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치르고 출제된 문제를(중복 삭제) 모았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항공기의 항행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장애물 높이가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몇 미터이상이면 항공장애 표시등 및 항공장애 주간 표지를 설치하여야 하는가?(단 장애물 제한구역 외에 한 한다.)
①50미터
②100미터
●150미터
④200미터
■초경량비행장치의 멸실 등의 사유로 신고를 말소할 경우에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몇 이내에 지방항공청장에게 말소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5일
②10일
●15일
④30일
■항공시설 업무, 절자 또는 위험요소의 시설, 운영상태 및 그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록하여 전기통신수단으로 항공종사자들에게 배포하는 공고문은?
①AIC
②AIP
③AIRAC
●NOTAM
■다음 연료 여과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①연료 탱크 안에 고여 있는 물이나 침전물을 외부로부터 빼내는 역할을 한다.
②외부 공기를 기화된 연료와 혼합하여 실린더 입구로 공급한다.
③엔진 사용 전에 흡입구에 연료를 공급한다.
●연료가 엔진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의 습기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전문교육기관이 확보해야할 지도조종자의 최소비행시간은?
①50시간
●100시간
③150시간
④200시간
■무인 헬리콥터 선회 비행 시 발생하는 슬립과 스키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①스립은 헬리콥터 선회 시 기수가 올라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스립과 스키드는 모두 꼬리 회전날개 반토오크가 적절치 못해 발생한다.
③스키드는 헬리콥터 선회 시 기수가 내려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④스립과 스키드는 헬리콥터 선회 시 기수가 선회 중심 방향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주로 봄과 가을에 이동성 고기압과 함께 동진해 와서 따뜻하고 건조한 일기를 나타내는 기단은?
① 오호츠크해기단
●양쯔강기단
③ 북태평양기단
④ 적도기단
■안개가 발생하기 적합한 조건이 아닌 것은?
①대기의 성층이 안정할 것
②냉각작용이 있을 것
●강한 난류가 존재할 것
④바람이 없을 것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동력용 엔진의 배기구에 결합되며 엔진의 열의 발열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비행 직후에는 많은 열을 발생시켜 주의가 필요하다.
①메인 블레이드
②테일 블레이드
③연료 탱크
●머플러
■기체에 착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양력과 무게를 증가시켜 추진력을 감소시킨다.
②습도한 공기가 기체 표면에 부딪치면서 결빙이 발생한다.
③착빙은 Carburetor, Pitot관 등에도 생긴다.
④거친 착빙도 날개의 공기 역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시험에 응시 할 수 있는 최소 연령은?
①만 12세 이상
②만 13세 이상
●만 14세 이상
④만 18세 이상
■다음 중 무인회전익 비행장치에 사용되는 엔진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왕복엔진
②로터리엔진
●터보팬 엔진
④가솔린 엔진
■비행 후 기체 점검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동력계통 부위의 볼트 조임 상태 등을 점검하고 조치한다.
②메인 블레이드, 테일 블레이드의 결합상태, 파손 등을 점검한다.
●남은 연료가 있을 경우 호버링 비행하여 모두 소모시킨다.
④송수신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부족 시 충전한다.
■우리나라 항공법의 기본이 되는 국제 법은?
①일본 동경협약
●국제민간항공조약 및 같은 조약의 부속서
③미국의 항공법
④중국의 항공법
■우리나라 항공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항공기의 안전한 항행과 항공운송사업 등의 질서 확립
②항공기 등 안전항행 기준을 법으로 정함.
③국제민간항공의 안전 항행과 발전 도모
④국내 민간항공의 안전 항행과 발전 도모
■대부분의 기상이 발생하는 대기의 층은?
●대류권
②성층권
③중간권
④열권
■물방울이 비행장치의 표면에 부딪치면서 표면을 덮은 수막이 천천히 얼어붙고 투명하고 단단한 착빙은 무엇인가?
