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렵면허 1종 - 2종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조치-응급처치 요령

Choi가이버 2025. 2. 10. 22:02

수렵면허시험 문제은행(2023/10)에서 옮긴글 입니다.

2025년도(상) 응시접수 2.24 ~ 2.26. 시험 3.29.(토) 10:00~11:40.

2025년도(하) 응시접수 6.2. ~6.4.  시험 7.5.(토) 10:00~11:40


【1】 사람이 갑자기 쓰러져 의식을 잃은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쓰러진 사람의 의식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① 한손을 환자의 이마에 살짝 얹어 머리를 뒤로 젖힌다.
② 구조자는 현장을 떠나지 않고 환자 상태를 파악한다.
③ 환자의 자세는 그대로 유지하되 필요시 자세를 교정한다.
● 가볍게 어깨를 두드리며 큰 소리로 “괜찮습니까?”하고 묻는다.

【2】 응급환자 중 따뜻한 물이나 음료수 등을 주어도 괜찮다고 할 수 있는 경우는?
● 의식이 있는 환자
② 출혈이 멈추지 않는 환자
③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
④ 환자가 의식이 희미한 경우

【3】 응급환자 환자 운반법에 관한 설명이다. 응급환자를 2인이 운반하는 방법의 종류로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옷 잡고 끌기
② 양팔운반
③ 의자운반
④ 독일식운반

【4】 긴급한 경우 야외에서 응급환자 후송을 위해 들 것 대용품을 만들어야 할 때 그 방법으로  가장 부적당 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담요와 막대기로 들 것 만들기
② 상의와 막대기로 들 것 만들기
③ 담요로 들 것 만들기
● 신문지와 막대기로 들 것 만들기

【5】 수렵도중 낙상사고로 발생한 응급환자를 들것에 싣고 이동할 때 들것의 진행방향에 대한설명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평지에서는 환자의 발 방향으로 진행한다.
● 언덕에서 내려올 때는 머리 방향으로 진행한다.
③ 구급차에 탑승시킬 때는 머리 방향으로 진행한다.
④ 계단을 오를 땐 머리 방향으로 진행한다.

【6】 높은 곳에서 떨어져 추락하여 발생한 환자를 운반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그 중 1인 운반법의 종류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부축하기
● 의자에 앉혀 운반
③ 안기
④ 업기

【7】 갑자기 발생한 출혈환자에 대한 응급처치에 관한 설명 중 압박지혈(직접압박)에 대한 것 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거즈나 깨끗한 헝겊을 두껍게 접어 상처부위를 직접 누른다.
② 출혈이 심하면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한다.
● 손상된 곳과 심장 사이에서 뼈 가까이 지나는 곳의 동맥을 압박한다.
④ 출혈이 심하고 지혈이 안 될 때 유용한 방법이다.

【8】 기도폐쇄의 종류 중 완전기도폐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호흡이 잘 안 되는 부분 기도폐쇄는 완전 기도폐쇄로 보지 않는다.
● 환자 스스로 이물질을 뱉어내려 하지 못하고 기침을 세게 하지 못한다.
③ 환자는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목을 움켜쥐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④ 말을 할 수 있고 호흡이나 기침도 할 수 있다.

【9】 의식불명으로 호흡을 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위해 심장압박을 할 경우 압박위치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젖꼭지와 젖꼭지 사이 가슴 정중앙을 찾는다.
② 가슴 정중앙에 한 손을 올려놓고 그 손위에 다른 쪽 손을 포개어 놓는다.
● 젖꼭지와 젖꼭지 사이 정중앙 밑에 있는 명치를 압박한다.
④ 팔을 곧게 펴서 환자의 압박부위와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한다.

【10】 환자의 의식이 돌아왔다가 다시 없어진 경우 응급조치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입안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② 기도열기와 호흡을 확인한다.
③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 의식이 돌아올 때까지 계속 말을 건네 본다.

【11】 기도폐쇄 된 환자의 의식이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즉시 이물질을 제거하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② 이물질에 의해 기도가 막혔을 경우 말, 기침, 호흡여부를 확인한다.
③ 환자에게 기침을 하도록 유도한다.
④ 환자를 뒤에서 감싸 안고 배를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당기듯이 밀쳐 올린다.

【12】 돌발적인 사고로 인해 심장이 정지된 환자에 대한 조치요령으로 가장 올 바르다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가슴을 분당 100회의 속도로 계속하여 100회를 압박한다.
② 혈액순환 등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때까지 확인한다.
③ 환자가 회복되거나 전문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
● 호흡, 기침, 손발의 움직임이 전혀 없으면 바로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13】 수렵 중 발생한 안전사고로 발생한 응급환자를 운반하기 위한 준비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② 환자의 보온상태 유지
● 환자에게 충분한 음료 공급
④ 목적지 선정 및 안전한 이송경로 결정

【14】 부상 등으로 급박한 상황에 처한 응급환자에 대한 인공호흡 요령 설명이다. 응급으로 취할 수 있는 처치 방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린다.
② 환자의 코에 구조자의 귀를 대고 가슴의 오르내림을 지켜본다.
③ 숨을 불어넣는 사이에 구조자는 호흡을 한다.
● 인공호흡을 하는 동안 구조자는 숨을 참는다.

【15】 야외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로 발생한 응급환자를 운반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환자의 부상의 정도
② 신속한 이송의 필요성
③ 안전사고의 경위 및 종류
● 환자의 정신연령

【16】 긴급하게 응급환자 이송이 필요할 경우 주의사항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응급처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환자를 운반한다.
● 들것이나 구급차가 없으면 운반할 수 없다.
③ 환자 운반 시 2차 부상과 고통을 주어서는 안 된다.
④ 산불, 폭발위험 등 급박한 위험에서는 환자이송을 신중하게 판단한다.

【17】 겨울철에 발생할 수 있는 동상의 증상에 대한 설명이다. 동상의 증상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얼굴이 붉어지고 잦은 소변을 본다.
② 동상은 상대적으로 통증이 약하다.
③ 동상 부위에 피하출혈과 괴저가 나타난다.
④ 손과 발의 동상은 비교적 자각증세가 약하다.

【18】 겨울철 혹한기에 발생할 수 있는 동상의 원인에 대한 설명이다. 동상 발생의 원인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찬 공기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다.
② 자기 보온을 제대로 못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③ 추운 곳에서 혈액순환 장애 시 위험성이 크다.
● 지나친 담배 흡연이 원인이 될 수 있다.

【19】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독극물 복용환자에 대한 처치요령이다. 독극물 복용환자를 처치하는 요령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농약 등 독극물이 눈, 피부에 묻었을 경우에는 신속히 씻어낸다.
② 농약 등 독극물을 삼켰을 경우 구토를 유발시킨다.
③ 독극물을 삼켜 호흡곤란 징후가 보이면 산소를 공급한다.
● 복용한 독극물은 신속하게 땅에 묻고 병원으로 이송한다.

【20】 노상에서 광견병에 걸린 동물에게 물렸을 때 취해야 하는 응급처치법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동물을 잡아 발작 증세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② 동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③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 뜨거운 물에 상처 부위를 담근다.

【21】 갑자기 발생한 쇼크환자의 증상에 관한 설명이다. 쇼크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얼굴이 창백해진다.
② 식은땀이 나며 현기증을 일으킨다.
③ 메스꺼움을 느끼며 구토나 헛구역질을 한다.
● 심하면 장기의 손상도 가져온다.

