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조림 및 육림 기출문제

Choi가이버 2025. 4. 13. 10:07

1. 다음 수종 중 천연갱신이 용이한 수종은?
   ① 잣나무         ② 낙엽송
  소나무         ④ 가래나무
2. 종자 채집 시기가 7월 중에 적합한 수종은?
   ① 오리나무         벚나무
   ③ 졸참나무       ④ 아카시아
3. 1급목 중 가장 큰 것, 때로는 1급목의 전부와 5급목을 벌채 하는 간벌법은?
  택벌식 간벌      ② 기계적 간벌
   ③ 하층 간벌        ④ 자유 간벌
4. 삼림을 가꾸기 위한 벌채(撫育伐)에 속하는 것은?
   ① 택벌작업           ② 산벌작업
  간벌작업           ④ 중림작업
5. 삼림의 효용 중 휴양 기능에 속하는 것은?
   ① 홍수를 방지한다.
   ② 수원을 조절한다.
   ③ 향료, 약품, 조미료 등을 공급한다.
  공기를 정화한다.
6. 제벌작업에서 제거대상목이 아닌 것은?
   ① 열등형질목      ② 침입목 또는 가해목
  하층식생          ④ 폭목
7. 정방형 식재를 옳게 설명한 것은?
   ① 정방형 식재는 식재 간격과 식재 공간을 계산하기 어렵다.
   ② 정방형 식재는 식재작업이 불편하다.
   ③ 정방형 식재에 포플러나 낙엽송 등 양수 수종은 알맞지 않다.
  정방형 식재는 묘간거리와 열간거리가 같은 식재 방법이다.
8. 산림 보육작업 시 보육 대상목(가치 있는 수종)으로 볼 수없는 것은?
   ① 소나무          ② 참나무
   ③ 박달나무       버드나무
9. 전나무류의 결실이 시작되는 연령은?
   ① 약 15년            ② 약 20년
   ③ 약 30~40년       약 60~70년
10. 종자 수득율이 가장 높은 것은?
    ① 잣나무         ② 향나무
    ③ 박달나무      호두나무
11. 파종상에서 그대로 2년을 지낸 묘목의 연령표시법이 옳은 것은?
    ① 1~1묘         2~0묘
    ③ 1/1묘         ④ 2~1묘
12. 군상개벌작업 시 군상지의 크기는 3-10a로 하는 데 보통 몇 년 간격으로. 군상지를 벌채하는가?
    ① 2~3년         4~5년
    ③ 6~7년        ④ 8~10년
13. 잔존본수 400그루, 득묘율 30%, 종자효율 70%, 1g당 종자알수가 150개 일 때의 m2당 파종량은?
    ① 8.8g         ② 12.5ghl2tci
     12.7g      ④ 13.8g
14. 다음 중 삽목이 잘되는 수종끼리만 짝지어진 것은?
    ① 버드나무, 잣나무         ② 개나리, 소나무
    ③ 오동나무, 느티나무      사철나무, 미류나무
15. 다음의 특징을 갖는 작업종은?

     ① 산벌작업        택벌작업
    ③ 모수작업        ④ 중림작업
16.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며 죽순의 맛이 좋아 죽순대라고 도하는 대나무는?
     맹종죽      ② 참대
    ③ 왕대          ④ 솜대
17. 단순림으로 구성된 수종은?
    ① 소나무와 참나무로 구성된 산림이다.
     소나무로 구성된 산림이다.
    ③ 낙엽송, 소나무로 구성된 산림이다.
    ④ 잣나무와 참나무로 구성된 산림이다.
18. 다음 작업종 중 국토보존 및 지력유지에 가장 적합한 작업종은?
     택벌작업      ② 왜림작업
    ③ 중림작업       ④ 개벌작업
19. 맹아를 위한 줄기베기의 그림이다. 가장 적합한 것은?

