겸하여 흰 비단에 썼는 데, 모두 불편하옵니다. 신은 비록 두툼하지는 않으오나, 청하건대 댓조각이나 비단 을 대신하려 하오니, 만일 효과가 없거든 제 몸을 먹칠하옵소서.”
漢策士以方正應科 遂上言曰.
和帝使驗 果能強記 百無一失 方策可不用也.
於是褒拜楮國公皆荊刺史.
統萬宇軍 遂以封邑爲氏.
화제(和帝)가 사람을 시켜서 시험해 보니, 과연 글을 쓰기 편리하여 백에 하나도 놓침이 없어 댓조각이나 비단을 쓸 필요가 없었다.
이에 저(楮)에게 상을 내려, 저국공(楮國公) 백주자사(白州刺史)의 벼슬을 내렸다. 또 만자군(萬字軍)을 통솔케 하고 봉읍(封邑)으로 그의 성씨로 삼았다.
樹膚麻頭魚綱桑根四人亦同奏.
率以不克如奏免.
이것을 보고 나무껍질, 삼[麻], 고기 그물, 뽕나무 뿌리 네 사람이 자기들도 같이 써주기를 아뢰었다. 하지만 이들은 통하는 것이 완전하지 못하여 쫓겨나고 말 았다.
旣而學長生之術 不衝風雨 不食壁魚.
每於存 七日吸陽精祛塵埃 熏其衣而靜勝焉.
생은 마침내 오래 사는 술법을 배워, 비나 바람이 그 몸에 침입하지 못하고 좀이 먹히지 않게 하였다. 항상 7일이 되면 양기(陽氣)를 빨아들이고 먼지를 털며, 입은 옷을 볕에 쬐면서 조용히 거처하곤 하였다.
晉大沖作成都賦 生一見記誦人競傳寫.
雖雅相知 罕得接見.
後受王右軍墨蹟 而其稭法妙天下.
仕梁臣太子統同撰右文選 以傳于世.
진(晋)나라 좌태충(左太沖)이 ‘성도부(城都賦)’를 지으매, 생이 그 글을 한 번 보더니 이내 외워, 사람들이 다투어 베껴 쓰기도 하였다. 하지만 비록 평소에 서로 알던 이도 그를 만나봄이 드물었다.
뒤에 와서는 왕우군(王右軍)의 필적을 본받아서 해자(楷字)로 쓴 글씨가 천 하에서 가장 묘했다. 그는 다시 양(梁)나라 태자 통(統)을 섬겨 함께 함께 ‘고문 선( 古文選)’을 편찬하여 세상에 전했다.
承詔與魏收同修國史. 以收好惡不公 謂之穢史.
請辭願與蘇綽司考計帳.
詔許之 於是朱出墨入 綜覈明白.
人稱其能.
또 임금의 명을 받아 위수(魏收)와 함께 국사(國史)를 편찬하기도 했다. 하지만 위수가 칭찬하고 깎아내리는 것을 공정하게 하지 않았기에, 뒷날 이 역사서는 추한 책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에 생은 사직을 청하고, 소작(蘇綽)과 함께 장부나 기록하겠다고 아뢰었다.
임금이 이를 허락하자, 지출은 붉은 글씨로 쓰고, 수입은 먹으로 써서 분명하게 장부에 기록하였다. 이것을 보고 세상 사람들은 생의 재능을 칭찬하였다.
其後得幸於陳後主 常與狎客安學士輩 賦詩於臨春閣.
及隋軍度京口 陳將密啓告急.
生祕不開封 以此陳敗.
그런 뒤로 진(陳)나라 후주(後主)의 총애를 받게 되어 행신(幸臣) 여학사들 의 무리들과 함께 항상 임춘각(臨春閣)에서 시를 지었다.
이때 수(隋)나라 군사가 경구(京口)를 지나자, 진(陳)의 장수가 이를 비밀리에 임금에게 급히 알렸다. 그러나 생은 이것을 숨기고 봉한 것을 열어 보이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진나라는 수나라에 패하고 말았다.