【22】 여름철 또는 가을철 등에 산이나 들에서 벌레에 물리거나 벌에 쏘인 사람에 대한 응급처치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암모니아수나 증류수를 상처부위에 바른다.
② 상처부위를 깨끗이 소독한다.
③ 알레르기 반응이 있으면 병원에 간다.
● 온찜질을 통해 혈액순환을 돕는다.

【23】 가을철에 산에서 독이 있는 살모사 등의 뱀에 물렸을 때 신속하게 취해야 하는 응급처치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온찜질을 한다.
② 상처부위에서 몸에 가까운 쪽을 압박한다.
③ 상처를 심장보다 낮게 한다.
④ 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24】 들이나 산에서 독이 있는 독사 등의 뱀에 물렸을 때의 취하야 하는 응급처치에 관한 설명이다. 이중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로서 타당한 것은?
① 상처 절개    
● 상처를 심장보다 낮게
③ 냉찜질       
④ 깨끗이 소독

【25】 낙상 등으로 발생한 골반골절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환자가 편하게 느끼는 자세가 되도록 도와준다.
② 과다 출혈의 위험이 있다.
● 온찜질을 하면 효과적이다.
④ 충격이 적도록 처치를 한다.

【26】 겨울철 눈길에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발생할 수 있는 대퇴부 골절 환자에 대한 설명이다. 대퇴부 환자의 증상 및 상태 등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확인이 곤란할 때가 많다.
② 누운 상태에서 발뒤꿈치를 들지 못한다.
● 뼈를 연결하는 인대와 관절낭이 파손된 상태다.
④ 발이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비틀어져 발을 세우지 못한다.

【27】 사전 준비운동 부족이나 무리한 운동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탈구에 대한 응급처치법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부상당한 부위를 될 수 있는 한 편하게 한다.
② 냉찜질을 하면 고통경감에 도움이 된다.
③ 충격에 대비한 응급처치를 한다.
● 전문 의료진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바로잡을 수 있다.

【28】 인대 등 관절조직이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파열된 상태인 염좌의 응급처치법 설명이다. 염좌  에 대한 응급처치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염좌 된 부위를 높이 올린다.
② 냉찜질은 도움이 된다.
③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받을 때까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 발목 염좌 부상자는 가능하다면 걸어 보도록 한다.

【29】 머리나 척추의 골절환자에 대한 처치 요령에 대한 설명이다. 골절환자 발생 시 취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행동은?
① 수시로 의식 및 호흡을 확인하고 기도 확보에 힘쓴다.
② 환자의 체온유지 및 보온에 신경을 쓴다.
● 통증이 심하더라도 구부러진 부위를 곧게 편다.
④ 머리, 목 등의 움직임을 최소화 한다.

【30】 쇄골 골절 환자의 증상 및 상태에 대한 설명이다. 쇄골골절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부상당한 쪽의 팔을 어깨 위로 쳐들지 못한다.
② 부상당한 쪽의 어깨가 다른 쪽의 어깨보다 낮아진다.
③ 어깨를 대고 추락했거나 손을 앞으로 짚고 넘어졌을 때 발생한다.
● 누운 상태에서 발뒤꿈치를 들지 못한다.

【31】 응급상황 발생 시 현장조사 및 조치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구조자 자신의 위험은 고려하지 아니한다.
② 피해자의 인적사항을 확인한다.
③ 현장상황 파악은 경찰에게 맡긴다.
● 피해자에게 위험이 계속될 것인지 파악해야 한다.

【32】 응급상황 발생 시 현장 상황판단에 관한 설명이다. 현장판단 요령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피해자의 가족관계를 파악한다.
● 침착하고 신속하게 응급여부를 파악한다.
③ 긴급 구조 요청을 우선 한다.
④ 피해자의 주소지를 확인한다.

【33】 응급상황 발생 시 구조자의 현장상황 판단요령에 관한 설명이다. 현장상황 판단에 있어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현장 상황은 침착하되 신속하게 파악한다.
② 구조자에게 위험이 계속될 것인지 파악한다.
③ 구조자 자신이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한다.
● 피해자의 인적사항을 먼저 확인한다.

【34】 응급사고 발생 현장에서 구조요원이 취해야 할 안전조치에 관한 설명이다. 안전조치 요령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피해자의 부상상태를 확인한다.
② 피해자를 위험지역으로부터 피신시킨다.
● 구조자는 자신의 위험을 무릅쓰고 헌신적으로 조치한다.
④ 가급적 빨리 구조요청을 한다.

【35】 사고현장에서 취해야 하는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이다. 응급상황 발생 시 구조요원이 취해야 할 현장 조치요령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긴박한 상황에서도 구조자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
② 응급처치 시 사전에 보호자 또는 당사자의 동의를 얻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③ 당황하거나 흥분하지 말고 침착하게 사고의 정도와 환자의 모든 상태를 확인한다.
● 환자의 손상에 대한 처치는 불확실하더라도 우선 조치한다.

【36】 구조자의 응급현장 상황파악 및 조치에 관한 설명이다. 구조자가 현장에서 취해야 하는 현장조치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신고자는 사고현장을 보존하여야 한다.
② 사고현장에 외부인의 통제장치를 설치한다.
③ 사고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여야 한다.
● 구조자나 신고자의 위험도 살펴야 한다.

【37】 응급상황 발생 현장에서 구조신고에 우선 포함시켜야 할 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환자의 부상상태는 어떠한가?
②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③ 연락 가능한 신고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위

【38】 응급상황 발생현장에서 구조신고 시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사고의 종류와 피해 규모
● 사고현장에 오게 된 동기
③ 환자의 부상상태
④ 응급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장소

【39】 골절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및 이송 시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골절은 출혈과 관계가 전혀 없다.
② 직접 이송 또는 전문구조대 이송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③ 충격에 대비한 처치를 시행한다.
④ 이송 중 30분에 한 번씩은 혈액순환을 확인한다.

【40】 사고 현장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구조신고를 할 때 포함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피해자의 부상상태
② 사고의 정확한 장소
③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구조자의 건강상태

【41】 수렵 중 발생한 안전사고 현장에서 응급구조신고를 한 후 환자를 돌보는 요령에 관한 설명이다. 환자에 대한 조치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행동은?
① 환자를 안심시키며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② 환자의 호흡과 의식을 확인한다.
● 환자가 목마름을 느끼면 물을 섭취하게 한다.
④ 필요한 처치를 한 후 2차 손상을 방지한다.

【42】 응급처치 시 부상자의 질병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치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부상자의 상처부위에 와 직접적인 접촉을 피한다.
② 인공호흡 시 보조기구를 사용한다.
③ 피로 더럽혀진 물건은 만지지 않는다.
● 장갑 등의 보조장구를 사용한 경우 손을 씻지 않아도 된다.

【43】 수렵현장에서 안전사고로 발생한 의식이 없는 응급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요령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도가 열려있는지를 확인한다.
② 숨을 쉬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 몸에 상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④ 심한 출혈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44】 안전사고로 발생한 응급환자에 대한 위험진단 요령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환자의 출혈상태를 확인한다.
● 환자의 피부상태를 살펴본다.
③ 환자가 호흡상태를 살펴본다.
④ 환자의 의식상태를 확인한다.

