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은 아래에 있습니다#
1 식사를 하던 대상자가 목을 움켜잡고 괴로운 표정을 지을 때 응급처치 방법은?
① 천천히 심호흡을 하도록 유도한다.
② 5 cm 깊이로 눌리도록 가슴을 압박한다.
③ 손가락을 입에 넣어 구토를 유발하여 음식물을 꺼낸다.
④ 편평한 바닥에 눕히고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확보한다.
⑤ 대상자를 뒤에서 안아 상복부를 후상방으로 힘차게 밀어 올린다.
2 대상자가 넘어져 발목에 통증이 있고 골절이 의심될 때 응급처치 방법은?
① 발을 움직이지 않게 한다.
② 튀어나온 뼈 부위를 압박한다.
③ 다리를 심장 아래로 내려 준다.
Ⓐ 압박붕대를 꽉 조이게 감아 준다.
⑤ 발목을 따뜻한 물수건으로 감싸 준다.
3 치매대상자가 약을 한꺼번에 많이 먹고 쓰러져 의식이 없을 때 대처 방법은?
① 물을 먹여 약물을 희석한다.
② 등을 두드려 구토를 유발한다.
③ 토사물을 모두 닦아서 변기에 버린다.
④ 찬 물수건으로 얼굴과 팔다리를 닦는다.
⑤ 먹고 남은 약이 든 병을 챙겨 병원에 간다.
4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대상자에게 시행하는 심폐소생술 단계로 옳은 것은?
① 반응확인→가슴압박→기도유지→인공호흡→도움요청
② 반응확인→가슴압박→인공호흡→기도유지→도움요청
③ 반응확인→도움요청→가슴압박→기도유지→인공호흡
④ 반응확인→기도유지→인공호흡→도움요청→가슴압박
⑤ 반응확인→인공호흡→도움요청→가슴압박→기도유지
5 대상자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약물복용 방법은?
① 고지혈증약을 물과 함께 복용한다.
② 고혈압약을 자몽주스와 함께 복용한다.
③ 철분제를 오렌지주스와 함께 복용한다.
④ 차광 보관된 니트로글리세린을 복용한다.
⑤ 가운데 절단선이 있는 알약을 잘라 복용한다.
6 계단에서 넘어진 대상자가 오른쪽 팔에 통증을 호소하며 부종과 출혈이 관찰될 때 응급처치 방법은?
① 진통제를 제공한다.
② 팔을 잡아 움직여 본다.
③ 통증 부위를 마사지한다.
④ 부종 부위에 온찜질을 한다.
⑤ 출혈 부위에 멸균거즈를 대고 지혈한다.
7 대상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왼쪽 빗장뼈 밑과 오른쪽 중간겨드랑선에 패드를 붙인다.
② 패드를 붙인 후 전원을 켠다.
③ 심장리듬 분석 중에는 인공호흡을 한다.
④ 제세동을 위한 충전 중에는 가슴압박을 한다.
⑤ 충격이 전달된 즉시 대상자의 반응과 호흡을 재확인 한다.
8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대상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분당 60회의 속도로 가슴을 압박한다.
② 얼굴을 옆으로 돌려 기도를 개방한다.
③ 양팔의 팔꿈치를 곧게 펴서 가슴을 압박한다.
④ 대상자의 가슴이 약 2 cm 눌릴 수 있게 살짝 압박한다.
⑤ 반응확인 → 가슴압박 → 도움요청 → 기도유지 순으로 실시한다.
9 손목 골절이 의심되는 대상자를 위한 응급처치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냉찜질을 한다.
② 손목을 움직여 보게 한다.
③ 튀어나온 뼈를 눌러 준다.hl2tci
④ 구부러진 손목관절은 펴 준다.
⑤ 손상부위는 심장보다 낮게 한다.
10 다음 중 가장 먼저 응급처치를 해야 하는 대상자는?
① 설사와 복통을 하는 대상자
② 운동 직후 혈압이 상승한 대상자
③ 손가락을 베어 출혈이 있는 대상자
④ 발목 염좌로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
⑤ 얼굴에 화상을 입어 호흡이 곤란한 대상자
11 심폐소생술을 할 때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심폐소생술 중 자동심장충격기가 도착하면 지체 없이 전원을 켠다.
② 패드는 대상자의 오른쪽 중간 겨드랑선과 왼쪽 중간 빗장뼈 밑에 붙인다.
③ 심장리듬 분석 중에는 가슴압박을 지속한다.