①싸락눈
②거친 착빙
③서리
●맑은 착빙
■초경량 비행장치의 운용시간은 언제부터 언제인가? hl2tci
① 일출부터 일몰 30분전까지
●일출부터 일몰까지
③ 일몰부터 일출까지
④ 일출 30분 후부터 일몰 30분전까지
■기압 고도계를 장비한 비행기가 일정한 계기 고도를 유지하면서 기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비행할 때 기압 고도계의 지침의 상태는?
① 실제고도 보다 높게 지시한다.
② 실제고도와 일치한다.
●실제고도 보다 낮게 지시한다.
④ 실제고도보다 높게 지시한 후에 서서히 일치한다.
■북반구 고기압과 저기압의 회전방향으로 오른 것은?
① 고기압-시계방향, 저기압-시계방향
●고기압-시계방향, 저기압-반시계방향
③ 고기압-반시계방향, 저기압-시계방향
④고기압-반시계방향, 저기압-반시계방향
■다음의 내용을 보고 어떤 종류의 안개인지 옳은 것을 고르시오
바람이 없거나 미풍, 맑은 하늘, 상대 습도가 높을 때, 낮거나 평평한 지형에서 쉽게 형성된다. 이 같은 안개는 주로 야간 혹은 새벽에 형성 된다.
①활승안개
②이류안개
③증기안개
●복사안개
■해양의 특성인 많은 습기를 함유하고 비교적 찬 공기 특성을 지니고 늦봄, 초여름에 높새바람과 장마전선을 동반한 기단은?
●오호츠크해기단
② 양쯔강기단
③ 북태평양기단
④ 적도기단
■해양성 기단으로 매우 습하고 덥다 주로 7~8월에 태풍과 함께 한반도 상공으로 이동하는 기단은?
① 오호츠크해기단
② 양쯔강기단
③ 북태평양기단
●적도기단
■다음 무인 헬리콥터에 작용하는 힘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양력-추력-합력-항력-무게
●합력-추력-양력-항력-무게
③양력-합력-추력-무게-항력
④합력-양력-항력-추력-무게
■무인 헬리콥터의 메인로터와 테일로터의 회전비는?
①1:1
②1:3
●1:5
④1:7
■다음 지문에서 설명하는 헬기의 구성 부품의 명칭은 어느 것인가?
회전하고 있는 메인로터 블레이드에 사이클릭 컨트롤을 위한 중요한 장치. 보통 고정측과 회전측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고정측의 경사를 회전측으로 전달하도록 되어있다. 중앙부는 자유로이 기울도록 원형의 베어링(스페리컬 베어링)으로 지탱한다.
①자이로(Gyro)
②메인로터(Main Rotor)
②센터 허브(Center Hub)
●스와시 플레이트(Swash Plate)
■리튬 폴리머 배터리 보관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①더운 날씨에 차량에 배터리를 보관하지 말 것, 적합한 보관 장소의 온도는 22도~28도이다.
②배터리를 낙하, 충격, 파손 또는 인위적으로 합선 시키지 말 것
③손상된 배터리나 전력 수준이 50% 이상인 상태에서 배송하지 말 것
●추운 겨울에는 화로나 전열기 등 열원 주변처럼 뜨거운 장소에 보관할 것
■리튬 폴리머 배터리 취급/보관 방법으로 부적절한 설명은?
●배터리가 부풀거나, 누유 또는 손상된 상태일 경우에는 수리하여 사용한다.
②빗속이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보관하지 말 것
③정격 용량 및 장비별 지정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④배터리는 -10~40도의 온도 범위에서 사용한다.
■지상 METAR 보고에서 바람 방향, 즉 풍향의 기준은 무엇인가?
①자북
●진북
③도북
④자북과 도북
■회전익 비행장치의 등속도 수평 비행을 하고 있을 때 작용하는 힘으로 맞는 조건은?
●추력=항력, 양력=무게
②추력=양력+항력
③추력=양력+항력+중력
④추력=양력+중력
■다음 벌금 중 가장 큰 금액의 벌금을 찾으시오
①변경신고, 이전신고, 말소신고를 하지 않은자.
②초경량 비행장치를 신고하지 않은자.
③조종자 자격증명 없이 초경량비행장치를 비행한자
●안전성 인증을 받지 않고 비행한자.