【45】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발생한 응급환자의 위험진단에 관한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행동은?
① 동공의 반응 등 의식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② 환자의 호흡을 확인한다.
③ 맥박 등을 통해 심장 박동 유무를 판단한다.
● 환자의 가족 또는 전화번호를 확인, 연락한다.

【46】 사고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할 때 그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전문구조요원이나 의사에게 인도하기 전까지 한다.
② 생사판정은 하지 않는다.
③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권유한다.
● 원칙적으로 의약품을 사용해도 된다.

【47】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구조 신고를 할 때 신고자가 직접 확인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호흡
● 골절
③ 의식
④ 맥박

【48】 안전사고 현장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에 대하여 구조요원이 위험진단을 할 때 진단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호흡 : 숨을 편안하게 쉬고 있는지 여부
② 맥박 : 심장의 박동여부
● 식도 :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
④ 의식 : 환자의 의식이 있는지 여부

【49】 응급환자의 의식유무를 확인하는 반응검사 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반응검사항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소리반응
② 자극반응
③ 동공반응
● 자각반응

【50】 응급환자의 의식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방법 중의 하나인 반응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것은?
① 맥박반응
② 기도반응
③ 미세반응
● 동공반응

【51】 수렵 중 발생한 안전사고 현장에서 환자가 도움받기를 거부할 경우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는가?
① 강제로 도와준다.
② 그냥 기다려 본다.
● 물러나서 신고하고 지켜본다.
④ 신고만 하고 자리를 뜬다.

【52】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필요한 조치요령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① 응급처치 → 현장상황 판단 → 구조요청
● 현장상황 판단 → 구조요청 → 응급처치
③ 구조요청 → 응급처치 → 현장상황 판단
④ 현장상황 판단 → 응급처치 → 구조신고

【53】 안전사고 현장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의 호흡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자의 호흡 판단방법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 환자에게 심호흡을 해 보도록 요구한다.
② 환자의 숨소리로 호흡여부를 판단한다.
③ 환자의 코와 입에 귀를 대고 바람소리로 확인한다.
④ 규칙적인 가슴의 상하 움직임이 있는지 확인한다.

【54】 응급환자의 심장상태를 판단하는 요령을 설명한 것이다. 심장상태 판단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호흡여부로 판단한다.
② 출혈상태로 판단한다.
● 맥박상태로 판단한다.
④ 안면홍조 상태로 판단한다.

【55】 사고현장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의 맥박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손목의 동맥을 손끝으로 맥 확인
② 목젖 바깥쪽 경동맥을 손끝으로 확인
③ 환자의 가슴에 귀를 대고 박동 확인
● 1분 동안의 환자의 숨소리로 확인

【56】 사람의 신체에서 맥박을 체크할 수 있는 곳에 해당하는 부위로 올바른 곳은?
① 손가락
● 손목
③ 발목
④ 발등

【57】 골절환자가 발생한 경우 부목을 이용하여 손상부위를 고정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부목이용 이유로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부상악화 방지
② 고통을 경감하기 위함
● 부러진 뼈를 바로 맞추기 위함
④ 전신 또는 신체 일부분의 고정

【58】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출혈 환자가 발생한 경우 응급조치 요령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출혈 상태에 따라 응급조치 순서를 결정한다.
② 출혈이 심하면 지혈을 우선한다.
● 출혈이 심하면 우선 혈액순환 상태를 확인한다.
④ 출혈이 소량이면 심장에 대한 처치를 먼저 시행한다.

【59】 골절 환자의 일반적인 증상 및 골절 진단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부상자의 진술
② 통증, 부종, 운동 상태
③ 복합골절의 경우 상처 동반, 심한 출혈
● 상처부위를 만지거나 움직여서 골절 유무 확인

【60】 수렵인이 응급처치법을 알아야 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환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다.
② 적절한 처치로써 부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③ 위급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 자기 또는 타인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61】 수렵인이 응급처치법을 알아야 할 필요성과 그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우발적 총기안전사고 대비
● 수렵장 내 의료시설의 부족
③ 의료진 도착할 때까지 상태악화 방지
④ 무리한 활동으로 인한 병리적 질병 대비

【62】 사고 현장에서 발생한 의식불명 환자에 대하여 인공호흡 할 때 가장 먼저 취해야  할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환자의 얼굴을 두드려 이물질 제거
② 입을 막은 후 콧속으로 호흡을 불어넣기
● 머리를 젖히고 입 안의 이물질 제거
④ 엎드리게 하여 등을 힘차게 눌러 이물질 제거

【63】 심장 발작증상에 관한 설명이다. 심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가장 뚜렷한 증상에 해당하는 것은?
① 다리가 쿡쿡 쑤시는 증상
② 빈번한 두통
● 가슴이 불편하거나 통증을 느낌
④ 호흡이 가빠지고 힘든 운동 후에 땀을 흘림.

【64】 급박한 응급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에 관한 설명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호흡이 정지된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조치이다.
② 심장이 정지된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조치이다.
③ 심장을 압박하여 혈액을 순환시키는 응급조치이다.
● 호흡기를 압박하여 의식을 회복시키는 응급조치이다.

【65】 수렵을 하던 중 산속에서 부주의로 넘어진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경우 골절 증상 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부위를 만지거나 누르면 상당한 통증을 느낄 때
② 서있을 때 기형 또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느낄 때
③ 몸을 움직일 때 상당한 통증을 느낄 때
● 극심한 두통 등의 진통이 수반되고 있을 때

【66】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 환자의 골절 의심 증상으로 올바른 것은?
① 토사광란 증세가 있을 때
② 흑색으로 변한 피부색
● 부종과 피하출혈이 있을 때
④ 부자연스런 언행

【67】 골절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관절형태의 이상 등으로 골절을 판단한다.
② 골절 또는 손상 부위의 운동을 제한한다.
③ 부목 처치 후 병원으로 후송한다.
● 골절 부위에 소염제를 바르고 마사지한다.

【68】 골절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구급차가 올 때까지 부목처리를 한 채 대기한다.
② 골절 의심이 있는 손상부위를 건드리면 안 된다.
● 골절 환자의 가벼운 운동은 통증을 줄여 준다.
④ 골절 의심이 있는 손상부위를 누르면 안 된다.

【69】 골절 환자가 발생한 경우 응급처치를 할 때 부목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부목의 필요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 골절된 부위를 바로 교정시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
② 골절된 뼈의 조각에 의한 피부의 열창 가능성 예방
③ 혈류가 차단될 수 있는 가능성 예방
④ 근육신경이나 혈관의 손상 예방

【70】 낙상이나 추락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자의 빗장뼈(쇄골)가 골절 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골절의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② 부러진 쪽의 팔을 어깨 위로 들지 못한다.
③ 부러진 뼈의 끝부분이 만져진다.
● 부러진 쪽 어깨보다 반대쪽 어깨가 낮아진다.

【71】 골절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관한 설명이다. 팔꿈치 뼈 골절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관절 부위가 붓는다.
● 부러진 팔 쪽 어깨가 처진다.
③ 아파서 팔을 폈다 구부렸다를 못한다.
④ 팔을 구부리고 넘어질 때 주로 발생한다.

【72】 무릎뼈(슬개골) 골절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무릎을 강하게 부딪칠 때 발생할 수 있다.
② 무릎을 굽힌 채로 추락할 때 발생할 수 있다.
● 다친 슬개골은 부어오를 수 있으므로 꼭 동여맨다.
④ 무릎뼈를 만져보면 대개 갈라진 부분을 만질 수 있다.