大業間 與王胄薛道衛事煬 共吟庭草燕泥之句.
尋以帝不欲人出其右 遂見疏略 則卷而懷之.
대업(大業) 연간(年間)에 생은 왕주(王冑), 설도형(薛道衡)과 함께 양제 (煬帝)를 섬겨, 그들과 같이 정초(庭草), 연니(燕泥)의 글귀를 읊었다.
그러나 양제는 딴 사람이 자기보다 나은 것을 싫어했음으로 마침내 소박을 당해 뚤뚤 말아 품고 대궐을 나오고 말았다.
唐興 置弘文館 生以本官兼學士.
與褚遂良歐陽詢講論前古 倚㩁政事 以致貞觀之治.
당(唐)나라가 흥하여, 홍문관(弘文館)을 설치하자, 이에 생은 본관(本官)으로 학사(學士)를 겸하게 되었다.
자수량(楮遂良), 구양순(歐陽詢) 등과 함께 옛날 역사를 설명하며 토론하고, 나라의 모든 일을 서로 고찰하여 처리함으로써 ‘정관(貞觀)의 좋은 정치’를 이루 었다.
及宋 與濂洛諸儒 共闡文明之治.
司馬溫公方編資治通鑑 謂生爲博雅 每與資焉.
會王荊公用事 不喜春秋之學 指謂破爛朝報.
生不可 遂斥不用.
송(宋)나라에 이르자 염락(濂洛)의 여러 선비와 함께 문명(文明)의 좋은 정치 를 이룩하기도 했다.
사마온공(司馬溫公)이 바야흐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찬할 때, 생이 박 식하고 고상하다 해서, 늘 옆에 두고 물어서 썼다.
그때 마침 왕형공(王荊公)이 권세를 부려 “춘추(春秋)”의 학문을 가리켜 다 찢어진 조보(朝報)라 하여 좋아하지 않았다. 생이 이는 옳지 않다고 하였다가, 드디어 배척되어 쓰이지 못했다.
逮于元初 不務本業 惟商賈是習.
身帶錢貫 出入茶坊酒肆 校其分銖 人或鄙之.
원(元)나라 초기에, 생은 본업에 힘쓰지 않고 오직 장사만을 익혔다. 몸에 돈 꾸러미를 두르고, 찻집이나 술집을 드나들면서 한 푼의 이익만을 도모하니, 세상 사람들은 간혹 이를 비루하게 여겼다.
元亡仕于皇明 方見寵任.
其子孫甚衆 或世史氏 或門詩家.
草封禪 錄登庸 在官者知錢穀之數 從戎者記甲兵之功.
其職事雖有貴賤 而皆兼曠官之誚.
自以爲大夫之後 擧皆帶素云.
원나라가 망하자, 생은 다시 명(明)나라에서 벼슬을 하여 비로소 사랑을 받게 되 었다. 이로부터 자손이 번성하여, 혹은 대대로 역사를 맡아 쓰는 사씨(史氏)가 되기도 하고, 시가(詩家)의 일가를 이루기도 했다.
생이 발탁되자, 관직에 있는 자는 돈과 곡식의 수효를 알 수 있게 되었고, 군사에 관한 사무에 종사하는 자는 군대의 공로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이 맡은 일에는 비록 귀천이 있었으나, 모두 직무에 게을리한다는 비난은 없 었다. 대부(大夫)가 된 뒤부터 그들은 거의 다 흰 띠를 두르기 시작했다.
太史公曰.
武王克殷 封帝叔度於蔡 相紂子武庚 治殷遺民.
武王崩 成王少周公輔之 蔡叔流言於國 周公效之.
其子胡改行德 周公擧爲卿士 成王復封胡於新蔡 是爲蔡仲.
태사공(太史公)은 말한다.