■회전익 비행장치가 호버링 상태로부터 전진비행으로 바뀌는 과도적인 상태는?
①횡단류 효과
●전이 비행
③자동 회전
④지면 효과
■중심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 것은?
①압력중심
●공력중심
③무게중심
④평균공력시위
■다음 중 강우가 예상되는 구름은?
●CU(적운)
②St(층운)
③As(고층운)
④Ci(권운)
■대기권 중 기상 변화가 층으로 상승 할수록 온도가 강하되는 층은 다음 어느 것인가?
①성층권
②중간권
③열권
●대류권
■회전익 비행장치의 추락 시 대처 요령으로 적당한 것은?
●떨어지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스로틀을 올려 피해를 최소화 한다.
②추락 시 에일러론을 조작하여 기체 중심을 잡아준다.
③추락 시 엘리베이터를 조작하여 기체를 조종자 가까운 곳으로 이동 시킨다.
④추락 시 조종이 힘들다고 생각되면 조종기 전원을 빠른 시간에 꺼준다.
■안전정인증검사 유효기간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안전성 인증검사는 발급일로 1년으로 한다.
②비영리목적으로 사용하는 초경량장치는 2년으로 한다.
●안전성 인증검사는 발급일로 2년으로 한다.
④인증검사 재검사시 불합격 통지 6개월 이내 다시 검사한다.
■뇌운과 같이 동반하지 않는 것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하강기류
②우박
●안개
④번개
■현재 잘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의 종류는 어는 것인가?
①Li-Po
●Li-Ch
③Ni-MH
④Ni-Cd
■움직이고 있는 기체가 뒤에서 밀어주는 구간의 힘의 영향으로 속도가 상승할 때 이야기 하는 힘은?
①속도
●가속도
③추진력
④원심력
■NOTAM 유효기간으로 적당한 것은?
①1개월
●3개월
③6개월
④1년
■헬기의 피치각의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테일 로터의 피치각은 변화 시킬 수 없다.
②메인 로터의 피치각은 필요에 따라 변화 시킬 수 있다.
③ 테일 로터의 피치각은 변하 시킬 수 있다.
④메인 로터의 피치각은 이륙과 상승때 다르다.
■무인 회전익의 전진 비행 시 힘의 형식에 맞는 것은?
●추력>항력
②무게<양력
③양력>추력
④항력<양력
■블레이드이 종횡비의 비율이 커지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유해항력이 증가한다.
②활공성능이 좋아진다.
③유도항력이 감소한다.
●양항비가 작아진다.
■초경량비행장치의 기체 등록은 누구에게 신청하는가?
●지방항공청장
②국토교통부장관
③국방부장관
④지방경찰청장
■비행제한 구역에 비행을 하기위해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누구에게 신청을 하여야 하는가?
●지방항공청장
②국토교통부장관
③국방부장관
④지방경찰청장
■바람이 생성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적당한 것을 고르시오
①지구의 자전
●태양의 복사에너지의 불균형
③구름의 흐름
④대류와 이류 현상
■태양의 복사에너지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바람
②안개
③구름
④태풍
■인력 활공기의 표준기준의 무게는 어느 것인가?
●70kg이하
②115kg이하
③150kg이하
④225kg이하
■헬기 추락 시 취해야 할 것 중 옳은 것은?
●컬렉티브 피치를 올려 추락 속도를 늦춘 피해를 최소화 한다.
② 사이클릭 피치를 좌우로 움직여 방향 안전성을 확보한다.
③ 테일로터의 추력을 올려 횡방향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④ 메인로터의 피치각을 작게 하여 양력을 최대한 크게 한다.
■이륙거리를 짧게 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추력을 크게 한다.
②비행기 무게를 작게 한다.
●배풍으로 이륙을 한다.
④고양력 장치를 사용한다.
■착륙거리를 짧게 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착륙중량을 작게 한다.
②정품으로 착륙한다.
③착륙 마찰계수가 커야한다.
●접지속도를 크게 한다.
■헬기 비행시 엔진이 꺼졌을 때 조치사항으로 적당한 것은?