     ① (a)       (b)
    ③ (c)       ④ (d)
20. 우량종자의 선발요령이 아닌 것은?
     물에 담그었을 때 뜨는 것
    ② 광택이나 윤기가 나는 것
    ③ 오래되지 않은 것
    ④ 알이 알차고, 완숙한 것
21. 다음 중 묘포장에서 해가림이 필요하지 않은 수종은?
    ① 잣나무      ② 전나무
    ③ 낙엽송      상수리
22. 가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가식할 장소는 배수가 잘 되고 습기가 있는 곳을 선정하되 과습지는 피할 것
     가식은 대부분 점상으로 한다.
    ③ 가식 시 묘목의 끝이 가을에는 남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④ 가식 시 묘목의 끝이 봄에는 북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23. 묘목을 식재지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알맞는 크기로 포장을 한다. 이것을 곤포(packing)라고 하는데 낙엽송 2년생 묘목을 포장할 때 속당 본수와 곤포당 속수로 알맞는 항목은?
    ① 속당 본수 10본, 곤포당 속수 100속
     속당 본수 20본, 곤포당 속수 50속
    ③ 속당 본수 20본, 곤포당 속수 100속
    ④ 속당 본수 50본, 곤포당 속수 100속
24. 다음 중 우량 묘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① 발육이 왕성하고 신초의 발달이 양호 할 것
    ② 우량한 유전성을 지닐 것
    ③ 측근과 세근의 발달이 많은 것
     침엽수는 줄기가 곧고 하아지(夏芽枝)가 발달한 것
25. 용기묘(pot)의 장, 단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제초작업이 생략 될 수 있다.
    ② 모포의 적지조건, 식재시기 등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③ 묘목의 생산비용이 많이 들고 관수가 까다롭다.
    운반이 용이하여 운반비용이 적게 든다.

26. 소나무를 상목(上木)으로 하였을 때 가장 적당한 하목용 수목은?
    상수리나무, 오리나무          ② 전나무, 떡갈나무
   ③ 리기다소나무, 물푸레나무    ④ 느티나무, 단풍나무
27. 산벌작업에서 갱신기간 이라 함은?
   ① 예비벌부터 하종벌까지 하종벌부터 후벌까지
   ③ 후벌부터 하종벌까지    ④ 수광벌부터 족벌까지

