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 핵심
■ 1년에 2회 발생하고 포플러류 등의 활엽수 잎을 가해하며 많은 피해를 주는 해충, 성충은 유아등 이나 흡입포충기를 설치하여 유인 포살하는 해충 ☞ 미국흰불나방
■ 가선집재는 다른 집재방법보다 작업원에 대한 기술적 요구도가 높다.
■ 광합성 작용은 이산화탄소의 탄수화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 굵은 생가지치기 시 위험성이 적은 수종 ☞ 포플러류
■ 기계톱날의 구성요서 중 목재의 절삭 두께에 영향을 주는 것 ☞ 깊이제한부(역할:절삭두께 조절)
■ 기계톱의 안전장치 ☞ 핸드가드, 안전스트롤, 지레발톱, 체인잡이 볼트, 체인 브레이크, 전방손잡이 보호판, 후방손잡이보호판
■ 기계톱의 연료 배합시 휘발유 20L에 필요한 엔진오일의 양 ☞ 0.8L
■ 체인톱과 안내판의 평균 수명 ☞ 체인톱은 1,500시간, 안내판은 450시간
■ 체인톱날 종류에 따른 각 부의 연마각도 ☞ 끌형 가슴각:80도, 반끌형가슴각 : 85도, 끌형 창날각 : 30도, 반끌형 창날각:35도
■ 체인톱에 사용하는 연료의 배합 비율 ☞ 휘발유 25: 엔진오일 1
■ 체인톱의 1시간당 평균 연료 소모량 ☞ 1.5L
■ 체인톱의 대패형 톱날 연마각도 ☞ 가슴각:90도, 창날각:35도, 지붕각:60도
■ 체인톱의 안전장치 ☞ 방진고무, 체인잡이, 전방 보호판, 핸드가드, 체인 브레이크 등
■ 체인톱의 체인규격을 피치로 표시하는데 이는 서로 접해 있는 3개의 리벳간격을 2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 2행정 기관은 크랭크축이 1회전 할 때 마다 1회 폭발한다.
■ 2행정 기관에만 있는 것은 소기공이다.
■ 2행정 내연기관에서 연료에 오일을 첨가시키는 이유 ☞ 엔진 내부에 윤활작용을 시키기 위해
■ 2행정 엔진의 특징 ☞ 저속운전이 어렵다. 점화가 어렵다. 무게가 가볍다. 배기음이 크다, 4행정 기관보다 출력이 크다.
■ 4행정 사이클 기관의 작동 순서 ☞ 흡입, 압축, 폭발, 배기
■ 나무의 무기양분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부분 ☞ 뿌리
■ 내연기관에는 ☞ 가솔린기관, 디젤기관, LPG기관 등이 있다.
■ 내음성이 강한 수종 ☞ 너도밤나무, 사철나무
■ 내화력이 강한 수종 ☞ 은행나무, 회양목, 대왕송, 가문비나무, 피나무, 사철나무
■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에 잘 견디는 수종 ☞ 단풍나무, 향나무, 은행나무, 가시나무, 동백나무
■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병원균 ☞ 마이코플라스마
■ 도끼자루 제작에 적합한 수종 ☞ 가래나무, 호두나무, 물푸레나무 * 도끼자루 제작을 위한 재료는 탄력이 있고 질겨야 한다. 도끼 ■ 자루의 길이: 작업자의 팔 길이 정도가 좋다
■ 매년 결실하는 수종 ☞ 오리나무 등
■ 모수작업법 ☞ 양수 수종의 갱신에 적당하다(음수 수종 갱신 X) 개벌작업보다 신생임분의 구성을 잘 조절할 수 있다. 모수로 남겨야 할 임목은 전 임목에 대하여 본수로는 2~3%이다.
■ 묘포의 입지조건 ☞ 경사도 3-5도 정도, 방위 남향을 보고 있을 것, 토양은 가벼운 사양토 적당
■ 무배유종자 ☞ 밤나무, 자작나무, 호두나무
■ 무육작업 ☞ 가지치기, 풀베기, 솎아베기(간벌) 삼각톱니 가는 방법 중 톱니젖힘의 크기는 침엽수는 0.3~0.5 mm, 활엽수는 0.2~0.3mm로 작업하여야 한다.
■ 미국흰불나방의 월동 형태 ☞번데기
■ 밤 열매에 피해를 주며 1년에 2-3회 발생하고, 성충 최성기에 접촉성 살충제로 방제하면 효과가 큰 해충 ☞ 복숭아명나방
■ 벌목용 작업도구 ☞ 밀게, 도끼, 사피, 쐐기, 지렛대, 목재돌림대, 체인톱, 박피삽
■ 산벌작업 순서 ☞ 예비벌, 하종벌, 후벌
■ 삽목이 잘되는 수종 ☞ 사철나무, 미루나무, 은행나무
■ 성충으로 월동하는 해충 ☞ 호두나무잎벌레, 소나무좀, 오리나무 잎벌레
■ 알로 월동하는 해충 ☞ 대벌레, 매미나방, 텐트나방, 짚시나방, 어스렝이나방,
■ 소나무와 곰솔의 새잎에 벌레혹(충영)을 만들어 피해를 주는 해충 ☞ 솔잎혹파리 우화 최성기 : 6월 상순경
■ 솔잎혹파리 ☞ 1년에 1회 발생한다. 솔잎의 기부에서 즙액을 빨아먹는다
■ 솔잎혹파리의 피해를 가장 심하게 받는 수종 ☞ 소나무
■ 수목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 ☞ 포플러 모자이크병, 아까시나무 모자이크병
■ 씨앗을 건조할 때 음지에 건조해야 하는 종 ☞ 밤나무
■ 씨앗이 싹트는데 필요한 조건 ☞ 온도, 수분, 산소
■ 어깨걸이식 예불기를 메고 손을 떼었을 때 지상에서 날까지 가장 적절한 높이☞ 10~20cm 정도
■ 연료림 작업에 가장 적합한 작업 종 ☞ 왜림작업
■ 용기묘는 운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 우리나라 여름철에 체인톱 사용시 혼합유 제조를 위한 윤활유 점액도가 가장 알맞은 것 ☞ SAE30
■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수종 ☞ 잣나무, 소나무
■ 유실수인 밤나무는 보통 1ha당 400본을 식재한다.
■ 유충과 성충 모두가 나무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 ☞ 오리나무잎벌레(유충은 잎을 먹으며 성장)
■ 윤활유의 외부기온에 따른 점액도의 선택기준 ☞ -10~-30도C : SAE20W
■ 일반적인 침엽수종에 대한 묘포의 적당한 토양산도 ☞ pH 5.0-6.5
■ 잎을 가해하지 않는 해충 ☞ 소나무 좀
■ 점파(점뿌림)가 적합한 수종 ☞ 밤나무, 호두나무
■ 종자발아 촉진법 ☞ 노천매장법, 침수처리법, 종피파상법
■ 종자의 결실 주기가 5~7년인 수종 ☞ 낙엽송
■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 ☞ 뽕나무 오갈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붉나무 빗자루병
■ 풀베기를 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시기 ☞ 6-8월
'산림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업기계일반(2) 기출문제 (0) | 2025.04.19 |
---|---|
산림보호(2) 기출문제 (0) | 2025.04.19 |
산림보호 기출문제 (0) | 2025.04.13 |
조림 및 육림 기출문제 (0) | 2025.04.13 |
산림기능사 기출문제 모음 (0) | 2022.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