④ 쇼크버튼을 누르고 1분 후에 다시 가슴압박을 시작한다.
⑤ 심장리듬을 5분마다 자동분석 한다.
12 심폐소생술을 할 때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심장리듬을 분석한 후 패드를 부착한다.
② 왼쪽 빗장뼈와 오른쪽 젖꼭지 아래에 전극패드를 부착한다.
③ 분석 중이라는 음성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④ 쇼크 버튼을 누르기 전에 대상자에게서 손을 뗀다.
⑤ 제세동 시행 후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은 30 : 1의 비율로 한다.
13 다음 중 가장 먼저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하는 화상 대상자는?
① 코와 입술의 화상
② 어깨와 가슴의 화상
③ 무릎과 종아리의 화상
④ 손가락과 발가락의 화상
⑤ 엉덩이와 꼬리뼈 부위의 화상
14 대상자가 경련을 하며 쓰러졌을 때 응급처치 방법 으로 옳은 것은?
① 일으켜서 침대로 옮긴다.
② 머리 밑에 부드러운 것을 대어 준다.
③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확보해 준다.
④ 경련이 끝날 때까지 팔다리를 붙잡아 준다.
⑤ 혀를 깨물지 않게 입을 벌려 손수건을 물린다.
15 산책하던 대상자가 넘어져 손목 골절이 의심될 때 대처방법은?
① 온찜질을 해 준다.
② 압박붕대로 꽉 조여 준다.
③ 반지와 시계를 제거해 준다.
④ 손을 심장 위치보다 낮게 내리게 한다.
⑤ 손목이 움직이는지 돌려 보게 한다.
16 대상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 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명치 아래 부위를 압박한다.
② 양쪽 팔을 45° 정도 굽혀 압박한다.
③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압박한다.
④ 등 밑에 낮은 베개를 고인 후 압박한다.
⑤ 최대 3 cm 정도의 깊이로 가슴이 눌리게 압박한다.
17 대상자가 한꺼번에 많은 약물을 복용한 뒤 구토를 했을 때 대처방법은?
① 구토를 억제하는 약물을 제공한다.
② 남은 약을 가지고 대상자와 병원에 간다.
③ 옷을 느슨하게 하고 따뜻한 물을 먹인다.
④ 구토물을 즉시 치워 주위를 깨끗하게 한다.
⑤ 엎드려 고개를 옆으로 돌린 자세로 눕힌다.
18 재가 대상자의 집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 시키는 방법은?
① 똑바로 서서 이동하게 한다.
②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신속히 이동하게 한다.
③ 연기가 나는 경우 손으로 코를 막고 이동하게 한다.
④ 양손을 번갈아 벽을 짚어 가며 바깥으로 이동하게 한다.
⑤ 집 밖으로 나가기 어려우면 경량칸막이를 부수고 옆집으로 대피시킨다.
19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대피하는 방법 으로 옳은 것은?
① 마른 수건으로 입을 감싼다.
② 숨을 깊이 들이마시며 대피한다.
③ 화재장소의 반대 방향 비상구로 이동한다.
④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방화문을 열어 놓는다.
⑤ 허리를 펴고 양손으로 벽을 짚으며 이동한다.
20 홍수로 인해 수해가 발생했을 때 대처방법은?
① 가스밸브를 열어 개통상태를 점검한다.
② 물이 집 안으로 밀려오는 경우 모래주머니로 막는다.
③ 밀려온 물이 집 안에서 빠진 직후 전기차단기를 올린다.
④ 홍수로 밀려온 물에 몸이 젖은 경우 수건으로 닦는다.
⑤ 집 안의 물이 빠지고 나면 라이터를 사용하여 불을 켠다.
21 지진을 사전에 대비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가스밸브를 점검한 후에 열어 둔다.
② 무거운 그릇은 식탁 위에 놓아둔다.
③ 깨지기 쉬운 물건은 선반 위에 보관한다.
④ 응급처치 방법을 알아 두어 비상시에 대처한다.
⑤ 지진 안내방송을 하는 방송국의 위치를 확인한다.
22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한다.
② 연기로 앞이 보이지 않으면 그대로 서 있는다.
③ 바람이 불어오는 반대쪽에서 구조를 기다린다.
④ 코와 입을 감싸고 최대한 자세를 높여 이동한다.
⑤ 방향을 알기 힘들 때에는 계속 한쪽 손으로 벽을 짚으면서 나간다.