28. 개벌작업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바르지 못한 것은?
   ① 개벌작업을 할 때 형성되는 임분은 대개 단순림이다.
   ② 개벌작업에 의하여 갱신된 새로운 임분은 동령림을 형성하게 된다.
    개벌작업은 어릴 때 음성을 띠는 수종에 제일 적합 하다.
   ④ 개벌작업은 작업이 복잡하지 않아 시행하기 쉬운 편이다.
29. 대체로 음수 수종의 벌채작업으로 적용되며 회귀년을 사용하여 벌채하는 작업법은 어느 것인가?
   ① 개벌작업              ② 산벌작업
   ③ 어미나무 작업      택벌작업
30. 용재 생산과 연료 생산을 병행한 작업종은?
   ① 택벌 작업       ② 산벌 작업
    중림 작업      ④ 왜림 작업
31. 풀베기에서 전면깎기의 설명 중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조림지 전면에 해로운 지상식물을 깎는다.
   ② 양수인 수종에 실시한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서 주로 실시하는 방법이다.
   ④ 땅힘이 좋은 곳에서 실시한다.
32. 간벌량이 가장 많은 간벌방식은?
   ① A종 간벌        ② B종 간벌
    C종 간벌       ④ D종 간벌
33. 다음 중 사방조림 수종은?
   ① 잣나무             ② 낙엽송
  아카시아나무    ④ 오동나무
34. 덩굴치기의 대상식물만으로 구성된 것은?
   ① 개나리, 다래나무, 싸리나무
   ② 노박덩굴, 조팝나무, 자귀나무
   ③ 댕댕이덩굴, 개암나무, 화살나무
  칡, 등나무, 머루
35. 치수 무육을 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목재를 생산하여 수익을 얻기 위함이다.
    ② 숲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③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함이다.
    불량목을 제거하여 치수의 생육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함이다.
36. T/R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묘목의 지상부와 지하부에 대한 중량비이다.
    T/R율의 값이 클수록 좋은 묘목이다.
    ③ T/R율이 적은 것이 큰 것보다 뿌리의 발달이 좋다.
    ④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면 T/R율의 값이 커진다.
37. 잣나무 2-1-1 묘란 몇 년생 묘목을 뜻하는가?
    ① 1년생      ② 2년생
    ③ 3년생      4년생
38. 다음 수종 종 도입수종이 아닌 것은?
    ① 리기다소나무   ② 낙엽송
    ③ 낙우송              강송
39. 낙엽송 1 - 1묘 산출시 근원경의 표준규격은 얼마인가?
    ① 3㎜ 이상       ② 4㎜ 이상
    ③ 5㎜ 이상       6㎜ 이상
40. 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저온처리법은 종자를 물에 흡수 시킨다. 모래와 섞어 2~5℃의 저온에서 며칠 동안 저장하는 것이 적합한가?
    ① 1~3일간          ② 5~9일간
    ③ 10~12일간      14~20일간
41. 다음 중에서 속당 본수(묶음별 그루수)가 10본인 것은?
    ① 잣나무        ② 오리나무류
    ③ 낙엽송        포플러류
42. 산벌작업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수풀이 아름답다.
    ② 음수의 갱신에 잘 적용될 수 있다.
    ③ 숲 속 땅의 생산력을 보호하는 데 이롭다.
    후벌시 어린나무가 보호된다.
43. 그림은 침엽수의 가지치기를 표시한 것이다. 가지치기가 가장 잘 된 부위는?

     ① ①            ② ②
    ③             ④ ④
44. 묘목을 먼 곳으로 운반할 때 가장 먼저 주의할 사항은?
    ① 무게에 의하여 억눌려 뜨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② 손상이 오지 않도록 한다.
    묘목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④ 포장을 크게 해야 한다.
45. 종자의 결실주기가 5~7년인 수종은?
    ① 소나무       낙엽송
    ③ 전나무       ④ 가문비나무
46. 다음 나무의 종자 중 꽃핀 이듬해 가을에 성숙하는 나무는?
    ① 버드나무       ② 떡느릅나무
    ③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47. 다음 종자의 저장과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종자를 탈각한 후 그 품질을 감정하고 저장한다.
    종자의 품질은 발아율과 효율로 표시한다.
    ③ 발아율이란 일정한 수의 종자 중에서 발아력이 있는 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④ 순량율이란 일정한 양의 종자 중 협잡물을 제외한 종자량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48. 종자의 품질기준에서의 발아율이 가장 높은 것은?
    ① 잣나무         테다소나무
    ③ 오동나무     ④ 물갬나무
49. 장기용재수는 일반적으로 ha당 몇 본을 식재하는가?
    ① 1500본        3000본 hl2tci
    ③ 6000본       ④ 9000본
50. 대목의 수피에 T자형으로 칼자국을 내고 그 안에 접아를 넣어 접목하는 방법은 무슨 방법인가?
    ① 절접         눈접
    ③ 설접         ④ 할접