【73】 정강뼈(하퇴) 골절 환자의 증상 및 응급처치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무릎과 발목사이의 뼈가 부러진 것을 말한다.
② 1개만 부러진 경우 기형이 나타날 수 있다.
● 운반이 필요한 경우 다친 다리만 따로 묶는다.
④ 발목 위의 골절은 염좌로 오인할 수도 있다.

【74】 지혈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을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인 출혈 환자에 대한 지혈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두꺼운 거즈 등으로 직접 누르고 압박붕대로 감는다.
② 출혈부위 직접압박으로 안 되면 혈관압박을 병행한다.
③ 혈관압박은 출혈부위에 공급하는 혈관을 압박한다.
● 출혈이 심하지 않을 때는 저절로 멎을 때까지 안정을 취해 준다.

【75】 출혈이 있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지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정맥지압
② 압박지혈
③ 동맥지압
④ 지압지혈

【76】 응급환자에 대한 지혈요령을 설명한 것이다. 출혈 환자에 대한 일반적인 지혈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두꺼운 거즈 등으로 몇 분씩 압박을 가한다.
② 손수건 등으로 출혈 부위를 감싸 압박한다.
③ 심장 가까운 쪽의 동맥을 눌러준다.
● 출혈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한다.

【77】 가을철에 산이나 들에서 뱀에 물렸을 때의 응급처치 요령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환자를 안정시키고 최대한 움직이지 않게 한다.
②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한다.
● 환자를 문 뱀은 포획하여 땅에 묻는다.
④ 상처부위를 비눗물로 깨끗이 씻는다.

【78】 부주의로 농약 등을 복용한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도가 개방되었는지 확인한다.
② 장갑을 낀 손으로 환자의 입안의 약물을 제거한다.
③ 그램옥손(Gramoxone)계열의 농약제를 마신 경우 물을 많이 마시게 한다.
● 의식을 잃었을 때에는 손가락을 입에 넣어 구토를 유발시킨다.

【79】 의학적인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사람의 심폐 기능이 멈춘 후 뇌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산소의 여분 시간이라고 알려진 것은?
● 4∼6 분 이내
②  6∼10 분 이내
③ 10∼15 분 이내
④ 15∼20 분 이내

【80】 응급환자의 처치방법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이다. 응급처치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시키면 질식사의 위험이 있다.
● 부목은 골절된 뼈를 바로 잡는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③ 뱀에 물렸을 때 정확한 치료를 위하여 뱀의 사체가 큰 도움이 된다.
④ 응급환자에게 의식을 확인하는 쉬운 방법은 소리반응이다.

【81】 혹한기 등에 저온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동상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정상 체온을 회복하도록 한다.
② 손상 부위의 반지나 악세사리를 제거한다.
③ 상처가 저릴 경우는 정상적인 회복이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다.
● 물집이 생기면 터뜨린 후 말려준다.

【82】 동상 환자가 발생한 경우 처치법에 관한 설명이다. 동상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① 시원한 물을 마시게 한다.
② 동상부위를 얼음주머니로 마사지한다.
● 손상된 부위를 마사지하거나 문지르지 않는다.
④ 실내가 시원하고 통풍이 잘 되게 한다.

【83】 동상 환자가 발생한 경우 처치법에 관한 설명이다. 동상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따뜻한 물을 마시게 한다.
● 동상부위는 뜨거운 물주머니로 찜질을 한다.
③ 체온을 따뜻하게 해 준다.
④ 뜨거운 불에 동상부위를 녹이려 하면 안 된다.

【84】 혹한기에 장시간 저온에 노출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동상에 대한 설명이다. 동상의 증상과 관련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는 것은?
● 부정적인 성격의 사람에게 많이 발생한다.
② 음주를 한 상태에서 동상에 더 잘 걸릴 수 있다.
③ 동상 환자는 자각 증세가 약하다.
④ 혈액 순환이 좋지 않은 사람이 더 잘 걸릴 수 있다.

【85】 부상자의 상처에 이물질이 깊이 박힌 경우에 대한 응급처치법을 설명한 것이다. 환자의  부상을 악화시키지 않고 처치할 수 있는 요령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이물질을 그대로 두고 드레싱을 대고 붕대를 감는다.
② 이물질을 그대로 두고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③ 한쪽 눈에 이물질이 박힌 경우 양쪽 눈을 다 가린다.
● 이물질을 신속히 제거하고 지혈한다.

【86】 동절기 혹한에서 수렵을 할 때 손이나 발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동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동상 예방에 금연이 좋다.
② 외부에 노출된 신체 부분을 자주 비벼 준다.
● 술은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되므로 자주 마신다.
④ 손과 발을 자주 움직이거나 마찰해 준다.

【87】 저온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혹한기 야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체온증 환자의 증상 및 징후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저체온증이란 체온이 35˚C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② 심한 경우 심장기능 장애가 발생한다.
● 단계별로 중증에서 경증으로 나타난다.
④ 심한 경우 의식 손실을 가져온다.

【88】 저체온증이 심한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증상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의식손실
② 언어지시에 무반응
● 모든 반사 신경 유지
④ 심장기능 장애

【89】 저체온증 환자에게 발생하는 증상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 구토를 한다.
② 온몸을 떤다.
③ 몸이 저리다.
④ 멍한 눈으로 허공을 응시한다.

【90】 저체온증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을 설명한 것이다. 저체온증 환자의 일반적인 응급처치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추가 열손실을 방지한다.
② 보온 및 열을 공급한다.
③ 기도를 개방하여 유지한다.
● 환자를 더운 물에 넣는다.

【91】 혹한기 등에 산에서 발생한 저체온증 환자에 대한 현장 조치사항으로 적절하지 아니한 것은?
① 치명적인 상태(호흡정지, 심장마비) 동반여부를 확인한다.
② 환자의 몸을 건조하고 따뜻하게 한다.
③ 필요시 신속하게 구조요청을 한다.
● 환자의 의식이 없을 경우 따뜻한 음료를 마시게 한다.

【92】 손이나 발 등이 절단된 환자의 상처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으로 적절하다고 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손가락이 절단된 경우 절단된 손가락의 표면을 깨끗이 닦는다.
② 절단된 부위를 냉동시켜 환자와 함께 병원으로 이송한다.
● 절단된 표면은 만지지 않고 헝겊과 비닐에 감싼 후 얼음주머니에 넣는다.
④ 손가락이 절단된 경우 지혈대를 사용하여 단단히 묶는다.

【93】 성인병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의 발생요인 등에 대한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을 발병시키는 위험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비만, 고지혈증
② 고혈압, 심장병
③ 당뇨병, 흡연
● 지나친 운동

【94】 뇌졸중 환자의 증상에 관한 설명이다. 뇌졸중의 일반적인 증상과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반신마비
② 반신감각 장애
● 청각장애
④ 언어장애

【95】 뇌졸중에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을 설명한 것이다. 뇌졸중 환자가 발생한 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아니한 것은?
① 응급의료기관에 신속히 신고한다.
② 기도를 열고 상태를 확인한다.
③ 토사물이 나오면 잘 나올 수 있도록 옆으로 눕힌다.
● 물이나 음료를 주어 갈증을 해소시킨다.