①사이클릭 피치를 좌우로 이동하여 방향 안전성을 확보한다.
②횡방향 안전성 확보와 몸체의 회전방지를 위해 테일로터의 추력을 가한다.
③메인 로터의 피치각을 작게 해주어 양력을 최대한 끌어낸다.
●미션과 주회전익을 분리하여 메인로터의 관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최소화 한다.소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초경량동력비행장치를 소유한 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때 첨부하여야할 것이 아닌 것은?
①초경량동력비행장치를 소유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
②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상의 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서류
●초경량동력비행장치의 설계도, 설계 개요서, 부품목록 (안전성인증에 필요한 서류)
④제원 및 성능표
■다음의 초경량비행장치를 사용하여 비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의 자격증명이 필요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회전익비행장치
②패러글라이더(Paraglider)
③계류식 기구
④낙하산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중 항공사고조사위원회가 사고의 조사를 하여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차량이 주기된 초경량비행장치를 파손시킨 사고
②초경량비행장치로 인하여 사람이 중상 또는 사망한 사고
③비행 중 발생한 추락, 충돌사고
④비행 중 발행한 화재사고
■기압 고도(Pressure altitude)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항공기와 지표면의 실측 높이이며 AGL" 단위를 사용한다. (절대고도)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 대기압(29.92 Hg)에 맞춘 상태에서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기압고도)
③기압고도에서 비표준온도와 기압을 수정해서 얻은 고도이다. (밀도고도)
④고도계를 해당지역이나 인근 공항의 고도계 수정치 값에 수정 했을 때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지시고도)
■관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관을 통과하는 유체(공기)의 속도, 동압, 정압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바르게 설명한 것은 무엇인가?
●직경이 작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빨라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②직경이 넓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는 빨라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③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흐름의 속도가 같고 동압과 정압의 변화는 일정하다.
④직경이 작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느려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비행기에 작용하는 4가지 힘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추력(Thrust), 양력(Lift), 항력(Drag), 무게(Weight)
②추력, 양력, 무게, 하중
③추력(Thrust), 모멘트(Moment), 항력(Drag), 중력(Weight)
④비틀림력(Torque), 양력(Lift), 항력(Drag), 중력(Weight)
■다음중 회전익기의 부양에 관련없는 것은?
①Vortex
②블레이드 양력
③모멘텀
●꼬리날개
■다음의 초경량비행장치 중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보험에 가입하여야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영리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력활공기
②개인의 취미생활에 사용되는 행글라이더
●영리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력비행장치
④개인의 취미생활에 사용되는 낙하산
■동력비행장치를 사용하여 초경량비행장차 비행제한공역을 비행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사항이다. 다음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초경량비행장치비행제한공역을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미리 비행계획을 수립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②교통안전공단에서 발행한 자격증명이 있어야 한다.
③초경량비행장치가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비행안전을 위한 기술상의 기준에 적합하다는 안전성인증 증명이 있어야 한다.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인력설비 등의 기준을 갖추었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전문교육기관에서 비행 승인하여야 한다.
■지면과 해수면의 가열정도와 속도가 달라 바람이 형성된다. 주간에는 해수면에서 육지로 바람이 불며 야간에는 육지에서 해수면 으로 부는 바람은?
① 해풍
②계절풍
●해륙풍
④국지풍
■불안정한 공기가 존재하며 수직으로 발달한 구름이 아닌 것은?
●권층운
②권적운
③고적운
④층적운
■바람을 느끼고 나뭇잎이 흔들리기 시작할 때의 풍속은 어느 정도인가?
①0.3~ 1.5m/s
●1.6 ~ 3.3 m/s
③3.4~5.4 m/s
④5.5 ~ 7.9 m/s
■초경량비행장치 조종 자격증명 시험 응시자의 자격으로 맞는 것은?