51. 인공조림과 비교한 천연갱신의 특징이 아닌 것은?
    생산된 목재가 균일하다.
   ② 조림실패의 위험이 적다.
   ③ 숲 조성에 시간이 걸린다.
   ④ 생태계 구성원 보호에 유리하다.
52. 예비벌을 실시하는 주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벌채목의 반출 용이
   ② 잔존목의 결실 촉진
   ③ 부식질의 분해 촉진
   ④ 어린나무 발생의 적합한 환경 조성
53. 소나무의 용기묘 생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비는 관수와 함께 실시한다.
  겨울에는 생장을 하지 않으므로 관수하지 않는다.
   ③ 육묘용 비료는 하이포넥스(Hyponex)나 BS그린을 사용한다.
   ④ 피트모스, 펄라이트, 질석을 1 : 1 : 1의 비율로 상토를 제조한다.
54. 묘포지 선정 요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교통이 편리한 곳
   ② 양토나 사질양토로 관배수가 용이한 곳
   ③ 1 ~ 5°정도의 경사지로 국부적 기상피해가 없는 곳
  토지의 물리적 성질보다 화학적 성질이 중요하므로 매우 비옥한 곳
55. 구과가 성숙한 후에 10년 이상이나 모수에 부착되어 있어 종자의 발아력이 상실되지 않고 산불이 나면 인편이 열리는 수종은?
   ① 편백            ② 소나무
   ③ 잣나무       방크스소나무
56. 개화한 다음 해에 결실하는 수종으로만 짝지어 진 것은?
    소나무, 자작나무          ② 전나무, 아까시나무
   ③ 오리나무, 버드나무        ④ 삼나무, 가문비나무
57. 침엽수 가지치기 방법으로서 적당한 것은?

    ①                
    ③              ④ 
58. 수종별 무기양료의 요구도가 적은 것에서 큰 순서로 나열된 것은?
   ① 백합나무<자작나무<소나무
   ② 자작나무<백합나무<소나무
    소나무<자작나무<백합나무
   ④ 소나무<백합나무<자작나무
59. 파종상에서 2년, 판갈이 상에서 1년 된 만 3년생의 묘목의 표기 방법은?
   ① 1 - 2            2 - 1
   ③ 1 - 1 - 1       ④ 1 - 0 - 2
60. 미래목의 구비 요건으로 틀린 것은?
    ① 피압을 받지 않은 상층의 우세목
    ② 나무줄기가 곧고 갈라지지 않은 것
    ③ 병충해 등 물리적인 피해가 없을 것
    주위 임목보다 월등히 수고가 높은 것
61. 종자 발아시험 기간이 가장 긴 수종들로 짝지어진 것은?
    소나무, 삼나무          ② 곰솔, 사시나무
    ③ 버드나무, 느릅나무   ④ 일본잎갈나무, 가문비나무
62. T/R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T/R율의 값이 클수록 좋은 묘목이다.
    ② 묘목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중량비이다.
    ③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면 T/R율의 값이 커진다.
    ④ 좋은 묘목은 지하부와 지상부가 균형 있게 발달해 있다.
63. 모수작업의 모수본수보다 많은 모수를 수광생장을 촉진시켜 다음 벌기에 대경재를 생산하면서 갱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은?
    ① 택벌작업        ② 중림작업
    ③ 개벌작업        보잔목작업
64. 주로 뿌리를 이용하여 삽목하는 수종은?
    ① 삼나무          ② 동백나무
    오동나무       ④ 사철나무
65. 솎아베기가 잘된 임지, 유령림 단계에서 집약적으로 관리된 임분에서 생략이 가능한 산벌작업과정은?
    ① 후벌           ② 종벌
    ③ 하종벌       예비벌
66. 소나무 종자의 무게가 45g이고 협잡물을 제거한 후의 무게가 43.2g일 때 순량률은?
    ① 43%          ② 45%
    ③ 86%          96%
67. 왜림의 특징이 아닌 것은?
    벌기가 길다.          ② 수고가 낮다.
    ③ 맹아로 갱신된다.   ④ 땔감 생산용으로 알맞다.
68. 봄에 가식할 장소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 바람이 적은 곳                  남향으로 양지 바른 곳
    ③ 토양의 습도가 적절한 곳    ④ 배수가 양호하고 그늘진 곳
69. 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름생장을 촉진하고 숲을 건전하게 만든다.
    빽빽한 밀도로 경쟁을 촉진시켜 나무의 형질을 좋게 한다.
    ③ 벌채가 되기 전에 나무를 솎아베어 중간 수입을 얻을 수 있다.
    ④ 나무를 솎아 벤 곳에 잡초가 무성하게 되어 표토의 유실을 막고 빗물을 오래 머무르게 하여 숲땅이 비옥해진다.
70. 채종림의 조성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방풍림 조성          ② 산사태 방지
    우량종자 생산      ④ 휴양 공간 조성
71. 우리나라가 원산인 수종은?
    ① 백송          ② 삼나무
    잣나무      ④ 연필향나무
72. 택벌작업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속적인 생산 ② 산림 경관 조성
    ③ 양수 수종 갱신 ④ 임지의 생산력 보전
73. 묘목을 1.8m×1.8m 정방향으로 식재할 때 1ha 당 묘목의 본수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약 308본          ② 약 555본
    약 3086본        ④ 약 5555본
74. 파종상의 해가림 시설을 제거하는 시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5월 중순 ~ 6월 중순      7월 하순 ~ 8월 중순
    ③ 9월 중순 ~ 10월 상순    ④ 10월 중순 ~ 11월 중순
75. 순량률 80%, 발아율 90%인 종자의 효율은?
    ① 10%          72%
    ③ 89%          ④ 90%