23 재가대상자의 가정에 정전이 발생했을 때 대처 방법은?
① 욕조에 물을 받아 둔다.
② 누전차단기를 즉시 교체한다.
③ 두 손으로 벽을 짚으며 밖으로 나간다.
④ 정전으로 해동된 식품은 다시 냉동한다.
⑤ 전기가 복구된 후에 가전제품 플러그를 콘센트에 하나씩 꽂는다.
24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처방법은?
① 창문을 열고 환기한다.
② 흔들리는 동안 탁자 위에 엎드린다.
③ 운동장 같은 넓은 공간으로 대피한다.
④ 흔들림이 멈추면 바로 전기를 사용한다.
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신속히 밖으로 나간다.
#정답#
1 식사를 하던 대상자가 목을 움켜잡고 괴로운 표정을 지을 때 응급처치 방법은?
⑤ 대상자를 뒤에서 안아 상복부를 후상방으로 힘차게 밀어 올린다.
2 대상자가 넘어져 발목에 통증이 있고 골절이 의심될 때 응급처치 방법은?
① 발을 움직이지 않게 한다.
3 치매대상자가 약을 한꺼번에 많이 먹고 쓰러져 의식이 없을 때 대처 방법은?
⑤ 먹고 남은 약이 든 병을 챙겨 병원에 간다.
4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대상자에게 시행하는 심폐소생술 단계로 옳은 것은?
③ 반응확인→도움요청→가슴압박→기도유지→인공호흡
5 대상자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약물복용 방법은?
② 고혈압약을 자몽주스와 함께 복용한다.
6 계단에서 넘어진 대상자가 오른쪽 팔에 통증을 호소하며 부종과 출혈이 관찰될 때 응급처치 방법은?
⑤ 출혈 부위에 멸균거즈를 대고 지혈한다.
7 대상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⑤ 충격이 전달된 즉시 대상자의 반응과 호흡을 재확인 한다.
8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대상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③ 양팔의 팔꿈치를 곧게 펴서 가슴을 압박한다.
9 손목 골절이 의심되는 대상자를 위한 응급처치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② 손목을 움직여 보게 한다.
10 다음 중 가장 먼저 응급처치를 해야 하는 대상자는?
⑤ 얼굴에 화상을 입어 호흡이 곤란한 대상자
11 심폐소생술을 할 때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심폐소생술 중 자동심장충격기가 도착하면 지체 없이 전원을 켠다.
12 심폐소생술을 할 때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④ 쇼크 버튼을 누르기 전에 대상자에게서 손을 뗀다.
13 다음 중 가장 먼저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하는 화상 대상자는?
① 코와 입술의 화상
14 대상자가 경련을 하며 쓰러졌을 때 응급처치 방법 으로 옳은 것은?
② 머리 밑에 부드러운 것을 대어 준다.
15 산책하던 대상자가 넘어져 손목 골절이 의심될 때 대처방법은?
③ 반지와 시계를 제거해 준다.
16 대상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 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③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압박한다.
17 대상자가 한꺼번에 많은 약물을 복용한 뒤 구토를 했을 때 대처방법은?
② 남은 약을 가지고 대상자와 병원에 간다.
18 재가 대상자의 집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 시키는 방법은?
⑤ 집 밖으로 나가기 어려우면 경량칸막이를 부수고 옆집으로 대피시킨다.
19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대피하는 방법 으로 옳은 것은?
③ 화재장소의 반대 방향 비상구로 이동한다.
20 홍수로 인해 수해가 발생했을 때 대처방법은?
② 물이 집 안으로 밀려오는 경우 모래주머니로 막는다.
21 지진을 사전에 대비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④ 응급처치 방법을 알아 두어 비상시에 대처한다.
22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⑤ 방향을 알기 힘들 때에는 계속 한쪽 손으로 벽을 짚으면서 나간다.
23 재가대상자의 가정에 정전이 발생했을 때 대처 방법은?
⑤ 전기가 복구된 후에 가전제품 플러그를 콘센트에 하나씩 꽂는다.
24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처방법은?
③ 운동장 같은 넓은 공간으로 대피한다.
'요양보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변』기출문제 모음 (0) | 2022.10.06 |
---|---|
『기록,임종』기출문제 모음 (1) | 2022.10.06 |
『치매』기출문제 모음 (5) | 2022.10.06 |
요양보호사 요점정리 (교육수강중 메모) (4) | 2022.10.06 |
제3장 7.응급상황 대처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