【96】 응급상황 시 출혈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에 관련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아니한 것은?
● 출혈이 아무리 심해도 지혈보다 심폐소생술이 먼저 행해져야 한다.
② 출혈 상태에 따라 응급처치법의 순서를 결정해야 한다.
③ 출혈이 심하면 지혈을 시키면서 의식, 호흡, 순환상태를 확인한다.
④ 출혈이 심하지 않으면 호흡 확인 후 심폐소생술을 먼저 할 수 있다.

【97】 응급환자가 외부 출혈이 심한 경우 처치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출혈부위를 심장보다 높이 해야 한다.
● 상처가 깊으면 일단 붕대로 강하게 조여 맨다.
③ 간접압박은 국소압박으로 지혈되지 않을 때 실시한다.
④ 지혈대 압박은 지혈의 마지막 수단이다.

【98】 출혈환자가 발생한 경우 응급처치의 방법으로 취할 수 있는 지혈의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직접압박
② 간접압박
③ 지혈대 압박
● 붕대압박

【99】 응급환자의 운반에 관한 일반원칙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손상 환자는 마취 및 지혈 후 운반
② 환자 상태를 파악 후 운반방법 결정
③ 운반 중 환자의 의식상태 지속파악
④ 운반 중 충격에 대비하여 조심운반

【100】 응급환자 발생하여 이동조치가 필요한 경우 운반법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안전하고 정확한 계획을 수립한다.
② 맬 곳과 풀 곳을 확실히 한다.
● 모두에게 동일한 임무를 부여한다.
④ 운반 순서와 방법을 결정한다.

【101】 응급환자의 호흡유무 판단 요령에 대한 설명이다. 호흡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환자의 움직임과 숨소리로 판단할 수 있다.
● 환자의 손발을 가볍게 꼬집어 호흡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③ 가슴에 규칙적인 상하 움직임이 있는지 살펴보거나 손을 얹어 확인한다.
④ 환자의 입과 코에 귀를 대고 호흡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102】 응급환자 중 열상환자에 관한 설명이다. 열상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상처 부위에 따라 출혈이 심할 수 있다.
●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상처다.
③ 피부조직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찢겨진 상처다.
④ 정도에 따라 출혈량에 차이가 있다.

【103】 사고현장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요령을 설명한 것이다. 현장조치요령으로 올바른 것은?
① 현장의 안전성은 나중에 판단한다.
② 구조자는 자신의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③ 구조요청을 하면 응급처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
● 현장 상황은 침착하되 신속하게 판단해야 한다.

【104】 사고현장의 안전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현장 안전조치 요령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피해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했다면 피신시킬 필요가 없다.
② 구조자가 1차적으로 모든 일을 처리해야 한다.
● 가급적 빨리 구조요청을 한다.
④ 위험한 동료를 위해서는 구조자의 몸을 던지는 등 희생이 반드시 뒤따른다.

【105】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필요한 구조신고 내용에 대한 설명이다. 구조신고 시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정확한 사고위치와 구급차 대기 장소
② 사고의 종류와 심각성
③ 피해규모 및 환자의 손상 정도
● 친인척 등 가족사항

【106】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119에 응급구조 요청을 할 때 접수자에게 반드시 알려 주어야 할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① 불법 총기 소지 여부
② 친인척 등 가족사항
③ 수렵활동의 적법성 등 허가 여부
● 피해규모 및 환자의 손상 정도

【107】 수렵장에서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여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현장 판단요령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피해자와 구조자에게 위험이 계속될 것인지 파악한다.
② 현장상황은 침착하고 신속하게 파악해야 한다.
● 구조대가 어디에 있는가 알아봐야 한다.
④ 구조자 자신이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08】 수렵장 내 사고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요령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피해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피신시킨다.
● 전문구조기술을 습득한 자만이 구조자라 칭한다.
③ 구조자가 1차적으로 모든 일을 처리하려는 생각은 금물이다.
④ 가급적 빨리 구조요청을 한다.

【109】 의식이 있는 응급환자에 대한 상황판단을 할 때 필요한 질문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물어본다.
② 환자의 증상(통증, 불편함)을 물어본다.
③ 치료 중인 질병이나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있는가를 물어본다.
●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이 있는가를 물어본다.

【110】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119에 구조요청을 한 후 구급차가 도착할 때까지의 응급처치 요령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① 환자의 부상 또는 위험 상태가 어떠한지 계속해서 관찰한다.
② 환자나 구조자에게 또 다른 외부 위험 요소가 있는지 확인한다.
● 피해 상황에 대해 신속히 신고했다면 더 이상 조치가 필요치 않다.
④ 의식, 호흡, 맥박이 있는지 계속해서 관찰한다.

【111】 수렵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부상자에 대한 위험 판단요령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의식여부를 확인한다.
② 숨은 쉬고 있는지 기도는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③ 맥박과 혈액순환 등을 확인한다.
● 질병 병력을 확인한다.

【112】 각종 사고현장에서 발생한 부상자의 응급상황을 파악할 때 부상자의 의식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① 환자의 소리반응
② 환자의 자극반응
● 환자의 출혈반응
④ 환자의 동공반응

【113】 안전사고로 발생한 부상자의 의식이 분명치 않을 때 이를 확인하는 방법 중 소리 반응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① 손발을 가볍게 꼬집어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파악할 수 있다.
● 환자의 이름을 불러 대답 유무로 확인할 수 있다.
③ 눈꺼풀을 올려 동공의 크기로 정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④ 환자의 입에 귀를 가까이 대고 숨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한다.

【114】 안전사고로 발생한 부상자의 의식이 확실치 않을 때 이를 확인하는 방법 중 자극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환자의 이름을 불러 대답 유무로 확인할 수 있다.
② 눈꺼풀을 올려 동공의 크기로 정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 손발을 가볍게 꼬집어 반응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④ 환자의 입에 귀를 가까이 대고 숨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한다.

【115】 안전사고로 발생한 부상자의 의식이 확실치 않을 때 이를 확인하는 방법 중 동공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환자의 입에 귀를 가까이 대고 숨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한다.
② 환자의 이름을 불러 대답 유무로 확인할 수 있다.
③ 환자의 손발을 가볍게 꼬집어 반응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 눈꺼풀을 올려 동공의 크기로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16】 출혈이 심하지 않은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에 취하는 응급처치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엉키어 뭉친 핏덩어리를 떼어내지 말아야 한다.
② 흙이나 더러운 것이 묻었을 때는 깨끗한 흐르는 물에 씻어준다.
● 손상된 곳과 심장 사이에 뼈 가까이 지나는 동맥을 압박한다.
④ 의사의 치료를 받게 한다.

【117】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취할 수 있는 응급처치법 중 인공호흡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호흡이 없으면 이마를 뒤로 젖히고 기도를 유지시킨다.
● 호흡을 불어 넣을 땐 깊고 강하게 불어 넣는다.
③ 호흡이 원활하게 들어가는지 저항감은 있는지 확인한다.
④ 환자의 입을 구조자의 입으로 모두 덮고 가슴이 충분히 부풀어 오를 정도로 숨을 불어 넣는다.