무왕(武王)이 은(殷)나라를 이기자, 아우 숙도(叔度)를 채(蔡)땅에 봉하여 주(紂)의 아들 무경(武庚)을 도와서 은나라의 유민들을 다스리게 했다.
무왕이 죽자 성왕(成王)이 주나라를 다스리게 됐는데, 나이가 어려서 주공(周 公)이 이를 도왔다. 이때 채숙(蔡叔)이 나라 안에 근거 없는 풍설(風說)을 퍼뜨 리자 주공은 그를 귀양 보냈다.
그 아들 호(胡)는 과거의 행동을 고쳐서 덕을 닦으니, 주공은 그를 천거하여 높 은 벼슬에 썼다. 성왕은 다시 호(胡)를 신채(新蔡)로 봉했으니, 그가 곧 채중(蔡 仲)이었다.
其後楚共王虜哀侯以歸 以其不敬息夫大也.
蔡人立其子肸 是爲繆侯.
齊桓公以其不絶蔡女而 虜繆侯以歸.
繆侯卒 子甲午立.
楚靈王以靈侯父仇 故伏甲醉而殺之.
圍蔡滅之 乃求景侯少子廬立之 是爲平侯.
徙居下蔡 楚惠王復滅蔡齊侯 其後遂微.
그 뒤에 초(楚)나라 공왕(共王)이 애후(哀侯)를 잡아 돌아왔다. 그가 식부 인(息夫人)을 공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채(蔡)땅 사람들은 그 아들 힐(肸) 을 세웠는데, 그가 바로 무후(繆侯)다. 그런데 이번에는 제(齊)의 환공(桓公) 이 그가 채(蔡)땅의 여인과 헤어지지 않은 채, 다시 딴 곳에 장가갔다 해서 무후로 사로잡아 돌아왔다.
무후가 죽자 그 아들 갑오(甲午)가 섰다. 그러나 초(楚)의 영왕(靈王)이 영 후(靈侯)에게 아비의 원수를 갚으려고 군사를 매복하고 갑오에게 술을 먹여 죽 였다. 그리고 채(蔡)땅을 포위하고 멸한 다음에 경후(景侯)의 아들 여(廬)를 구 하여 세웠다. 그가 바로 평후(平侯)다.
이들은 그로부터 채나라 아래쪽으로 옮겨 살았다. 그 뒤에 초의 혜왕(楚惠王)74) 이 다시 채(蔡)땅의 제후들을 멸해서 그 뒤로는 마침내 쇠약해졌다.
嗚呼.
王者之後承世積厚德 以有國家
而其盛衰 氣化使然也.
蔡本周之同姓 介於國 橫被侵伐
延綿能不墜遺緖 至于漢末 遂以封邑邑 易其姓.
國變而爲家 家大而子孫滿天下者 若惟蔡氏之後見焉.
아아. 슬프다. 왕자(王者)의 후손들이 그 조상이 대대로 쌓은 두터운 덕으로 해서 국가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이 융성해지고 쇠약해지는 것은 모두 운명과 교화의 탓이었다.
채(蔡)는 본래 주(周)와 같은 성(姓)을 가지고 있었다. 이 나라는 양쪽 강국 사 이에 끼어 있어서 공연한 공격을 받아 왔다. 그러면서도 제법 오래 이어져 끊어지 지 않고 그 유업(遺業)를 떨어뜨리지 않아 한(漢)나라 말년에 이르러 드디어 봉읍 (封邑)을 받고 그 성을 바꾸게 되었다.(채(蔡)씨에서 저(楮)씨로 바뀜) 그러니 나라가 변해서 사사로운 집이 되고, 집이 커져서 그 자손이 천하에 가득 해지는 것을 채씨(蔡氏)의 후손에게서 볼 수 있는 것이다.
'말,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부전(興夫傳) (1) | 2022.11.24 |
---|---|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1) | 2022.11.24 |
화왕계(花王誡) (0) | 2022.11.23 |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 (1) | 2022.11.20 |
주생전(周生傳) (1) | 2022.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