76. 산림토양층에서 가장 위층에 있는 것은?
   ① 표토층              ② 심토층
   ③ 모재층              유기물층
77. 덩굴제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리적방법과 화학적방법이 있다.
   ② 콩과식물은 디캄바액제를 살포한다.
   ③ 일반적인 덩굴류는 글라신액제로 처리한다.
  24시간 이내 강우가 예상될 경우 약제 필요량보다 1.5배 정도 더 사용한다.
78. 묘목의 가식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장기간 가식할 때에는 다발채로 묻는다.
   ② 장기간 가식할 때에는 묘목을 바로 세운다.
   ③ 충분한 양의 흙으로 묻은 다음 관수(灌水)를 한다.
   ④ 일시적으로 뿌리를 묻어 건조 방지 및 생기 회복을 위해 실시한다.
79. 묘목의 식혈식재(구덩이 식재)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d → a → c → f → b → e
   ② d → c → a → f → b → e
   ③ d → a → c → b → f → e
   ④ d → c → a → b → f → e
80. 다음 중 맹아갱신 작업에 가장 유리한 수종은?
   ① 소나무         ② 전나무
  신갈나무      ④ 은행나무
81. 결실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수목의 식재밀도를 높게 한다.
    줄기의 껍질을 환상으로 박피한다.
   ③ 간벌이나 가지치기를 하지 않는다.
   ④ 차광망을 씌워 그늘을 만들어 준다.
82. 다음 중 내음성이 가장 강한 수종은?
   ① 밤나무         사철나무
   ③ 오리나무      ④ 버드나무
83. 실생묘 표시법에서 1 - 1 묘란?
   ① 판갈이한 후 1년간 키운 1년생 묘목이다.
   ② 파종상에서만 1년 키운 1년생 묘목이다.
   ③ 판갈이를 하지 않고 1년 경과된 종자에서 나온 묘목이다.
  파종상에서 1년 보낸 다음, 판갈이하여 다시 1년이 지난 만 2년생 묘목으로 한 번 옮겨 심은 실생묘이다.
84. 다음 중 결실주기가 가장 긴 수종은?
   ① 곰솔          ② 소나무
   ③ 전나무      일본잎갈나무
85. 수확을 위한 벌채 금지 구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화수림대로 조성 ㆍ 관리되는 지역
    ② 도로변 지역은 도로로부터 평균 수고폭
    벌채구역과 벌채구역 사이 100m 폭의 잔존수림대
    ④ 생태통로 역할을 하는 8부 능선 이상부터 정상 부, 다만 표고가 100m 미만인 지역은 제외
86. 조림목과 경쟁하는 목적 이외의 수종 및 형질불량 목이나 폭목 등을 제거하여 원하는 수종의 조림목이 정상적으로 생장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은?
    ① 풀베기               ② 간벌작업
    ③ 개벌작업            어린나무 가꾸기
87. 리기다소나무 노지묘 1년생 묘목의 곤포당 본수는?
    ① 1000본       2000본
    ③ 3000본       ④ 4000본
88. 종묘사업 실시요령의 종자품질기준에서 다음 중 발아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곰솔         ② 주목
    ③ 전나무      ④ 비자나무
89. 연료채취를 목적으로 벌기령을 짧게 하는 작업종은?
    ① 죽림작업      ② 택벌작업
    왜림작업      ④ 개벌작업
90. 중림작업의 상층목 및 하층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하층목은 비교적 내음력이 강한 수종이 유리하다.
    하층목이 상층목의 생장을 방해하여 대경재생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③ 상층목은 지하고가 높고 수관의 틈이 많은 참나무류 등 양수종이 적합하다.
    ④ 상층목과 하층목은 동일 수종으로 주로 실시하나, 침엽수 상층목과 활엽수 하층목의 임분구성을 중림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91. 가지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포플러류는 역지(으뜸가지) 이하의 가지를 제거한 다.
    ② 임목의 질적 개선으로 옹이가 없고 통직한 완만재 생산을 위한 육림작업이다.
    큰 생가지를 잘라도 위험성이 적은 수종은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느릅나무 등이다.
    ④ 나무가 생리적으로 활동하고 있을 때 가지치기를 하면 껍질이 잘 벗겨지고 상처가 크게 된다.
92. 다음의 표를 참고하여 아래 조건에 대하여 적합한 수종은?