【118】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해 응급처치를 할 때 필요한 가슴압박에 대한 설명이다. 가슴 압박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구조자의 어깨와 환자의 몸이 수직이 되게 하고 팔꿈치를 곧게 펴서 고정한다.
② 성인은 5~6cm 이하의 깊이로 들어가도록 압박과 이완을 반복한다.
● 환자의 젖꼭지와 젖꼭지를 이은 명치부위를 압박한다.
④ 압박속도는 1분에 100∼120회의 압박이 적당하다.

【119】 심정지 상태에 빠진 성인의 심폐소생술을 처치하는 요령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약 2분 동안 30(가슴압박):2(인공호흡)의 비율로 5회 반복한다.
② 인공호흡이 되지 않을 때는 가슴압박만 실시한다.
③ 환자가 회복되거나 전문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실시한다.
●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가슴압박은 의미가 없다.

【120】 심장마비 여부를 판단할 때 관찰하는 방법의 일부에 대한 설명이다. 심장마비의 증상과 직접 관련이 없다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호흡곤란
② 가슴통증
③ 현기증
● 소화불량

【121】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인한 신체 손상환자(골절, 염좌 등)가 발생하였을 때 취해야 할 응급처치 순서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안정 → 압박 → 상처올림 → 냉찜질
● 안정 → 냉찜질 → 압박 → 상처올림
③ 압박 → 냉찜질 → 상처올림 → 안정
④ 냉찜질 → 압박 → 상처올림 → 안정

【122】 수렵장에서 부상자 발생하였을 경우에 취해야 하는 응급처치 순서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을 고르시오.
① 지혈 → 기도유지 → 생명력유지 → 운반
② 지혈 → 생명력유지 → 기도유지 → 운반
● 기도유지 → 생명력유지 →지혈 → 운반
④ 생명력유지 → 기도유지 → 운반 → 지혈

【123】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부상 당한 응급환자를 처치할 때 지켜야 할 일반적인 원칙을 설명한 것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
② 부상자에 대한 생사판단은 하지 않음
● 가지고 있는 약품을 모두 사용하여 신속히 조치
④ 응급후송 전까지 2차 쇼크 방지 및 2차 부상 방지

【124】 응급처치의 기본사항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 전문의료기관 연락
② 지혈
③ 기도유지
④ 쇼크방지 및 치료

【125】 수렵도중 높은 곳에서 떨어져 심한 출혈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취해야 할 응급처치 요령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소독된 거즈나 헝겊으로 세게 압박한다.
② 환자를 편안하게 눕히고 보온한다.
③ 출혈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한다.
● 감염에 주의하며 이물질을 물로 씻는다.

【126】 수렵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로 두부가 손상된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경추, 척추를 고정한다.
② 들것에 눕힌 상태에서 머리 쪽을 30˚ 정도 올려준다.
③ 우선 기도를 확보한다.
● 머리 부분을 따뜻하게 해준다.

【127】 수렵장에서 발생한 타박상을 입은 부상자에 대한 응급조치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출혈이 멈추고 부기가 내리면 냉찜질을 한다.
② 8∼10시간 정도 얼음찜질을 한다.
③ 상처주위를 탄력붕대로 감아 출혈과 부종을 방지한다.
④ 상처부위는 심장보다 높게 한다.

【128】 수렵 도중 안전사고로 동료가 부상을 당한 경우 조치요령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먼지나 세균에 의한 상처감염 방지
② 가능한 상처에 손이나 물건 접촉 삼가
● 현장에서 완전히 치료 후 이송
④ 출혈이 있는 경우 지혈조치

【129】 쇼크의 발생 원인에 따른 종류이다 감염증에 의한 쇼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출혈성 쇼크
② 저체액성 쇼크
● 패혈성 쇼크
④ 호흡성 쇼크

【130】 수렵도중 예기치 못한 사고로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 환자에 대한 1차 기본조사 시 특히 확인해야 할 신체적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① 감각계, 순환계
② 감각계, 신경계
● 호흡계, 순환계
④ 호흡계, 신경계

【131】 영문자 중 응급의료서비스 기관을 표시하는 용어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시오.
① CMC
② CPR
● EMS
④ EPR

【132】 수렵 도중 동료가 갑작스런 구토와 함께 졸도하였을 때 해야 할 최초의 행동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조치로서 올바른 것은?
  ① 바로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② 정신을 차리도록 흔들어 깨운다.
  ● 입안의 오물을 제거한다.
  ④ 119로 신고한 후 기다린다.

【133】 수렵도중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응급의료기관에 도움요청을 요청해야 하는데 신고 전화를 하는 요령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보다 확실한 도움 요청이 되도록 가능하면 2인 이상이 전화를 한다.
  ② 응급상황 발생장소, 전화자 이름, 응급상황 내용을 말해 준다.
  ● 환자의 주소지, 가족관계 등 신상관계를 말해 준다.
  ④ 응급의료기관 직원이 묻는 말에 정확히 답해 준다.

【134】 수렵 중 갑자기 쓰러져 의식상태가 불분명한 동료의 의식상태를 확인하는 요령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말을 걸어본다.
  ② 꼬집어본다.
  ③ 동공을 살펴본다.
  ● 출혈상태를 확인한다.

【135】 수렵도중 쓰러진 동료가 호흡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호흡여부를 확인하는 요령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환자 가슴의 움직임을 살펴본다.
  ② 자신의 뺨을 코 가까이 대어본다.
  ③ 자신의 뺨을 입 가까이 대어본다.
  ● 환자의 동공을 살펴본다.


【136】 수렵도중 쓰러진 동료의 맥박이 분명하지 않을 때 맥박여부를 확인하는 요령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손목 동맥을 짚어본다.
② 경동맥을 살펴본다.
● 이마를 만져본다.
④ 심박동을 들어본다.

【137】 음료를 마시도록 하여서는 안 되는 응급환자에 해당하는 경우는?
① 출혈환자
● 쇼크상태
③ 동상환자
④ 골절상태

【138】 쇼크의 발생원인 등에 따라 분류하는 쇼크의 종류이다. 쇼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심장성 쇼크
② 출혈성 쇼크
● 골절성 쇼크
④ 신경성 쇼크

【139】 심정지 상태의 증상에 관한 설명이다. 일반적인 심정지 증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숨을 쉬지 않는다.
② 외견상 사망한 것처럼 보인다.
③ 의식이 없다.
● 다리를 떨고 있다.

【140】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심폐 소생술 실시 시간에 따른 회복 가능성 등에 관한 설명이다. 의학적으로 알려진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0∼4분 이내: 뇌 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다.
② 4∼6분 이내: 뇌 손상 가능성이 높다.
③ 6∼10분 이내: 뇌 손상이 확실시 된다.
● 10분 이상: 사망한다.

【141】 심장마비 환자의 증상을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인 심장마비의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① 환자의 맥박이 약하고 안색은 창백하다.
② 호흡곤란이 있다.
● 머리에 열이 올라 뜨겁다.
④ 환자의 의식이 오락가락 한다.

【142】 뇌빈혈로 졸도하여 쓰러진 환자의 응급처치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머리와 몸을 수평으로 눕히고 다리를 높여준다.
● 곧바로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③ 옷깃을 느슨하게 하여 뇌에 피가 잘 흐르도록 한다.
④ 의식이 회복되면 차나 물을 많이 마시게 한다.

【143】 수렵장에서 나뭇가지에 찔린 창상으로 출혈이 심한 동료가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처치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즉시 지혈을 하고 출혈부위를 높게 하여 안정을 취하도록 눕힌다.
② 출혈이 멎기 전에는 음료를 주지 않는다.
● 소나무 껍질을 벗겨 상처부위를 덮어준다.
④ 응급처치를 한 후 즉시 응급구조요청을 한다.