①연령에 관계없다
●연령이 만14세 이상
③연령이 만12세 이상
④연령이 만20세 이상
■영리를 목적으로 자격증명이 없이 초경량비행장치에 타인을 탑승시켜 비행을 한 자의 처벌로 맞는 것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영리목적으로 자격증명과 안정성인증서 없이 보험미가입하고 타인을 태우고 비행할 시 적용)
②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안전성인증 없이 또는 자격증명 없이 또는 보험미가입시 적용됨)
③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신고하지 않고 또는 비행승인 없이 비행하였을 경우 적용됨)
④2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초경량 비행장치 운용제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인구가 밀집된 지역 기타 사람이 운집한 장소의 상공에서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행하는 행위 를 해서는 안된다.
②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을 투여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된다
③안개 등으로 인하여 지상목표물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비행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야간 비행을 한다.
■진로의 양보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①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②착륙을 위하여 최종 접근 중에 있거나 착륙중인 항공기에게 진로를 양보한다.
●상호 비행장에 접근중일 때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게 진로를 양보한다.
④발동기의 고장, 연료의 부족 등 비정상상태에 있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모든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관제 용어 중 Say again이란 다음 중 어떤 의미인가?
●교신 내용을 반복하라 (say again)
②되돌아간다.
③착륙한다. (full stop)
④복행하라.(go-around)
■초경량 비행장치 범위에 속하는 동력비행장치가 아닌 것은?
①탑승자. 연료 및 비상용 장비의 중량을 제외한 당해 장치의 자체 중량이 좌석에 1인 경우150kg, 좌석이 2인 경우 225kg 이하일 것
●당해 장치의 연료용량이 좌석에 1인 경우 19리터, 좌석이 2인 경우 38리터 이상일 것
③프로펠러에서 추진력을 얻는 것일 것
④차륜, 스키드 또는 후르트 등의 착륙장치가 장착 된 동력 비행장치 일 것
■수평시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관제탑에서 알려져 있는 목표물을 볼 수 있는 수평거리이다.
②조종사가 이륙시 볼 수 있는 가시거리이다.
③조종사가 착륙시 볼 수 있는 가시거리이다.
●관측지점으로부터의 알려져 있는 목표물을 참고하여 측정한 거리이다.
■다음 중 하층운으로 분류되는 구름은?
●St(층운)
②Cu(적운)
③As(고층운)
④Ci(권운)
■태풍의 발생 지역 별 호칭 중 틀린 것은?
①극동지역: TYPHOON(태풍)
②인도양지역: CYCLONE(싸이클론)
③북미지역: HURRICANE(허리케인)
●필리핀: WILLY WILLY
■초경량비행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동력 비행장치
②회전익 비행장치
③패러플래인
●비행선
■날개에서 양력이 발생하는 원리의 기초가 되는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전압(Pt)=동압(O)+정압(P)
②흐름의 속도가 빨라지면 동압이 증가하고 정압이 감소한다.
●음속보다 빠른 흐름에서는 동압과 정압이 동시에 증가한다.
④동압과 정압의 차이로 비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전문교육기관의 구비요건 중 부적합 한 사항은?
①강의실 1개 이상
②이착륙 시설
●1인용 비행장치 1대 이상
④사무실 1개 이상
■다음 중 날개의 받음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기체의 중심선과 날개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이다.
②공기흐름의 속도방향과 날개골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이다.
③받음각이 증가하면 일정한 각까지 양력과 항력이 증가한다.
④비행 중 받음각은 변할 수 있다.
■다음 중 전파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는 시설은?
①항공등화
●항행안전무선시설
③풍향등
④착륙방향지시등
■비행정보구역(FIR)을 지정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영공통과료 징수를 위한 경계설정
②항공기 수색 . 구조에 필요한 정보제공
③항공기 안전을 위한 정보제공
④항공기 효율적인 운항을 위한 정보제공
■안전성 인증 검사를 받아야 하는 초경량비행장치가 아닌 것은?
①초경량 동력비행장치
②초경량 회전익비행장치
●패러플레인
④유인자유기구
■다음은 안개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공중에 떠돌아 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집단으로 지표면 가까이에서 발생한다.
●수평가시거리가 3km이하가 되었을 때 안개라고 한다.
③공기가 냉각되고 포화상태에 도달하고 응결하기 위한 핵이 필요하다.
④적당한 바람이 있으면 높은 층으로 발달한다.