     ① 소나무        잣나무
    ③ 삼나무       ④ 신갈나무
93. 잔존시키는 임목의 성장 및 형질 향상을 위하여 임목 간의 경쟁을 완화시키는 작업은?
    ① 개벌작업      간벌작업
    ③ 택벌자업      ④ 산벌작업
94. 3년생 잣나무를 관리하기 위해 풀베기 작업 계획 수립 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모두베기를 한다.
    ② 5~8년간은 계속한다.
    ③ 5~7월 중에 실행한다.
    ④ 잡초가 무성한 곳은 한 해에 2번 실행한다.
95. 나무를 굽게 하고 생장을 저하시키며 심한 경우 나무줄기를 부러뜨리는 기후 인자는?
    ① 수분       바람
    ③ 광선       ④ 온도
96. 모수작업법을 이용한 산림 갱신에서 모수의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유전적 형질이 좋아야 한다.
    ②  우세목 중에서 고르도록 한다.
    ③ 종자는 많이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에 대한 저항력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
97. 종자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실중이란 1리터에 대한 무게를 나타낸 것이다.
    ② 효율이란 발아율과 순량율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③ 발아율이란 일정한 수의 종자 중에서 발아력이 있는 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④ 순량율이란 일정한 양의 종자 중 협잡물을 제외한 종자량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98. 2ha의 면적에 2m 간격으로 정방형으로 묘목을 식재 하고자 할 때 소요 묘목본수는?
    ① 2000본        ② 2500본
    ③ 4000본        5000본
99. 산벌작업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예비벌 → 후벌 → 하종벌
    ② 하종벌 → 예비벌 → 후벌
    예비벌 → 하종벌 → 후벌
    ④ 하종벌 → 후벌 → 예비벌
100. 밤나무 종자의 정선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입선법       ② 수선법
    ③ 풍선법       ④ 사선법

 

★오답 및 오타발견시 댓글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관련사이트
문제풀이닷컴 
https://quz.co.kr/quz/?idx=7632&d=01&year=2016&no=4&tp=A&rm=0
큐넷
https://www.q-net.or.kr/man001.do?gSite=Q&gId=