【144】 수렵을 하다가 광견병에 감염 되었을지도 모르는 야생견에게 물렸을 때 응급조치하는 방법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비누와 물로 상처를 깨끗이 씻고 말린다.
② 소독된 거즈를 대고 붕대를 감는다.
③ 신속하게 의사의 진단을 받는다.
● 지혈제를 바르고 수렵을 계속한다.

【145】 유해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산에 들어갔다가 말벌에 쏘였을 경우 응급처치 방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즉시 벌침을 빼낸다.
② 암모니아수를 바르고 연고를 바른다.
③ 붓기가 심하면 병원으로 후송한다.
● 소주나 된장으로 소독한다.

【146】 척추골절 환자가 발생한 경우 그 증상 및 조치요령에 대한 설명이다. 환자의 안전을 고려한 처치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자기 뜻대로 움직이지 못한다.
② 의료진이 도착하기 전까지는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 몸을 옆으로 돌려보며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④ 경추 손상 시는 튼튼한 전신부목위에 바로 눕히고 고정한다.

【147】 두개골 골절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증상 및 응급처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머리가 터지거나 의식이 없다.
 ● 머리 부분을 따뜻하게 보온한다.
 ③ 심할 경우에는 귀, 코, 입 등으로 출혈이 있다.
 ④ 부상자의 머리와 어깨를 약간 높여준다.

【148】 수렵도중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이를 구조하기 위해 취해야 하는 행동요령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부상자의 상황을 신속히 파악해야 한다.
② 필요 시 신속하게 응급구호 요청을 한다.
● 심한 출혈일 경우 바로 차에 태워 병원으로 간다.
④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한다.

【149】 예기치 못한 사고 등으로 발생한 부상자에 대한 응급처치법에 대한 설명이다.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고현장에서 부상자가 전문 의료 서비스를 받기 이전까지의 조치이다.
② 부상의 원인 종류 등을 규명하는 전문적 치료와는 다르다.
③ 현장에서 환자에게 발생하는 중요한 변화에 대한 응급조치이다.
● 현장에서 약품을 투여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다.

【150】 부상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할 경우 의식이 있는 환자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응급처치 전에 동의를 받아야 한다.
● 심한 부상인 경우 동의가 필요치 않다.
③ 동의는 명시적이어야 한다.
④ 동의가 없을 경우 위법행위가 될 수도 있다.

【151】 고온 등으로 인한 화상의 종류와 증상을 설명한 것이다. 바르게 설명하지 않은 것은?
① 1도 화상 - 피부의 외피층만 손상된 것이다.
② 2도 화상 - 표피와 진피에 생기는 화상이다.
③ 3도 화상 - 피부하층 구조까지도 파괴될 수 있다
● 4도 화상 - 피부심층 구조까지 파괴된다.

【152】 다음은 중 보온이 필요한 응급환자가 아닌 것은?
① 실신하여 얼굴이 창백한 환자
● 열사병 환자
③ 출혈이 심한 저체온증 환자
④ 운반을 필요로 하는 환자

【153】 환자가 질식된 것 같은 모습을 보이고 화상을 동반하며 쇼크 증상을 보일 수 있는 경우는?
① 골절
② 창상
● 감전
④ 탈구

【154】 겨울철 혹한기에 산속에서 조난당한 경우 발생하기 쉬운 응급환자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시오.
① 중독환자
② 열사병 환자
③ 감전환자
● 저체온증 환자

【155】 혹한기에 수렵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동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꼭 끼는 장갑, 양말착용은 지양한다.
● 독한 술을 마셔 체온을 높인다.
③ 손과 발이 젖지 않도록 한다.
④ 손가락 발가락을 계속 움직인다.

【156】 부상자에 대한 응급처치의 중요성을 설명한 것이다. 응급처치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긴급한 환자의 생명유지
② 환자의 절박한 고통경감
● 사망시간의 연장
④ 신속한 현장처치로 부상악화 방지

【157】 응급처치를 할 때 지켜야 할 사항을 설명한 것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구조자 자신의 안전을 확보한다.
● 신속하게 가지고 있는 모든 구급약품을 동원하여 환자를 처치한다.
③ 사전에 당사자의 이해와 동의를 얻어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④ 당황하거나 흥분하지 않고 침착하게 사고의 정도와 환자의 모든 상태를 확인한다.

【158】 출혈환자의 증상에 관한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출혈 환자에서 발생하는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호흡과 맥박이 빠르고 불규칙하다.
② 불안과 갈증, 반사작용이 둔해지고 구토도 발생한다.
● 혈압이 점점 상승하며 얼굴이 창백해진다.
④ 탈수현상이 있으며 갈증을 호소한다.

【159】 일반적으로 알려진 인체의 출혈에 대한 설명이다. 출혈의 상태와 처치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혈액이 피부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외출혈이라 한다.
② 혈액이 피부 안쪽으로 고이는 것을 내출혈이라 한다.
③ 성인의 혈액총량은 일반적으로 체중의 1/12 ∼1/13 정도이다.
● 출혈로 혈액이 부족하면 식염수를 공급하여 보충해 주면 된다.

【160】 심정지 상태에 있는 응급환자에 대한 인공호흡(성인 심폐소생술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30:2이다.
● 손바닥 전체로 힘차게 압박한다.
③ 압박의 깊이는 5∼6cm로 한다.
④ 속도는 1분에 100∼120회 이다.

【161】 수렵을 하던 중 동료가 갑자기 쓰러지며 의식을 잃는 응급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때 쓰러진 동료의 의식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① 현장 근처에서 물을 찾아서 얼굴에 발라 본다.
② 환자의 이마에 한손을 얹어 머리를 뒤로 젖혀 본다.
● 가볍게 어깨를 두드리며 큰 소리로 “괜찮습니까?”하고 묻는다.
④ 환자를 평탄한 곳으로 옮겨 깨어나기를 기다린다.

【162】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동료가 출혈이 발생하여 응급처치를 하려고 한다. 압박지혈(직접  압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깨끗한 천이나 거즈로 상처부위를 직접 누른다.
② 출혈이 심할 경우 심장보다 상처부위를 높게 한다.
● 상처 부위와 심장 사이 뼈 가까이 지나는 곳의 동맥을 압박한다.
④ 출혈이 심하고 지혈이 안 될 때 유용한 방법이다.

【163】 환자의 의식이 돌아왔다가 다시 없어진 경우 응급조치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② 기도열기와 호흡을 확인한다.
③ 입안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 의식이 돌아왔는지 계속 확인하며 물어본다.

【164】 안전사고로 발생한 응급환자를 운반하기 위한 준비사항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환자의 보온상태 유지
②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③ 목적지 선정 및 안전한 이송경로 결정
● 환자에게 충분한 음료 공급

【165】 수렵장에서 안전사고로 발생하여 119에 신고를 하였다.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를 돌보는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환자를 안심시킨다.
②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③ 환자의 호흡과 의식을 확인한다.
● 환자가 정신을 잃지 않도록 계속 말을 시킨다.

【166】 수렵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119에 신고를 할 경우, 전화 상담원에게 설명해야 할 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전화를 거는 신고자의 이름 
● 환자가 왜 여기에 오게 되었는가?
③ 환자의 부상상태는 어떠한가?
④ 무슨 일이 발생하였는가?