■실속(sta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비행기가 그 고도를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②받음각(AOA)이 실속(stall)각 보다 클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③날개에서 공기흐름의 떨어짐 현상이 생겼을 때 일어난다.
●양력계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이다.(양력계수의 증가는 양력을 증가시킴)
■지상 활주 중에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주의사항으로 적합한 것은?
①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는 스로틀을 증가시켜 지상 활주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상 활주 시 선회하고자 할 때는 스로틀을 줄여야 한다)
●배풍을 받고 지상 활주 중 정풍방향으로 선회할 때는 급선회하는 현상이 초래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③선회를 원하면 선회 반대 방향 쪽의 러더 페달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해야 한다.(선회방향으로 러더 페달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
④움직임을 예측하여 원하는 방향에 도달하거나 도달 후에 러더 페달의 압력을 풀어 주기 시작한다.(도달하기 전에 러더 페달에 압력을 풀어주어야 한다)
■착륙을 위한 4각 장주에서 활주로와 평행하며 착륙 활주로와 반대방향인 구간은?
①정풍로(UPWIND LEG)
②측풍로(CROSSWIND LEG)
●배풍로(DOWNWIND LEG)
④최종접근로(FINAL APPROACH LEG)
■다음 항법 방법 중 초경량비행장치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것은?
①천문항법
●지문항법
③추측항법
④무선항법
■일정한 원형 항적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람에 따른 경사각 유지방법은?
①정풍에서는 지시속도보다 대지속도가 크기 때문에 작은 경사각을 사용해야 한다.
②정풍에서는 지시속도보다 대지속도가 크기 때문에 큰 경사각을 사용해야 한다.
●배풍에서는 지시속도보다 대지속도가 크기 때문에 큰 경사각을 사용해야 한다.
④배풍에서는 지시속도보다 대지속도가 크기 때문에 작은 경사각을 사용해야 한다.
■꼬리바퀴식 비행기에서 착륙중에 발생할 수 있는 Ground Loop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선회 외측으로 날개를 기울게하여 결국에는 날깨끝이 지면에 부딪쳐 날개를 파손시키게 되며 심하면 비행기 앞부분이 지면과 충 돌한다.
●선회내측으로 날개를 기울게하여 결국에는 날개끝이 지면에 부딪쳐 날개를 파손시키게 된다.
③ 선회 전방으로 날개를 기울게 하여 결국에는 비행기의 앞부분이 지면에 부딪쳐 비행기의 앞부분을 파손시키게 된다.
④선회 후방으로 날개를 기울게 하여 결국에는 비행기의 꼬리 바퀴 부분이 지면에 부딪쳐 비행기의 고리바퀴 부분을 파손시키게 된다.
■피토우(pitot)관을 이용한 속도계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바른 것은?
●속도=(정압+동압) - 정압
②속도=(동압-정압) + 정압
③속도=전압 - 동압
④속도=(동압정압) - 전압
■날개골(airfoil)에서 캠버(camber)를 설명한 것이다.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앞전과 뒤전 사이를 말한다.
●시위선과 평균캠버선 사이의 길이를 말한다.
③날개의 아랫면(lower camber)과 위면(upper camber) 사이를 말한다.
④날개 앞전에서 시위선 길이의 25% 지점의 두께를 말한다.
■착륙 접근 중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다시 이륙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복행
②하드랜딩
③바운싱
④플로팅
■항공기가 일정고도에서 등속수평비행을 하고 있다. 맞는 조건은?
①양력=항력, 추력=중력
●양력=중력, 추력=항력
③추력>항력, 양력>중력
④추력=항력, 양력<중력
■분당 500피트의 상승률로 상승중에 수평비행을 하고자 한다면 언제 수평비행 조작을 시작해야 하는 가?
①원하는 수평비행고도의 500피트 전에 시작한다.
②원하는 수평비행고도의 1,000피트 전에 시작한다.
③원하는 수평비행고도의 100피트 전에 시작한다.
●원하는 수평비행고도의 50피트 전에 시작한다.
'드론.무인멀티콥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론 4종 기출문제모음2 (2) | 2022.10.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