【167】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 응급처치 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자신의 안전을 확보한다.
② 자신의 신분을 밝힌다.
● 환자의 생사 판정을 한다.
④ 원칙적으로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168】 쇼크환자의 증상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피부가 차갑고 창백함
● 느린 호흡
③ 과도한 목마름
④ 메스꺼움과 구토

【169】 안전사고로 발생한 응급환자를 운반하기 위한 준비사항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환자의 보온상태 유지
②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③ 목적지 선정 및 안전한 이송경로 결정
● 환자에게 충분한 음료 공급

【170】 쇼크로 의식이 없는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112에 신고한다.
② 지혈이 가능한 출혈부위를 지혈한다.
③ 담요 등을 이용하여 체온손실을 최소화한다.
● 차가운 음료를 마시게 하여 정신을 차리게 한다.

【171】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반복회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① 20회 가슴압박과 1회 인공호흡 
② 20회 가슴압박과 2회 인공호흡
③ 30회 가슴압박과 1회 인공호흡
● 30회 가슴압박과 2회 인공호흡

【172】 심정지 환자에 대하여 제세동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전극 붙이는 위치를 바르게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① 전극1 : 왼쪽 젖꼭지 바깥쪽 아래, 전극2 : 오른쪽 쇄골 아래
● 전극1 : 오른쪽 쇄골아래, 전극2 : 왼쪽 젖꼭지 바깥쪽 아래
③ 전극1 : 왼쪽 젖꼭지 안쪽 아래, 전극2 : 오른쪽 쇄골 위
④ 전극1 : 오른쪽 쇄골 위, 전극2 : 왼쪽 젖꼭지 안쪽 아래

【173】 혈액 속의 산소 농도가 저하되어 피부 및 점막의 색깔이 파랗게 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괴사증
② 동상
③ 피멍
● 청색증

【174】 동맥과 정맥을 잇는 가는 혈관으로 혈액속의 산소와 영양소를 조직으로 보내고 노폐물을 받아내는 기능을 하는 기관은?
① 동맥
② 정맥
③ 뇌혈관
● 모세혈관

【175】 출혈 시 지혈 방법을 나열한 것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직접압박
● 간접압박
③ 혈관압박
④ 지혈대 사용

【176】 상처부위를 소독하고 덮어주어 감염을 예방하는 처치를 드레싱이라고 한다. 드레싱의  용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감염방지
② 출혈방지
● 골절보호
④ 분비물 흡수

【177】 탄력롤 붕대는 염좌, 좌상시 압박용 등으로 사용하며 신축성이 있고 거즈와 유사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폭이 다양하다. 롤붕대를 감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환행대
● 유선대
③ 나선대
④ 절전대

【178】 근골격계에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부위를 고정하는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근골격계 손상부위를 고정하는 목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상처보호
② 통증감소
③ 심각한 출혈 위험성 감소
④ 폐쇄성 골절인 경우 개방성 골절로 악화방지

【179】 안전사고 등으로 척추가 손상될 경우에는 환자가 여러 가지 증상을 보인다. 척추손상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로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머리 및 척추의 움직임 최소화
② 기도열기 유지
③ 호흡과 의식상태 관찰
● 내부출혈 확인

【180】 유해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산이나 들에서 활동하다가 뱀에 물린 경우 응급처치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상처부위를 비눗물로 깨끗이 씻는다.
● 상처부위를 절개하여 혈액을 빨아낸다.
③ 최대한 움직이지 않게 한다.
④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한다.

【181】 뱀에 물리면 일반적으로 한 시간 이내에 두통, 복통, 구토 증상이 나타나며 물린 부위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독사에 물린 것으로 확신할 수 있다고 한다. 독사에 물린 증상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물린 부위에 통증이 지속된다.
② 물린 부위가 붓고 멍이 든다.
● 물린 부위가 빨개진다.
④ 물린 부위에 피가 멎지 않는다.

【182】 가을철 유해야생동물 포획을 할 때는 독사를 조심해야 한다. 뱀에 물린 부위를 보고 독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하는데 독사에 물렸을 경우 나타나는 자국의 모양에 해당하는  것은?
① 말발굽 모양에 두 개의 스친 자국
● 말발굽 모양에 두 개의 이빨 자국
③ 말발굽 모양에 문 자국
④ 말발굽 모양에 두 개의 찢긴 자국

【183】 수렵활동을 할 때 극저온 상태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저체온증 등 인체에 손상을 가져  올 수 있다. 극저온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가장 낮은 사람은?
  ① 야외에서 심한 운동을 하는 사람
② 저온 손상 경험이 있는 사람
③ 이뇨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
● 비타민 보충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

【184】 유해야생동물 포획을 위해 숲속에서 활동을 할 때는 독성이 강한 벌레에 쏘일 수가 있다.  이때 취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카드로 긁어 독침을 제거한다.
● 상처를 눌러준다.
③ 얼음찜질을 한다.
④ 상처를 세척한다.

【185】 수렵활동 중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심한 충격을 받으면 갈비뼈 골절 등 흉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흉부 손상의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호흡을 할 때 흉부통증 발생
② 움직일 때 흉부통증 발생
③ 흉곽의 피부에 멍 발생
● 흉부 뒤쪽 피부에 반점 발생

【186】 수렵 등 야외활동을 할 때에는 예기치 않은 사고로 높은 곳에서 추락할 수도 있다. 추락  사고로 머리 및 척추의 손상을 입은 환자의 증상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의식상태의 변화
② 코나 귀로 혈액이나 체액의 유출
● 흉부에 심한 통증
④ 머리 목 등에서 심한 출혈

【187】 안전사고로 척추 및 머리 손상을 입은 환자의 증상을 설명한 것이다. 머리 및 척추 손상을 당한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별한 증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지의 일부를 움직일 수 없음
● 입이나 코 부근에 심한 멍
③ 경련이나 간질 발작
④ 메스꺼움 구토

【188】 수렵장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심한 머리 또는 척추 손상이 있을 가능성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한다. 척추 손상과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는 경우는?
① 환자의 키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진 경우
② 원인은 모르나 의식이 없는 상태로 발견된 경우
③ 총상 등으로 머리나 몸을 꿰ㅤㄸㅗㅀ은 부상
● 대퇴부 뼈가 부러진 부상

【189】 수렵을 위해 산야를 수색하려면 바위너덜 길이나 고사목 지대 등을 통과해야 할 경우가  많다. 이때 자칫 부주의로 넘어지게 되면 발등골절과 발목골절을 입기 쉽다고 한다. 발등골절  또는 발목골절에 대한 처치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발목 전체를 담요에 올려놓고 붕대로 감는다.
● 담요를 이용할 때는 상처를 눌러준다.
③ 담요가 없으면  2개의 부목을 싸서 양쪽에 하나씩 대고 묶는다.
④ 발등골절에는 구두와 양말을 벗긴 다음 붕대를 묶어준다.

【190】 전완골(아래팔뼈) 골절 증상과 거리가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전완의 뼈 한개 또는 두 개가 다 부러질 수 있다.
② 두 개가 다 부러지면 골절의 일반증세가 나타난다.
③ 한개만 부러졌을 때에도 그 부분을 잘 움직일 수 없다.
● 심한 출혈로 지혈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